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234B1 - 2단의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2단의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234B1
KR101037234B1 KR1020090055880A KR20090055880A KR101037234B1 KR 101037234 B1 KR101037234 B1 KR 101037234B1 KR 1020090055880 A KR1020090055880 A KR 1020090055880A KR 20090055880 A KR20090055880 A KR 20090055880A KR 101037234 B1 KR101037234 B1 KR 10103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rotation
housing
arcuate
s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705A (ko
Inventor
김종연
박상진
최상탁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9005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2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은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1 회전축;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연동 부재; 하우징 커버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내에 위치한 걸림턱; 일단은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상단에 형성되며, 타단에 돌기부가 형성된 궤도부재;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를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제1 안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양 측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아치형 안내수단 및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1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2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의 힌지 모듈, 오디오 페이스 플레이트

Description

2단의 힌지 모듈{TWO STEP HINGE MODULE}
본 발명은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를 2개의 축을 중심으로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2단의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품이나 기타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해서 하우징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하우징에서는,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는 하우징 커버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하우징 커버를 열고 닫기 위해서 다양한 힌지 모듈이 사용된다.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힌지 모듈의 구조는, 하우징을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의 한쪽 측면은 회전 가능한 힌지에 의해 고정되고 한쪽 측면에 래치 등이 장착되는 구조로서, 래치의 풀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하우징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하우징 커버가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축을 기준으로 0도 내지 180도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힌지 모듈은 하우징 뿐만 아니라 휴대용 개인 단말기(예를 들어, 핸드폰)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다.
한편, 또다른 힌지 모듈의 구조는, 하우징 커버의 한쪽 측면이 회전 가능한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하우징 커버가 힌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의 측면의 하우징 커버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회전축이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채택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하우징 커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하우징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딩 하듯이 올라가면서 하우징이 개방된다. 즉, 하우징의 전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하우징을 개방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커버의 내부면이 사용자를 향하지 않고 하우징의 상부측을 향하게 되어 미관적으로 보기 좋은 형상이 된다.
그러나, 상기 힌지 모듈의 구조에서는, 측면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커버가 회전하게 되므로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하우징만이 별도로 존재하여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에 대한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 모듈의 구조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하우징이 여러 장치들과 함께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에 대한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 모듈의 구조가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힌지 모듈의 구조에서는,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에 수평으로 눕혀지는 경우, 측면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길이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게 되며, 이로 인해 간격 사이로 이물질이나 보관품 등이 들어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 나아가, 하우징 커버의 회전을 공간적인 제약 내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우징 커버의 크기를 축소해야 되고, 그로 인해 하우징의 전체 부피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를 2개의 축을 중심으로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2단의 힌지 모듈을 제공하여,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은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1 회전축;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연동 부재;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내에 위치한 걸림턱; 일단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상단에 형성되며, 타단에 돌기부가 형성된 궤도부재;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를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제1 안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양 측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아치형 안내수단 및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1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2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안내부재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레버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 및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은 궤도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에는, 일 측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벌어진 홈이 파여져 있고, 상기 홈에서 제1 회전축과 상기 연동 부재가 피봇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회전의 회전 각도는 19.5° 내지 21.5°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회전의 회전 각도는 63.75°내지 65.75°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단의 힌지 모듈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1차적으로 하우징 커버를 앞으로 밀어 내리며 회전시키고, 2차적으로 뒤로 끌어 당기며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에 밀착되어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하우징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을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 버(11)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상품이나 기타 물품들이 수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관수단을 총칭하며, 하우징 커버(11)는 이러한 하우징(10)을 개폐하거나 덮기 위한 각종의 덮개를 총징하며, 하우징(1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 커버(11)는 자동차에서 흔히 사용되는 오디오 페이스 플레이트(audio face plate)로서 각종 조작 버튼 및 스피커 등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단의 힌지 모듈(1)이 하우징(10)과 같은 보관수단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보관수단 뿐만 아니라 2단의 힌지 모듈(1)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곳이라면 임의의 장소 및 임의의 물품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은,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1 회전축(12); 하우징(10)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2 회전축(13); 제1 회전축(12)과 제2 회전축(13)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연동 부재(14);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 내에 위치한 걸림턱(19); 일단은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 상단에 형성되며, 타단에 돌기부(15a)가 형성된 궤도부재(15);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를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제1 안내부재(16); 및 하우징(10)의 양 측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아치형 궤도홈(17a) 및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을 포함하고, 제1 아치형 궤도홈(17a)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가 제1 아치형 궤도홈(17a)을 따라 1차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제2 아치형 궤도 홈(17b)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가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을 따라 2차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안내부재(17)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안내부재(16)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제2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레버 연동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제1 회전축(12)은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고, 제2 회전축(13)은 하우징(10)의 양 측면부에 제공된다. 제1 회전축(12) 및 제2 회전축(13)은, 후술될 2차 회전, 즉 하우징 커버(11)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1)가 하우징(10)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 한, 그 형성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회전축(12) 및 제2 회전축(13)은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 부재(14)와 피봇 결합된다. 제1 회전축(12)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에는, 후술될 1차 회전시 연동 부재(14)는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 커버(11)만 회전하도록, 즉,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9)은 제1 회전축(12)의 상부 방향으로 일 측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벌어진 홈으로서 표현된다. 또한, 이러한 피봇 결합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는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의 상단에는 하우징(10)을 향하여 돌출되는 궤도부재(15)가 형성된다. 궤도부재(15)의 일단은 돌기부(15a)가 형성되어, 후술될 제1 아치형 궤도홈(17a) 및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 되고, 궤도부재(15)의 타단은 하우징 커버(11)의 양 측면부 상단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궤도부재(15)는 그 돌기부(15a)가 궤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즉,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는 궤도부재(15)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볼트 및 너트의 결등 다른 부재가 결합되어 돌기형의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제1 안내부재(16)는 그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단부가 제2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되어 있다. 제1 안내부재(16)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은 직선형으로 돌기부(15a)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1차 회전 즉,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1)를 앞으로 밀어 내리며 회전할 수 있도록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봇 결합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는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안내부재(17)는 하우징(10)의 양 측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아치형 궤도홈(17a) 및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을 포함한다. 제1 아치형 궤도홈(17a)은 하우징 커버(11)의 1차 회전시,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가 궤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아치형 궤도홈(17a)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가 동일한 거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은 하우징 커버(11)의 2차 회전시,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가 궤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아치형 궤도홈(17b)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궤도부 재(15)의 돌기부(15a)가 동일한 거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레버 연동 부재(18)는 제1 안내부재(16)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일 단부가 제2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되어 있다. 이 레버 연동 부재(18)에 의하여 2차 회전시 하우징 커버(11)가 뒤로 끌어 당겨지며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피봇 결합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는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1)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2단의 힌지 모듈(1)에 의한 하우징 커버(11)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래치(도시 안됨)에 의해 하우징 커버(11)가 하우징(10)의 전면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 커버(11) 및 하우징(10)에서 사용되는 래치, 스프링, 및 댐퍼 등의 구성 및 작동 원리는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b)는 사용자에 의해 래치가 풀리게 되면서 하우징 커버(11)가 1차 회전을 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래치가 풀리게 되면 스프링에 힘에 의해 하우징 커버(11)가 뒤로 젖혀지게 되며, 우선적으로 하우징 커버(11)는 1차 회전을 하게 된다. 1차 회전은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는, 제1 안내부재(16)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제1 아치형 궤도홈(17a)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하우징 커 버(11)를 앞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1차 회전시에는 연동 부재(14)가 회전하지 않고,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하우징 커버(11)만 회전한다. 한편, 제1 회전시, 하우징 커버(11)는 걸림턱(19)에 의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회전시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20.5°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각도는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버(11)의 크기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2(c)는 하우징 커버(11)가 1차 회전을 한 후, 다시 2차 회전을 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적으로 1차 회전을 한 하우징 커버(11)는 다시 2차 회전을 하게 된다. 2차 회전은 하우징 커버(11)와 연동 부재(14)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여, 이때, 궤도부재(15)의 돌기부(15a)는 제2 아치형 궤도홈(17b) 따라 이동하며, 1차 회전시 궤도부재(15)가 제1 안내부재(16)의 개구부를 따라 더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 되어 있으므로, 제1 안내부재(16) 역시 제2 아치형 궤도홈(17b)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안내부재(16)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안내부재(16)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레버 연동 부재(18)도 회전하게 된다. 그로 인해 하우징 커버(11)가 뒤로 끌어 당겨지어 하우징(10)의 상부측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차 회전시 하우징 커버(11)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64.75°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각도는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버(11)의 크기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회전시 하우징 커버(11)가 제1 회전축(12) 을 중심으로 20.5°회전하고, 2차 회전시 하우징 커버(11)가 제2 회전축(13)을 중심으로 64.75°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각도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11)가 모든 회전을 수행하여 하우징(10)의 외부 상부측면에 안착하게 되는 경우, 전체 하우징 커버(11)의 1/3 정도만 하우징(10)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로 인해, 하우징 커버(11)의 많은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미관상 뛰어난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하우징 커버(1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커버(11)의 1차 회전 및 2차 회전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불연속적인 단계로 표현하였으나, 하우징 커버(11)의 1차 회전 및 2차 회전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단계임을 유의한다.
더 나아가, 2개의 댐퍼를 2단의 힌지 모듈(1)의 기어 메카니즘과 적절히 연결시켜 하우징 커버(11)의 1차 회전 및 2차 회전의 각도 및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하나의 회전축을 가지는 하우징 커버와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의 회전을 비교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하나의 회전축을 가지고 있는 힌지 모듈에 의해 회전을 하는 하우징 커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측면에 고정된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커버가 회전하게 되므로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하우징이 여러 장치들과 함께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에 대한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회전 도중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공간적인 제 약이 없어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의 상부면에 안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 사이의 넓은 간격이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보관품 등이 들어갈 수도 있다.
도 3(b)는 2개의 회전축을 가지고 있는 2단의 힌지 모듈(1)에 의해 회전을 하는 하우징 커버(11)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2)에 의해 1차적으로 하우징 커버(11)를 앞으로 밀어 내리며 회전하고, 제2 회전축(13)에 의해 2차적으로 하우징 커버(11)를 뒤로 끌어 당기며 회전하므로써, 하우징 커버(11)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가 하우징의 상부면에 안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하우징 커버(11)가 하우징(10)에 밀착되어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내용을 근거로 판단하면, 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반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c)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내용을 중첩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에 의해 회전을 하는 하우징 커버(11)의 회전은 종래의 그것보다 하우징 커버(11)의 높이를 기준으로 14. 88mm 낮은 범위 내에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종래의 그것보다 하우징 커버(11)의 높이를 기준으로 9.87mm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높이차는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버(11)의 크기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1)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하나의 회전축을 가지는 종래의 하우징 커버와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의 힌지 모듈(1)의 회전을 비교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단의 힌지 모듈(1) 하우징(10)
하우징 커버(11) 제1 회전축(12)
제2 회전축(13) 연동 부재(14)
궤도부재(15) 돌기부(15a)
제1 안내부재(16) 제1 아치형 궤도홈(17a)
제2 아치형 궤도홈(17b) 레버 연동 부재(18)
걸림턱(19)

Claims (6)

  1.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1 회전축;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제공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연동 부재;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내에 위치한 걸림턱;
    일단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 상단에 형성되며, 타단에 돌기부가 형성된 궤도부재;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를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제1 안내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양 측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아치형 안내수단 및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1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궤도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을 따라 2차 회전을 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재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레버 연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형 안내수단 및 상기 제2 아치형 안내수단은 궤도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양 측면부에는, 일 측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벌어진 홈이 파여져 있고, 상기 홈에서 제1 회전축과 상기 연동 부재가 피봇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회전의 회전 각도는 19.5° 내지 21.5°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회전의 회전 각도는 63.75°내지 65.75°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의 힌지 모듈.
KR1020090055880A 2009-06-23 2009-06-23 2단의 힌지 모듈 KR10103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80A KR101037234B1 (ko) 2009-06-23 2009-06-23 2단의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80A KR101037234B1 (ko) 2009-06-23 2009-06-23 2단의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05A KR20100137705A (ko) 2010-12-31
KR101037234B1 true KR101037234B1 (ko) 2011-05-25

Family

ID=4351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880A KR101037234B1 (ko) 2009-06-23 2009-06-23 2단의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142A (ko)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22B1 (ko) * 2012-08-24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704A (ko) * 2009-06-23 2010-12-31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내 수납 공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704A (ko) * 2009-06-23 2010-12-31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내 수납 공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142A (ko)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70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0377B2 (en) Electronic device adjustable display member
US8621898B2 (en) Foldable lock
US20110312392A1 (en) Mobile communicat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US9094490B2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O2011155462A1 (ja) ヒンジ装置
US9752374B2 (en) Assembly having liftable lid and movable hinge module thereof
EP246346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lovebox for automobile and glovebox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037234B1 (ko) 2단의 힌지 모듈
WO2004076786A1 (en) Door lock device
JP2012223074A (ja) 車両用充電装置の充電コネクタ保持構造
US8908370B2 (en) Electronic device
TW201326589A (zh) 卡鎖式雙軸樞紐器
CN217234111U (zh) 双轴铰链装置
KR20080107267A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5252567B2 (ja) 可動機器のロック機構、及び折り畳み式機器のロック機構
TWI578635B (zh) 容置裝置及電子設備
EP3498949B1 (en)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JP3664518B2 (ja) 跳ね上げドア用のヒンジ
KR101014882B1 (ko) 양 방향 개폐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 방향 개폐기기
JP4393057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装置
TWI541449B (zh) 具可掀式蓋體的組合件及其可移動的轉軸模組
KR101535001B1 (ko) 경첩 구조
CN218226588U (zh) 工具盒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4376001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