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819B1 - 융합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융합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819B1
KR101038819B1 KR1020090022639A KR20090022639A KR101038819B1 KR 101038819 B1 KR101038819 B1 KR 101038819B1 KR 1020090022639 A KR1020090022639 A KR 1020090022639A KR 20090022639 A KR20090022639 A KR 20090022639A KR 101038819 B1 KR101038819 B1 KR 10103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sitron emission
emission tomography
support
ex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312A (ko
Inventor
안성용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81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4808Multimodal MR, e.g. MR combin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MR combined with ultrasound or MR combined with computed tomography [CT]
    • G01R33/481MR combin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r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61B6/037Emission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7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combined acquisition of different diagnostic moda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03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29Measurement performed on radiation beams, e.g. position or section of the beam; Measuremen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diation
    • G01T1/2914Measuremen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diation
    • G01T1/2985In depth localisation, e.g. using positron emitters; Tomographic imag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ction imaging;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oscopic radiation diagnosi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돌출된 형태의 검진부를 갖는 검진자를 지지하며, 상기 검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위치한 검진자를 둘러싸는 내부공간을 갖는 자기공진촬영부; 및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포함하는 융합 촬영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공진촬영기에서 변형 가능한 신체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박형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적용함으로써, 자기공진촬영장치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가 결합된 융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MRI, PET, 융합 촬영 장치, 마그넷

Description

융합 촬영 장치{MRI-PET HYBRID DEVICES}
본 발명은 의료용 장비 등으로 널리 쓰이는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형 가능한 신체 부위의 촬영을 위한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융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진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장치는 인체의 내부에 생기는 암세포나 종양의 해부학적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 연 조직의 대비가 뛰어난 영상 촬영 장치이다.
MRI는 인체의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검자의 몸에 강한 자기장을 쪼여 몸 안의 수소 원자가 공명 현상에 의해 특정 에너지를 흡수하였다가 다시 방출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정상 세포와 질병이 있는 세포 간에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부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장치는 신진 대사 과정을 촬영하여 대사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장치이다.
PET는 γ-선을 검출하도록 링이나 다각형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섬광 결정체(scintillator), 광전 소자 및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다.
특히, PET 장치는 사각 기둥 형상의 섬광 결정체를 일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상단에는 검출된 시그널을 처리하는 광전 소자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PET는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추적자를 정맥 주사나 흡입에 의한 방법으로 체내에 주입하고, 이른바 쌍소멸(Pair annihilation) 현상에 의해 양전자 방출 핵종으로부터 방출된 양전자가 근처의 전자와 결합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출되는 γ-선을 상기 검출기가 측정하여 방사성 추적자의 3차원 공간 분포를 추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PET 장치와 MRI 장치에는 각각 고유한 장점과 단점이 있다. PET의 경우, 인체 조직의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를 매우 높은 대조도(contrast)를 통해 제공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갖기 때문에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MRI의 경우에는 PET와는 반대로, 인체 조직에 대한 상세한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는 제공할 수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PET와 MRI의 장점과 단점으로 인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는 이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이전의 모든 시도들은 현실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 가능한 신체 부위의 촬영을 위한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융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돌출된 형태의 검진부를 갖는 검진자를 지지하며, 상기 검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위치한 검진자를 둘러싸는 내부공간을 갖는 자기공진촬영부; 및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포함하는 융합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검진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검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복수의 섬광 결정셀을 포함하는 신틸레이터 및 상기 신틸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신틸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자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자 변환부는 APD(Avalanche Photo Diode), GM-APD(Geiger Mode-Avalanche Photo Diode) 및 SiPM(Silicon Photo Multipli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전자 변환부는 복수의 상기 섬광 결정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공진촬영기에서 변형 가능한 신체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박형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적용함으로써, 자기공진촬영장치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가 결합된 융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촬영기에서 변형 가능한 신체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박형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를 이중으로 적용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해상도가 높은 융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로 사용되는 자기공진촬영기 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와 같은 여타의 장치와는 달리,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정보와 분자학적 정보 및 기능적 정보를 동시에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b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는 돌출된 형태의 검진부(25)를 갖는 검진자(20)를 지지하며, 상기 검진부(2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1)를 갖는 지지대(30), 상기 지지대(30)에 위치한 검진자(20)를 둘러싸는 내부공간을 갖는 자기공진촬영부(10), 및 상기 수용부(31)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30)에 장착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를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지지대(30)에 위치한 검진자(20)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는 MRI부(10)는 강한 자장을 형성시켜 주는 메인 자석(main magnet, 도시하지 않음), 물질 속에 있는 핵의 스핀 방향을 알 수 있도록 x,y,z축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경사 자장을 가해 주는 경사 코일(gradient coil, 도시하지 않음), 인간의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나 라모 주파수에 가까운 공명을 일으켜 검진부(25)(피검자의 신체 전체 또는 일부)로부터 여기된 시그널을 받아 들이는 RF 코일(도시하지 않음), 및 RF 코일로부터 입력 받은 시그널을 영상 처리하는 시그널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피검자가 내부공간에 누운 상태에서 메인 자석에 의해 자력을 받게 되면, 회전 운동을 하던 원자핵이 자화되면서 세차 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자화된 상태에서 RF 코일을 이용하여 고주파를 가하였다가 끊게 되면, 원자핵은 고에너지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원자핵의 고유 주파수를 방출하게 된다. RF 코일은 이 고유 주파수를 수집하고 시그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하게 된다.
한편,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30)는 돌출된 형태의 검진부(25)를 갖는 검진자(20)가 최적화된 위치에서 편안하게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검진자(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30)에 장착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는 수용부(3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수용부(31)에 수용된 검진부(25)에서 발생된 γ-선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2개의 섬광 결정셀(352a)에 도달하고, 섬광 결정 셀(352a)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파장의 섬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섬광 신호는 섬광 결정셀(352a) 후단에 섬광 결정셀(352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광전자 변환셀(354a)에 의해 감지되어 광전자가 방출된다. 이러한 광전자는 처리가 용이한 전기적 신호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이 신호는 위치 판독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위치 정보로 변환된 후,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신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분석 및 재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3차원 정보를 담은 단층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가 검진부(25)를 수용하는 수용부(31) 둘러싸도록 자기공진촬영부(10) 내에 배치됨으로써 단일로 사용되는 자기공진촬영기 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와 같은 여타의 장치와는 달리, 검진부(25)의 해부학적 정보와 분자학적 정보 및 기능적 정보를 동시에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다음,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는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a)을 포함하는 신틸레이터(351a) 및 신틸레이터(351a)에 연결되어 상기 섬광 결정셀(352a)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a)로 구성되는 광전자 변환부(35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틸레이터(351a)는 수용부(31) 주위에 배치되어, 검진부(25)를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수용한다. 여기서,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a)의 각 측면은 인접한 다른 섬광 결정셀(352a)의 측면에 접하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환형으로 배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검진부(25)를 수용하도록 동일한 구성의 신틸레이터(351a)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a)은 상기 섬광 결정셀(352a) 각각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섬광 결정셀(352a)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광전자 변환부(353a)로는 APD(Avalanche Photo Diode), GM-APD(Geiger Mode-Avalanche Photo Diode) 및 SiPM(Silicon Photo Multipli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광전자 변환부(353a)로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진공관 기반의 광전자 증배관(Photo Multiplier Tube, PMT)에 비하여 두께가 훨씬 얇은 상기와 같은 반도체 기반의 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의 전체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서 검진부(25)를 고정하는 장치 대신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a)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유방 측정용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상세한 해부학적 정보뿐 아니라 기존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인체 조직의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를 매우 높은 대조도(contrast)를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MRI-PET 융합 촬영 장치(1)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b)는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b)을 포함하는 신틸레이터(351b) 및 신틸레이터(351b)에 연결되어 상기 섬광 결정셀(352b)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b)로 구성되는 광전자 변환부(35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틸레이터(351b)는 수용부(31) 주위에 배치되며, 검진부(25)를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부(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에서는, 검진부(25)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b)는 섬광 결정셀(352b)의 각 측면이 인접한 다른 섬광 결정셀(352b)의 측면에 접하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밀집되어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수용부(31)를 중심으로 제1 촬영부(350a)와 서로 대향하는 제2 촬영부(350b)가 더 배치된다. 간단히 말하면, 적어도 한 쌍의 촬영부(350a, 350b)가 수용부(3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b)은 상기 섬광 결정셀(352b) 각각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섬광 결정셀(352b)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광전자 변환부(353a)로는 APD(Avalanche Photo Diode), GM-APD(Geiger Mode-Avalanche Photo Diode) 및 SiPM(Silicon Photo Multipli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광전자 변환부(353a)로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진공관 기반의 광전자 증배관(Photo Multiplier Tube, PMT)에 비하여 두께가 훨씬 얇은 상기와 같은 반도체 기반의 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b)의 전체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검진부(25)가 수용된 고정 장치(33)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b)를 종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b)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유방 측정용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상세한 해부학적 정보뿐 아니라 기존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인체 조직의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를 매우 높은 대조도(contrast)를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1)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c)는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c)을 포함하는 신틸레이터(351c) 및 신틸레이터(351c)에 연결되어 상기 섬광 결정셀(352c)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c)로 구성되는 광전자 변환부(35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촬영기(350c)의 신틸레이터(351c)는 수용부(31) 주위에 배치되어, 검진부(25)를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수용한다. 여기서,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c)의 각 측면은 인접한 다른 섬광 결정셀(352c)의 측면에 접하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환형으로 배치된다. 도 5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검진부(25)를 수용하도록 동일한 구성의 제3 촬영기(350c)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촬영부(350a, 350b)의 신틸레이터(351c)는 수용부(31)를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섬광 결정셀(352c)는 섬광 결정셀(352c)의 각 측면이 인접한 다른 섬광 결정셀(352c)의 측면에 접하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밀집되어 구성된다. 도 5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검진부(25)를 수용하도록 동일한 구성의 제1, 제2 및 제3 촬영기(350a, 350b, 350c)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354c)은 상기 섬광 결정셀(352c) 각각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섬광 결정셀(352c)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광전자 변환부(353c)로는 APD(Avalanche Photo Diode), GM-APD(Geiger Mode- Avalanche Photo Diode) 및 SiPM(Silicon Photo Multipli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광전자 변환부(353c)로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진공관 기반의 광전자 증배관(Photo Multiplier Tube, PMT)에 비하여 두께가 훨씬 얇은 상기와 같은 반도체 기반의 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c)의 전체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검진부(25)가 수용된 고정 장치(33)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c)를 종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35c)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유방 측정용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상세한 해부학적 정보뿐 아니라 기존의 유방 측정용 자기공진촬영기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인체 조직의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를 매우 높은 대조도(contrast)를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중으로 검진부(25)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를 측정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인체 조직의 분자학적 그리고 기능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전반에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둘러 싸고 있는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패드는 필요에 따라 섬광 결정셀을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드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검진자의 검진부와 직접 접촉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패드 는 섬광 신호를 변형하지 않는 물질로 구성되는데, 납(Pb)을 제외한 물질이면 되고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융합 촬영 장치의 대부분의 구성은 검진부가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자유 자재로 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로 사용되는 자기공진촬영기 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와 같은 여타의 장치와는 달리,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정보와 분자학적 정보 및 기능적 정보를 동시에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섬광 결정셀의 단면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정육각형, 정삼각형, 육각형 또는 삼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합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융합 촬영 장치 10: 자기공진촬영부
20: 검진자 25: 검진부
30: 지지부 31: 수용부
33: 고정부 35a, 35b, 35c: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
350a, 350b, 350c: 촬영부 351a, 351b, 351c: 신틸레이터
352a, 352b, 352c: 섬광 결정셀 353a, 353b, 353c: 광전자 변환부
354a, 354b, 354c: 광전자 변환셀

Claims (9)

  1. 돌출된 형태의 검진부를 갖는 검진자를 지지하며, 상기 검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고, 이동식 침상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검진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된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및
    상기 이동식 침상의 일측 단부와 접하며, 상기 지지대에 위치한 검진자를 둘러싸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개방부를 갖는 자기공진촬영부;
    를 포함하는 융합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검진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검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자방출단층촬영부는 복수의 섬광 결정셀을 포함하는 신틸레이터 및 상기 신틸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신틸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섬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자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자 변환부는 APD(Avalanche Photo Diode), GM-APD(Geiger Mode-Avalanche Photo Diode) 및 SiPM(Silicon Photo Multipli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자 변환부는 복수의 상기 섬광 결정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광전자 변환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촬영 장치.
KR1020090022639A 2009-03-17 2009-03-17 융합 촬영 장치 KR10103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39A KR101038819B1 (ko) 2009-03-17 2009-03-17 융합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39A KR101038819B1 (ko) 2009-03-17 2009-03-17 융합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12A KR20100104312A (ko) 2010-09-29
KR101038819B1 true KR101038819B1 (ko) 2011-06-03

Family

ID=4300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39A KR101038819B1 (ko) 2009-03-17 2009-03-17 융합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50B1 (ko) 2010-04-26 2012-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형상 변형률에 기초한 의료영상정보의 예측영상 획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407B2 (en) 2003-11-17 2007-09-0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ulti-frequency microwave-induced thermoacoustic imaging of biological tissue
US20080146914A1 (en) 2006-12-19 2008-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r imaging
KR20080105443A (ko) * 2007-05-31 2008-12-04 이재성 탈장착형 pet-mri통합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407B2 (en) 2003-11-17 2007-09-0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ulti-frequency microwave-induced thermoacoustic imaging of biological tissue
US20080146914A1 (en) 2006-12-19 2008-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r imaging
KR20080105443A (ko) * 2007-05-31 2008-12-04 이재성 탈장착형 pet-mri통합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50B1 (ko) 2010-04-26 2012-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형상 변형률에 기초한 의료영상정보의 예측영상 획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12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330B2 (ja) Petまたはspectおよびmrの同時画像を形成するためのコンパクトでハイブリッドで統合的なガンマ/rfシステム
US20110270078A1 (en) Methods and systems of combining magnetic resonance and nuclear imaging
US7732774B2 (en) High resolution PET breast imager with improved detection efficiency
WO2017020277A1 (en) Pet/mri insert system
US8401613B2 (en) PET-MRI combination apparatus
JP5713468B2 (ja) Pet/mri一体型装置
KR101169708B1 (ko) 큰 면적을 가진 마이크로셀로 구성된 gapd를 이용한 pet 검출기 모듈
KR100891057B1 (ko) 탈장착형 pet-mri통합 유닛
US10459093B2 (en) PET-MRI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abet et al. A hand-held, intra-operative positron imaging probe for surgical applications
KR100917931B1 (ko) 가이거사태 광전소자를 이용한 pet 섬광모듈, 이것을이용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장치 및 pet-mri
CN103619246B (zh) 医用图像诊断装置
KR100891056B1 (ko) 개방형 pet-mri통합 유닛
Schlyer et al. A simultaneous PET/MRI scanner based on RatCAP in small animals
KR20180122803A (ko) 다중 분해능을 제공하는 pet 검출기
KR101038819B1 (ko) 융합 촬영 장치
Azman et al. A nuclear radiation detector system with integrated readout for SPECT/MR small animal imaging
Meier et al. A SPECT camera for simultaneous SPECT/MRI
US20180252785A1 (en) Hybrid tof-pet/mri transceiver coil
KR101232124B1 (ko)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KR101810581B1 (ko) Mri 호환 방사선 영상기기
KR101920153B1 (ko) Pet 검출기를 이용한 영상 재구성 방법
Yamaya PET imaging innovation by DOI detectors
JP3637155B2 (ja) 核医学診断装置
Mannheim et al. Small Animal PET Cameras—Development, Technology, PET/CT, PET/M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