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500B1 -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500B1
KR101037500B1 KR1020030027203A KR20030027203A KR101037500B1 KR 101037500 B1 KR101037500 B1 KR 101037500B1 KR 1020030027203 A KR1020030027203 A KR 1020030027203A KR 20030027203 A KR20030027203 A KR 20030027203A KR 101037500 B1 KR101037500 B1 KR 10103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mode
communication terminal
sh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323A (ko
Inventor
장재영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2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5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를 탐지하여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호 연결을 요청받아 설정되어 있는 연결 모드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이동통신 우선이면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이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중에,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근거리무선통신, 이동통신,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 모드 자동 전환

Description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Method of Changing Mode Betwe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중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12,13 : 무선통신단말기 14 : 이동통신 중계기
15 : 근거리무선통신망 16 : 이동통신망
21 : 근거리무선통신 처리장치 22 : 이동통신 처리장치
23 : 제어장치 24 : 사용자 입출력장치
25 : 송수신 처리장치 26 : 저장장치
261 : 연결 설정 저장부 262 :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무선통신은 기존의 유선이 아닌 무선 매체를 데이터 전달의 매개체로 이용하여 기존의 근거리유선통신(유선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근거리무선통신은 유선랜의 대체 기술로 빠르게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케이블을 설치하기 곤란한 곳이나 미관이 중요한 곳 등에 도입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이란 위에서 설명한 근거리무선통신보다 훨씬 넓은 서비스 범위를 갖는 서비스로서, 기지국을 통하여 원거리의 단말기와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인 근거리무선통신망은 무선통신단말기로 연결하기 위하여 각 무선통신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 망접속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각 무선통신단말기와 유선랜(LAN)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건물과 건물 또는 분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를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브리지 장비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랜(LAN) 허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 개의 액세스 포인트 당 반경 20~150m 정도의 영역에서 동시에 25~50개의 단말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은 이용요금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그 서비스 영역이 좁은 단점이 있으므로, 이용요금은 비싸지만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 이동통신을 결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는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지역, 즉 액세스포인트(AP)가 있는 곳에서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는 모드 전환을 수동으로 설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한편 모드 전환을 자동으로 해주는 경우에는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도 항상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있는지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전력이 많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를 탐지하여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호 연결을 요청받아 설정되어 있는 연결 모드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이동통신 우선이면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이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중에,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중에,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면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좁은 서비스 영역을 갖는 근거리무선통신망(15)과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갖는 이동통신망(16)을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망(15)에 포함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11,12) 간에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망(15) 외부에 있는 무선통신단말기(13)와는 이동통신 중계기(14)를 거쳐 이동통신망(16)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는, 제어장치(23)의 제어에 의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를 처리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처리장치(21), 상기 제어장치(23)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모드를 처리하기 위한 이동통신 처리장치(22), 상기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3), 상기 제어장치(23)의 제어에 의하여 스피커, 마이크, 키패드, 표시장치(LCD) 등의 입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입출력장치(24),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처리장치(25), 및 상기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장치(2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 모드 전환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기 위한 연결 설정 저장부(261) 및 전화번호와 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저장하기 위한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26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준비모드(301)에 있는 상태에서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연결 설정 저장부(261)에 저장되어 있는 연결 모드 설정에 따라 조회(INQUIRY)모드(302) 또는 페이지(PAGE) 모드(303)로 전환하게 된다. 즉, 연결 모드 설정이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조회(INQUIRY) 모드(302)를 거쳐 페이지 모드(PAGE)(303)로 전환하고, 연결 모드 설정이 이동통신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페이지(PAGE) 모드(303)로 바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연결 설정 저장부(261)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받은 연결 모드 설정이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연결 모드 설정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 모드 설정의 내용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이 모두 가능할 경우에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가, 그리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에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에 서비스 전환을 할 것인가의 여부 등이 설정되어 있게 된다.
조회(INQUIRY) 모드(302)에서는 우선, 상기 입력받은 착신측 전화번호를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262)에서 검색하여,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가 존재하지 않으면 브로드캐스팅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262)에 저장한다.
한편, 페이지(PAGE) 모드(303)에서는 연결 모드 설정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 연결모드(304) 또는 이동통신 연결모드(305)에서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와 호를 연결한다. 이후, 전송모드(306,307)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동통신 전송모드(307)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면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준비모드(301)에 있는 상태에서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호 연결을 요청받는다(401). 그러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는 설정된 연결 모드를 확인하여(402), 설정된 연결 모드가 이동통신 우선이면 일단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한다(408). 그리고 일정주기로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모두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409), 상기 확인 결과(409),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연결된 호로 계속해서 통화하고(410),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모두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한다(모드 전환)(404).
한편, 상기 확인 결과(402), 설정된 연결 모드가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이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모두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403). 상기 확인 결과(403),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고(408),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모두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한다(404). 그리고 일정주기로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했는지 확인하여(405), 상기 확인 결과(405),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하지 않았으면 연결된 호로 계속해서 통화하고(406), 상기 확인 결과(405),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하였으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한다(408).
이후, 이동통신 모드 또는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연결된 호의 통화가 끝나면 종료한다(407, 41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중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제어장치(23)가 상기 입력받은 착신측 전화번호를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262)에서 검색하여(501), 상기 검색 결과(501),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추출하여(503)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고(505),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가 존재하지 않으면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응답으로부터 고유번호(LD_ADDR)를 획득한 후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262)에 저장한 후에(504)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한다(505).
브로드캐스팅 과정("504"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에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에게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한다. 그러면, 근거리무선통신 영역에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은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패킷을 수신하여 자신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자신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자신의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 채널로 직접 호를 연결하여 통화한다. 이때,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 연결 시에는 액세스 포인트(AP)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이용하여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므로, 액세스 포인트(AP)를 검출하는데 드는 시간과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연결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전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서비스 이용 요금이 저렴한 근거리무선통신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의 무선통신단말기와 호 연결 시에 액세스 포인트(AP)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하므로, 액세스 포인트(AP)를 검출하는데 드는 시간과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호 연결을 요청받아 설정되어 있는 연결 모드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이동통신 우선이면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설정된 연결 모드가 근거리무선통신 우선이면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중에,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 모드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중에,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면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호를 직접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하는 과정 각각은,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말기 고유번호 저장부를 검색하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의 검색 결과,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는 제 2 과정; 및
    상기 제 1 과정의 검색 결과,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고유 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상기 착신측 무선통신단말기의 응답으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는 제 3 과정
    을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근거리무선통신 영역 내에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들에게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한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제 4 과정;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전달받는 제 5 과정; 및
    상기 발신측 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단말기 고유번호(LD_ADDR)를 이용하여 근거리무선통신 모드로 직접 호를 연결하는 제 6 과정
    을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0027203A 2003-04-29 2003-04-29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KR10103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03A KR101037500B1 (ko) 2003-04-29 2003-04-29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03A KR101037500B1 (ko) 2003-04-29 2003-04-29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23A KR20040093323A (ko) 2004-11-05
KR101037500B1 true KR101037500B1 (ko) 2011-05-26

Family

ID=373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03A KR101037500B1 (ko) 2003-04-29 2003-04-29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1B1 (ko) * 2006-06-13 2008-01-17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기
KR101147131B1 (ko) * 2006-12-22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컴퓨터 연결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52444B1 (ko) * 2010-05-24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57258B1 (ko) * 2012-05-15 2014-02-06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다중 채널 통신을 지원하는 응급 서비스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938A (ko) * 1996-10-30 1998-07-25 서정욱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마이크로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KR20020057305A (ko) * 2001-01-04 2002-07-11 김유택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KR20020079726A (ko) * 2000-12-28 2002-10-19 심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랜과 무선 광역망간의 자동의 심리스 수직 로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938A (ko) * 1996-10-30 1998-07-25 서정욱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마이크로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KR20020079726A (ko) * 2000-12-28 2002-10-19 심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랜과 무선 광역망간의 자동의 심리스 수직 로밍
KR20020057305A (ko) * 2001-01-04 2002-07-11 김유택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23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2136B2 (ja) ある移動セル式無線電話システムから別のセル式無線電話システムへ位置の更新を行う方法
EP1650992B1 (en)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EP1064805A1 (en) A dual mode terminal for accessing a cellular network directly or via a wireless intranet
KR10042960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US200800149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CN105357633B (zh) 连接建立方法及装置
JP3333471B2 (ja) 基地局装置及び回線接続制御方法
US20050159149A1 (e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760964B1 (e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JP2003339083A (ja) 携帯端末装置、通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7143038A (ja) 無線電話機能とip電話機能を有する無線端末および公衆無線回線と無線lan間のローミング方法
KR101037500B1 (ko)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US20080146209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 telephone call from one wireless network to another; and dual mode mobile telephon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5192163A (ja) 通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US69042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5039317A (ja) ネットワーク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ならびにユーザ端末
KR100509151B1 (ko) 이중 모드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JPH0983423A (ja) 衛星通信端末システム
KR20080064384A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5204213A (ja) 移動通信端末の着信制御方法、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の着信制御システム
KR20040107977A (ko)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JP5003540B2 (ja) 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518428B1 (ko) 영상 통화 연결시의 통화 접속 제어방법
JP3390398B2 (ja) Phsデータ通信カードを使用した通信システムと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