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009B1 -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009B1
KR101036009B1 KR1020090075136A KR20090075136A KR101036009B1 KR 101036009 B1 KR101036009 B1 KR 101036009B1 KR 1020090075136 A KR1020090075136 A KR 1020090075136A KR 20090075136 A KR20090075136 A KR 20090075136A KR 101036009 B1 KR101036009 B1 KR 10103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oding matrix
base station
terminal
beamforming vector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378A (ko
Inventor
김지형
신우람
권동승
예충일
홍인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098014069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32272A/zh
Priority to JP2011522913A priority patent/JP5231645B2/ja
Priority to PCT/KR2009/004560 priority patent/WO2010019015A2/en
Priority to EP09806877.8A priority patent/EP2316174B1/en
Priority to TW098127444A priority patent/TWI435559B/zh
Priority to US13/058,939 priority patent/US8571128B2/en
Publication of KR2010002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단말이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빔포밍, 사전코딩, PMI

Description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Method to generate beamforming vecto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for generating beamforming vector}
본 발명은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통신 시스템은 다중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으로, 기지국과 단말의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각각의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은 빔포밍 벡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빔포밍 벡터는 인접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인접셀 간섭을 고려한 빔포밍 벡터의 생성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접셀 간섭을 고려한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단말이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간섭 전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에서 단말로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로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간섭 전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1 사 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SINR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과 인접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널링을 위한 사전코딩 행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셀 간섭을 고려한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 서빙 기지국(200) 및 복수의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을 포함한다.
서빙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채널 측정을 수행하고, 채널 측정을 기초로 단말(100)이 사전코딩 행렬 인덱스 결합[Precoding Matrix index(PMI) combination, 이하, "PMI 결합"이라 함)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
여기서, PMI 결합은 단말(100)이 코드북({W j})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중 일부를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서빙 기지국(200)은 PMI 결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간섭량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200)은 간섭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이상인 경우, 단말(100)에 의한 간섭의 영향이 크다고 파악하여, PMI 결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간섭량으로 열 잡음에 대한 간섭량(interference over thermal, IoT), 신호 대 간섭잡음 비율(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캐리어 대 잡음 비율(Carrier to interface ratio, CIN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MI 결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서빙 기지국(200)은 PMI 결합의 수행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202). 이러한 메시지로는 맵(MAP) 관리(management)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은 복수의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 중 단말(100)에 의한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을 파악한다.
단말(100)에 의한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이용하여 수학식 1과 같은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1
수학식 1에서 p는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의 인덱스이고, q는 서빙 기지국(200)의 인덱스이며, i는 단말(100)의 인덱스이다. RSSIp ,i는 인덱스가 p인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를 나타내고, RSSIq ,i는 인덱스가 q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를 나타내고, 수학식 1에 의해 RSSIp ,i에서 RSSIq ,i를 뺀 값이 최대가 되는 인접 기지국을 단말(100)은 단말(100)에 의해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300_P)으로 파악한다.
이후, 단말(100)은 수학식 1에 의해 파악된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300_P)의 인덱스(P)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S203), 서빙 기지국(200)은 인접 기지국(300_P)으로 인접 기지국(300_P)이 단말(100)에 의해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204).
이후, 서빙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 예를 들어, 사운딩 신호(sounding signal)를 이용하여 단말(100)과 서빙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H S)을 측정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단말(100)로부터 서빙 기지국(200)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 인덱스(PMIMax)를 선택한다(S205). 단말(100)과 서빙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에 대한 SINR을 최대화하기 위한 행렬이 단말(100)로부터 서빙 기지국(200)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행렬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빙 기지국(200)은 코드북({W j})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단말(100)과 서빙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 행렬(H S)과의 곱(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2
)의 크기를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인덱스를 PMIMax로 선택한다. 이 경우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3
행렬의 크기를 수학식 2처럼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4
행렬의 놈(norm)의 제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5
수학식 2에서 W j는 코드북{W j}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각각을 의미한다.
한편, 수학식 1에 의해 단말(100)에 의해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으로 결정된 인접 기지국(300_P)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 예를 들어, 사운딩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00)과 인접 기지국(300_P) 사이의 채널(H I)을 측정하고, 수학식 3를 이용하여 단말(100)로부터 인접 기지국(300_P)으로의 간섭의 영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 인덱스(PMIMin)를 선택한다(S206). 단말(100)과 인접 기지국(300_P) 사이의 채널에 대한 널링(nulling)을 위한 행렬이 이용하여 단말(100)로부터 인접 기지국(300_P)으로의 간섭의 영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접 기지국(300_P)은 코드북({W j})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단말(100)과 인접 기지국(300_P) 사이의 채널 행렬(H I)과의 곱(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6
)의 크기를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인덱스를 PMIMin으로 선택한다. 이 경우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7
행렬의 크기를 수학식 3처럼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8
행렬의 놈(norm)의 제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9731995-pat00009
인접 기지국(300_P)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코드북({W j})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단말(100)로부터 인접 기지국(300_P)으로의 채널 행렬(H I)과의 곱이 최소가 되는 사전코딩 행렬 인덱스(PMIMin)를 선택한다.
이후, 인접 기지국(300_P)은 선택된 PMIMin을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S207), PMIMin을 수신한 서빙 기지국(200)은 PMIMax 및 PMIMin을 단말(100)로 전송한다(S208).
PMIMax 및 PMIMin을 수신한 단말(100)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PMIMax 및 PMIMin 에 각각 대응하는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W)를 생성한다(S209).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0
수학식 4에서 α는 PMIMax에 대한 사전코딩 행렬인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1
와 PMIMin에 대한 사전코딩 행렬인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2
의 결합 비율을 나타내는 계수로, 인덱스가 P인 인접 기 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P ,i)에서 인덱스가 q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q ,i)를 뺀 값이 속하는 범위를 기초로,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3
If( RSSIP ,i - RSSIq ,i < T1), = K1
If( T1 ≤ RSSIP ,i - RSSIq ,i ≤ T2),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4
= K2
If( T2 < RSSIP ,i - RSSIq ,i),
Figure 112009049731995-pat00015
= K3
수학식 5에서 T1, T2, K1, K2 및 K3는 실험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이다.
수학식 5를 참고하면,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위치하여, 인덱스가 P인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P ,i)에서 인덱스가 q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q,i)를 뺀 값이 T1보다 작은 경우, 결합 비율 α는 K1이다.
반면,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100)과 인접 기지국(300_P)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여, 인덱스가 P인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P ,i)에서 인덱스가 q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q,i)를 뺀 값이 T2보다 큰 경우, 결합 비율 α는 K3이다.
또한, 인덱스가 P인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P ,i)에서 인덱스가 q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가 i인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RSSIq,i)를 뺀 값이 T1 보다 크거나 같고 T2 보다 작은 경우, 결합비율 α는 K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변조기(110), 빔포밍 벡터 생성기(120), 곱셈기(130) 및 복수의 안테나(140_1, 140_2,..., 140_n)을 포함한다.
변조기(110)는 입력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심볼들을 출력한다.
빔포밍 벡터 생성기(120)는 복수의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 중 단말(100)에 의한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인접 기지국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파악된 인접 기지국(300_P)을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PMIMax 및 PMIMin를 기초로,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한다.
곱셈기(130)는 변조기(110)로부터 출력된 심볼들에 빔포밍 벡터 생성기(120)에서 생성된 빔포밍 벡터를 적용하여 복수의 안테나(140_1, 140_2,..., 140_n)를 통해 송신한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200)으로부터 PMIMax와 PMIMin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단말(100)이 PMIMax와 PMIMin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단말(100)과 서빙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에 대한 SINR을 최대화하기 위한 사전코딩 행렬의 인덱스를 PMIMax로 선택하고, 단말(100)과 인접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널링(nulling)을 위한 사전코딩 행렬의 인덱스를 PMIMin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4 및 5에서는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두 개의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 비율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간섭량, 예를 들면 IoT 레벨에 따라 결합 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접 기지국의 IoT 레벨이 높을 경우, 다시 말해 인접 기지국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경우, 널링을 위한 행렬의 비율을 높이고, IoT 레벨이 낮을 경우, 단말(100)과 서빙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에 대한 SINR을 최대화하기 위한 행렬의 비율을 높인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간섭량, 예를 들면 IoT 레벨을 기초로 빔포밍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은 서빙 기지국(200)에서 부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에 따라 부채널 별로, 또는 임의의 권역 별로 IoT 레벨을 측정하고, 서빙 기지국(200)으로 IoT 레벨이 높은 부채널 인덱스, 또는 권역 인덱스를 전송한다.
이후, 서빙 기지국(200)은 인접 기지국(300_1, 300_2,..., 300_n)으로부터 받은 IoT 레벨이 높은 부채널 인덱스, 또는 권역 인덱스를 사용하는 단말로 IoT 레벨이 높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IoT 레벨이 높은 부채널, 또는 권역을 사용하는 단말은 현재의 프레임에 적합한 빔포밍 벡터를 생성할 때, 이전 프레임에서 사용했던 빔포밍 벡터를 제외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벡터 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단말이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간섭 전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결합 시에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과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 비율은,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결정되는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결합 시에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과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 비율은,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에서 상기 서 빙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를 뺀 값을 기초로 생성되는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기지국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인접한 경우,
    상기 인접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수신신호강도를 뺀 값이 최대가 되는 기지국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코드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서빙 기지국 사이의 채널 행렬과의 곱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코드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의 채널 행렬과의 곱의 크기가 최소가 되는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코드북에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인덱스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9. 서빙 기지국에서 단말로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코딩 행렬의 결합에 사용할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간섭 전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단말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기지국인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코드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서빙 기지국 사이의 채널 행렬과의 곱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코드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 중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의 채널 행렬과의 곱의 크기가 최소가 되는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사전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코드북에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에 대한 인덱스인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14. 단말이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 및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을 선형 결합하여 빔포밍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SINR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이며,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과 인접 기지국 사이의 채널에 대한 널링을 위한 사전코딩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코딩 행렬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의 전송 전력을 최대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코딩 행렬은,
    단말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간섭의 영향을 최소로 하는 사전코딩 행렬인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KR1020090075136A 2008-08-14 2009-08-14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KR10103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0697XA CN102232272A (zh) 2008-08-14 2009-08-14 生成波束形成向量并且提供用于生成波束形成向量的信息的方法
JP2011522913A JP5231645B2 (ja) 2008-08-14 2009-08-14 ビームフォーミングベクトル生成方法およびビームフォーミングベクトル生成情報提供方法
PCT/KR2009/004560 WO2010019015A2 (en) 2008-08-14 2009-08-14 Method to generate beamforming vecto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for generating beamforming vector
EP09806877.8A EP2316174B1 (en) 2008-08-14 2009-08-14 Method to generate beamforming vecto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for generating beamforming vector
TW098127444A TWI435559B (zh) 2008-08-14 2009-08-14 產生成束向量的方法及提供用以產生成束向量之資訊的方法
US13/058,939 US8571128B2 (en) 2008-08-14 2009-08-14 Method to generate beamforming vecto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for generating beamforming v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9815 2008-08-14
KR1020080079815 2008-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78A KR20100021378A (ko) 2010-02-24
KR101036009B1 true KR101036009B1 (ko) 2011-05-23

Family

ID=4209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136A KR101036009B1 (ko) 2008-08-14 2009-08-14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71128B2 (ko)
EP (1) EP2316174B1 (ko)
JP (1) JP5231645B2 (ko)
KR (1) KR101036009B1 (ko)
CN (1) CN102232272A (ko)
TW (1) TWI435559B (ko)
WO (1) WO20100190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8428B (zh) * 2009-03-17 2016-06-11 皇家飛利浦電子股份有限公司 在網路中通信的方法、副站台及主站台
WO2011049295A2 (en) * 2009-10-19 2011-04-2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recording inform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multi base station mimo system
WO2011074761A1 (ko)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의 스테이션간 간섭 절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605803B2 (en) * 2010-03-15 2013-12-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uplink multi-base station interference
US8509319B2 (en) * 2010-10-06 2013-08-13 Motorola Mobility Llc Uplink precoding for retransmission without explicit precoding instruction
KR101610452B1 (ko) * 2011-03-10 2016-04-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간섭 조정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
KR20130054662A (ko) * 2011-11-17 201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펙터 값 결정 방법 및 장치
US9467871B2 (en) * 2012-09-28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coordinated beamforming systems and methods
KR101992593B1 (ko) 2013-04-10 201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릴레이 단말들을 이용하여 시간-공간 블록 코드 기법 기반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방법 및 중계 시스템
US10231249B2 (en) 2014-05-28 2019-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through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and base station
US10056926B2 (en) * 2014-11-20 2018-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cell information for cancelling inter-cell interference
CN109831823B (zh) * 2017-11-23 2021-01-1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30155645A1 (en) * 2021-11-12 2023-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301A (ko) * 2000-07-21 2002-01-30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법 및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KR20050020576A (ko) * 2003-08-18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20080059672A (ko) * 2005-10-27 2008-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imo 시스템에 대한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6077B4 (de) 2000-05-25 2007-03-22 Siemens Ag Strahlformungsverfahren
US8130862B2 (en) 2004-11-16 2012-03-06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40 Llc Preco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transmission in multiple antenna wireless systems
US20060268623A1 (en) * 2005-03-09 2006-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closed-loop MIMO system
US20060281462A1 (en) * 2005-06-14 2006-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352883A (ja) * 2005-06-14 200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遂行のための方法
US7630337B2 (en) * 2005-09-21 2009-12-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improved user group selection scheme with finite-rat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FDD multiuser MIMO downlink transmission
KR100819285B1 (ko) 2006-03-16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피드 백 정보 송/수신방법 및 그 시스템
TWI343200B (en) 2006-05-26 2011-06-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generation using phase-shift based pre-coding
CN101094022B (zh) 2006-06-19 2012-12-19 联想(北京)有限公司 发射机、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CN101141166B (zh) 2006-09-08 2011-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装置
KR20080026010A (ko) * 2006-09-19 2008-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송수신 장치
US7961640B2 (en) 2006-10-26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exchange in a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0543A (ko) * 2006-11-02 2008-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천이 기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US7961775B2 (en) 2007-01-09 2011-06-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elta quantizer for MIMO pre-coders with finite rat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JP4235239B2 (ja) 2007-09-27 2009-03-11 京セラ株式会社 移動局、通信制御方法
US8140098B2 (en) * 2008-05-15 2012-03-20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interference mitig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301A (ko) * 2000-07-21 2002-01-30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법 및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KR20050020576A (ko) * 2003-08-18 200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20080059672A (ko) * 2005-10-27 2008-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imo 시스템에 대한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1645B2 (ja) 2013-07-10
US20110150132A1 (en) 2011-06-23
TW201014232A (en) 2010-04-01
EP2316174A2 (en) 2011-05-04
EP2316174B1 (en) 2013-10-16
EP2316174A4 (en) 2012-07-18
US8571128B2 (en) 2013-10-29
WO2010019015A3 (en) 2011-07-28
TWI435559B (zh) 2014-04-21
JP2012506166A (ja) 2012-03-08
WO2010019015A2 (en) 2010-02-18
KR20100021378A (ko) 2010-02-24
CN102232272A (zh)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009B1 (ko) 빔포밍 벡터 생성 방법 및 빔포밍 벡터 생성 정보 제공 방법
US1168925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258123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03907389B (zh) 协同多点系统中的链路自适应
KR101241910B1 (ko) 다중 셀 환경에서 사운딩 채널을 이용한 협력적 mimo 기법
KR1021007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그룹핑을 통한 레퍼런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488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35846B1 (ko) 다중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US8948098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using precoding for supporting MU-MIMO, and base station supporting the frame transmission method
CN109660284A (zh)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KR101727016B1 (ko) 상향 링크에서의 다중 사용자 간섭 정렬 시스템 및 방법
WO2015186380A1 (ja) 端末装置、基地局、及びプログラム
US11115097B2 (en) Adaptive explicit CSI feedback and overhead reduction
US913773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selection method
US9854490B2 (en) Rank indicator inheritance for subframe restric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US20130286940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base st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KR20220002569A (ko)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의 송신
KR101022120B1 (ko) 빔포밍을 위한 가중치 행렬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77185A (ko) 협력적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기반의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KR101765546B1 (ko)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
KR101701857B1 (ko) 다중 기지국 상향링크 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 정보를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00005171A (ko) 다중모드 코드북 기반의 mimo 운영 방법 및 그 방법을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WO2022228663A1 (en) Determination of uplink mimo transmission state for a ue
CN118158697A (zh) 参数配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8041406A (zh) 波束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