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772B1 -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 Google Patents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772B1
KR101034772B1 KR1020100016639A KR20100016639A KR101034772B1 KR 101034772 B1 KR101034772 B1 KR 101034772B1 KR 1020100016639 A KR1020100016639 A KR 1020100016639A KR 20100016639 A KR20100016639 A KR 20100016639A KR 101034772 B1 KR101034772 B1 KR 10103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integrated
platform
photovoltaic panel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앤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앤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앤썬
Priority to KR102010001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간이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의 일주방향에 따라 최적의 태양광집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광전지판의 각도 및 방향을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간이버스승강장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간이버스승강장은, 승객이 머물 수 있는 승강장(10)과 상기 승강장(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부착되는 태양광전지판(30)과 상기 몸체부(20)와 태양광전지판(30)의 사이에 연결되는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간이버스정류장은 태양광전지판(3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출력단자(60)가 더 구비되어 완성된다.

Description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INTEGRATED BUS STATION WITH SOLAR PHOTOVOLTAIC PANELS}
본 발명은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의 일주방향에 따라 최적의 태양광집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광전지판의 각도 및 방향을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간이버스승강장이다.
통상적으로 버스에 승하차하기 위한 간이정류장의 경우 외진 곳에 설치되거나, 전력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간이정류장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선을 연장하여 설치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전력선을 연장하여 설치하지 않고,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하는 간이버스정류장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버스정류장의 경우 태양광전지판이 천편일률적으로 정류장의 지붕에 부착되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도로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간이버스정류장의 특성상 도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태양의 일주방향과는 상관없이 도로의 방향에 의해서만 결정되었다. 이러한 경우 곡선형의 도로에 간이정류장이 설치될 때에는 태양광전지판이 향하는 방향이 각기 달라, 태양광의 집적효율이 나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비율이 제각기 달라 비효율적인 구성이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태양의 일주방향에 맞게 방향전환 및 각도변화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하는 간이버스정류장 및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일체형 태양광버스승강장 조명장치를 구비한 간이버스정류장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정류장은 태양의 일주방향에 따라 태양광전지판의 방향 및 각도변화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간이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인성이 좋으며, 전력소모량이 적은 안내판을 구비하는 일체형 간이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정류장은 승객이 머물 수 있는 승강장(10)과 상기 승강장(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부착되는 태양광전지판(30)과 상기 몸체부(20)와 태양광전지판(30)의 사이에 연결되는 브라켓(40)과 상기 승강장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태양광전지판(3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내장하는 제어장치부(50)와 상기 승강장(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장치부(50)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출력단자(60)와 상기 승강장(10)의 전면부 상단에 위치하는 알림판(70) 및 상기 알림판(70)의 일측에 위치하는 시계(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정류장을 제공함으로써, 전력공급이 난해한 지역에 설치되는 일체형간이버스정류장에 태양광에너지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공급하여 조명 등에 사용할 수 있어서, 별도의 전력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태양의 일주방향에 맞게 태양광전지판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의 집적효과가 높아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전력의 시인성이 높은 알림판을 구비함으로써,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태양광전지판(30)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태양광전지판(30)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몸체부(20)와 브라켓(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은 승객이 머물 수 있는 승강장(10)과 상기 승강장(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부착되는 태양광전지판(30)과 상기 몸체부(20)와 태양광전지판(30)의 사이에 연결되는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체형간이버스정류장은 태양광전지판(30)으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내장하는 제어장치부(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부(50)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출력단자(6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출력단자(60)는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장의 상황에 따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외부기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CCTV 또는 안전용 비상벨 및 외부전산망과 연동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장(10)의 전면부 상단에는 알림판(70)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알림판(70)은 승강장의 특성상 현재승강장의 명칭 전승강장의 명칭 및 후승강장의 명칭이 기록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알림판(70)의 일측에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80)를 더 구비하여 현재시각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알림판(70)은 LED를 활용하여 소모되는 전력량이 적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정류장은 전원공급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는데, 태양광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일몰시 배터리에 저장되어있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승강장(10)의 조명 및 알림판(70)을 구동시키는데 활용된다.
도 2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간이버스승강장의 태양광전지판(30)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전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간이버스승강장의 태양광전지판(30)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의 몸체부(20)와 브라켓(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20)는 상부기둥(21)과 하부기둥(2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기둥(21)은 하부기둥(2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기둥(21)의 일측에 결합되는 태양광전지판(3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부기둥(21)의 단부에는 안내기둥(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둥(21)의 단부에는 요철부(2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기둥(23)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볼트결합홀(2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기둥(23)은 하부기둥(22)의 내측에 형성된 홀(29)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기둥(23)이 내삽되는 홀(29)은 하부기둥(22)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둥(22)의 일측에는 안내기둥(23)이 홀에 삽입된 후 고정할 수 있는 체결볼트(26)가 삽입되는 볼트체결홀(2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기둥(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요철부(24)는 하부기둥(22)의 단부에 형성된 요철부(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방향전환이 용이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24, 25)는 상부기둥(21) 및 하부기둥(22)의 구심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20)는 태양광전지판(30)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데, 하부기둥(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볼트(26)를 제거한 후, 상기 하부기둥(22)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기둥(21)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방향전환을 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방향전환을 한 후, 다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기둥(21) 및 하부기둥(2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24, 25)를 대응시켜 결합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기둥(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24)의 나사산과 하부기둥(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25)의 나사홈을 대응시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부기둥(21)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기둥(22)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기둥(21)의 방향을 전환한 후 체결볼트(26)를 하부기둥(22)에 결합하게 되면 방향전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볼트(26)는 하부기둥(22)과 상부기둥(21)을 동시에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기둥(21)의 상측에는 태양광전지판(30)을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40)이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40)은 태양광전지판(30)을 태양의 일주방향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40)의 받침부(41)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제1요철부(44)가 형성되고, 받침상부(42)의 상단부에도 한 쌍의 제2요철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요철부(44)와 제2요철부(45)가 마주보도록 위치한 후 체결볼트(43)를 체결하여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상기와 같은 브라켓(40)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는 체결볼트(43)를 이용하여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의 사이에는 제1요철부(44)와 제2요철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요철부(44, 45)가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41)의 하단에 한 쌍의 제1요철부(44)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받침상부(42)의 하단에 한 쌍의 제2요철부(45)를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요철부(44)에 제2요철부(45)를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체결볼트(43)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44) 및 제2요철부(45)는 원주의 형태로 분포되는데, 받침부(41)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44)는 180°원주의 형태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받침상부(42)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45)는 270°원주의 형태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태양광전지판(30)이 변환되는 각도는 90°이내에서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태양의 일주 궤적이 180°이내에서 일어나나 실질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최적의 각도를 설정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치장소에 따라 태양광의 집광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태양광전지판(30)의 설치각도를 설정해야 하고 설정 각도는 90°이내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설치자의 실수로 인하여 90°의 각도를 벗어나서 설치할 경우 제1요철부(44)와 제2요철부(45)가 방사형으로 설치된 각도이상으로 태양광전지판(30)이 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90°이내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40)의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의 상측에 태양광전지판(30)이 설치되고, 태양광의 일주방향에 따라 설치시에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브라켓(40)은 몸체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받침부(41)에 결합되는 받침상부(42)를 회동시켜 태양광전지판(3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가 체결볼트(4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광전지판(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볼트(43)를 풀어낸 후, 받침상부(42)를 회동시켜 태양광전지판(3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태양광전지판(30)의 각도가 조절된 후, 체결볼트(43)를 체결하여 받침상부(42)와 받침부(41)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41)와 받침상부(4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요철부(44)와 제2요철부(45)의 나사산과 나사홈을 대응시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태양광전지판(3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요철부(44) 및 제2요철부(45)의 나사산과 나사홈이 대응되게 결합하여 받침상부(42)가 받침부(41)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의 알림판(70)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알림판(70)은 합성수지판(71)의 일측에 음각처리된 글자부(72)와 상기 글자부(72)에 도료층(75)이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합성수지판(71) 한 쌍을 겹치게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판(71)의 사이에 중간부재(73)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합성수지판(71)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재(73)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광원인 LED(74)를 다수 개 배치하여 완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합성수지판(71)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재(73)는 'ㅁ'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내측면에 광원인 LED(7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LED를 내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73)의 양측에 한 쌍의 합성수지판(71)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부재(73)의 양측에 한 쌍의 합성수지판(71)을 결합하게 되면,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중간부재(73)의 내측면에 구비된 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빈공간을 통과하여 합성수지판(71)의 음각처리된 글자부(72)를 통하여 외부로 발광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글자부(72)에 도포된 도료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게 되는 것이고, 외부에서 글자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알림판(70)에 기록되는 글자부분은 간이승강장의 특성상 현재의 위치와 전후의 정거장의 명칭까지 기록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림판(70)의 글자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판이 한 쌍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승강장 내부 및 외부에서 동일한 알림 내용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림판(70)의 일측에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시계(80)가 추가로 더 구비되며, 이는 외부에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명시한 알림판(70) 및 시계(80) 등에 사용되는 전원은 태양광전지판으로 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주간에 태양광으로부터 발생시킨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일몰 후 이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0 : 승강장 20 : 몸체부
30 : 태양광전지판 40 : 브라켓
50 : 배터리 60 : 외부출력단자
70 : 알림판 80 : 시계

Claims (7)

  1.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에 있어서,
    승객이 머물 수 있는 승강장(10);과
    상기 승강장(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단부에 안내기둥(23)이 형성되고, 구심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요철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기둥(23)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볼트결합홀(27)이 형성되는 상부기둥(21)과 상기 상부기둥(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기둥(21)의 안내기둥(23)이 삽입되는 홀(29)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볼트결합홀(27)에 대응하는 볼트체결홀(28)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기둥(21)의 요철부(24)에 대응하며, 구심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요철부(25)가 형성되는 하부기둥(22)으로 이루어진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부착되는 태양광전지판(30);과
    상기 몸체부(20)와 태양광전지판(30)의 사이에 연결되며, 받침부(41)와 상기 받침부(41)에 체결볼트(43)를 이용하여 힌지결합되는 받침상부(42)로 이루어진 브라켓(40);과
    상기 승강장(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태양광전지판(3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내장하는 제어장치부(50);와
    상기 승강장(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장치부(50)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출력단자(60);와
    상기 승강장(10)의 전면부 상단에 위치하는 알림판(70);및
    상기 알림판(70)의 일측에 위치하는 시계(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의 받침부(41)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제1요철부(44)가 형성되고, 받침상부(42)의 상단부에도 한 쌍의 제2요철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요철부(44)와 제2요철부(45)가 마주보도록 위치한 후 체결볼트(43)를 체결하여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1)의 일측에 형성된 제1요철부(44)는 180°의 원주형태로 형성되고, 받침상부(42)에 형성된 제2요철부(45)은 270°의 원주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판(70)은 일측에 음각처리된 글자부(72)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판(71) 한 쌍을 겹쳐지게 하고, 상기 합성수지판(71)의 사이에 '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중간부재(73)가 위치하며, 상기 중간부재(73)의 양측모서리 내측부분에 광원인 LED(74)를 다수 개 배치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6. 제5항에 있어서, 글자부(72)의 음각처리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력단자(60)에는 안전용 비상벨이 더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KR1020100016639A 2010-02-24 2010-02-24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KR10103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39A KR101034772B1 (ko) 2010-02-24 2010-02-24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39A KR101034772B1 (ko) 2010-02-24 2010-02-24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772B1 true KR101034772B1 (ko) 2011-05-17

Family

ID=4436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639A KR101034772B1 (ko) 2010-02-24 2010-02-24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7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315A (zh) * 2011-09-19 2012-04-25 黄亮 环保公交候车亭
KR101236137B1 (ko) *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CN106836867A (zh) * 2017-02-24 2017-06-13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太阳能候车亭
CN106958359A (zh) * 2017-02-24 2017-07-18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多功能太阳能公交站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031A (ja) * 2000-12-08 2002-06-21 Maruwa Kogyo Kk 表示装置
KR100709723B1 (ko) * 2004-07-30 2007-04-19 (주)일루텍 태양광을 이용한 버스승강장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031A (ja) * 2000-12-08 2002-06-21 Maruwa Kogyo Kk 表示装置
KR100709723B1 (ko) * 2004-07-30 2007-04-19 (주)일루텍 태양광을 이용한 버스승강장 조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315A (zh) * 2011-09-19 2012-04-25 黄亮 环保公交候车亭
KR101236137B1 (ko) *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CN106836867A (zh) * 2017-02-24 2017-06-13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太阳能候车亭
CN106958359A (zh) * 2017-02-24 2017-07-18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多功能太阳能公交站台
CN106836867B (zh) * 2017-02-24 2018-12-18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太阳能候车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772B1 (ko) 태양광전지판을 구비한 일체형 간이버스승강장
CN205211179U (zh) 智能便携式交通红绿灯
CN201014313Y (zh) 便携式太阳能交通信号灯
CN112863167A (zh) 一种智能交通用人行道红灯警示装置及其警示方法
CN105987345A (zh) 一种环保太阳能led室外路灯
JP3970590B2 (ja) 両面型太陽電池パネルを備えた屋外工作物
CN210860933U (zh) 一种便于安装调角的路灯
CN205640674U (zh) 一种分段式太阳能风能互补路灯
CN103850450A (zh) 一种太阳能供电的公交候车亭
CN201606806U (zh) 太阳能路灯
CN102221175A (zh) 光伏发光一体化装置及其应用方法
CN213178135U (zh) 应用于城市夜间照明的具有调节功能的便捷型智慧路灯
CN205424779U (zh) 一种环保太阳能led室外路灯
CN211858051U (zh) 一种建筑工地施工用新型安全警示牌
CN210568113U (zh) 一种节能环保的光能智慧路灯
CN204991040U (zh) 一种全彩节能型的led显示装置
CN210241411U (zh) 一种景观照明用草坪灯
CN103187014A (zh) 夜间出租车召唤系统
KR102622682B1 (ko) 태양광발전장치
CN207162374U (zh) 一体式简洁太阳能路灯
KR10130685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CN218494863U (zh) 一种易于安装附件的庭院灯
CN201704973U (zh) 公交用太阳能雨篷
CN213330347U (zh) 一种节能环保施工用护栏
CN206563233U (zh) Led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