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669B1 -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69B1
KR101039669B1 KR1020090043173A KR20090043173A KR101039669B1 KR 101039669 B1 KR101039669 B1 KR 101039669B1 KR 1020090043173 A KR1020090043173 A KR 1020090043173A KR 20090043173 A KR20090043173 A KR 20090043173A KR 101039669 B1 KR101039669 B1 KR 10103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information
recording
optical pickup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098A (ko
Inventor
이주형
김종렬
박기원
Original Assignee
(주)옵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스 filed Critical (주)옵티스
Priority to KR102009004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은, 기록 2파장 LD, 2매 GT, 분광 렌즈(Collimator Lens), 감지 렌즈(Sensor Lens), 대물 렌즈(Objective Lens), 반사경(Mirror), 프런트 포토 다이오드(Front Photo Diode),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Photo Diode Integrated Chip),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Disk)를 포함하여, 상기 2파장 LD를 통하여 방사된 레이저 신호가 상기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에서 반사되도록 하고, 그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으로 들어오게 하며, 이러한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의 포토 셀(Photo Cell)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뀌게 하여 이러한 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차를 판별하는 광 픽업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있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이고, 상기 광 픽업장치가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된 기록 미기록 디스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 판단결과, 상기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된 경우,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기록된 정보를 담고 있는 트랙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에 위치되는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2매 GT를 회전시켜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광 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이 위치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그 인접트랙의 정보를 미기록하게 하여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한 광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3 단계와 상기 제4 단계 사이에는, 상기 광 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상기 서브 빔의 광 주파수가 동일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랙 조정, 기록 미기록 영역, DVD-RW, 트리거 신호

Description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PHASE CONTROL METHOD USING RECORDING AND NON-RECORDING SECTION DISK}
본 발명은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 재생장치는 CD(compact disc), DVD(digiral video disc)와 같은 광디스크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광 디스크 장치의 재생원리는 픽업 소자가 광 디스크 상의 트랙을 따라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반사광의 강약변화에 의하여 피트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서 기억된 디지털 데이터 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 장치의 일 예인 DVD R DISC는, 그 위상 조정시 트랙 조정후 MPP(main push pull) 및 SPP(side push pull) 위상을 180도 조정을 하였으나, 트랙 조정시 다수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여 위상 조정시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2 파장 LD(DVD/CD)를 사용시 사용하는 광의 구조를 가지는 광 픽업 장치는 위상 조정시 DVD 위상만 조정을 하며, CD/RAM 위상은 자동으로 일치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DVD R DISC를 사용하여 트랙 조정 후 MPP(main push pull) 및 SPP(side push pull) 위상을 180도, 즉 역위상으로 조정하나, 트랙 조정시 잘못 조정된 트랙 위치에서도 나타나는 2~3차례의 트리거 신호는 오조정을 유발하여 CD 동위상 및 RAM 동위상이 발생한다. 이는 광 픽업장치의 가격경쟁을 높이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1매 2파장 LD 및 2매 GT를 사용시 나타나는 문제이다. DVD R DISC를 사용하여 DVD 조정만으로 CD 및 RAM에 대한 위상은 일치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정확한 트랙 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트랙 위치의 판단은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의 선명도(가장 클리어한 지점)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특성을 이용하여 RF 신호와 서브 빔의 주파수가 동일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은, 디스크 편심을 추적하고, 광원인 레이져 빔을 회절격자(GT Lens)를 통과시켜 3빔을 만들어 낸다. 또한, 각 빔 간의 위상차를 180˚가 되도록 조정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빔(beam)중 서브 빔(sub beam)을 이용하여 트랙을 추적하며 메인 빔(main beam)을 이용하여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된다.
여기서, 2파장 레이져 다이오드를 사용할 경우, CD 파장(780nm)의 빔(Beam)과 DVD 파장(680nm)의 빔(Beam)을 각각 CD와 DVD디스크에 위상차 180˚가 구현되도록, 2매의 GT에 각각의 회절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같은 빔을 사용하는 DVD와 RAM의 경우, DVD와 RAM의 트랙을 모두 추적해야 하는데, DVD의 트랙 간격과 RAM의 트랙 간격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DVD 디스크에 맞춰 메인 빔(Main Beam)과 서브 빔(Sub Beam)을 조정하면, RAM은 트랙 추적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서브 빔의 크기를 크게 하여, 트랙을 추적하도록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서브 빔(Sub Beam)을 크게 하는 방법은 회절격자(GT)를 3분할로 하여 만들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3분할 GT의 서브 빔 확장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파란색 선이 회절격자이며, 가운데 표시선이 격자 분할의 모습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빔(Sub Beam)이 크게 되면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심해지고, 이로 인하여 수 많은 원 트랙(One Track)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a 및 3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사용하여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이다. 도 3a 및 3b는, 메인 빔(m)과 서브 빔(s)이 동일 트랙에 존재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잘못된 위상 조정시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이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못된 트랙 조정시에 CD 동위상 또는 RAM 동위상이 발생하며, 이때 나타나는 트리거 신호는, 도 4b와 같이 선명하지 않아 구분이 명확한 것이 일반적이다.
도 5a 및 5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계의 조립 공정에서 잘못된 위상 조정시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의 조립 또는 스폿 스큐(spot skew) 조정 등의 공정에서 발생되는 수차에 의하여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원이 디스크와 수직으로 맞아 반사되지 않고, 광원이 선행 서브 빔은 커지고, 후행 서브 빔은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편심에 의한 근접 트랙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더욱 크게 발생되어 잘못된 트랙 조정시 트리거 신호가 리얼 온 트랙(real on track)처럼 신호가 선명하게 나타나 조정이 난해해진다. 이로 인하여 제조시 작업자들에게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 미기록 영역을 이용하여 잘못된 트랙 위치에 서브 빔이 조정되었을 시 트리거 신호가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트랙 조정이 가능한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 라인에서 트랙 조정 미스(miss)로 인해 발생되는 라인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라인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은, 기록 2파장 LD, 2매 GT, 분광 렌즈(Collimator Lens), 감지 렌즈(Sensor Lens), 대물 렌즈(Objective Lens), 반사경(Mirror), 프런트 포토 다이오드(Front Photo Diode),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Photo Diode Integrated Chip),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Disk)를 포함하여, 상기 2파장 LD를 통하여 방사된 레이저 신호가 상기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에서 반사되도록 하고, 그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으로 들어오게 하며, 이러한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의 포토 셀(Photo Cell)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뀌게 하여 이러한 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차를 판별하는 광 픽업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있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이고, 상기 광 픽업장치가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된 기록 미기록 디스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 판단결과, 상기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된 경우,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기록된 정보를 담고 있는 트랙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에 위치되는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2매 GT를 회전시켜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광 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이 위치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그 인접트랙의 정보를 미기록하게 하여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한 광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3 단계와 상기 제4 단계 사이에는, 상기 광 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상기 서브 빔의 광 주파수가 동일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미기록 영역을 이용하여 잘못된 트랙 위치에 서브 빔이 조정되었을 시 트리거 신호가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트랙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 라인에서 트랙 조정 미스(miss)로 인해 발생되는 라인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라인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 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트랙킹은 광 픽업이 광디스크에 형성된 트랙을 정확하게 추종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트랙킹 방식에 사용되는 기술은, 6분할, 혹은 8분할 광 검출기를 이용하여 MPP(Main Push-Pull) 및 SPP(Side Push-Pull)이 있다. 여기서, MPP는 광검출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4개의 수광 소자들에서 얻어지는 광 신호들을 조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메인 푸시 풀 신호이며, SPP는 주변부의 2개 혹은 4개의 수광 소자들에서 얻어지는 광 신호들을 조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사이드 푸시풀 신호이다. 여기서, MPP 및 SPP 방식에 의한 위상 조정시에, 역 위상 조정에 의하여 트랙 검출시 발생하는 다수의 트리거 신호 때문에 위상조정에 어려움이 있었는 바, 이하, 본 발명은 기록 미기록 영역 디스크를 이용하여 잘못된 트랙 위치에 서브 빔이 위치할 때에, 트리거 신호를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광 픽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광 픽업 장치는, 2파장 LD(110), 2매 GT(120), 분광 렌즈(Collimator Lens, 130), 감지 렌즈(Sensor Lens, 180), 대물 렌즈(Objective Lens, 140), 반사경(Mirror, 150), 프런트 포토 다이오드(Front Photo Diode, 160),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Photo Diode Integrated Chip, 190),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Disk, 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2파장 LD(110)를 2매 GT(120)를 사용한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200)의 위상을 조정한다. 여기서, 2파장 LD(110)는 하나의 LD를 사용하여 사로 다른 파장대역(즉, DVD 광원(660nm) 및 CD광원(780nm))을 하나의 LD를 통해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의미한다. 또한, 2매 GT(120)는 하나의 광원에서 다른 파장대역의 레이저 빔이 나오는 것을 대응하기 위한 GT(회절격자)로서, GT의 한쪽 면은 CD광원을 회절시키며, 다른 면은 DVD광원을 회절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광 픽업 장치에서 사용되는 위상조정의 원리는, 레이저 신호가 디스크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된 레이저 신호가 다이오드 집적칩(PDIC)소자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들어온 신호는 다이오드 집적칩(PDIC)의 포토 셀(Photo Cell)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포토 셀(Photo Cell)은 메인 빔(Main Beam)의 셀(Cell)과 서브 빔(Sub Beam)의 셀(Cell)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 픽업장치는, 그 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차를 판별한다.
여기서, 광 픽업장치는, 판별된 위상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오실로스코프(Ocilloscope)를 통하여 두 신호의 위상차를 2매 GT를 회전시켜 동위상(ON Track)으로 조정 후, 다시 두 위상차가 180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광 픽업 장치는, 2매 GT를 회전시켜 위상차를 조정하지만, 동위상(ON Track) 지점을 찾을 때, 정보가 기록된 인접트랙의 간섭(Cross Talk)으로 인한 정확한 트랙을 찾기 힘들어 인접트랙을 미기록하는 방식으로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디스크를 기록영역과 미기록 영역으로 나누어 인접트랙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제작하여 즉, 한 트랙은 정보를 기록하며 그 인접트랙은 정보를 기록하지 않도록 디스크를 제작하여 잘못된 동위상(On Track) 조정 시 해당 서브 빔(Sub Beam) 영역은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메인 빔(Main Beam) 및 서브 빔(Sub Beam)간의 동일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트리거(Trigger) 신호가 사라지게 된다.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서브 빔(Sub Beam)이 인접트랙에 있을 시 나타나는 잘못된 트리거(Trigger)신호를 메인 빔(Main Beam)이 존재하는 기록영역과 그 인접트랙을 미 기록함으로써, 동일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잘 못된 동위상(On Track) 조정시 메임 빔(Main Beam) 및 서브 빔(Sub Beam)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및 사진이다.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빔(Main Beam, m)은 기록 영역(100)에 있지만, 서브 빔(Sub Beam, s)은 미 기록 영역(200)에 존재하여, 메인 빔(Main Beam, m)과 서브 빔(Sub Beam, s)의 광 주파수가 상이하여, 트리거(Trigger) 신호는 사라지게 되므로, 리얼 동위상(Real On Track)추정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은, 잘못된 트랙 위치에 서브 빔(s)이 조정되었을 때 트리거 신호가 나타나지 않아서 발생하는 생산 라인 손실을 줄이고자 고안된 특수 디스크를 사용하여 기록 미기록 영역을 줌으로써, 잘못된 트랙 조정시 트리거 신호를 제거하여 정확한 트랙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을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을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은,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된 기록 미기록 디스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0), 판단결과,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된 경우, 기록된 정보를 담고 있는 트랙을 참조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단계(S200),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에 위치되는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3 단계(S300),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한다.
제4 단계는,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메인 빔이 위치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그 인접트랙을 미기록하여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4 단계(S350)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사용을 하여 잘못된 트랙 조정시 해당 서브 빔 영역은 기록되지 않으므로, 메인 빔 및 서브 빔 간의 동일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트리거 신호가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메인 빔과 서브 빔의 주파수가 동일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준다(S355).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에 의하면, GT 위상 조정시 잘못된 트랙 조정에 따라 나타나는 2~3차례의 트리거 신호로 인하여 CD 동위상 및 RAM 동위상이 발생하게 되나 기록 미기록 디스크의 특성을 이용하면 잘못된 트랙 조정을 방지하여 조정 작업시 혼란과 CD 및 RAM 위상 불량으로 나타나는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 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3분할 GT의 서브 빔 확장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3a 및 3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사용하여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
도 4a 및 4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잘못된 위상 조정시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
도 5a 및 5b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위상 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계의 조립 공정에서 잘못된 위상 조정시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의 위상 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광 픽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삭제
도 8a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잘못된 동위상(On Track) 조정시 메임 빔(Main Beam) 및 서브 빔(Sub Beam)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및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미기록 영역을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4)

  1. 삭제
  2. 2파장 LD(110), 2매 GT(120), 분광 렌즈(Collimator Lens, 130), 감지 렌즈(Sensor Lens, 180), 대물 렌즈(Objective Lens, 140), 반사경(Mirror, 150), 프런트 포토 다이오드(Front Photo Diode, 160),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Photo Diode Integrated Chip, 190),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Disk, 200)를 포함하여, 상기 2파장 LD(110)를 통하여 방사된 레이저 신호가 상기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200)에서 반사되도록 하고, 그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190)으로 들어오게 하며, 이러한 신호를 상기 포토 다이오드 집적칩(190)의 포토 셀(Photo Cell)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바뀌게 하고, 또한 상기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차를 판별하는 광 픽업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있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이고,
    상기 광 픽업장치가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이 번갈아가며 형성된 기록 미기록 디스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0);
    판단결과, 상기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된 경우,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기록된 정보를 담고 있는 트랙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과 정보를 미 기록하는 트랙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에 위치되는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광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 트랙 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2매 GT를 회전시켜 메인 빔과 서브 빔이 동일한 광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빔의 위치를 조정하여 하고, 상기 광 픽업장치가 상기 메인 빔과 상기 서브 빔의 광 주파수가 동일하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3173A 2009-05-18 2009-05-18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KR10103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73A KR101039669B1 (ko) 2009-05-18 2009-05-18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173A KR101039669B1 (ko) 2009-05-18 2009-05-18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98A KR20100124098A (ko) 2010-11-26
KR101039669B1 true KR101039669B1 (ko) 2011-06-08

Family

ID=4340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173A KR101039669B1 (ko) 2009-05-18 2009-05-18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945A (ko) * 1996-11-25 1999-11-15 요트.게.아. 롤페즈 광 기록매체
KR20080071205A (ko) * 2005-12-01 2008-08-0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학기록장치 및 광학기록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945A (ko) * 1996-11-25 1999-11-15 요트.게.아. 롤페즈 광 기록매체
KR20080071205A (ko) * 2005-12-01 2008-08-0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학기록장치 및 광학기록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098A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2705A2 (en) Optical pick-up
KR100694102B1 (ko)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픽업장치
KR100557542B1 (ko) 트래킹 에러 오프셋 보상용 광검출 영역이 형성된 광픽업장치
KR101039669B1 (ko) 기록 미기록 영역의 디스크를 이용한 위상 조정방법
US20050243685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disc drive
JP3715443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1041075B1 (ko) 광픽업 장치
JP2007179686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ならびにラジアルチルト検出方法
KR100579524B1 (ko) 멀티 기록/재생 광픽업장치
US20060262708A1 (en) Optical head unit and optical disc apparatus
KR100370205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US7719949B2 (en) Optical head
KR100645621B1 (ko) 2파장용 단일 광검출기를 갖는 광픽업
KR100529322B1 (ko) 편광 홀로그램 소자를 구비하는 광픽업장치
JP200529363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信号検出方法
JP3438688B2 (ja) 光ディスクのプリピット信号検出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911920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optical disk type recording/reproducing
KR100600587B1 (ko) 광픽업 장치
KR20010047945A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EP1959441A1 (en) Optical pick-up with stray-light filtering element
JPH02187929A (ja) 光学ヘッド
KR100903143B1 (ko) 대물렌즈와 이를 갖는 광 픽업장치
KR100624853B1 (ko) 광학 유닛
JP336115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130062776A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