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541B1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541B1
KR101041541B1 KR1020100127375A KR20100127375A KR101041541B1 KR 101041541 B1 KR101041541 B1 KR 101041541B1 KR 1020100127375 A KR1020100127375 A KR 1020100127375A KR 20100127375 A KR20100127375 A KR 20100127375A KR 101041541 B1 KR101041541 B1 KR 10104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ine
support unit
core
ferr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박종호
이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티
Priority to KR102010012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1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grooves to align ferru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커넥터는 코어선과 코어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장치로써,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 코어선을 갖는 페룰, 코어선 및 연결 코어선이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하는 코어선 지지유닛, 및 코어선 지지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포함한다. 이때, 코어선 지지유닛이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이 코어선 지지유닛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연결 코어선 및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코어선 지지유닛이 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연결 코어선과 코어선 사이의 접촉이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가 광케이블을 광커넥터에 현장에서 손쉽게 접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FIBER OPTICS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커넥터 내부에 정렬된 페룰(ferrule)에 광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광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페룰이 내장되어 있고, 외부의 광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페룰과 접속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광케이블의 코어선을 상기 페룰의 코어선과 서로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장치이다. 한편, 상기 광커넥터는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와 광정합기(fiber optics adapter)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광정합기는 상기 광커넥터들 내의 두 페룰들 사이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광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페룰과 접속시된 후,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접속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접속을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현장에서 상기 접속을 고정시키는 것이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거나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에서 페룰과 광케이블 사이의 접속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코어선과 상기 코어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장치로써,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 코어선을 갖는 페룰(Ferrule),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이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하는 코어선 지지유닛, 및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킨다.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은 코어선 지지부 및 코어선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는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일 방향으로 따라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코어선 고정홈, 및 상기 코어선 고정홈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를 갖는다. 상기 코어선 고정부는 상기 상측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코어선 고정홈은 V-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 단차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측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측 단차의 상부면이 상기 내측 단차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과 연결되고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타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과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복 삽입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측 개구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내측 하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외측 하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내측 상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외측 상부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 상기 제1 외측 하부단차,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 및 상기 제1 외측 상부단차는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내측 하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외측 하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내측 상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외측 상부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 상기 제2 외측 하부단차,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 및 상기 제2 외측 상부단차는 상기 피복 삽입홈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와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복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 고정돌기와 마주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피복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 및 상기 피복 삽입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과 대칭되게 경사진 제2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는 상기 페룰 삽입홈과 상기 코어선 고정홈 사이에 배치되도록 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이 상기 페룰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 차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차단돌기에는 상기 페룰을 상기 페룰 삽입홈에 삽입할 때, 상기 페룰을 얼라인하기 위한 페룰 얼라인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고정부는 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측면 결합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상측 개구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들과 수용하여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돌기 결합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감싸는 외곽 몸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외곽 몸통을 감싸서 결합되는 외곽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몸통은 코어선 외곽몸통 및 제1 피복 외곽몸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은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은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감싸고,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과 결합된다.
상기 외곽 몸통은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의 일부를 감싸서 결합되는 제2 피복 외곽몸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은 몸체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의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 날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이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과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날개들을 조여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은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외곽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곽 몸통에는 상기 외곽 돌기를 삽입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에 상기 연결 코어선이 삽입된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캡의 일부는 상기 외곽 몸통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보호캡을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캡의 일단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의 일단에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커넥터에 의하면, 코어선 지지유닛이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 내에 삽입된 페룰의 연결 코어선과 광케이블의 코어선 사이의 접촉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페룰을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캡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이동시킴에 따라,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광케이블을 광커넥터에 현장에서 손쉽게 접속시킬 수 있어, 상기 광케이블의 연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노력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커넥터에 접속되는 광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광커넥터 중 외곽 케이스 및 제2 피복 외곽몸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커넥터 중 페룰, 코어선 지지유닛 및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코어선 지지유닛 중 코어선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코어선 지지유닛 중 코어선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광케이블이 광커넥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광케이블의 코어선이 코어선 지지부 및 코어선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써, 제1 및 제2 피복 외곽몸통들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광케이블이 고정 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과 다른 형태의 광케이블이 고정 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가 B 상에 형성된다"라는 말은 "A가 B의 위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로, 단지 "A가 B의 표면에만 형성된다"라는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커넥터에 접속되는 광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커넥터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케이블(10)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치이다. 상기 광커넥터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광케이블(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광케이블(10)은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코어선(10a) 및 상기 코어선(10a)의 외곽을 감싸서 보호하는 피복(10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코어선(10a)은 광신호가 전달되는 코어(Core, 11),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층(Cladding layer, 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10b)은 상기 클래드층(12)을 감싸는 피복층(13), 상기 피복층(13)을 감싸는 버퍼층(14), 상기 버퍼층(14)을 감싸는 외피(15), 및 상기 버퍼층(14)과 상기 외피(1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케이블(10)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복수의 인장 보조선들(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11)는 약 9μm의 지름을 갖고, 상기 클래드층(12)은 약 125μm의 지름을 가지며, 베어 파이버(bare fiber)라고 불리기도 한다. 상기 피복층(13)은 약 250μm의 지름을 갖고, 상기 버퍼층(14)은 약 900μm의 지름을 가지며, 타이트 버퍼(tight buffer)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상기 외피(15)는 약 3mm의 지름을 갖고, 상기 인장 보조선들(16)은 석영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라미드 얀(aramid yar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 3은 도 1의 광커넥터 중 외곽 케이스 및 제2 피복 외곽몸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커넥터 중 페룰, 코어선 지지유닛 및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코어선 지지유닛 중 코어선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코어선 지지유닛 중 코어선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광커넥터는 페룰(Ferrule, 100), 보호캡(200), 코어선 지지유닛(CLU), 지지유닛 삽입몸통(500), 외곽 몸통(600), 내부 스프링(700) 및 외곽 케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페룰(100)은 예를 들어, 일 방향(D)을 따라 연장된 원통 몸체를 갖고, 상기 원통 몸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 코어선(11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캡(200)은 상기 페룰(100)의 원통 몸체의 적어도 일부, 즉 상기 연결 코어선(110)이 돌출되지 않은 상기 원통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보호한다.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은 상기 페룰(100)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 코어선(110)을 수용하고, 상기 광케이블(10)을 수용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110)의 일단과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코어선(10a)을 배치시킨다. 즉,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은 상기 코어선(10a) 및 상기 연결 코어선(110)이 상기 일 방향(D)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한다.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은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킨다.
상기 외곽 몸통(600)은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부 스프링(700)은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곽 몸통(6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외곽 케이스(800)는 상기 외곽 몸통(600)의 외곽을 감싸서 결합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대한 주요 특징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은 코어선 지지부(300) 및 코어선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에는 상기 광케이블(10)의 코어선(10a) 및 상기 페룰(100)의 연결 코어선(110)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따라 연장된 코어선 고정홈(3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몸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상측 개구(320)를 갖는다. 한편,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은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을 수용하기 위해 V-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는 상기 상측 개구(320)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는 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측면 결합돌기(430)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상측 개구(320)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430)들과 수용하여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돌기 결합홈들(3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 즉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가 상기 일 방향(D)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킨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과 연결되고 상기 페룰(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삽입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타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과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의 일부, 예를 들어 상기 광케이블(10) 중 상기 버퍼층(14)까지를 수용하는 피복 삽입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복 삽입홈(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측 개구(32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버퍼층(14)의 일부가 상기 상측 개구(32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 단차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측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측 단차의 상부면이 상기 내측 단차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1 내측 하부단차(35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350)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1 외측 하부단차(510)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1 내측 상부단차(44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440)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1 외측 상부단차(5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350), 상기 제1 외측 하부단차(510),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440) 및 상기 제1 외측 상부단차(530)는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외측 하부단차(510)의 상부면이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350)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외측 상부단차(530)의 상부면이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440)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 코어선(110) 및 상기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2 내측 하부단차(36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360)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2 외측 하부단차(520)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2 내측 상부단차(45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450)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제2 외측 상부단차(5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360), 상기 제2 외측 하부단차(520),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450) 및 상기 제2 외측 상부단차(540)는 상기 피복 삽입홈(340)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3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버퍼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외측 하부단차(520)의 상부면이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360)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2 외측 상부단차(540)의 상부면이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450)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측 개구(3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이 상기 피복 삽입홈(34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360)와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복 고정돌기(38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 고정돌기(380)와 마주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피복 고정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외측 하부단차(520)의 상부면이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360)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상기 제2 외측 상부단차(540)의 상부면이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450)의 상부면을 가압할 때, 상기 제1 피복 고정돌기(380) 및 상기 제2 피복 고정돌기(4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피복(10b)의 외표면을 찍어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피복(10b)이 상기 피복 삽입홈(340) 내에서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단차와 상기 외측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 측으로 두 개의 돌기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측 하부단차들(350, 360)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 측으로 두 개의 돌기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측 상부단차들(440, 4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계단모양으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하부단차들(350, 360)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계단모양으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상부단차들(440, 4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단차와 상기 외측 단차가 서로 맞물리는 모양이 도면과 달리 서로 반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 및 상기 피복 삽입홈(34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경사면(37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과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과 대칭되게 경사진 제2 가이드 경사면(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광케이블(10)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로 삽입될 때, 상기 광케이블(10)의 코어선(10a)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경사면들(370, 410)에 의해 상기 코어선 고정홈(330) 내로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410)의 경사각이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광케이블(10)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로 삽입될 때, 상기 코어선(10a)이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 측으로 휘어지면, 상기 코어선(10a)은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을 따라 상기 코어선 고정홈(330) 내로 가이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코어선(10a)이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410) 측으로 휘어지면, 상기 코어선(10a)은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410)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으로 휘어진 후,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370)을 따라 상기 코어선 고정홈(330) 내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는 상기 페룰 삽입홈(330)과 상기 코어선 고정홈(310) 사이에 배치되도록 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이 상기 페룰 삽입홈(33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 차단돌기(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차단돌기(390)에는 상기 페룰(100)을 상기 페룰 삽입홈(330)에 삽입할 때, 상기 페룰(100)을 얼라인하기 위한 페룰 얼라인홈(39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페룰(100)의 원통 몸체가 상기 페룰 삽입홈(33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페룰 삽입홈(330) 내에 실리콘,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룰 삽입홈(330)은 상기 페룰(100)의 원통 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접착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광케이블이 광커넥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2 및 도 13은 광케이블의 코어선이 코어선 지지부 및 코어선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광케이블(10)이 상기 광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페룰(100)의 연결 코어선(110)과 상기 광케이블(10)의 코어선(10a)이 서로 접촉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우선, 작업자는 상기 광케이블(10)을 상기 광커넥터 내에 상기 일 방향(D)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코어선 고정홈(310)에서 상기 광케이블(10)의 코어선(10a)을 상기 페룰(100)의 연결 코어선(110)에 서로 접촉킨다.
이어서, 작업자가 상기 보호캡(200)을 상기 일 방향(D)으로 가압하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소정거리 이동한다. 이때, 상기 보호캡(200)의 일단은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일단과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D)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 사이에서 상기 코어선(10a) 및 상기 연결 코어선(110) 사이의 접촉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도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 사이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일 방향(D)으로 이동하면, 상기 외곽 몸통(6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외곽을 감싸는 상기 내부 스프링(700)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내부 스프링(700)은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스프링 차단면(710) 및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스프링 차단면(7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보호캡(20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내부 스프링(700)에 의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을 최초의 원 위치로 회복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과 함께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도 상기 일 방향(D)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코어선(10a) 및 상기 연결 코어선(110) 사이의 접촉 및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400)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은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외곽 돌기(5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곽 몸통(600)에는 상기 외곽 돌기(550)를 삽입하고 상기 일 방향(D)으로 연장된 돌기 삽입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상기 돌기 삽입홀(612) 내에 삽입된 상기 외곽 돌기(55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10)이 상기 광커넥터에서의 접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써, 제1 및 제2 피복 외곽몸통들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광케이블이 고정 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외곽 몸통(600)은 코어선 외곽몸통(610), 제1 피복 외곽몸통(620) 및 제2 피복 외곽몸통(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610)은 상기 페룰(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610)에는 상기 외곽 돌기(550)를 삽입할 수 있는 상기 돌기 삽입홀(6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은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을 감싸고,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61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에는 상기 내부 스프링(700)의 이동을 차단하는 상기 제1 스프링 차단면(710)이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 스프링 차단면(720)은 상기 코어선 지지부(3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630)은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의 일부를 감싸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6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6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622)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6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피복 외곽몸통들(620, 630)이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들(622, 632)을 통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광케이블(10)의 인장 보조선들(16)이 끼어져서 상기 광케이블(10)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은 몸체로부터 상기 일 방향(D)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의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 날개(624)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날개(624)의 개수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630)이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620)과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날개(624)들이 서로 모여져서 상기 광케이블(10)의 피복(10b), 즉 상기 외피(16)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16과 다른 형태의 광케이블이 고정 날개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과 다른 형태의 광케이블(20)도 상기 광커넥터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형태의 광케이블(20)은 광신호가 전송되는 코어선(22) 및 상기 코어선(22)을 감싸는 피복(24)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인장 강도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어선(22)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복(24)에 의해 감싸지는 한 쌍의 사이드 보조선들(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복(24)의 종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날개(624)들은 상기 피복(24)의 네 모서리들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다른 형태의 광케이블(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복(24)의 종단면은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일 방향(D)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500)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 내에 삽입된 상기 페룰(100)의 연결 코어선(100)과 상기 광케이블(10)의 코어선(10a) 사이의 접촉이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페룰(100)을 감싸서 보호하는 상기 보호캡(200)을 일 방향(D)으로 가압하여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CLU)을 이동시킴에 따라,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광케이블(10)을 상기 광커넥터에 현장에서 손쉽게 접속시킬 수 있어, 상기 광케이블(10)의 연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노력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광케이블 10a : 코어선
11 : 코어 12 : 클래드층
10b : 피복 13 : 피복층
14 : 버퍼층 15 : 외피
16 : 인장 보조선 100 : 페룰
110 : 연결 코어선 200 : 보호캡
CLU : 코어선 지지유닛 300 : 코어선 지지부
310 : 코어선 고정홈 320 : 상측 개구
330 : 페룰 삽입홈 340 : 피복 삽입홈
350 : 제1 내측 하부단차 360 : 제2 내측 하부단차
370 : 제1 가이드 경사면 380 : 제1 피복 고정돌기
390 : 이동 차단돌기 392 : 페룰 얼라인홈
400 : 코어선 고정부 410 : 제2 가이드 경사면
420 : 제2 피복 고정돌기 430 : 측면 결합돌기
440 : 제1 내측 상부단차 450 : 제2 내측 상부단차
500 : 지지유닛 삽입몸통 510 : 제1 외측 하부단차
520 : 제2 외측 하부단차 530 : 제1 외측 상부단차
540 : 제2 외측 상부단차 550 : 외곽 돌기
600 : 외곽 몸통 610 : 코어선 외곽몸통
612 : 돌기 삽입홀 620 : 제1 피복 외곽몸통
622 : 제1 나사산 624 : 고정 날개
630 : 제2 피복 외곽몸통 632 : 제2 나사산
700 : 내부 스프링 710 : 제1 스프링 차단면
720 : 제2 스프링 차단면 800 : 외곽 케이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코어선과 상기 코어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 코어선을 갖는 페룰(ferrule);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이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하는 코어선 지지유닛; 및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은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일 방향으로 따라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코어선 고정홈, 및 상기 코어선 고정홈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를 갖는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상측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코어선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 단차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측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측 단차의 상부면이 상기 내측 단차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 사이에서의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과 연결되고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타단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과 연결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 삽입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측 개구에 의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내측 하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외측 하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내측 상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1 외측 상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측 하부단차, 상기 제1 외측 하부단차, 상기 제1 내측 상부단차 및 상기 제1 외측 상부단차는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내측 하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외측 하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내측 상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와 맞물리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제2 외측 상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 상기 제2 외측 하부단차, 상기 제2 내측 상부단차 및 상기 제2 외측 상부단차는 상기 피복 삽입홈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하부단차와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복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 고정돌기와 마주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피복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선 고정홈 및 상기 피복 삽입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상기 코어선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과 대칭되게 경사진 제2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고정홈은 V-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부는
    상기 페룰 삽입홈과 상기 코어선 고정홈 사이에 배치되도록 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이 상기 페룰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 차단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차단돌기에는
    상기 페룰을 상기 페룰 삽입홈에 삽입할 때, 상기 페룰을 얼라인하기 위한 페룰 얼라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3. 코어선과 상기 코어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 코어선을 갖는 페룰(ferrule);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이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하는 코어선 지지유닛; 및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은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일 방향으로 따라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코어선 고정홈, 및 상기 코어선 고정홈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를 갖는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상측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코어선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부 및 상기 코어선 고정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키고,
    상기 코어선 고정부는 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측면 결합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선 지지부의 상측 개구에는 상기 측면 결합돌기들과 수용하여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돌기 결합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4. 삭제
  15. 삭제
  16. 코어선과 상기 코어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는 광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 코어선을 갖는 페룰(ferrule);
    상기 코어선 및 상기 연결 코어선이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수용하여 지지하는 코어선 지지유닛;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유닛 삽입몸통; 및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을 감싸는 외곽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에 대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내측면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코어선 및 상기 코어선 사이의 접촉을 고정시키며,
    상기 외곽 몸통은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코어선 외곽몸통;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감싸고, 상기 코어선 외곽몸통과 결합되는 제1 피복 외곽몸통; 및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의 일부를 감싸서 결합되는 제2 피복 외곽몸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은
    몸체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의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 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피복 외곽몸통이 상기 제1 피복 외곽몸통과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날개들을 조여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 삽입몸통은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외곽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 몸통에는 상기 외곽 돌기를 삽입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에 상기 연결 코어선이 삽입된 상기 페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캡의 일부는 상기 외곽 몸통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보호캡을 상기 일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캡의 일단이 상기 코어선 지지유닛의 일단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100127375A 2010-12-14 2010-12-14 광커넥터 KR10104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75A KR101041541B1 (ko) 2010-12-14 2010-12-14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75A KR101041541B1 (ko) 2010-12-14 2010-12-14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541B1 true KR101041541B1 (ko) 2011-06-17

Family

ID=4440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75A KR101041541B1 (ko) 2010-12-14 2010-12-14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5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52B1 (ko) *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옵텔콤 광 컨넥터 및 광섬유 케이블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52B1 (ko) *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옵텔콤 광 컨넥터 및 광섬유 케이블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9183B2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7192194B2 (en) Universal adapter for fiber optic connectors
CN110178063B (zh) 光纤保持部件、光连接器及光耦合构造
KR100724076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US11275217B2 (en)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with crimp zones for unjacketed optical fibers
US20140140662A1 (en)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having a connector with a stable fiber length therein
KR10176240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041541B1 (ko) 광커넥터
KR101051119B1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KR10179255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7201276B2 (ja) 光ファイバベンディングを防止する現場組み立て型光コネクター
JP2896860B2 (ja) 光多芯コネクタ
JP7028137B2 (ja) 多心光コネクタ及び光ケーブル接続方法
US10359581B2 (en) Clamp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connector
KR100970441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US6939056B2 (en) Anchor for fiber optic cable
KR100366053B1 (ko) 다심 일괄형 광커넥터
KR100393606B1 (ko) 팬아웃 블럭용 분기 장치
KR20100048952A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4192749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光モジュール
CN110941054B (zh) 可现场组装的光纤连接器
KR101411581B1 (ko) 광섬유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