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698B1 -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698B1
KR101037698B1 KR1020110026187A KR20110026187A KR101037698B1 KR 101037698 B1 KR101037698 B1 KR 101037698B1 KR 1020110026187 A KR1020110026187 A KR 1020110026187A KR 20110026187 A KR20110026187 A KR 20110026187A KR 101037698 B1 KR101037698 B1 KR 10103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le
plastic optical
coupl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기
(주)에이비엠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기, (주)에이비엠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기
Priority to KR102011002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698B1/ko
Priority to US13/240,643 priority patent/US201202438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광 장치에 고정되는 렌즈에 의해 일정 크기로 집속된 태양광을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로 전달하는 광 전송 장치로서, 특히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채광 장치의 배면 일측에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커넥터와; 일측 내부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는 직경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중앙홀에 삽입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 및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감싸며 안치되는 광섬유 고정 지그와; 중앙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플링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를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 밀착시키는 고정 볼트와; 일측에 상기 커플링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커플링을 상기 커넥터 중앙홀에 위치시키는 고정 너트와; 상기 고정 볼트와 인접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Transmitter of focusing sun light using by plastic optical fiber}
본 발명은 채광 장치에 고정되는 렌즈에 의해 일정 크기로 집속된 태양광을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로 전달하는 광 전송 장치로서, 특히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채광 장치의 배면 일측에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커넥터와; 일측 내부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는 직경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중앙홀에 삽입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 및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감싸며 안치되는 광섬유 고정 지그와; 중앙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플링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를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 밀착시키는 고정 볼트와; 일측에 상기 커플링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커플링을 상기 커넥터 중앙홀에 위치시키는 고정 너트와; 상기 고정 볼트와 인접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조명 장치로 이용하는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태양광을 획득하는 채광 장치와, 획득된 태양광을 조명으로 이용하는 조명 장치, 그리고 상기 채광 장치에서 획득된 태양광을 상기 조명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채광 장치가 자연광으로서 태양광을 채광창의 크기만큼 그대로 수용하면서 획득하느냐 또는 채광창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집속하여 획득하느냐에 따라 상기 전송 장치 및 조명 장치의 구조 및 형태가 현저히 달라진다.
이 중에서 후자의 경우는, 렌즈를 포함하는 채광 장치가 태양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며, 채광 장치의 렌즈가 입사하는 태양광을 일정 크기 이하로 집속하고, 광섬유와 같은 전송 장치가 이를 받아 조명이 필요한 공간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 방식은 전자에 비해 비록 장치가 복잡하다는 단점은 있으나, 계절의 변화 및 태양의 일주 운동에 관계없이 태양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채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근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에 있어 통상적인 조명 장치는 렌즈가 위치하는 채광 장치로부터 15m 이상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데 관련 업계에서 광 전송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리 재질의 광섬유는 상당한 고가라는 점에서 이를 원거리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 전송 수단으로서 유리 재질의 광섬유 대신 플라스틱 재질의 광섬유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9191호와 일본 공개특허 제2001-101914호가 이러한 기술 중의 일례들이다.
그러나, 광 전송 수단으로서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하더라도 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여전히 풀어야 할 문제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광섬유 단부를 여하히 광축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지 여부이다. 왜냐하면, 광섬유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킨다 할지라도 광섬유 자체의 직경은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됨을 감안하면, 채광 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일정 크기 이하로 집속되는 태양광의 광축과, 일정 크기 이하로 이루어지는 광섬유 단부를 어떻게 정렬시킬지는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만일, 광축 정렬이 정밀하지 못하다면 채광 장치에서 애써 획득한 태양광의 상당 부분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방안이 꼭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9191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1-1019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690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646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735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에 의해 집속된 태양광과 플라스틱 광섬유 단부의 축을 적절하게 일치시켜 광축을 안정화할 수 있는 광 전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광 장치에 인접한 플라스틱 광섬유가 과도한 굽힘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채광 장치 배면에 위치하는 광섬유를 인위적으로 굽혀 채광 장치 배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와 더불어 광섬유의 굽힘 적응성을 제고할 수 있는 광 전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가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여 집속된 태양광을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는 광 전송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광 장치에 고정되는 렌즈에 의해 일정 크기로 집속된 태양광을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로 전달하는 광 전송 장치로서,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채광 장치의 배면 일측에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커넥터와; 일측 내부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는 직경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중앙홀에 삽입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 및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감싸며 안치되는 광섬유 고정 지그와; 중앙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플링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를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 밀착시키는 고정 볼트와; 일측에 상기 커플링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구비되며,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커플링을 상기 커넥터의 중앙홀에 위치시키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는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사이에는 보호관이 게재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와 인접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외주면에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굽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수단의 단부는 상기 고정 볼트 내부로 삽입되며, 그 단부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볼트 내부에 구비되는 단턱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전면 중앙에는 열차단 필터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 고정 지그와 보호관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광섬유를 커넥터 내부에서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플라스틱 광섬유와 렌즈에 의해 집속된 태양광의 축을 매우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채광 장치 배면에서 돌출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탄성 수단이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라스틱 광섬유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굽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교적 좁은 채광 장치 배면 공간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플라스틱 광섬유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단 필터를 플라스틱 광섬유와 적절하게 조합 구성하여 태양광의 집속으로 인한 고열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열에 약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더라도 집속된 광을 조명 장치로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장치의 분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결합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장치의 다른 결합 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일 분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개략적인 결합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커넥터(10)와 커플링(20), 플라스틱 광섬유(30), 광섬유 고정 지그(40)와 고정 볼트(60), 그리고 고정 너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커넥터(10)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장치의 기본 몸체로서, 입사하는 태양 광을 직접 획득하는 채광 장치(1)의 배면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렌즈(2)에 의해 집속되는 태양광을 직접 확보할 수 있도록 렌즈와 일정 거리 이격된 광축 상에 위치하되 상기 렌즈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단부가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은 미도시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커플링(20)의 안치를 위한 홀(12)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후술할 고정 너트(7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6)이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의 외주면 일측에는 태양광의 집속으로 인한 고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핀(미도시)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4는 후술할 열차단 필터(90)의 안치홈이다.
상기 커플링(20)은 후술할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커넥터(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호 연통되는 제1관통홀(22) 및 제2관통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홀(24)은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관통홀(24)이 위치하는 단부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고정 볼트(6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26)이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을 커넥터의 중앙홀(12)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그 외경이 커넥터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관통홀(22)의 내경은 사용되는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조금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광축 정렬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는 렌즈(2)에 의해 집속된 태양광을 조명 장치로 전송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22) 및 제1관통홀(24)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며, 그 단부는 커넥터(10)의 중앙홀(12) 일측 단부까지 연장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 단부가 안치홈(14)에 위치하는 열차단 필터(90)의 일면과 접하는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광 섬유는 시중에 유통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넥터 중앙홀(12) 일측 단부까지 연장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단부를 연마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이럴 경우 열차단 필터와 대면하는 단부의 평탄도(표면 조도)가 증대되어 열차단 필터와 플라스틱 광섬유 단부 경계에서 굴절율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태양광의 손실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연마는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에 보호 피복을 부가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보호 피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진 합성 수지, 고무, 직물 등과 같은 재료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40)는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커플링(2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광축을 정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라스틱 광섬유(30)를 감싸며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24)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고정 지그(4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44)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플라스틱 광섬유(30)는 커플링(20) 내부에서 더욱 안정적인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40)가 커플링의 제2관통홀(24) 구성과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테이퍼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볼트(60)는 커플링(20)과 결합되어 광섬유 고정 지그(40)를 플라스틱 광섬유(30)에 밀착시키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부에는 플라스틱 광섬유(30)가 삽입되는 홀(62)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커플링의 나사산(26)에 대응하도록 나사산(6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볼트(60)는 나사산(26, 66) 상호 간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1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고정 지그(40)는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즉, 플라스틱 광섬유(30)는 커플링의 제1관통홀(22)에 의해 1차로 광축이 정렬되며, 고정 볼트의 전진 운동에 의해 광섬유 고정 지그(40)가 플라스틱 광섬유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광축 정렬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 너트(70)는 커플링(20), 또는 커플링(20) 및 고정 볼트(60) 결합체를 커넥터(10)와 결합하여 상기 커플링을 커넥터 내부에 위치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일측에는 홀(72)이 구비되며, 개구된 타측 내주면에는 나사산(74)이 형성된다. 상기 홀(72)에는 커플링(20) 타측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나사산(74)은 커넥터(10)의 나사산(16)과 결합한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 너트의 외주면에는 수작업을 위한 복수 개의 홈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고정 지그(40)와 플라스틱 광섬유(30) 사이에 보호관(50)이 게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고정 볼트(60)의 전진 운동에 따라 광섬유 고정 지그(40)가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압착할 때 플라스틱 광섬유 표면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 수단으로서 이를 방지하고, 나아가 플라스틱 광섬유(30)를 광섬유 고정 지그(40) 내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광섬유의 광축 정렬을 더욱 정밀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채광 장치는 건축 구조물 외부에 위치하고 조명 장치는 건축 구조물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채광 장치(1)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들은 복수 개가 다발로 정리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럴 경우 플라스틱 광섬유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휘어져 광 전송 기능이 저하되거나, 극단적으로는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30)가 일정 각도 이상 과도하게 휘어지는 부분에 탄성 수단(80)을 게재하여 그 파손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탄성 수단(80)은 고정 볼트(60)와 인접한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이 굽힘 파손 방지에 바람직하며, 탄성 수단(8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그 단부를 고정 볼트(60)의 중앙홀(62)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단(80)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게재되는 탄성 수단은 도 3의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탄성 수단(80)의 단부에 확관부(82)를 구성하고, 상기 확관부(82)를 고정 볼트(6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턱(64)과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탄성 수단(80)을 고정 볼트(60)와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잦은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수단이 원래의 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10)의 안치홈(14)에 열차단 필터(90)가 구비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열차단 필터(20)는 렌즈(1)에 태양 광이 집속되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커넥터에의 고정은 접착제 등 여러 다양한 방법 중에서 임의로 취사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태양광의 집속에 의한 고열은 주로 적외선에 의해 발생됨을 감안하면 상기 열차단 필터(90)는 IR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IR 필터와 UV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채광 장치 10 : 커넥터
20 : 커플링 30 : 플라스틱 광섬유
40 : 광섬유 고정 지그 50 : 보호관
60 : 고정 볼트 70 : 고정 너트
80 : 탄성 수단 90 : 열차단 필터

Claims (6)

  1. 채광 장치(1)에 고정되는 렌즈(2)에 의해 일정 크기로 집속된 태양광을 플라스틱 광섬유(30)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로 전달하는 광 전송 장치로서,
    중앙부에는 홀(12)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6)이 형성되어 채광 장치(1)의 배면 일측에 타측 단부가 장착되는 커넥터(10)와;
    일측 내부에는 제1관통홀(22)이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는 직경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제1관통홀(22)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24)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나사산(26)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중앙홀(12)에 삽입되는 커플링(20)과;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22) 및 제1관통홀(24)을 통해 삽입되는 플라스틱 광섬유(30)와;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24)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를 감싸며 안치되는 광섬유 고정 지그(40)와;
    중앙부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가 삽입되는 홀(62)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66)에 의해 상기 커플링(20)과 나사 결합하면서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40)를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에 밀착시키는 고정 볼트(60)와;
    일측에 상기 커플링(20)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홀(72)이 구비되며, 개구된 타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74)에 의해 상기 커넥터(10)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커플링(20)을 상기 커넥터의 중앙홀(12)에 위치시키는 고정 너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40)는 상기 커플링의 제2관통홀(24)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 지그(40)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 사이에는 보호관(50)이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60)와 인접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30)의 굽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수단(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80)의 단부는 상기 고정 볼트(60) 내부로 삽입되며, 그 단부는 확관부(8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볼트(60) 내부에 구비되는 단턱(64)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전면 중앙에는 열차단 필터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KR1020110026187A 2011-03-24 2011-03-24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KR10103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87A KR101037698B1 (ko) 2011-03-24 2011-03-24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US13/240,643 US20120243836A1 (en) 2011-03-24 2011-09-22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plastic optical fi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87A KR101037698B1 (ko) 2011-03-24 2011-03-24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698B1 true KR101037698B1 (ko) 2011-05-27

Family

ID=4436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187A KR101037698B1 (ko) 2011-03-24 2011-03-24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43836A1 (ko)
KR (1) KR101037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560B1 (ko) 2016-04-29 2017-10-2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집광 발전기 내장형 자주식 가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0173B1 (fr) * 2012-12-26 2017-10-06 Echy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un organe transmetteur d'energie solaire par rapport a un concentrateur optique
PT107061A (pt) * 2013-07-12 2015-01-12 Famolde Fabricaç O E Com Izaç O De Moldes S A Processo de produção de chicotes de iluminação local e respetivo chicote
US10591123B2 (en) 2015-07-02 2020-03-17 Brightspace Technologies, Inc. Solar light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MA38942B1 (fr) * 2016-03-31 2018-04-30 Univ Mohammed V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un faisceau transmetteur d'energie
US10782481B1 (en) * 2019-03-13 2020-09-22 The Boeing Company Optical fasteners having heads with lenses
US11220321B2 (en) * 2019-03-13 2022-01-11 The Boeing Company Window systems including optical fasteners
AT522809B1 (de) * 2019-08-21 2021-03-15 Pts Phytotech Solution Ltd Lichtsammelpan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527A (ko) * 1996-07-25 2000-05-25 레비톤 메뉴팩튜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파이버광케이블커넥터장치및방법
KR20020015186A (ko) * 2000-08-21 2002-02-27 김기성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0673556B1 (ko) 2006-02-01 2007-01-25 (주) 아주광학 비구면 렌즈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KR100850925B1 (ko) 2008-03-14 2008-08-07 장종호 광섬유 일체형 광어탭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7000A (en) * 1979-01-11 1981-10-27 Fries James E Solar lighting system
US4411490A (en) * 1980-08-18 1983-10-25 Maurice Daniel Apparatus for collecting, distributing and utilizing solar radiation
JPS6078403A (ja) * 1983-10-04 1985-05-04 Takashi Mori 宇宙空間用太陽光収集装置
JPS6161125A (ja) * 1984-08-31 1986-03-28 Takashi Mori 太陽エネルギ−収集装置
JPH1172324A (ja) * 1997-08-29 1999-03-16 Iwasaki Electric Co Ltd 太陽光自動追尾装置
US7973235B2 (en) * 2001-09-18 2011-07-05 Ut-Batelle, Llc Hybrid solar lighting distribution systems and compon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527A (ko) * 1996-07-25 2000-05-25 레비톤 메뉴팩튜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파이버광케이블커넥터장치및방법
KR20020015186A (ko) * 2000-08-21 2002-02-27 김기성 오엔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0673556B1 (ko) 2006-02-01 2007-01-25 (주) 아주광학 비구면 렌즈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KR100850925B1 (ko) 2008-03-14 2008-08-07 장종호 광섬유 일체형 광어탭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560B1 (ko) 2016-04-29 2017-10-2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집광 발전기 내장형 자주식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3836A1 (en)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698B1 (ko)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하는 광 전송 장치
KR101902375B1 (ko) 광섬유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발전 시스템
US20160018598A1 (en) Collimating And Concentrating Light Into An Optical Fiber
SE0600263L (sv) Fiberoptiskt kontaktdon
DE602006001247D1 (de) Lichtwellenleiter für einen Steuerknopf mit einem Indexrat
WO2009069572A1 (ja) レセプタクル光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WO2004097477A3 (en) A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optical fibre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WO2009040271A3 (de) Schutzelement, hülse und lichtwellenleiter sowie verfahren zum schutz einer verbindung zwischen wenigstens zwei lichtwellenleitern
TW200704965A (en) Wave coupled light source
WO2008109605A3 (en) Expanded beam connector and expanded beam optoelectronic device
ATE431568T1 (de) Fokussierende faser-optik
DE60322330D1 (de) Optisches System zur Einkopplung des von einem Diodenarray ausgehenden Lichts in eine optische Faser
KR101188515B1 (ko) 추적방식의 태양 광 조명장치
SE1450257A1 (sv) Kollimerande lins
CN103363442A (zh) 透镜单元、光照射单元以及光照射装置
US20150354785A1 (en) Sunny Bright Solar Lighting
CN103487892A (zh) 保偏泵浦合束器
WO2019041028A1 (en) SOLAR LIGHT TRANSFER SYSTEM AND USE THEREOF
KR20150038898A (ko) 플라스틱(pmma) 광섬유(pof)를 이용한 자연 채광장치
CN105572817B (zh) 一种用于集成的异形端面光纤耦合器
CN218158562U (zh) 一种内窥镜导光结构
MX2020010771A (es) Dispositivo seguidor.
KR101027782B1 (ko) 광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조명 시스템
CN202995073U (zh) 光线收集装置
KR101853090B1 (ko) 광 도파로 집광용 엘이디 광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