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08B1 -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 Google Patents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008B1
KR101043008B1 KR1020090071408A KR20090071408A KR101043008B1 KR 101043008 B1 KR101043008 B1 KR 101043008B1 KR 1020090071408 A KR1020090071408 A KR 1020090071408A KR 20090071408 A KR20090071408 A KR 20090071408A KR 101043008 B1 KR101043008 B1 KR 10104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hellfish
seawater
waterway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3776A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to KR102009007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08B1/en
Publication of KR2011001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을 포함한 이매패류의 치패를 양성하기 위한 해상의 패류양식시설로서, 수조에 담긴 치패를 조수간만에 의한 업웰링 환경에서 양성하여 생장을 촉진시키고 질 높은 성패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각각의 수조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어 작업성과 효율성이 높은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ine shellfish farming facility for cultivating bivalve shells including oysters, which can be grown in the upwelling environment by tidal flats to promote growth and obtain high quality succes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culture facility for shellfish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efficient in its ability to maintain and manage its tanks efficientl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해상에 설치되어 해수가 통과하는 수로를 정의하고, 상기 수로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조장입구 및 상기 수조장입구의 주변을 따라 마련된 해수면 상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구조물; 및 개방된 상면은 상기 해수면 위에, 제 1 메쉬망으로 밀폐된 하면은 상기 해수면 아래에 존재하도록 상기 수조장입구에 일대일 대응 삽입되고, 측면 상단에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이매패류의 치패가 담겨지는 수조를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channel through which seawater passes through the sea with only the tidal difference, and at least one tank entrance a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ank entrance arranged along at least one side of the channel. A frame structure providing space; And an open top surface is inserted one-to-one corresponding to the tank entran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sealed with the first mesh network is below the sea surface, and a drain hole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sea shell. Provide aquaculture facilities for shellfish, including tanks containing water.

Description

패류의 해상양식시설{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본 발명은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굴(oyster)을 포함한 이매패류(Bivalvia)의 치패(稚貝)를 양성하기 위한 해상의 패류 양식시설로서, 수조에 담긴 치패를 조수간만에 의한 업 웰링(up-ewlling) 환경에서 양성하여 생장을 촉진시키고 질 높은 성패(成貝)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각각의 수조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어 작업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ine shellfish farming facility for cultivating bivalvias including oysters, and up-ewlling environment of tidal pools in tidal flats. It is related to 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efficiency because it can cultivate and promote growth and obtain high quality success and maintain each tank efficiently.

일반적으로 패류(shell)란 연체동물(mollusca) 중에서도 석회질의 패각(貝殼)을 지닌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Monoplacophora), 다판강(Polyplacophora), 복족강(Gastropoda)의 전새아강(Prosobranchia)과 후새아강(Opisthobranchia)의 일부, 유폐아강(Pulmonata)의 대부분, 굴족강(Scaphopoda)과 이매패강(Bivalvia)의 대부분, 두족강(Cephalopoda)의 일부가 포함된다.In general, the shell (shell) is a generic name of the mollusc (mollusca) with a calcareous shell, which includes the Monaplacophora, Polyplacophora, Prosobranchia of the Gastropoda And parts of the Opisthobranchia, most of the Pulmonata, most of the Scaphopoda and Bivalvia, and some of the Cephalopoda.

이 중에서도 이매패강에 속하는 이매패류(二枚貝類, Bivalvia)는 좌우의 패 각을 지니는데, 식량원으로 이용되는 호두조개 등의 원새목(Protobranchia), 굴 등의 사새목(Filibranchia), 백합 등의 판새목(Lamellibranchia), 큰국자조개 등의 격새목(Septibranchia)이 이에 해당된다.Among them, bivalvias belonging to the bivalve river have bilateral shells, such as Protobranchia, walnut clam used for food source, Firanranchia, oyster, etc. This includes Septibranchia, such as Lamellibranchia and Ladleworm.

한편, 사새목의 대표종에 해당되는 굴(oyster)은 좌우 패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중의 플랑크톤을 먹이 삼아 유생기에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화 후 20일 정도가 지나 치패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해서 부착생활을 한다.On the other hand, oysters, which are representative species of cephalopods, are characterized by asymmetrical left and right shells.They live in the larval stage by feeding the plankton in the water. It is attached to a back and is attached.

참고로, 굴은 인류역사상 아주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근래에 들어 그 놀라운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흔히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굴은 인체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 성호르몬의 활성원인 아연이 풍부하고 비타민, 미네랄이 함유량이 높으며 칼슘 흡수가 빨라 당뇨, 고혈압 등의 질병예방 효과가 높은 것은 물론,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맛과 향이 뛰어나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사랑받고 있다.For reference, oyster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human history, but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in the spotlight around the world as their amazing efficacy is scientifically revealed. Oysters, commonly referred to as "sea milk," are rich in glycogen, the active source of human hormones, zinc, the active source of sex hormones, high in vitamins and minerals, and high in calcium absorption, resulting in high disease prevention effects such as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Easily absorbed and excellent in taste and aroma, it is loved by all ages.

그리고 이에 부응하여 굴을 포함한 이매패류의 양식이 주목받고 있다.In response, aquaculture of bivalve shells including oysters is drawing attention.

일반적인 패류의 양식은 채묘(採苗), 치패양성(稚貝養成), 수확(收穫)의 과정을 거친다. 이때, 채묘란 종묘(種苗)를 얻는 과정이고, 치패양성이란 인위적 관리를 통해 치폐의 생활반경을 한정시킨 상태로 생장시키는 과정이며, 수확은 성패를 수집하는 것이다.Common shellfish farming processes include cultivation, chipping, and harvesting. At this time, chaemyo is a process of obtaining seedlings, and chipping nurturing is a process of growing in a state of limiting the life radius of dentifrice through artificial management, and harvesting is collecting the success or failure.

일례로 굴은 참굴, 가리비, 국가자리비 껍질 등의 부착기질을 바다에 침지시켜 부착기에 접어든 성숙유생의 부착을 유도하는 자연채묘 또는 육상수조에서 온도자극 등의 방법으로 모패(母貝)의 산란을 유도한 후 유생(幼生)을 양성하여 부착기 에 접어들면 부착기질에 부착시키는 인공채묘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치패양성에는 뗏목식, 로프식, 간이식과 같은 수하식 양성방법, 송지식과 같은 나무가지식 양성방법, 투석식 양성방법이 활용되며, 수확은 손이나 기중기를 이용하여 수하연을 감아 올리는 방식으로 한다.Oysters, for example, are used in the natural seedlings or in land tanks to induce adhesion of mature larvae that have immersed in the sea, such as oysters, scallops and shells. After inducing spawning, larvae are cultivated and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bstrate. In addition, chipping nurturing methods include cultivation methods such as rafts, ropes, and liver transplants, tree branch training methods such as songji, and dialysis training methods. do.

여기서 각각의 치패양성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뗏목식은 뗏목인 뜸틀에 치패 양성용 수하연(垂下延)을 매달아 양성하는 방법으로서 시설비가 많이 들고 취급이 불편하여 현재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반면, 로프식은 해면에 부자(浮子)를 띄워 로프로 연결한 후 양끝을 닻으로 고정한 다음 로프에 양성용 수하연을 매달아 양성하는 방식으로서 양성 수면적이 넓고 성장이 빨라 가장 많이 이용된다. 또한 간이식은 간조선 근처로부터 수심 수m 까지 두 줄의 말목을 세운 후 종횡으로 엮인 잡목 등에 수하연을 매다는 방식이고, 송지방식은 소조(小潮)와 대조(大潮)의 간출선 사이로 나뭇가지 등을 세워 양성하는 방식이며, 투석식은 만조와 간조 사이의 노출 바닥면에 돌을 넣어 양성하는 방식이다.Here is a brief look at each of the methods of cultivation, the raft type is a method of cultivating hanghayeon (치 下 延) for cultivation on the moxibustion of the raft as a high cost of facilities and inconvenient handling, currently rare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rope type floats the rich (浮子) on the sea surface connected by ropes and then anchored both ends with an anchor, and then hang the ropes for training on the ropes to cultivate the positive water surface area and growth is most commonly used. In addition, the simple transplantation is a method of setting up two rows of horses from the bottom of the low tide to a depth of several meters, and then hanging the hanging strings on cross-wovens interwov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t is a method of raising and nurturing, and dialysis is a method of nurturing by putting stones on the exposed bottom between high and low tide.

하지만, 위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어렵고, 작업의 전(全) 과정이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므로 힘들고 까다로우며, 해수의 흐름 등 자연조건이 미치는 영향이 커서 생산량이 큰 폭으로 변동된다. 더욱이, 수하연에 치패가 부착될 때 다수 개가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실질적 방도가 전무한 바, 성장이 더뎌지는 것은 물론 수확 후 각각을 분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을 초래한다.However, the existing methods are difficult and efficient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maintain efficiently, and the whole process of work is completely dependent on manpower, and the production conditions fluctuate largely due to the influence of natural conditions such as the flow of seawater. . Moreover, when a plaque is attached to a hydrangea, a large number of dogs often form a single mass, but there is no practical way to prevent this, which slows down growth and causes a lot of manpower and cost to separate each one after harvest. .

그 결과 작업성과 효율성이 높은 패류 양식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workability and efficient shellfish farm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을 포함한 이매패류의 치패를 효율적으로 양성할 있는 해상 패류양식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상의 수조에 담긴 치패를 조수간만에 의한 업웰링(up-ewlling) 환경에서 양성하여 생장을 촉진시키고 질 높은 성패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수조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어 작업성과 효율성이 높은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shellfish farming facility that can efficiently cultivate bivalve shellfish including oyster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the growth and obtain a high quality success by nurturing the chippings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n the up-ewlling environment by tidal tides, while maintaining and managing each tank more efficiently. As a result, it aims to provide aquaculture facilities for shellfish with high workability and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해상에 설치되어 해수가 통과하는 수로를 정의하고, 상기 수로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조장입구 및 상기 수조장입구의 주변을 따라 마련된 해수면 상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구조물; 및 개방된 상면은 상기 해수면 위에, 제 1 메쉬망으로 밀폐된 하면은 상기 해수면 아래에 존재하도록 상기 수조장입구에 일대일 대응 삽입되고, 측면 상단에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이매패류의 치패가 담겨지는 수조를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ea with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ides to define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seawater passes, and at least one tank entrance and the tank entrance of the tank disposed along at least one side of the channel A frame structure that provides a workspace on the sea level along the periphery; And an open top surface is inserted one-to-one corresponding to the tank entran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sealed with the first mesh network is below the sea surface, and a drain hole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sea shell. Provide aquaculture facilities for shellfish, including tanks containing water.

이때, 상기 수조를 흐르는 해수의 흐름과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 해수의 흐름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입 량을 조절하는 수차; 및 상기 수로의 타측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수량조절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제 2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low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tank and the flow of sea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to adjust the inflow of seawater; And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w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quantity control doo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outflow of sea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mesh network for sealing the drain.

또한, 상기 수조는 측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해수홀이 관통되고, 상기 해수홀을 밀폐하는 제 3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는 알루미늄 또는 스텐인리스의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조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 붙여진 플렌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렌지는 상기 수조장입구에 걸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r more seawater holes penetrates along the side, and further comprises a third mesh net for sealing the seawater holes, the water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material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And a flange encircled along the top edge of the tank, wherein the flange is supported over the tank inlet.

또한, 상기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조 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를 인양하는 크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의 로프가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레임구조물은 닻이 연결된 부유식 또는 해저로부터 직립된 지주에 고정된 고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rail installed on the water tank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ater channel; And a crane installed on the rail to lift the tank,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racket provided at the top of the tank to which the rope of the crane is connected. The frame structure is an anch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fixed to the floating upright or upright props from the seabed.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수조장입구는 상기 수로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로, 상기 수로 양측을 따라 배치된 상기 수조장입구가 1 개조를 이루어 상기 1개 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수로를 사이에 두고 2개 이상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urther, the tank inle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the waterway, the water tank inlet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waterway is one remodeling, the two tanks at least one auxiliary channel between the two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tinuously arrang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은 조수간만에 의한 업 웰링(up- ewlling) 환경 하에서 이매패류의 치패를 양성하므로 질높은 성패를 얻을 수 있다.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ultivate bivalve shells under the up-ewlling environment by tidal tides, thereby achieving high quality success.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은 조수간만에 의해 적어도 하루 2회의 업웰링 현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치패는 충분한 먹이공급을 통해 생장이 촉진되고, 굴의 경우에는 상호부착에 따른 성장방해를 막아 한층 더 질 높은 성패로 성장한다.That is, the marine aquaculture facility of the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 least twice a day upwelling by tidal tides. Therefore, the growth of the chipping is promoted through sufficient food supply, and in the case of oysters, it grows with higher quality by preventing the growth inhibition due to mutual attachmen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은 작업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정점을 나타내는바, 고 품질의 패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 및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eak of excellent workability and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nurture and manage high-quality shellfish.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이하, 간략하게 해상양식시설이라 한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의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해당된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marine culture facilit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2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of FIG. 3.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해상양식시설은 해상에 설치되는 프레임구조물(10) 그리고 양식대상물인 이매패류가 투입된 상태로 프레임구조물(10)에 결합되어 그 일부가 해수에 침지되는 수조(60)로 나누어볼 수 있다.As can be seen, the marine aquacultu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10 in a state in which the bivalve shells, which are installed on the sea, and the bivalve shells, which are aquaculture, are part of the tank 60 to be immersed in seawater. You can share.

각각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each of them in detail as follows.

먼저, 프레임구조물(10)은 해수가 흐르는 수로(20)를 정의하는 동시에 수로(20)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1열 또는 2열로 배치된 복수의 수조장입구(30) 그리고 수조장입구(30)의 주변을 따라 마련된 소정의 작업공간(40)을 제공한다.First, the frame structure 10 defines a water channel 20 through which seawater flows, and a plurality of tank entry ports 30 and a tank entrance 30 arranged in one or two rows along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hannel 20. It provides a predetermined work space 40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이때, 수로(20)의 규격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폭(width)은 후술하는 수차(52) 및 수량조절도어(54)를 이용하여 해수의 유출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길이(length)는 수로(20)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배치된 수조장입구(30)의 수에 따라 결정되지만 주변의 기후 및 자연환경과 작업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ndard of the channel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width (width) is appropriate to be within the rang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amount of seawater using the aberration 52 and the water quantity adjustment door 54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length (leng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ank entrance 30 is arranged along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aterway 20, bu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climate, natural environment and work efficiency.

그리고 수로(20)의 높이는 조수간만에 따른 해수면(R)의 최대 상승치 보다 높고 최대 하강치 보다 낮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수로(20)에는 상시적으로 해수가 흐른다.And the height of the waterway 20 is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maximum rise of the sea level (R) according to the tidal tide and lower than the maximum fall. Therefore, seawater flows through the channel 20 at all times.

또한, 수로(20)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수조장입구(30)는 파이프 등의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동일규격의 사각 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수로(20)를 향하는 수조장입구(30)의 일측은 후술하는 수조(60)의 배기구(70)로 배출되는 해수가 수로(2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개구부(32)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tank inlet 30 disposed along at least one side of the water channel 20 may exhibit a rectangular frame shape of the same standard made of a steel structure such as a pipe. And one side of the tank inlet 30 toward the waterway 20 is open or the opening 32 so that the seawater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70 of the water tank 60 to be described later flows into the waterway 20. .

아울러, 작업공간(40)은 작업자가 딛고 서서 안정적으로 이동 또는 작업을 할 수 있는 바닥면을 제공하면 충분하며, 일례로 다수의 홀이 관통된 그레이팅(grating) 또는 목재판 등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작업공간(4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난간 등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space 40 is sufficient to provide a floor surface on which the operator can stand and move or work stably, for example, it consists of assembling grating or wood board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les pass. And if necessary, by installing a railing or the like along the edge of the workspace 40 can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into the water.

한편, 이상의 프레임구조물(10)은 해수면(R)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부유식(浮游式) 또는 그 높이가 고정된 고정식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frame structure 10 may be a floating type (浮游 式) that the height is changed along the sea level (R) or a fixed type is fixed.

즉, 전자의 부유식이라면 닻 등을 매개로 좌표 상의 일정 반경 내에서 해수 면(R)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후자의 고정식이라면 해저로부터 직립 설치된 복수의 지주(12)에 고정되어 좌표 상의 위치와 높이가 고정된다.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거나 해류의 속도가 빠른 곳이라면 부유식이, 조수간만의 차가 작거나 해류의 속도가 늦은 곳이라면 고정식이 유리하다.That is, if the former floating type, it rises or descends along the sea surface R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n the coordinates through an anchor, etc., and if the latter fixed type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struts 12 installed upright from the sea floor, The position and height are fix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 is high or the speed of the current is fast floating,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 is small or the speed of the current is a fixed type is advantageous.

다시 말해, 프레임구조물(10)은 앞서 살펴본 수로(20), 수조장입구(30), 작업공간(40)을 제공하는 한 세부적인 재질, 규격, 구조 등은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 보아야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as long as the frame structure 10 provides the channel 20, the tank entrance 30, and the work space 40 described above, detailed materials, specifications, structures, and the like may be freely changed. Therefore, the drawings should be seen as an example for ease of understanding.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구조물(10)의 수로(20) 일측에는 해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차(52)가 설치되며, 그 반대편에 해당되는 수로(20) 타측에는 해수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수량조절도어(54)가 설치된다.And preferably, the aberration 52 for adjusting the inflow of seawat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hannel 20 of the frame structure 10, the water quantity control for adjusting the outflow of seawater on the other side of the channel 2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The door 54 is installed.

이때, 수차(52)는 해당 지역의 특성상 조수간만의 차가 극히 작거나 수로(20)를 흐르는 해수의 양을 빠르게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되고, 수량조절도어(54)는 수로(20)를 흐르는 해수의 양을 증감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따라서 수차(52)는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펌프 등으로 대체될 수 있고, 수량조절도어(54)는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수로(20)를 여닫는 방식 내지는 기타 동일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erration 52 is us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al tide is very sm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 when it is necessary to quickly increase the amount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way 20, the water volume control door 54 flows through the waterway 20 Used when there is a ne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seawater. Accordingly, the aberration 52 may be replaced by a pump that performs the same role, and the water adjusting door 54 may slid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o open and close the waterway 20 or all other ways of performing the same role. Can be.

또한, 비록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수로(20)의 방향에 교차하도록 작업공간(40)의 위로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설치될 수 있고, 여기에 크레인을 탑재하여 후술하는 수조(60)의 인양작업을 한층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preferably at least one rail may be installed above the workspace 40 so as to intersect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way 20, and the tank 60 to be described later by mounting a crane thereon. This makes the lifting work of the car much easier.

다음으로, 수조(60)는 입구 역할의 상면(62)과 바닥 역할의 하면(64) 그리고 상하면(62,64)을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66)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4는 수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한다. Next, the water tank 60 has a hexahedron or similar shape consisting of four side surfaces 66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62 of the inlet role, the lower surface 64 of the bottom rol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62 and 64.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ter tank,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and is referred to together with FIGS. 1 to 3.

보이는 것처럼, 수조(60)는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62)이 개방되고 하면(64) 역시 개방되지만 하면(64)은 그물구조의 제 1 메쉬망(82)으로 밀폐되어 해수가 자유로이 유출입 하며, 수로(20)를 향하는 일 측면 상단으로는 배수구(70)가 설치되어 수조(60) 내외부의 해수가 자유로이 유출입 한다. 그리고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플렌지(72)가 둘러 붙여져 수조장입구(30)에 걸려 지지된다. As can be seen, the water tank 60 may b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which is not rusted, and the upper surface 62 is opened and the lower surface 64 is also opened, but the lower surface 64 is the first mesh of the mesh structure. Sealed with a mesh 82, the seawater freely flows in and out, and the drain port 70 is installed at one side upper end facing the waterway 20, the seawater inside and outside the water tank 60 freely flows in and out. And the flange 72 is enclos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is supported by the tank entrance 30.

따라서 수조(60)를 수조장입구(30)에 삽입하면 상면(62)은 해수면(R) 위에 위치하고 하면(64)은 해수면(R) 아래로 위치하며, 배수구(70)는 수로(20)와 실질적으로 수직 교차되는데, 배수구(70) 역시 해수면(R)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언제나 해수면(R) 아래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R)의 최대 하강시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해수면(R) 위로 노출되어도 무관하다.Therefore, when the water tank 60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inlet 30, the upper surface 62 is located above the sea level R, and the lower surface 64 is located below the sea level R, and the drain hole 70 is connected to the waterway 20. Although substantially vertically intersected, the drain 70 is also preferably located below sea level R, but it does not always need to be below sea level R, and part or all of it is at sea level R due to tides only. (R) May be exposed above.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조(60)의 안쪽에는 배기구(70)를 밀폐하는 그물구조의 제 2 메쉬망(84)이 설치되고, 수조(60)의 내부에는 양식대상물인 이매패류의 치패, 일례로 굴 치패가 투입된다.Preferably, a second mesh net 84 having a net structure for sealing the exhaust port 70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60, and inside the water tank 60, a chip of a bivalve shell which is a farming object, for example, an oyster The flop is put in.

그 결과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해 해수는 수조(60) 하면(64)의 제 1 메쉬망(82)을 통해 수조(60) 내부로 유입된 후 상단 일측의 배수구(70)로 배수되는 업 웰링(up-ewlling) 현상을 일으키고, 수조(60) 내에 존재하는 이매패류의 치패는 해 수의 흐름을 따라 부유하면서 해수 내 함유된 풍부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a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60 through the first mesh network 82 of the bottom surface 64 of the water tank 60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s, and then drained up to the drain 70 on the upper side ( up-ewlling), and the bivalve shells present in the water tank 60, while floating along the flow of the sea water can take in abundant food contained in the sea water.

따라서 다수의 치패가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분리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플랑크톤 등의 먹이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상호밀착에 의한 성장방해를 막아 한층 질 높은 성패로 성장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a number of chippings form a single mass, so that the separate separation work can be omitted, and the food supply of plankton and the like is sufficient, and the higher quality success is achieved by preventing growth interference due to mutual adhesion. To grow.

그리고 이 과정 중에 수조(60) 하면의 제 1 메쉬망(82)과 배수구(70)의 제 2 메쉬망(84)은 치패가 해수에 휩쓸려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process, the first mesh net 82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60 and the second mesh net 84 at the drain 70 prevent the chip from being lost to the seawater.

따라서 제 1 및 제 2 메쉬망(82,84)의 메쉬 사이즈는 치패의 크기에 따라 조절된다. 하지만 메쉬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는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반면 메쉬의 사이즈가 지나치게 크면 치패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1~50mm 내에서 적절히 조절된다.Therefore, the mesh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mesh nets 82 and 84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ip.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mesh is too small, the flow of seawater is disturbed, whereas if the size of the mesh is too large, the chip may be lost, so it is properly adjusted within 1 to 50 mm.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조(60)의 상단 내면에는 프레임구조물(10)의 레일에 탑재된 크레인과 줄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고정브라켓(74)이 설치된다. 이로써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작업을 한층 수월하게 한다.Also preferably, at least two fixing brackets 74 connected to the rope and the crane mounted on the rail of the frame structure 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60. This makes it easier to lift the crane.

한편, 첨부된 도 6은 수조(60)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는 대신 차이점을 위주로 살펴본다.Meanwhi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water tank 60,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6, and is the same as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Parts have been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unnecessary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focused on.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조(60) 역시 상하면(62,64)이 개방되되 하면(64)은 제 1 메쉬망(82)으로 밀폐된 직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고, 일 측면 상단에는 배수구(70)가 마련되어 제 2 메쉬망(84)으로 밀폐된 다. 하지만, 앞서와 달리 수조(6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해수홀(76)이 관통되며, 이로써 한층 더 원활한 해수의 유출입을 유도한다.As can be seen, the water tank 6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upper and lower surfaces 62 and 64, but the lower surface 64 show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similar shape sealed with the first mesh net 82, and one side top The drainage opening 70 is provided and sealed with the second mesh net 84. However, unlike the foregoing, a plurality of seawater holes 76 penetrate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60, thereby induc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more smooth seawater.

이때, 바람직하게는 해수홀(76)은 제 1 또는 제 2 메쉬망(82,84)과 동일한 메쉬 사이즈의 제 3 메쉬망(86)으로 밀폐되어 치패의 유실을 막고, 해수홀(76)은 배기구(70)의 아래쪽으로만 관통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원활한 업웰링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seawater hole 76 is sealed with a third mesh network 86 of the same mesh size as the first or second mesh network (82,84) to prevent loss of chipping, and the seawater hole (76) Penetrating only below the exhaust port 70 may lead to a relatively smooth upwelling phenomenon.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양식시설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해당 도면 또한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살펴본 내용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는 대신 차이점을 위주로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attached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arine cultur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is also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parts that play the same role as the contents shown in Figures 1 to 3 above. Therefore, instead of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the differences are mainly focused on.

본 변형예에서는 수로(20), 수로(20)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1열 또는 2열로 배치된 수조장입홀(30), 수조장입홀(30)의 주변에 마련된 작업공간(40), 수조장입홀(30)에 일대일 대응 삽입되는 수조(60)가 1개 조(A 또는 B)가 이루는 한편, 보조유로(100)를 사이에 두고 2 개조(A,B)가 나란히 배치된다.In this modification, the water channel 20, the water tank charging hole 30 arranged in one or two rows along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ater channel 20, the work space 40 and the water tank provided around the water tank charging hole 30 One tank (A or B) is made of a tank (60) inserted one-to-one correspondingly to the charging hole (30), while two modifications (A, B)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auxiliary flow path (100)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보조수로(100)의 일측에는 보조수차(102)가 설치되어 보조유로(100)를 흐르는 해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고, 보조수로(100)의 타측에는 보조수량조절도어(104)가 설치되어 보조유로(100)를 흐르는 해수의 유출량을 조절한다. 또한, 보조유로(100)와 제 1 및 제 2 조(A,B)의 프레임구조물(100) 사이로는 보조유로(100)의 해수를 각각으로 유입시키는 별도의 배수로(106)가 마련된다.And preferably, an auxiliary aberration 10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channel 100 to adjust the inflow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channel 100, and the auxiliary water amount control door 104 on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channel 100. ) Is installed to adjust the amount of outflow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auxiliary flow path (100). In addition, a separate drain passage 106 is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flow passage 100 and the frame structures 100 of the first and second tanks A and B to respectively introduce the seawater of the auxiliary flow passage 100.

더 나아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3 개조 이상의 프레임구조물(10) 및 수 조(60)가 2개 이상의 보조수로(100)를 사이에 나란히 중복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어느 경우이든 각각의 수조(60)에서는 앞서 살펴본 업 웰링 작용을 이용한 치패 양성이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 three or more retrofitted frame structures 10 and the tanks 6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wo or more auxiliary channels 100 side by side, and in each case, each tank ( In 60),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he chip by using the up-welling action described above.

이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이 없어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i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a separate description.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illustration of this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is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but if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stated in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의 수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ank of 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V-V 선에 대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의 수조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ank of 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VI-VI 선에 대한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6; FIG.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레임구조물 12 : 지주10: frame structure 12: prop

20 : 수로 30 : 수조장입구20: waterway 30: tank entrance

40 : 작업공간 52 : 수차40: workspace 52: aberration

54 : 수량조절도어 60 : 수조54: quantity control door 60: water tank

70 : 배수구 72 : 플렌지70: drain hole 72: flange

82 : 제 1 메쉬망82: first mesh network

Claims (11)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해상에 설치되어 해수가 통과하는 수로를 정의하고, 상기 수로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조장입구 및 상기 수조장입구의 주변을 따라 마련된 해수면 상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구조물; 및 A frame installed on the sea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es to define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eawater passes, and a frame providing one or more tank entranc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side of the channel and a workspace on the sea surface along the periphery of the tank entrance. structure; And 개방된 상면은 상기 해수면 위에, 제 1 메쉬망으로 밀폐된 하면은 상기 해수면 아래에 존재하도록 상기 수조장입구에 일대일 대응 삽입되고, 측면 상단에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되어 이매패류의 치패가 담겨지는 수조를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open upper surface is inserted one-to-one corresponding to the tank inlet so that the lower surface sealed by the first mesh network is above the sea surface and below the sea surface. Aquaculture facilities for shellfish, including their tank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조를 흐르는 해수의 흐름과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 해수의 흐름은 서로 수직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Seawater flows through the tank and the flow of seawater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is a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수차; 및 An aberratio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terway to adjust the inflow of seawater; And 상기 수로의 타측에 설치되어 해수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수량조절도어를 더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way further comprises a water quantity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sea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배수구를 밀폐하는 제 2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esh network for sealing the drai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조는 측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해수홀이 관통되고, 상기 해수홀을 밀폐하는 제 3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Wherein the tank is one or more seawater holes through the side of the shellfish marine culture facility further comprises a third mesh network for sealing the seawater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조는 알루미늄 또는 스텐인리스의 금속재질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tank is a marine aqua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조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 붙여진 플렌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렌지는 상기 수조장입구에 걸쳐 지지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And a flange enclosed along an upper edge of the tank, wherein the flange is supported over the tank entran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조 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At least one rail mounted on the water tank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ater channel;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를 인양하는 크레인을 더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further comprising a crane installed on the rail to lift the tank.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수조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의 로프가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marine culture facility of shellfish provided on the top of the tank further comprises a fixing bracket to which the rope of the crane is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구조물은 닻이 연결된 부유식 또는 해저로부터 직립된 지주에 고정된 고정식인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frame structure is a fixed shellfish marine culture facility is fixed to the floating or upright shore connected to the anchor.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수조장입구는 상기 수로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로, 상기 수로 양측을 따라 배치된 상기 수조장입구가 1 개조를 이루어 상기 1개 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수로를 사이에 두고 2개 이상 연속 배치되는 패류의 해상양식시설.The tank inle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the waterway, the water tank inlet disposed along both sides of the waterway is one remodeling, the pair of two or more consecutively arranged with at least one auxiliary waterway between Marine farming facilities for shellfish.
KR1020090071408A 2009-08-03 2009-08-03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KR101043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08A KR101043008B1 (en) 2009-08-03 2009-08-03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08A KR101043008B1 (en) 2009-08-03 2009-08-03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76A KR20110013776A (en) 2011-02-10
KR101043008B1 true KR101043008B1 (en) 2011-06-21

Family

ID=4377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408A KR101043008B1 (en) 2009-08-03 2009-08-03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0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7030B2 (en) * 2014-02-28 2018-11-21 ヤンマー株式会社 Method for aquaculture of aquaculture organisms and aquaculture facility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477A (en) 2000-06-07 2001-12-18 Zentokumaru Kensetsu:Kk Culture apparatus
KR20020024060A (en) * 2002-01-23 2002-03-29 구기회 Culture device for marine products
KR100472279B1 (en) 2003-01-11 2005-03-10 윤동현 A land fish farm structure
KR100889497B1 (en) 2007-09-13 2009-03-19 박주형 Recirculating fish culture system including water circulating ta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477A (en) 2000-06-07 2001-12-18 Zentokumaru Kensetsu:Kk Culture apparatus
KR20020024060A (en) * 2002-01-23 2002-03-29 구기회 Culture device for marine products
KR100472279B1 (en) 2003-01-11 2005-03-10 윤동현 A land fish farm structure
KR100889497B1 (en) 2007-09-13 2009-03-19 박주형 Recirculating fish culture system including water circulating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76A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8995B1 (en) Method of culturing organism to be cultured, and culturing facility
KR101071670B1 (en) Oyster culture structure
CN106577561B (en) A method of it traps and receives seedling and cultivate macula lutea basket fish
CN101288386B (en) Sludge submarine sea cucumber culture tank and breeding method
CN107864774A (en) A kind of heavy water pasture and water of underwater in-situ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cultivate Load System
JP2019050764A (en) Aquaculture method and aquaculture device of asian clam
CN107912348A (en) A kind of fixed float-ball type floating fish reef
KR101549056B1 (en) Octopus hiding place and marine cage fish farms comprising the same
CN101146441B (en) Novel fish cage for aquatic breeding
KR101080239B1 (en) Bio block and forming method of sea forest using the same
KR101043008B1 (en) Shellfish farming installation on the sea
KR100705230B1 (en) An floating apparatus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for protecting the fishes
CN216164603U (en) A device for mangrove pest is traped
CN207305795U (en) Ecological Fish Culture system
JP2005333960A (en) Creation of raised floor type seaweed bed (marine colony)
CN109122437A (en) The method of pond superficial water and intertidal zone low tidal region relay oyster culture
KR100472943B1 (en) Fishes laying eggs habitation apparatus for fishes protection of floating type
KR101043046B1 (en) bax apparatus for seedling collection of adhesive shellfish
KR100838311B1 (en) Artificial reef of stairs shape
KR101725614B1 (en) Cultivating Apparatus of Bivalia for the Integrated Culture in Embankment Pond
CN202374873U (en) Wind wave resistance pearl shell culturing device
KR200800463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um upbrining of ark shell
JPH10229778A (en) Temporary placing device for caught aquatic life
KR200477377Y1 (en) Box artificial reef for sea wood
KR101091858B1 (en) Farming system and method of sea squi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