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841B1 -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841B1
KR101038841B1 KR1020090021524A KR20090021524A KR101038841B1 KR 101038841 B1 KR101038841 B1 KR 101038841B1 KR 1020090021524 A KR1020090021524 A KR 1020090021524A KR 20090021524 A KR20090021524 A KR 20090021524A KR 101038841 B1 KR101038841 B1 KR 10103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frequency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092A (ko
Inventor
한승호
홍성수
노정욱
한상규
최흥균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84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3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ignition at the zero crossing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홀드-업 타임을 만족시키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램프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램프 구동용 전원을 램프 그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입력 전원의 변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홀드-업 타임(Hold-Up Time)이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홀드-업 타임(Hold-Up Time), 주파수 하향 변환(Frequency Down Convert),정전(electricity failure)

Description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POWER SUPPLY HAVING FUNCTION FOR VARIABLE FREQUENCY}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전원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홀드-업 타임을 만족시키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시디 모니터 또는 엘시디 텔레비젼과 같은 엘시디 제품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는 자체 발광 기능이 없어 광원 공급을 위한 백라이트 모듈이 필요하며, 백라이트 모듈은 고압으로 구동되는 형광 램프를 가진다. 이에 따라 형광 램프에 고압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장치가 백라이트 모듈에 채용된다.
이러한 전원 장치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고압의 램프 구동 전원을 변환하는데, 전원 스위칭시에 발생하는 스위칭 손실 및 발열을 저감시키기 위해 영전압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고정 시비율로 전원 스위칭을 제어한다.
한편, 엘시디 제품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이상 현상을 느끼지 않도록 제품 화면은 깜박거리지 않아야 하며 화면 전체의 밝기가 일정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순간적인 정전 또는 입력 전원의 비정상적인 변동시에 일정 시간 제품의 화면이 유지되도록 백라이트 모듈은 동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입력 전원이 단절된 상황에도 출력이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홀드-업 타임(Hold-Up Time)이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 시비율로 전원 스위칭을 제어하는 경우 홀드-업 타임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입력 전원이 순간적으로 단절되면 스위칭 온 구간을 넓혀 출력을 높여야하나 스위칭 시비율이 고정되어 있어 스위칭 온 구간을 넓힐 수 없기 때문이다. 더하여, 전원 스위칭을 가변 시비율로 제어하는 경우 입력 전원이 순간적으로 단절되어도 홀드-업 타임을 만족시킬 수는 있으나 영전압 스위칭이 불가하여 스위칭 손실 및 발열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전원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홀드-업 타임을 만족시키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램프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램프 구동용 전원을 램프 그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입력 전원의 변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홀드-업 타임(Hold-Up Time)이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기와, 상기 역류 보정기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기와, 상기 스위칭기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램프 구동용 전원을 상기 램프 그룹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역률 보정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검출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역류 보정기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분할하여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주파수 제어기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전압의 레벨이 저감되면 상기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증가시키는 전류 변환 회로와, 상기 전류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자신의 출력을 네거티브 피드백 받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를 반전 증폭하는 반전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류 변환 회로는 제1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달 저항과, 제2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전달 저항과, 상기 제1 전달 저항과 상기 검출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제1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전달하는 제1 전달 유닛과, 상기 제2 전달 저항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전달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레벨에 따라 제2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가 변하여 상기 버퍼에 전달하는 제2 전달 유닛을 갖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저항 단자와 캐패시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 단자와 상기 캐패시터 단자로 유입되는 전류의 충방전에 의해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 집적 회로와, 상기 저항 단자와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둘의 저항의 접합점으로 상기 반전 증폭기의 비교 전압을 입력받는 저항 그룹과, 상기 캐패시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그룹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전류를 충방전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비율로 전원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고, 더하여, 전원 스위칭을 영전압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전원이 변동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입력이 중단되어도 고정 시비율로 영전압 스위칭을 유지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원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주파수 제어부(120) 및 스위칭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 및/또는 평활하는 정류기(111)와, 정류기(111)에 의해 정류된 전원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를 조정하여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기(112)와, 역률 보정기(112)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을 구형파 형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기(113)와, 스위칭기(113)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여 램프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램프 구동용 전원을 램프 그룹의 각 램프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스위치(S1,S2)로 구성된 하프 브릿지(Half-Bridge) 형태의 스위칭기(113)는 풀 브릿지(Full Bridge) 또는 푸쉬-풀(Push-Pull)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제어부(120)는 전원 공급부(110)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이 일시적으로 입력 중단되거나, 전압 레벨이 변동되어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이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부(130)는 주파수 제어부(120)의 주파수 제어에 따른 스위칭 주 파수로 스위칭 제어 신호(SS1,SS2)를 전달하여 전원 공급부(110)의 전원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주파수 제어부(120) 및 스위칭 제어부(1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장치에 채용된 주파수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파수 제어부(120)는 검출기(121)와 주파수 제어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121)는 역률 보정기(112)의 역률 보정된 전원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률 보정기(112)의 역률 보정된 전원은 제1 및 제2 저항(R1,R2)의 저항비에 따라 분압되어 주파수 제어기(122)에 전달된다.
주파수 제어기(122)는 역률 보정기(112)의 역률 보정된 전원을 검출한 검출 전압을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접합점으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주파수 제어기(122)는 전류 변환 회로(122a)와 버퍼(U1)와 반전 증폭기(U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변환 회로(122a)는 제1 구동 전원(Vcc1)을 전달받는 제1 전달 저항(Ro)과, 제2 구동 전원(Vcc1)을 전달받는 제2 전달 저항(Rc)과, 제1 전달 전항(Ro)과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접합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전달 유닛과 제2 전달 저항(Rc)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전달 유닛을 갖는 포토 커플러(PC)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U1)는 제2 전달 저항(Rc)을 통한 제2 구동 전원(Vcc2)의 전압 레벨(V+)을 전달받는 플러스 단자(+)와 자신의 출력을 네거티브 피드백받는 마이너스 단자(-)를 가지며, 반전 증폭기(U2)는 저항(R3)을 통해 버퍼(U1)의 비교 결과와 자신의 출력을 네거티브 피드백받는 마이너스 단자(-)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ref)를 전달받는 플러스 단자(+)를 갖는다.
상술한 주파수 제어기(122)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용 교류 전원이 일시적으로 공급 중단되거나 이상 공급되어 전압 레벨이 하향 변동하면, 역률 보정기(112)로부터의 역률 보정된 전원(VPFC)의 전압 레벨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검출 전압(Vsen)의 전압 레벨도 감소한다.
전압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 전달 유닛에 흐르는 제1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달 유닛에 흐르는 제2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이 증가한다. 상술한 포토 커플러(PC)의 동작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식1과 같다.
(수식1)
Figure 112009015308718-pat00001
여기서, ID는 상기 제1 전달 유닛에 흐르는 제1 구동 전원(Vcc1)의 전류 레벨, IC는 제2 전달 유닛에 흐르는 제2 구동 전원(Vcc2)의 전류 레벨, CTR은 사전에 설정된 포토 커플러(PC)의 전류전송비율(Current Transfer Ratio; CTR)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버퍼(U1)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는 제2 구동 전원(Vcc2)의 전압 레벨(V+)은 다음의 수식2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수식2)
Figure 112009015308718-pat00002
버퍼(U1)의 출력 전압 레벨(V-)는 입력되는 제2 구동 전원(Vcc2)의 전압 레벨(V+)과 같다.
따라서, 반전 증폭기(U2)의 출력은 다음의 수식3과 같다.
(수식3)
Figure 112009015308718-pat00003
여기서, Vref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 VRT2는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 R3,R4는 반전 증폭기(U2)에 연결된 저항을 나타낸다.
상술한 수식3에 따르면, 버퍼(U1)의 출력 전압(V-) 레벨이 감소하면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VRT2)의 레벨은 상승한다.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VRT2)의 레벨 상승은 스위칭 제어부(130)의 스위칭 주파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스위칭 제어부(130)는 저항 단자(RT) 및 캐패시터 단자(CT)를 갖는 제어 집적 회로(131)와 적어도 둘의 저항(RT1,RT2)을 갖는 저항 그룹과 캐패시터(C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 그룹의 저항(RT1,RT2)은 저항 단자(RT)와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연결되고, 저항(RT1,RT2)의 접합점에는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에 전달된다. 제어 집적 회로(131)의 내부에는 저항 단자(RT)에 사전에 설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원(VRT)이 구비되고, 저항 단자(RT)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레벨에 따라 캐패시터 단자(CT)에 연결된 캐패시터(CT)에 전류가 충방전된다.
이에 따라,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VRT2)의 레벨은 상승하면, 저항 단자(RT)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레벨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캐패시터(CT)에 전류가 느리게 충방전되어 스위칭 제어부(130)에서 제공하는 스위칭 신호(SS1,SS2)의 스위 칭 주파수가 느려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주요 부분의 파형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제어부(120) 및 스위칭 제어부(130)의 구성과, 이에 따른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로 보면, 순간 정전시나 입력 전압의 변동이 생겼을 때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의 전압이 떨어짐에 따라 역률 보정기(112)에서 출력되는 역률 보정된 전원의 전압(VPFC)레벨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검출 전압(VSEN)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파수 제어부(120)는 검출 전압(VSEN)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변환하도록 제어하고, 입력 전압이 정상적으로 복귀되었을 때는 스위칭 주파수를 정상 상태의 주파수로 돌아오도록 제어한다.
즉, 검출 전압(VSEN)이 낮아지면 주파수 제어부의 반전 증폭기(U2)의 출력 전압(VRT2)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어 집적 회로(131)의 저항 단자(RT)에 흐르는 전류(IRT)가 줄어들게 되고, 저항 단자(RT)에 흐르는 전류(IRT)가 줄어든 만큼 캐패시터 단자(CT)에 달린 캐패시터(CT)에 전류를 충방전하는 속도가 느려져 결국 스위칭기(113)의 스위치(S1,S2)를 스위칭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신호(SS1,SS2)의 스위칭 주파수가 느려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스위칭 신호(SS1,SS2)의 시비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 위칭 제어부(130)는 스위칭 손실과 발열을 저감시키기 위해 영전압 스위칭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전원이 복귀되어 입력이 정상적으로 AC 220V가 인가되면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입력 전원 변화 및 램프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이 감소하여도 램프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에 도시된 각 입력 전원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 및 램프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도 4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구간을 확대하여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용 교류 전원의 순각적인 정전으로 인해 각각 역률 보정된 전압(VPFC)이 380V에서, 337V를 거쳐 305V까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가 45KHz에서 30.6KHz를 거쳐 19.8KHz까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램프 구동용 전원의 전류(Io)는 11.04mA 내지 12.43mA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엘시디 제품용 백라이트 모듈은 인덕티브 로드(Inductive Load)에서 동작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백라이트 모듈에 램프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스위칭 주파수가 낮아질 때 입출력 전압 변환비가 높아지므로, 이상동작시에 입력 전원이 순간적으로 정전되는 특정 상황에서 스위칭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입출력 전압 변환비를 키우고, 이에 의해 입력 전압이 떨어진 만큼의 출력을 보상해줌으로써 스위칭 손실 및 발열 저감을 위해 영전압 스위칭을 할 수 있는 고정 시비율을 유지하면서 홀드-업 타임(Hold-Up Time)을 만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장치에 채용된 주파수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주요 부분의 파형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입력 전원 변화 및 램프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에 도시된 각 입력 전원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 및 램프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전원 장치 110...전원 공급부
111...정류기 112...역률 보정기
113...스위칭기 114...트랜스포머
120...주파수 제어부 121...검출기
122...주파수 제어기 122a...전류 변환 회로
130...스위칭 제어부 131...제어 집적 회로

Claims (8)

  1. 삭제
  2.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램프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램프 구동용 전원을 램프 그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하향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주파수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 변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홀드-업 타임(Hold-Up Time)이 만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기;
    상기 역률 보정기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기; 및
    상기 스위칭기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램프 구동용 전원을 상기 램프 그룹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역률 보정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검출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역류 보정기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분압하여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변환하는 주파수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주파수 제어기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전압의 레벨이 저감되면 상기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증가시키는 전류 변환 회로;
    상기 전류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자신의 출력을 네거티브 피드백 받는 버퍼; 및
    상기 버퍼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를 반전 증폭하는 반전 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환 회로는
    제1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달 저항;
    제2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전달 저항; 및
    상기 제1 전달 저항과 상기 검출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제1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전달하는 제1 전달 유닛과, 상기 제2 전달 저항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전달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레벨에 따라 제2 구동 전원의 전류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버퍼에 전달하는 제2 전달 유닛을 갖는 포토 커플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저항 단자와 캐패시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 단자와 상기 캐패시터 단자로 유입되는 전류의 충방전에 의해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 집적 회로;
    상기 저항 단자와 접지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둘의 저항을 가지며, 상기 둘의 저항의 접합점으로 상기 반전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는 저항 그룹;
    상기 캐패시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그룹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전류를 충방전하는 캐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비율로 전원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전원 스위칭을 영전압 스위칭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KR1020090021524A 2009-03-13 2009-03-13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KR10103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4A KR101038841B1 (ko) 2009-03-13 2009-03-13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4A KR101038841B1 (ko) 2009-03-13 2009-03-13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92A KR20100103092A (ko) 2010-09-27
KR101038841B1 true KR101038841B1 (ko) 2011-06-07

Family

ID=4300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24A KR101038841B1 (ko) 2009-03-13 2009-03-13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00B1 (ko) 2012-09-26 2013-07-05 장문철 제논램프 펄스 인가형 파워서플라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627B1 (ko) * 2015-06-30 2022-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공급부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4816021B (zh) * 2022-06-30 2022-09-02 东方空间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89Y1 (ko) * 1993-10-08 1999-06-15 이형도 주파수 변환회로
KR20010043689A (ko) * 1998-05-18 2001-05-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감광성 페이스트, 이를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기판, 및 이 기판의 제조방법
US7061212B2 (en) 2003-08-08 2006-06-1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Circuit for maintaining hold-up time while reducing bulk capacitor size and improving efficiency in a power supply
KR20080078478A (ko) * 2007-02-23 200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89Y1 (ko) * 1993-10-08 1999-06-15 이형도 주파수 변환회로
KR20010043689A (ko) * 1998-05-18 2001-05-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감광성 페이스트, 이를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기판, 및 이 기판의 제조방법
US7061212B2 (en) 2003-08-08 2006-06-13 Astec International Limited Circuit for maintaining hold-up time while reducing bulk capacitor size and improving efficiency in a power supply
KR20080078478A (ko) * 2007-02-23 200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00B1 (ko) 2012-09-26 2013-07-05 장문철 제논램프 펄스 인가형 파워서플라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92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1515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EP1538882B1 (en) Universal platform for phase dimming discharge lighting ballast and lamp
US20040240235A1 (en) Backlight inver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self-protection function
US20120181950A1 (en) Driving circuit for single-string led lamp
US7768806B2 (en) Mixed-code DC/AC inverter
CN101212856A (zh) 冷阴极荧光灯逆变器装置
JP2015019534A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201349354Y (zh) 结合模拟及数字调光的背光源驱动装置
JPH1097356A (ja) 節電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947178U (zh) 可降低待机功耗的电源供应器
KR101038841B1 (ko) 주파수 가변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CN201349353Y (zh) 双调光背光源驱动装置
KR20130110706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8436574B2 (en) Solar power supply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same
KR102157700B1 (ko)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력변환장치 및 전력변환장치의 제어방법
US8004214B2 (en) Fluorescent tube power supply and backlight
EP2514278B1 (en) Electronic ballast with power thermal cutback
CN101668377A (zh) 冷阴极灯管换流器及其控制方法、控制模块
US648040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0616090B1 (ko) 병렬구동 방식을 채용한 엘시디 백라이트의 램프오픈검출장치
KR101117419B1 (ko) 입력 전력을 피드백으로 사용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0530952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구동 회로.
KR20150003425A (ko)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0739115B1 (ko) Lcd 상하부의 휘도 편차를 방지하기 위한 백 라이트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1079363B1 (ko) 보호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