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701B1 - 슬러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701B1
KR101039701B1 KR1020100119520A KR20100119520A KR101039701B1 KR 101039701 B1 KR101039701 B1 KR 101039701B1 KR 1020100119520 A KR1020100119520 A KR 1020100119520A KR 20100119520 A KR20100119520 A KR 20100119520A KR 101039701 B1 KR101039701 B1 KR 10103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procket
chain
hub
spr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1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축의 허브와 스프로킷을 전단핀에 의해 결합하되, 전단핀이 체인이 절단될 수 있는 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스프로킷으로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을 차단하여 모터가 헛돌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단핀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허브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체인이 부하를 받아 절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절단된 체인을 스프로킷으로부터 해체하여 처리조 밖으로 빼낸 다음 새로운 체인을 스프로킷에 감아걸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시킴으로서 슬러지수집장치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장치{sludge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 하수, 폐수 등을 처리하는 처리조에는 항상 침전물인 슬러지가 바닥에 침전되어 있다.
이러한 슬러지를 가지고 있는 처리조은 주기적으로 그 슬러지가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처리조에는 처리조의 일측바닥에 웅덩이 형태의 슬러지 배출조가 마련되어 있고, 처지조 내에 전후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프로킷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이 복수개의 스프로킷에 무한궤도식으로 체인을 감고, 상기 체인에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플레이트형상의 긁개를 기립 장착하고, 상기 복수개의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를 모터와 구동적으로 결합하여 체인을 무한궤도식으로 운동하게 하여서 상기 플레이트들이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쌓여 있는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조에 긁어 내리는 슬러지수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수집장치에서는 체인이 슬러지를 긁어 내릴 때 큰 부하를 받게 된다. 만약 체인이 부하를 받아 절단되게 되면, 절단된 체인을 스프로킷으로부터 해체하여 처리조 밖으로 빼낸 다음 새로운 체인을 스프로킷에 감아걸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종래의 슬러지수집장치는 가지고 있다. 그 만큼 슬러지수집장치는 체인의 관리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축의 허브와 스프로킷을 전단핀에 의해 결합하되, 전단핀이 체인이 절단될 질 수 있는 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스프로킷으로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을 차단하여 모터가 헛돌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단핀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허브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체인이 부하를 받아 절단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절단된 체인을 스프로킷으로부터 해체하여 처리조 밖으로 빼낸 다음 새로운 체인을 스프로킷에 감아걸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시킴으로서 슬러지수집장치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슬러지수집장치가 처리조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구동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전단핀이 절단되지 않았을 때를 밑에 본 사시설명도, 및
도 5는 도 3의 전단핀이 절단되었을 때를 밑에 본 사시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통상의 처리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00)에는 종래의 처리조와 같이 상기 처리조(100)의 일측바닥에 웅덩이 형태의 슬러지 배출조(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100) 내에는 전후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축(1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축(11) 각각에는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 간의 간격는 상기 슬러지 배출조(12)의 폭보다 좁게 되어 2열의 스프로킷군(A, B)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의 군들(A, B)마다 무한궤도식으로 긁개체인(15, 16)이 감겨져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 군들중 적어도 2개의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에는 인장력을 가진 스프링이 개재된 테이크 업(take up) 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긁개체인(15, 16)이 상, 하, 좌, 우 조절이가능하게 되며, 항시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여 수중 속의 텐션 조절작업의 빈도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긁개체인(15, 16)에는 상기 긁개체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플레이트형상의 긁개(17)가 양단지지되어 무한궤도의 바깥방향으로 기립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긁개(17)에는 내마모성과 인장을 갖춘 러버씰이 장착되며, 상기 러버씰은 중심부에 부직포와 양단면에 NBR(Nitrile Butadien Rubber)재질로 되어 슬롯 구멍(SLOT HOLE)형으로 되어 있어서, 일정한 마모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며, 분해조립이 용이한 볼팅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러버씰의 재질은 아래의 표 1에 준한다.
고무 물성 부직포 물성 제품 물성
인장강도 : 100~200㎏/㎠
신 율 : 400~500%
경 도 : 65±5
인열강도 : 30~40㎏/㎠
재 질 : Nylon
조 성 : 1260~1300 D/I
인장강도 : 50~60㎏/㎠
절단신율 : 10~20%
두 께 : 0.75±0.05㎜
두 께 : 3.0±0.5㎜
포 층 수 : 2~3 PLY
인장강도 : 100~200㎏/㎠
접착부의 접착강도 : 4~5 N/㎜2
상기 복수개의 축(11)들 중 어느 하나의 축에는 피동스프로킷(18)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피동스프로킷(18)은 처리조(100) 상부에 배치된 구동스프로킷(19)에 구동체인(20)을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은 구동모터(21)에 장착되어 상기 긁개체인(15, 16)의 하향자세의 긁개(17)가 슬러지 배출조(12) 쪽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회전된다.
상기 구동프프로킷(19)과 구동모터(21)의 장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3)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허브(23)는 상기 구동축(22)에 외접되는 관형부(23a)와; 상기 관형부(23a)의 기단에서 즉, 상기 관형부(23a)의 양 단부들중 구동모터(21)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23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허브(23)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이 외접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은 상기 허브(23)의 관형부(23a)에 외접되는 관형부(19a) ; 상기 관형부(19a)의 선단에서 즉, 상기 관형부(19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멀리 위치된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구동체인(20)에 감겨지게 되는 이빨부(19b); 및 상기 관형부(19a)의 기단에서 즉, 상기 관형부(19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인접하여 위치된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부(19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23b)와 상기 플랜지부(19c)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상기 구동축(22)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복개의 전단핀(3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상기 허브(23)와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단핀(30)은 체인이 끊어 질 수 있는 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어, 구동모터(21)의 구동축(22)의 구동력이 허브(23)를 통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19)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3b)의 외주면 일부에는 수평부(40a)와 수직부(40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ㄴ자형 절곡편(40)의 수평부(40a)가 수직방향으로 뻗은 핀(4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핀(41)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40b)는 상기 수평부(40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에서 구동모터(21)의 베이스(42)를 향하여 아래로 뻗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3b)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40a)의 선단은, 즉 상기 수평부(40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멀리 위치한 다른 하나의 단부는 곡면으로 되어 상기 플랜지부(23b)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9c)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40a)의 선단과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부(19c)의 부위에는 상기 수평부(40a)의 돌출된 선단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수평부(40a)가 선회될 시에 상기 수평부(40a)가 빠져나오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시트오목부(19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42)에는 상기 절곡편(40)이 상기 핀(41)을 중심으로 90도 선회될 시에 상기 수직부(40b)와 접속할 수 있는 리미트바 센서(50)가 상기 플랜지부(23b)와 마주하여 기립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바 센서(5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접속되어 구동모터(21)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도시되지 않은 알람부를 작동시켜 긁개체인(15)이 부하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러지수집장치에 의하면, 전단핀(30)이 긁개체인(16)이 끊어 질 수 있는 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게 하여 구동스프로킷(19)으로의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편(40)이 선회하여 하여 상기 절곡편의 수직부(40b)가 상기 리미트바 센서(50)와 접촉하게 하여 상기 구동모터(21)를 작동중시키거나 알람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알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긁개체인(16)의 끊어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긁개체인(16)의 교체작업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슬러지수집장치의 유지보수비용을 현져히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1; 축, 12; 슬러지 배출조, 13; 스프로킷, 14; 스프로킷, 15; 긁개체인, 16; 긁개체인, 17; 긁개, 18; 피동스프로킷, 19; 구동스프로킷, 19a; 관형부, 19b; 이빨부, 19c; 플랜지부, 19d; 시트오목부, 20; 구동체인, 21; 구동모터, 22; 구동축, 23; 허브, 23a; 관형부, 23b; 플랜지부, 30; 전단핀, 40; 절곡편, 40a; 수평부, 40b; 수직부, 41; 핀, 42; 베이스, 50; 리미트바 센서, A; 스프로킷군, B; 스프로킷군, 100; 처리조

Claims (5)

  1. 일측바닥에 웅덩이 형태의 슬러지 배출조(12)가 마련되어 있는 처리조(100) 내에 전후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축(1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1) 각각에는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들이 2열의 스프로킷군(A, B)을 이루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의 군들(A, B)마다 무한궤도식으로 긁개체인(15, 16)이 감겨져 있고, 상기 긁개체인(15, 16)에 상기 긁개체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플레이트형상의 긁개(17)가 양단지지되어 무한궤도의 바깥방향으로 기립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1)들 중 어느 하나의 축에 피동스프로킷(18)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피동스프로킷(18)가 상기 처리조(100) 상부에 배치된 구동스프로킷(19)에 구동체인(20)을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슬러지수집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21)의 구동축(22)의 허브(23)와 구동스프로킷을 전단핀(30)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전단핀이 긁개체인이 끊어 질 수 있는 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게 하고, 상기 전단핀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상기 구동스프로킷(19)과 상기 허브(23)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2)에는, 허브(23)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허브(23)는 상기 구동축(22)에 외접되는 관형부(23a)와, 상기 관형부(23a)의 양 단부들중 구동모터(21)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23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허브(23)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이 외접되어 있고,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은 상기 허브(23)의 관형부(23a)에 외접되는 관형부(19a), 상기 관형부(19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멀리 위치된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구동체인(20)에 감겨지게 되는 이빨부(19b), 및 상기 관형부(19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인접하여 위치된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방사 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부(19c)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23b)와 상기 플랜지부(19c)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상기 구동축(22)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복개의 전단핀(3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2)에 의해 상기 허브(23)와 상기 구동스프로킷(19)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3b)의 외주면 일부에는 수평부(40a)와 수직부(40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ㄴ자형 절곡편(40)의 수평부(40a)가 수직방향으로 뻗은 핀(4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핀(41)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40b)는 상기 수평부(40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모터(21)의 베이스(42)를 향하여 아래로 뻗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3b)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평부(40a)의 양 단부들중 상기 구동모터(21)에 멀리 위치한 다른 하나의 단부는 곡면으로 되어 상기 플랜지부(23b)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9c)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40a)의 다른 하나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부(19c)의 부위에는 상기 수평부(40a)의 돌출된 상기 다른 하나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수평부(40a)가 선회될 시에 상기 수평부(40a)가 빠져나오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시트오목부(19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42)에는 상기 절곡편(40)이 상기 핀(41)을 중심으로 90도 선회될 시에 상기 수직부(40b)와 접속할 수 있는 리미트바 센서(50)가 상기 플랜지부(23b)와 마주하여 기립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수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13, 14) 군들중 적어도 2개의 한 쌍의 스프로킷(13, 14)에는 인장력을 가진 스프링이 개재된 테이크 업 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긁개체인(15, 16)이 상, 하, 좌, 우 조절이가능하게 되며, 항시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여 수중 속의 텐션 조절작업의 빈도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수집장치.


  5. 삭제
KR1020100119520A 2010-11-29 2010-11-29 슬러지 수집장치 KR10103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520A KR101039701B1 (ko) 2010-11-29 2010-11-29 슬러지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520A KR101039701B1 (ko) 2010-11-29 2010-11-29 슬러지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701B1 true KR101039701B1 (ko) 2011-06-08

Family

ID=444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520A KR101039701B1 (ko) 2010-11-29 2010-11-29 슬러지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86B1 (ko) * 2001-12-12 2004-12-13 동원화학 주식회사 석회유황합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54A (ko) * 1999-07-23 1999-10-05 전수원 이상검출기능을구비한체인플라이트식슬러지수집및배출장치
KR20030009362A (ko) * 2000-02-18 2003-01-29 진셀 소시에테 아노님 작용화된 폴리알킬렌이민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309362Y1 (ko) 2002-08-06 2003-03-29 오후석 기계식제진기
KR100796370B1 (ko) * 2007-10-02 2008-01-21 (주)덕성산업기계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KR20090032190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단핀 파단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54A (ko) * 1999-07-23 1999-10-05 전수원 이상검출기능을구비한체인플라이트식슬러지수집및배출장치
KR20030009362A (ko) * 2000-02-18 2003-01-29 진셀 소시에테 아노님 작용화된 폴리알킬렌이민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309362Y1 (ko) 2002-08-06 2003-03-29 오후석 기계식제진기
KR20090032190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단핀 파단 감지장치
KR100796370B1 (ko) * 2007-10-02 2008-01-21 (주)덕성산업기계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86B1 (ko) * 2001-12-12 2004-12-13 동원화학 주식회사 석회유황합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762B2 (en) Horizontally traveling water screen
US7135109B2 (en) Filter screen assembly
US20220023779A1 (en) Bar scre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200439794Y1 (ko) 절삭유 필터링 장치
CN211575153U (zh) 一种水浴刮板捞渣机
KR101039701B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211462323U (zh) 一种污水处理格栅排污装置
KR102003484B1 (ko) 로터리식 제진기
JP2018108580A (ja) 汚泥掻寄機
JP5774418B2 (ja) ノッチチェーン式汚泥掻寄機
CN106139656A (zh) 一种用于污水处理装置的清理机构
CN112844822B (zh) 一种冷轧油处理用的磁过滤器
CN201454234U (zh) 一种转网式除污机
KR20160031197A (ko)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KR100893400B1 (ko)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KR101995414B1 (ko) 회전스크린장치
CN210735221U (zh) 一种长行程混凝土骨料带式输送机
US6994785B2 (en) Removable grid for filter element screens
JP2018130667A (ja) 汚泥掻寄機
CN212954351U (zh) 一种无轨栅条式格栅机
CN109169821B (zh) 一种贝类附着基清洗装置
JP4088614B2 (ja) 汚泥回収装置
JP5135013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4036816B2 (ja) ベルト型濃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