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903B1 -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903B1
KR101041903B1 KR1020090029337A KR20090029337A KR101041903B1 KR 101041903 B1 KR101041903 B1 KR 101041903B1 KR 1020090029337 A KR1020090029337 A KR 1020090029337A KR 20090029337 A KR20090029337 A KR 20090029337A KR 101041903 B1 KR101041903 B1 KR 10104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present
surface area
hours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997A (ko
Inventor
최상준
신원식
김영훈
정용식
오형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9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11Compounds of Ti, Zr, H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5Addition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e.g.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 e.g. for forming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1Washing or lea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낮은 온도 및 단시간에 밀폐상태가 아닌 개방상태에서 대량으로 실리코타이타네이트계열의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폐액 처리용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에 대하여, 몰비로 0.5~2배의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3~6배의 NaOH, KOH, CsOH로부터 선택된 1종, 130~160배의 H2O를 준비하여, 이들 준비물을 상기 비율로 혼합한 후, 상부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40~180oC의 온도에서 2~16시간 숙성하고, 세척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코타이타내이트, 방사성핵종, 이온교환, 중금속, 선택적 제거, 세슘

Description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Silicotitanate with high surface area for nuclear wastewater and heavy metal wastewater treat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사성액체폐액의 처리 및 중금속 함유폐수의 처리에 사용되는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성핵종의 선택적 흡착이 가능한 비정질 고비표면적의 실리콘-타이타늄계열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에 요구되는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시설투자비 등 각종 경제적인 면에서 원자력 발전이 각광을 받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어, 원자력 발전소 및 원자력 관련연구기관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폐기물 처리의 효율성이 매우 중요시된다.
방사능 오염 토양은 인간 및 육상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또한 토양속을 흐르는 지하수를 오염시켜 해양 환경 및 대기 환경 등 환경 전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따른 특별한 처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방사능 오염 토양을 처리하는 방법은 토양의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방사능 오염도에 따라 방사능 오염 토양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으로 이송하여 장기간 동안 보관하거나 또는 방사능 오염 토양을 제염제로 처리하여 방사능 오염 토양으로부터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방사능 오염 토양을 제염제로 처리할 경우 방사능 오염 토양으로부터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부수적으로 나오는 폐액은 다량의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용액 상태의 제염제를 다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양의 폐기물이 발생되고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방사성핵종폐수의 경우 매우 낮은 농도의 방사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방사성폐기물로 간주되어 매우 까다로운 관리 및 처리절차를 요구한다. 기존의 기술로는 증발법, 막여과법, 이온교환법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증발법은 모든 수분을 증발시키고 남은 폐기물을 모두 처리하여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막여과법 및 이온교환법은 비선택적 처리법으로 방사성핵종과 함께 존재하는 나트륨, 칼슘, 철 등의 비방사성염을 동시에 제거하여야 하며 이들 비방사성염에 비해 핵종물질의 농도가 매우 낮으므로 비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실리코타이타내이트가 알려져 있는데, 상기 실리코타이타내이트는 세슘 등에 대해 선택적 흡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보이는 실리코타이타내이트의 합성은 고온과 밀폐된 상태에서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실리코타이타내이트의 합성시 수분의 양을 조절하여 숙성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알아내어 이를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낮은 온도 및 단시간에 밀폐상태가 아닌 개방상태에서 대량으로 실리코타이타네이트계열의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폐액 처리용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에 대하여, 몰 비로 0.5~2배의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3~6배의 NaOH, KOH, CsOH로부터 선택된 1종, 130~160배의 H2O를 준비하여, 이들 준비물을 상기 비율로 혼합한 후, 상부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40~180oC의 온도에서 2~16시간 숙성하고, 세척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리코타이타내이트 계열의 흡착제를 합성함에 있어서 원료물질로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NaOH, KOH, CsOH, H2O 등을 사용하며 기존 기술과 달리 혼합 후 결정화 단계에서 낮은 온도와 개방형 반응 조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숙성을 완료하여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술이다.
상기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와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는 몰 비로 1:0.5~2의 비율로 첨가하는데, 상기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의 비율이 0.5미만과 비율이 2를 초과하면 흡착제가 제조되기는 하나 순도가 낮아지고, 흡착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와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의 첨가의 이유는 결정체의 골격이 팔면체와 사면체를 동시에 가지는 실리코타이타내이트 계열을 빠른 시간 안에 합성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NaOH, KOH, CsOH는 Na+, K+, Cs2+이 결정체의 구조 안정화 이온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양이온과의 탁월한 이온교환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하는 것으로 이들 중 1종을 첨가하여 사용하며,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의 몰 비에 3배 미만이나 6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제조는 할 수 있으나 순도가 낮아지고, 흡착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H2O는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의 몰 비로 130~160배를 첨가하는데, 130배 미만이거나 160배를 초과하면 만들어진 흡착제의 오염물질 흡착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비율로 준비된 준비물을 비율에 맞게 혼합한다. 이때 혼합은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떠한 용기라도 무방한데, 예를 들면 테프론 재질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시간은 0.2~3시간 정도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한 후에는 상부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40~180oC의 온도에서 2~16시간 숙성한다. 기존의 제조방법은 고온에서 부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테프론제질의 밀폐형반응기를 사용하여 장시간 (84시간-4주)의 숙성을 거치는데, 본 발명은 혼합단계에서 정밀히 혼합한 다음 개방형 반응기를 사용함으로서 반응기를 밀폐형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며 반응시간 또한 2-16시간으로 낮게 하며 반응온도를 40-180oC로 하여 쉽게 대량으로 합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합성시 수분의 양과 숙성시간을 적절히 조절한 결과이며, 이로 인해 밀폐형 반응기를 사용하지 않고 개방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숙성과정을 거친 후에는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세척은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합성된 실리코타이타내이트 계열의 흡착제는 기존의 고결정성 실리코타이타내이트에 비해 합성시간이 단축되고 고가의 밀폐형 테프론 제질의 반응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성능에 차이가 없는 선택적 흡착제이다. 이러한 흡착제는 세슘, 스트론튬 등의 고위험성 방사성핵종의 선택적 제거와 중금속 가운데 납, 카드뮴 등의 선택적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비표면적, 고선택적의 흡착제는 고독성의 방사성폐액 및 중금속 함유 폐수에서 핵종이온 및 중금속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성능을 갖고 있으며 Na, Ca, Mg, Fe 등의 비방사성 및 무독성의 이온은 제거하지 않음으로 흡착제의 효율을 높이고 흡착제를 회수하여 처리하는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흡착제의 재생 및 폐기 시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선택적 흡착제는 원자력 발전 등에서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액에서 핵종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으며 남은 폐수는 일반 폐수로 처리하여 방류가능하다. 또한 방사성폐기물의 저장에 필요한 장소를 매우 적게 차지하는 2차적 효과도 있다. 또한 중금속을 함유한 산업폐수 등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실리코타이타내이트의 합성을 위하여 원료물질인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NaOH, H2O를 1:1:4:146의 몰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NaOH는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였다. 원료물질의 혼합은 1시간 정도로 하여 테프론 재질의 용기에서 실시하였으며, 부가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사용기기는 테프론 재질의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 후 상부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고 도 1과 같은 개방형 반응기에서 4시간, 12시간에 걸쳐 60oC, 180oC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숙성하였다. 숙성된 흡착제는 물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여 도 2와 같은 흡착제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흡착제를 이용하여 폐수에 존재하는 Cs, Sr, Cd, Cu의 흡착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제 페수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폐수을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약의 CsCl, SrCl2, Cd(NO3)2, CuSO4, NaCl, CaCl2를 사용하였으며, 15ml 크기의 반응용기에 제조한 흡착제 0.1g씩과 혼합폐액을 10ml씩 주입하였다. 각각 2시간동안 반응 시킨 후 중금속 및 방사성 핵종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각각 180 ℃에서 4시간과 12시간 동안 숙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이온의 흡착처리를 한 경우는 도 3에, 60 ℃에서 4시간과 12시간 동안 숙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이온의 흡착처리를 한 경우는 도 4에, 180 ℃에서 4시간과 12시간 동안 숙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및 중금속 이온의 흡착처리를 한 경우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방사성 및 무독성의 이온에 비해 핵종물질이 많이 제거되었다.
<실시예 2>
하기 표1와 같은 비율로 원료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실리코타이타내이트를 합성하였다.
티타늄아이소프로포사이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NaOH KOH CsOH H2O
발명예1 1 1 4 - - 146
발명예2 1 1 4 - 146
발명예3 1 1 - - 4 146
비교예1 1 0.3 4 - - 146
비교예2 1 4 4 - - 146
비교예3 1 1 2 - - 146
비교예4 1 1 8 - - 146
비교예5 1 1 4 - - 70
비교예6 1 1 4 - - 300
이렇게 하여 제조된 흡착제들을 이용하여 폐수에 존재하는 Cs, Sr, Cd, Cu의 흡착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결과,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에 비해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적은 비교 예 1과 함량이 높은 비교 예 2는 중금속 및 핵종물질의 낮은 흡착능의 문제가 있었으며 NaOH의 함량이 적은 비교 예 3과 함량이 많은 비교 예 4 또한 중금속 및 핵종물질의 낮은 흡착능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의 함량이 적은 비교 예 5 와 물의 함량이 많은 비교 예 6은 낮은 흡착능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3의 경우는 비방사성 및 무독성의 이온에 비해 핵종물질이 많이 제거되었다.
도 1은 실리코타이타내이트의 합성에 사용된 개방형 반응기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개방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합성된 실리코타이타내이트 계열 흡착제의 사진이다.
도 3은 180 ℃에서 각 시간별로 합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이온의 흡착처리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60 ℃에서 각 시간별로 합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이온의 흡착처리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180 ℃에서 각 시간별로 합성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방사성 핵종 및 중금속 이온의 흡착처리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

  1. 액체폐액 처리용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티타늄 아이소프로포사이드 (Titanium isopropoxide)에 대하여, 몰비로 0.5~2배의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Tetraethylorthosilicate), 3~6배의 NaOH, KOH, CsOH로부터 선택된 1종, 130~160배의 H2O를 준비하여, 이들 준비물을 상기 비율로 혼합한 후, 상부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40~180oC의 온도에서 2~16시간 숙성하고, 세척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0.2~3시간 동안 테프론 재질의 용기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은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29337A 2009-04-06 2009-04-06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04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37A KR101041903B1 (ko) 2009-04-06 2009-04-06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37A KR101041903B1 (ko) 2009-04-06 2009-04-06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997A KR20100110997A (ko) 2010-10-14
KR101041903B1 true KR101041903B1 (ko) 2011-06-15

Family

ID=4313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337A KR101041903B1 (ko) 2009-04-06 2009-04-06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972A (ko) 2021-12-14 2023-06-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성 핵종 흡착제의 재생제, 이를 이용한 사용후 방사성 핵종 흡착제의 재생방법 및 사용후 재생제의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522A (ko) 2015-08-21 2017-03-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롭방식을 이용한 티타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티타노실리케이트계 흡착제
KR101721243B1 (ko) 2015-10-28 2017-03-2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5가 양이온으로 치환된 티타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사성 핵종 제거용 티타노실리케이트계 흡착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420A (en) 1995-08-25 1997-01-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esium titanium silicate and method of making
US6482380B1 (en) * 2000-11-22 2002-11-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Silicotitanate molecular sieve and condensed pha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1420A (en) 1995-08-25 1997-01-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esium titanium silicate and method of making
US6482380B1 (en) * 2000-11-22 2002-11-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Silicotitanate molecular sieve and condensed pha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972A (ko) 2021-12-14 2023-06-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성 핵종 흡착제의 재생제, 이를 이용한 사용후 방사성 핵종 흡착제의 재생방법 및 사용후 재생제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997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 et al. A two-dimensionally microporous thiostannate with superior Cs+ and Sr 2+ ion-exchange property
Behrens et al. Titanium silicates, M3HTi4O4 (SiO4) 3· 4H2O (M= Na+, K+), with three-dimensional tunnel structures for the selective removal of strontium and cesium from wastewater solutions
Oleksiienko et al. Titanosilicates in cation adsorption and cation exchange–A review
He et al. Inorganic layered ion-exchangers for decontamination of toxic metal ions in aquatic systems
JP5734807B2 (ja) 放射性セシウム及び放射性ストロンチウム含有物質の処理方法
Lehto et al. The ion exchange of strontium on sodium titanate Na 4 Ti 9 O 20. xH 2 O
JP6618803B2 (ja) 水流からストロンチウム放射性核種を選択的に除去する方法
Ding et al. Efficient Cs+–Sr2+ separation over a microporous silver selenidostannate synthesized in deep eutectic solvent
JP5671437B2 (ja) 吸着材の製造方法
Zhao et al. pH‐Controlled Switch over Coadsorption and Separation for Mixed Cs+ and Sr2+ by an Acid‐Resistant Potassium Thioantimonate
KR101041903B1 (ko) 고비표면적의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흡착제의 제조방법
Zhao et al. Efficient removal of Ba2+, Co2+ and Ni2+ by an ethylammonium-templated indium sulfide ion exchanger
KR20150137201A (ko) 실리코타이타내이트 제조방법 및 세슘 흡착제
US9527756B2 (en) Process for removal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from wastewater
Liao et al. Robust and flexible thioantimonate materials for Cs+ remediation with distinctive structural transformation: a clear insight into the ion-exchange mechanism
KR101641136B1 (ko) 방사성 핵종 제거용 제올라이트 Rho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Zou et al. High-capacity recovery of Cs+ ions by facilely synthesized layered vanadyl oxalatophosphates with the clear insight into remediation mechanism
Ma et al. Novel One‐Pot Solvothermal Synthesis of High‐Performance Copper Hexacyanoferrate for Cs+ Removal from Wastewater
Lv et al. Rapid and highly selective Sr2+ uptake by 3D microporous rare earth oxalates with the facile synthesis, high water stability and radiation resistance
KR20200012772A (ko) 방사성 핵종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핵종의 제거 방법
KR102007454B1 (ko) 다핵종 방사성 폐수의 효과적 정화 방법 및 장치
KR102035801B1 (ko) 세슘과 스트론튬의 동시 흡착을 위한 나트륨과 칼륨을 포함하는 티타늄실리케이트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317213A (zh) 水质净化材料、水质净化方法、磷酸肥料前体及磷酸肥料前体的制造方法
Liu et al. Open-framework hybrid zinc/tin selenide as an ultrafast adsorbent for Cs+, Ba2+, Co2+, and Ni2+
KR20170022522A (ko) 드롭방식을 이용한 티타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티타노실리케이트계 흡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