KR101043552B1 -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 Google Patents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552B1
KR101043552B1 KR1020090069953A KR20090069953A KR101043552B1 KR 101043552 B1 KR101043552 B1 KR 101043552B1 KR 1020090069953 A KR1020090069953 A KR 1020090069953A KR 20090069953 A KR20090069953 A KR 20090069953A KR 101043552 B1 KR101043552 B1 KR 10104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voltage
converter
switching element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289A (ko
Inventor
김진욱
원충연
김재형
원동조
이병국
오동성
이태원
송두영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5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3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ignition at the zero crossing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공진 커패시터, 공진 인덕터, 제1, 제2 스위칭 소자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스위칭 소자를 영전압 또는 영전류 순간에 온/오프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부, 및 상기 승압된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부를 포함한다.
인버터, 컨버터, 소프드 스위칭, 하드 스위칭, ZCS(Zero Current Switching), ZVS(Zero Voltage Switching)

Description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Soft Switching Converter and Inverter Using it}
본 발명은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스위칭 소자에 전압과 전류가 동시에 인가될 경우 발생되는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ZCS 또는 ZVS 방식으로 스위칭 소자를 턴-온/턴-오프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전자 기술을 이용한 전력변환 장치의 연구 방향은 고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다. 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위해서는 동작 시 발생하는 각종 손실을 줄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나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같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파워 스위치가 동작 시 발생하는 손실은 크게 도통 손실과 스위칭 손실로 나눌 수 있다.
도통 손실은 스위치 ON 시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스위치 내부 고유 저항에 의해 결정되며, 스위칭 손실은 스위치 온/오프 시 스위치 양단 전압과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중첩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들은 결국 열로 변하여 방열판과 팬(FAN)을 이용하여 방열해야 하므로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고효율 소자를 사용하여 도통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소프트 스위칭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스위치 온/오프 시 전압, 전류가 중첩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스위칭 손실은 줄일 수 있다.
일반적인 소프트 스위칭 기법은 반도체 스위치가 온/오프 시 전압/전류의 상태에 따라 ZCS(Zero Current Switching) 방법과 ZVS(Zero Voltage Switching)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ZCS 방법은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치에 직렬 연결한 공진 인덕터를 이용하여 지연 시킴으로써 전압/전류가 중첩되는 구간을 최소화하고, ZVS 방법은 스위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순간적으로 역병렬 다이오드나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공진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스위치 양단 전압을 "0[V]"로 만들어서 스위치가 켜지거나 꺼지게 만들어서 전압/전류 중첩 구간을 최소화하여 스위칭 손실을 줄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DC/AC 단상 인버터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DC/AC 단상 인버터 회로는 전원부(11), DC/DC 컨버터부(12)와 DC/AC 인버터부(13) 를 포함하며, DC/DC 컨버터부(12)는 스위칭 소자, 다이오드, 인덕터로 구성될 수 있고, DC/AC 인버터부(13)는 4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다.
DC/DC 컨버터부(12)는 입력 직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하고 DC/AC 인버터부(13)는 승압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2단계 전력변환 동작을 수행한다.
종래의 DC/DC 컨버터부(12)는 일반적인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드 스위칭 부스트 방식인 인버터 풀-브릿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DC/AC 단상 인버터 회로의 스위치 온/오프 시의 전압, 전류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드 스위칭 방식은 스위치의 온/오프 시 전류와 전압의 중첩 구간이 길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하드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스위칭 소자의 효율이 저하되고, 방열판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진 인덕터, 공진 커패시터, 다이오드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가 온/오프 시 ZCS 또는 ZVS 방식으로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공진 커패시터, 공진 인덕터, 제1, 제2 스위칭 소자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스위칭 소자를 영전압 또는 영전류 순간에 온/오프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상기 DC/DC 컨버터부는 상기 전원부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승압된 전압을 출력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공진 인덕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공진 인덕터는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공진 커패시터, 공진 인덕터, 제1, 제2 스위칭 소자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스위칭 소자를 영전압 또는 영전류 순간에 온/오프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부, 및 상기 승압된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상기 DC/DC 컨버터부는 상기 전원부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승압된 전압을 상기 DC/AC 인버터부로 전달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공진 인덕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공진 인덕터는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일단이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상기 DC/AC 인버터부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4개의 스위칭 소자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는 상기 승압된 전압, 공진 커패시터 및 공진 인덕터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진 인덕터와 공진 커패시터 사이의 공진주기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의 전압과 전류의 중첩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와 연결된 DC/AC 인버터부는 추가적인 공진소자를 추가하지 않고 DC/DC 컨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구동에 의하여 소프트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는 전원부(110), DC/DC 컨버터부(120) 및 DC/AC 인버터부(13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직류 전압을 공급하며, DC/DC 컨버터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커패시터(Cr), 공진 인덕터(Lr), 스위칭 소자(Q1, Q2)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전원부(11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한다.
DC/DC 컨버터부(120)는 전원부(110)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L1) 및 승압된 전압을 DC/AC 인버터부(130)로 전달하는 직류 링크(DC-link) 커패시터(C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Q1, Q2)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2 스위칭 소자(Q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칭 소자(Q1)는 메인 스위칭 소자로 기능하고 제2 스위칭 소자(Q2)는 보조 스위칭 소자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는 공진 인덕터(Lr)와 직렬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Q2)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C1)와 직렬 연결되고, 공진 인덕터(Lr)는 공진 커패시터(Cr)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2 스위칭 소자(Q2)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므로 ZCS 방식의 스위칭 구동을 할 수 있고, 제1 스위칭 소자(Q1)의 일단이 다이오드의 애노드단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Q2)의 일단이 다이오드의 캐소드단과 연결되어 있다.
DC/AC 인버터부(130)는 DC/DC 컨버터부(120)에서 승압된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하며, DC/AC 인버터부(130)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4개의 스위칭 소자와 저항을 포함하는 풀-브릿지 인버터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부(120)에서 승압된 전압, 공진 커패시터(Cr) 및 공진 인덕터(Lr)에 따라 스위칭 소자(Q1, Q2)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제1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구동 시 전압, 전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제2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구동 시 전압, 전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제1 스위칭 소자(Q1)의 전압, 전류 특성은 제1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Q1)의 전압 특성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떨어지고, 전류 특성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변화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Q1)는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압이 "0"으로 떨어진 후 전류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ZCS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Q1)가 "ON"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Q1)의 양단 전압이 "0"이 될 때까지 제1 스위칭 소자(Q1)에 전류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스위칭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칭 소자(Q2)는 게이트 신호가 하이(high)로 입력되면 제2 스위칭 소자(Q2)의 전압 특성 곡선이 "0"으로 떨어진 후 제2 스위칭 소자(Q2)의 양단 전류가 변화되고, 게이트 신호가 로우(low)로 입력되면 제2 스 위칭 소자(Q2)의 전류 특성 곡선이 "0"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제2 스위칭 소자(Q2)의 양단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Q2)가 "온/오프"되는 경우 제2 스위칭 소자(Q2)의 양단 전류가 "0"이 될 때까지 제2 스위칭 소자(Q2)의 양단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스위칭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DC/AC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전압, 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출력 전압, 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AC 인버터부의 제1 스위칭 소자(S1)의 게이트 구동 신호(PWM)가 하이(high)로 인가되면 제1 스위칭 소자(S1)의 역방향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1 스위칭 소자(S1)의 양단 전압이 "0"으로 유지되므로 ZVS 턴 온(turn on) 상태로 동작하고, 제1 스위칭 소자(S1)의 게이트 구동 신호(PWM)가 로우(low)로 인가되면 제1 스위칭 소자(S1)에 흐르는 전류는 병렬 연결된 공진 커패시터(Cr)로 흐르게 되어 ZVS 턴 오프(turn off)로 동작한다.
따라서, DC/AC 인버터부에 별도의 공진소자를 추가하지 않고도 DC/AC 인버터부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들이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의 히스테리시스가 제어된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60Hz 주파수를 갖는 사인 파형으로 나타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회로의 동작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의 동작상태 및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Q1은 DC/DC 컨버터부의 제1 스위칭 소자이고, Q2는 DC/DC 컨버터부의 제2 스위칭 소자이고, S1~S4는 DC/AC 인버터부의 제1~제4 스위칭 소자이고, Lr은 공진 인덕턴스, Cr은 공진 커패시터, L1은 전원부와 DC/DC 컨버터부를 연결하는 인덕터, C1은 DC/DC 컨버터부와 DC/AC 인버터부를 연결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회로의 동작모드는 6가지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Ⅰ. Mode 1 (to≤t≤t1)
Q1이 ZCS로 turn on된 구간으로써 Q1으로 전류가 흐르고 공진 인덕터(Lr)의 전류가 증가하여 에너지를 축적하며, 공진 커패시터(Cr)는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공진을 시작하는 상태이다.
이때, Q1와 공진 커패시터(Cr)의 에너지가 공진 인덕터(Lr)와 부하(Load)단으로 공급된다.
Ⅱ. Mode 2 (t1≤t≤t2)
Q1가 ON 상태로 동작하고, 공진 커패시터(Cr)가 완전히 방전된다.
공진 커패시터(Cr)가 완전히 방전된 후, DC/AC 인버터부의 4개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역병렬 다이오드가 모두 도통하여 환류구간이 형성된다.
4개의 스위칭 소자의 역병렬 다이오드가 도통될 때 각각의 스위칭 소자의 양단 전압은 "0[V]"가 되며, S3 및 S4는 ZVS 턴 온 하게 된다.
Ⅲ. Mode 3 (t2≤t≤t3)
Q1가 턴 오프(turn off)되면, 공진 커패시터(Cr)가 충전되기 시작하고 공진 인덕터(Lr)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시작하여 다이오드를 도통시켜 커패시터(C1)에 에너지를 충전한다.
공진 인덕터(Lr)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될 때까지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위가 높아진다.
Ⅳ. Mode 4(t3≤t≤t4)
공진 인덕터(Lr)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면 다이오드는 역전압 때문에 턴 오프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Ⅴ. Mode 5 (t4≤t≤t5)
공진 커패시터(Cr)가 완충되면 Q2에 연결된 역병렬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커패시터(C1)가 충전된다. 또한, Q2에 연결된 역병렬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르는 동안 Q2의 양단 전압은 "0"으로 유지되므로 Q2는 ZVS 턴 온 된다.
Mode 5는 DC/DC 컨버터부와 DC/AC 인버터부를 연결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C1)가 완출될 때까지 유지된다.
Ⅵ. Mode 6 (t5≤t≤t6)
Q2가 턴 온 된 상태에서 DC/DC 컨버터부와 DC/AC 인버터부를 연결하는 커패시터(C1)가 에너지를 방출하여 부하(Load)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원부와 연결된 인덕터(L1)의 에너지가 방출되므로 전류는 감소되고 전류가 "0"이 될때까지 Mode 6이 지속된다.
따라서, Q1, Q2, S1~S4의 온/오프 스위칭 시 스위칭 소자의 전압 및 전류가 중첩되는 구간이 최소화되므로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DC/AC 단상 인버터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하드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DC/AC 단상 인버터 회로의 스위치 온/오프 시의 전압, 전류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제1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구동 시 전압, 전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제2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구동 시 전압, 전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DC/AC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전압, 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의 출력 전압, 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회로의 동작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의 동작상태 및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10: 전원부 120: DC/DC 컨버터부
130: DC/AC 인버터부

Claims (13)

  1.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직류 전압을 승압하는 DC/DC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는
    상기 전원부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커패시터;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인덕터;
    상기 공진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 소자;
    상기 공진 인덕터와 제1스위칭소자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진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칭 소자;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는,
    상기 제1, 제2 스위칭 소자를 영전압 또는 영전류 순간에 온/오프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5. 삭제
  6.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직렬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커패시터,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공진 인덕터,
    상기 공진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제1스위칭 소자,
    상기 공진 인덕터와 제1스위칭소자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진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된 제2스위칭 소자,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C/DC컨버터부; 및
    상기 DC/DC컨버터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는,
    상기 제1, 제2 스위칭 소자를 영전압 또는 영전류 순간에 온/오프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소프트 스위칭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인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C/AC 인버터부는 역병렬 다이오드가 연결된 4개의 스위칭 소자와 저항을 포함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C/DC컨버터부에서 출력된 전압, 공진 커패시터 및 공진 인덕터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 컨버터를 이용한 인버터.
KR1020090069953A 2009-07-30 2009-07-30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KR10104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53A KR101043552B1 (ko) 2009-07-30 2009-07-30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53A KR101043552B1 (ko) 2009-07-30 2009-07-30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89A KR20110012289A (ko) 2011-02-09
KR101043552B1 true KR101043552B1 (ko) 2011-06-21

Family

ID=4377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953A KR101043552B1 (ko) 2009-07-30 2009-07-30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97B1 (ko) * 2013-05-15 2014-11-03 한국전기연구원 멀티모듈 컨버터의 암 스위치 특성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596A (ja) 2004-09-22 2006-04-06 Daikin Ind Ltd コンバータ装置
US7110269B2 (en) 2003-05-14 2006-09-19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oft-switching techniques for power inverter legs
JP2009106149A (ja) 2007-10-25 2009-05-14 Converteam Technology Ltd 超伝導電気機械用のロータまたはステ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269B2 (en) 2003-05-14 2006-09-19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oft-switching techniques for power inverter legs
JP2006094596A (ja) 2004-09-22 2006-04-06 Daikin Ind Ltd コンバータ装置
JP2009106149A (ja) 2007-10-25 2009-05-14 Converteam Technology Ltd 超伝導電気機械用のロータまたはステー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IST 박사학위논문(제목: Novel Soft Switching Space Vector PWM Inverters using Parallel Resonant DC Link Topologies), 발표일 1995.05.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97B1 (ko) * 2013-05-15 2014-11-03 한국전기연구원 멀티모듈 컨버터의 암 스위치 특성평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89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550B1 (en) Cryogenically-cooled switching circuit
Han et al. A new active clamping zero-voltage switching PWM current-fed half-bridge converter
Bai et al. Eliminate reactive power and increase system efficiency of isolated bidirectional dual-active-bridge DC–DC converters using novel dual-phase-shift control
JP4824524B2 (ja) 単方向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738274B2 (en)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bridge and boost circuit
Moo et al. Twin-buck converter with zero-voltage transition
US5784269A (en) Three phase high power factor converter using phase selection circuit
US20060227577A1 (en) DC-DC converter
US20020145407A1 (en) Zero voltage, zero current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low conduction loss and low switching loss
US8520410B2 (en) Virtual parametric high side MOSFET driver
JP2007505598A (ja) 力率補正回路
JPWO2008020629A1 (ja) 絶縁昇圧型プッシュプル式ソフトスイッチングdc/dcコンバータ
JP2004524788A (ja) 同期整流変換器回路内の逆電流を減少させる方法と回路
JP2003324956A (ja) 直列共振型ブリッジインバータ回路の制御方法及び直列共振型ブリッジインバータ回路
US7944188B1 (en) Power converter circuits having bipolar outputs and bipolar inputs
JP2009011013A (ja) 電力変換装置
Cheng et al. An interleaved flyback-typed LED driver with ZVS and energy recovery of leakage inductance
US6046915A (en) Phase selection circuit for three phase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ang et al. ZVZCS single-stage PFC AC-to-DC half-bridge converter
WO2010107060A1 (ja) Dc-dcコンバータ
WO2001052395A1 (fr)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39;exciter des elements de commutation d&#39;un dispositif de conversion de puissance commande par le courant
EP4169154A1 (en) Soft-switching pulse-width modulated dc-dc power converter
US6999325B2 (en) Current/voltage converter arrangement
KR101043552B1 (ko)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KR100387382B1 (ko) 고효율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