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968B1 -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968B1
KR101035968B1 KR1020080100883A KR20080100883A KR101035968B1 KR 101035968 B1 KR101035968 B1 KR 101035968B1 KR 1020080100883 A KR1020080100883 A KR 1020080100883A KR 20080100883 A KR20080100883 A KR 20080100883A KR 101035968 B1 KR101035968 B1 KR 101035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creen
movement
cei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617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968B1/ko
Priority to JP2011528957A priority patent/JP2012503521A/ja
Priority to PCT/KR2009/005883 priority patent/WO2010044594A2/ko
Priority to CN2009801409287A priority patent/CN102186540A/zh
Publication of KR2010004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통로 또는 계단 등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작동되는 것에 의해 제연스크린이 바닥에 근접되게 구비됨으로써, 유해 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가능하도록 한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제연, 경계벽, 경계스크린, 유해 가스, 화재

Description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screen system for smoke-proof}
본 발명은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통로 또는 계단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나오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작동하여 유해 가스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가능하게 함으로써 유해 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방지가능하도록 한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지하철역, 지하쇼핑몰 등과 같은 건축물의 통로 또는 계단에는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연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제연경계벽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지하철역 내에 설치된 종래의 일반적인 제연경계벽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시 유해 가스가 계단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천정(A)에 일단이 고정되어 계단(B)의 폭방향으로 제연경계벽(10)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연경계벽(10)의 타단과 계단(B)의 바닥면의 높이는 사람들이 이동을 고려하여 대략 2M 정도 즉, 천정(A)으로부터 약 70~80cm 높이로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연경계벽(10)이 계단(B)의 바닥으로부터 높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상기 제연경계벽(10)에 의해 차단되는 시간이 짧아 유해 가스가 유출되는 것에 의해 화재발생시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통로 또는 계단 등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작동되는 것에 의해 제연스크린이 바닥에 근접되게 구비됨으로써, 유해 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가능하도록 한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 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작동수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자유단과 이격됨에 따른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따르면, 사람의 이동이 가능한 통로 또는 계단 등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작동됨에 따른 천정으로부터 바닥에 근접하게 제연용스트린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해 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화재시 발생된 유해 가스를 감지하여 구동되는 것에 의해 통로(계단)의 일부를 폐쇄시켜 유해 가스의 빠른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사람들의 이동은 자유롭게 하여 유해 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가 계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는, 계단(D)의 천정(C)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도록 천정(C)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110)와, 천정(C)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120)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133)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130)과, 상기 제연경계벽(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140)와, 상기 수용부재(140)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130)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150)와,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130)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작동수단(130)은 상기 제연경계벽(120)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유단과 이격됨에 따른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170)에 의해 고정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의 감지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측으로 감지된 값을 신속하게 인가가능하록 계단(D)의 천정(C)에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브라켓(170)은, 제연경계벽(1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130)과 제연용스크린부재(150)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재(140)를 설치가능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경계벽(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71)과, 상기 고정편(171)으로부터 일방향 및 하향 절곡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70)이 제연경계벽(12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173)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수용절곡편(17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절곡편(173)에는 상기 작동수단(130)의 걸림용부재(133)를 관통시키도록 관통홀(174)이 형성된다.
상기한 작동수단(13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수용부재(140)의 타단을 걸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130)은, 상기 고정브라켓(170)의 수용절곡편(172) 외측면에 고정된 하우징(131)에 내설되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132)와, 상기 솔레노이드(132)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174)을 관통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32)의 구동에 대응되게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은 상기 수용부재(140)의 타단을 각각 걸림시키도록 다수개의 걸림용 돌기(134)가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포크 형상의 걸림용부재(133)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130)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재연스크린부재(150)를 수용하고 아울러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재연스크린부재(150)가 펼쳐질 수 있도록 일단은 제연경계벽(120)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130)에 걸림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부재(140)는 제연경계벽(120)의 폭에 대응되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연경계벽(120)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수단(130)의 걸림용부재(133)에 돌출 형성된 걸림용 돌기(134)를 각각 관통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4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걸림용부재(133)의 걸림용돌기(134)와 상기 걸림용돌기(134)에 대응되게 수용부재(140)에 형성된 홀(1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형있게 걸림시킴과 아울러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다수개로 형성하고 있으나 하나의 걸림용돌기와 이에 대응되게 수용부재에도 하나의 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연용스크린부재(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계단(통로) 바닥에 근접되는 부분까지 폐쇄시키되, 피난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도 4 참조)
즉, 제연용스크린부재(150)는 단일의 제연용스크린편(151)을 복수개 구비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연용스크린편(151)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으로 플렉시블하게 직사각형사의 판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수용부재(140)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연용스크린편(151)의 길이 방향 양측면은 피난자의 피부에 상해를 방지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150)의 제연용스크린편(151)은 펼쳐짐에 따른 유해 가스가 용이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일부를 서로 중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연용스크린부재(150)의 제연용스크린편(151)은 작동수단(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펼쳐짐에 따른 피난자가 이동로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된다.
첨부된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0)는, 천정(C)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1110)와, 천정(C)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1120)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1130)과, 상기 제연경계벽(1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1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1120)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1140)와, 상기 감지부(1110)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1130)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1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작동수단(1130)은 상기 제연경계벽(1120)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유단과 이격됨에 따른 공간부(1163)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1160)에 의해 고정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0)의 감지기(1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여 제어부(1150)측으로 감지된 값을 신속하게 인가가능하록 계단(D)의 천정(C)에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브라켓(1160)은, 제연경계벽(1120)에 고정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1130)과 제연용스크린부재(1140)를 설치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경계벽(1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161)과, 상기 고정편(1161)으로부터 일방향 및 하향 절곡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60)이 제연경계벽(112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1163)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수용절곡편(116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절곡편(1162)에는 상기 작동수단(1130)의 걸림용부재를 관통시키도록 관통홀(1164)이 형성된다.
상기한 작동수단(1130)은, 제어부(115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공간부(1163)에 일단이 제연경계벽에 고정된 제연용스크린부재(1140)의 타단을 걸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수단(1130)은, 상기 고정브라켓(1160)의 수용절곡편(1162) 외측면에 고정된 하우징(1131)에 내설되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1132)와, 상기 솔레노이드(1132)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상기 관통홀(1164)을 관통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132)의 구동에 대응되게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은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1140)의 타단을 각각 걸림시키도록 다수개의 걸림용 돌기(1134)가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포크 형상의 걸림용부재(1133)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연용스크린부재(11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1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계단(D)(통로) 바닥에 근접되는 부분까지 폐쇄시키되, 피난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연용스크린부재(1140)는 단일의 제연용스크린편(1141)을 복수개 구비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연용스크린편(1141)은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으로 플렉시블하게 직사각형사의 판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재연경계벽(1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1130)의 걸림용 돌기(1134)에 걸림되도록 걸림홀(1142)이 형성되면, 양측면은 피난자의 피부에 상해를 방지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1140)의 제연용스크린편(1141)은 펼쳐짐에 따른 유해 가스가 용이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양측면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홀(1142)에는 작동수단(1130)의 걸림용 돌기(1134)로부터 제연용스크린편(1141)이 각각 용이하게 이탈가능하도록 링부재(도면부호 생략)가 개재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연용스크린부재(1140)의 제연용스크린편(1141) 작동수단(1130)의 구동에 대응되게 펼쳐짐에 따른 피난자가 이동로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작동수단(130,1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연용스크린부재(150,1140)를 걸림시켜 구동하는 것에 의해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걸림용부재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일단에 걸림돌출부를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하고 저면에 랙기어를 형성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일단이 기어물림되는 웜기어를 형성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을 연결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일단에 걸림용돌기부를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여 유압 또는 공압의 유입출에 대응되게 피스톤을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는바, 상기 작동수단은 제연용스크린부재를 걸림시킴과 아울러 구동하는 것에 의해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족할 것이다.
이와 같기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의 작동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유해 가스가 발생되면, 천정(C)에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감지부(110)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10)의 감지로 인하여 제어부(160)는 고정브라켓(170)에 고정된 작동수단(130)측으로 제어신호 즉,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전원인가로 인하여 상기 작동수단(130)의 걸림용부재(133)는 하우징(131)에 내설된 솔레노이드(132)측으로 수용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용부재(133)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걸림용돌기(134)에 걸림된 수용부재(140)가 걸림 해제된다.
상기 수용부재(140)가 걸림용돌기(134)로부터 걸림 해제됨과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용스크린부재(150)가 계단(D)의 바닥에 근접되게 펼쳐진다.
이와 같이 제연용스크린부재(150)가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는 제연경계벽(120) 뿐만 아니라 바닥에 근접되게 펼쳐진 제연용스크린부재(150)에 의해 차단된다.
이때 피난자는 펼쳐진 투명한 폴리에스테르수지로 형성된 제연용스크린부재(150)의 제연용스크린편(152)을 통하여 진행방향의 이동로를 확보하면서 이동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는 화재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투명한 폴리에스테르수지로 형성된 제연용스크린부재를 통과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자는 피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1000)의 작동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작용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제연용 경계벽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예에 따른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0 ;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110,1110 ; 감지부
120,1120 ; 제연경계벽 130, 1130 ; 작동수단
140 ; 수용부재 150,1140 ; 제연용스크린부재
160,1150 ; 제어부 170,1160 ; 고정브라켓

Claims (11)

  1.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에 걸림용돌기부를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여 유압 또는 공압의 유입출에 대응되게 피스톤을 갖추어 하우징에 내설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2.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에 걸림돌출부를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하고 저면에 랙기어를 형성한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일단이 기어물림되는 웜기어를 형성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을 연결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3.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자유단과 이격됨에 따른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제연경계벽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되, 작동수단의 걸림용부재를 관통시키도록 관통홀이 천공된 수용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4.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연경계벽의 자유단과 이격됨에 따른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제연경계벽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되, 작동수단의 걸림용부재를 관통시키도록 관통홀이 천공된 수용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고정브라켓의 수용절곡편 외측면에 고정된 하우징에 내설되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대응되게 인,입출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은 수용부재의 타단을 각각 걸림시키도록 한개 또는 다수개의 걸림용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림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6.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재는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연용스크린부재를 수용시켜 상기 작동수단의 걸림용부재에 돌출 형성된 걸림용 돌기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는, 단일의 제연용스크린편을 복수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제연용스크린부재를 구성하도록 직사각형사의 판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수용부재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되, 제연용스크린편은 펼쳐짐에 따른 유해 가스가 용이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일부를 서로 중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8.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는 단일의 제연용스크린편을 복수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제연용스크린부재를 구성하도록 직사각형사의 판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재연경계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걸림용 돌기에 걸림되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면, 양측면은 피난자의 피부에 상해를 방지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연용스크린부재의 제연용스크린편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펼쳐짐에 따른 피난자가 이동로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폴리에스테르수지 둥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10.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대응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에 걸림돌출부를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하고 저면에 랙기어를 형성한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일단이 기어물림되는 웜기어를 형성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을 연결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11.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통로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부와;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갖는 제연경계벽의 일면에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걸림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 구비되는 작동수단과;
    상기 제연경계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걸림 해제되는 것에 의해 재연경계벽을 연장시켜 유해 가스의 이동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피난자의 이동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연용스크린부재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되어 인가된 값에 대응되게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일단에 걸림용돌기부를 다수개 일체로 형성하여 유압 또는 공압의 유입출에 대응되게 피스톤을 갖추어 하우징에 내설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KR1020080100883A 2008-10-14 2008-10-14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KR101035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83A KR101035968B1 (ko) 2008-10-14 2008-10-14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JP2011528957A JP2012503521A (ja) 2008-10-14 2009-10-13 防煙垂壁用スクリーン装置
PCT/KR2009/005883 WO2010044594A2 (ko) 2008-10-14 2009-10-13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CN2009801409287A CN102186540A (zh) 2008-10-14 2009-10-13 挡烟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83A KR101035968B1 (ko) 2008-10-14 2008-10-14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17A KR20100041617A (ko) 2010-04-22
KR101035968B1 true KR101035968B1 (ko) 2011-05-23

Family

ID=4221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883A KR101035968B1 (ko) 2008-10-14 2008-10-14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971B1 (ko) * 2009-01-20 2011-05-23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314U (ko) * 1973-08-10 1975-04-26
JPH09187524A (ja) * 1996-01-09 1997-07-22 Nippon Gurasufuaibaa Kogyo Kk 延焼防止装置
JP2002327586A (ja) * 1998-06-25 2002-11-15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装置および開閉体の閉鎖方法
KR20030063637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 모터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314U (ko) * 1973-08-10 1975-04-26
JPH09187524A (ja) * 1996-01-09 1997-07-22 Nippon Gurasufuaibaa Kogyo Kk 延焼防止装置
JP2002327586A (ja) * 1998-06-25 2002-11-15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装置および開閉体の閉鎖方法
KR20030063637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 모터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17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7669B2 (ja) 火災時避難支援システム
US20080041598A1 (en) Mobile smoke control and fire protection device
KR102167186B1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035968B1 (ko)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0597058B1 (ko)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101225755B1 (ko)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JP6489614B2 (ja) 開閉体自動閉鎖装置及び開閉体自動閉鎖方法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KR101035971B1 (ko)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20100041618A (ko)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0410436Y1 (ko) 아파트 발코니 화염차단장치
JP2010144443A (ja) 開閉体装置
JP2012503521A (ja) 防煙垂壁用スクリーン装置
KR100820989B1 (ko) 방화도어 무빙프레임 시스템
JP2010242383A (ja) 開閉体装置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JP3097543B2 (ja)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防煙区画構造
KR101343047B1 (ko) 방화 커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