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212B1 -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 Google Patents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212B1
KR101034212B1 KR1020070045910A KR20070045910A KR101034212B1 KR 101034212 B1 KR101034212 B1 KR 101034212B1 KR 1020070045910 A KR1020070045910 A KR 1020070045910A KR 20070045910 A KR20070045910 A KR 20070045910A KR 101034212 B1 KR101034212 B1 KR 10103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pine bark
bark extract
skin
patch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965A (ko
Inventor
한선정
김대덕
한완택
Original Assignee
뉴트라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트라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트라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2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및 항염 활성을 동시에 지닌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패치 제제는 종래 패치 제제에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항균 및 항염 활성을 부여함으로써 패치를 장기간동안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더라도 병원성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염증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패치에 함유된 소나무껍질추출물이 피부에 흡수됨으로써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등의 피부미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소나무껍질추출물, 패치 조성물, 항균, 항염

Description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Patch preparation containing pine bark extract}
도 1은 패치 제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제제의 시간별 피부 투과도를 소나무껍질추출물을 HPLC로 정량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항균활성과 항염효과를 동시에 지닌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사용되는 패치 제제에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 부위에 대한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고 상처 부위나 과도한 피지 분비 등으로 인한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래 패치 제제와는 달리 피부에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패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껍질추출물은 다량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폴리페놀 성분은 주로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 및 종자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소나무껍질로부터 추출된 고품질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균 활성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 음료, 화장품, 의약품, 사료첨가제 등으로 그 응용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다. 특히 프랑스해송껍질추출물인 피크노제놀(Pycnogenol) 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소나무껍질추출물은 항염증효과 (M. Stenfanescu et al., Phytotherapy Research 15: 698-704; 2001), 콜라겐 분해억제효과 (Grimm et al., Free Rad Biol Med 36: 811-822, 2004), 기미제거효과(Ni et al., Phytother Res 16: 567-571, 2002), 피부탄력증진효과(D. Segger and F. Schonlau, J. Dermatol. Treatment, 15: 1-5, 2004), 부종개선 (Arcangeli, Fitoterapia 71: 236-244, 2000), 생리통완화(Kohama & Suzuki, Eur Bull Drug Res, 7: 30-32, 1999), 혈관확장효과(D.F. Fitzpatrick et al., J. Cardiovasc. Pharm. 32: 509-515, 1998), 혈당강하효과 (Liu et al., Diabetes Care 27(3): 839, 2004), 혈압저하효과(Hosseini et al., Nutrition Res 21: 1251-1260, 2001) 등 각종 동물 및 임상실험을 통하여 강력한 생리활성효과를 지닌 물질임을 입증하였고, 국산 소나무껍질추출물도 이와 유사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음이 최근의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다.
패치(patch)는 흔히 덧대는 천조각이나 반창고 등을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 또는 기능성 물질의 유효 성분을 접착물질과 함께 패치에 도포하여 제조한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patch preparation)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패치 제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지지층(11)에 약효나 화장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과 접착물질이 혼합되어 고정된 접착층(12) 및 피부 부착 직전에 떼어내기 편리한 박리층(13)으로 구성된다.
패치 제제는 일반적으로 전달되는 약물 또는 기능성 물질이 피부에 접촉되어 흡수됨으로써, 기존의 약물이나 기능성 물질의 복용법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패치의 약물이나 기능성 물질이 간이나 위장관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약물의 생체이용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둘째, 약물의 흡수시간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셋째, 경구투여가 곤란한 환자에게 투여가 가능하며, 이중 피부 내로 전달되는 물질이 화장료의 경우 피부미용이 필요한 부위에 집중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패치에 사용되는 접착물질은 대부분 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패치 제제를 장기간 부착하면 피부에 심각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에 상처가 났거나 피부가 깨끗하지 않을 경우 삼출액과 땀 등의 분비와 습윤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면서 패치를 부착한 부위의 피부는 병원성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항생제나 항염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오히려 피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종래의 패치 제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항균활성과 항염활성을 동시에 지니면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인 소나무껍 질추출물을 패치에 사용되는 접착물질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패치 제제를 사용하더라도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과 항염증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증대된 패치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소나무껍질추출물을 사용하여 패치 제제를 개발된 사례는 아직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패치 제제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치 제제를 피부에 장기간 부착하더라도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이나 피부 염증 발생을 억제하면서 피부에는 안전한 패치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천연 물질인 소나무껍질추출물을 접착물질에 사용한 패치 제제가 피부 부착부위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을 억제하고 피부의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부가적으로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는 피부에 흡수됨에 따라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피부미용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에 있어서,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층(11) 및 접착층(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 층(11)에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나무껍질추출물을 사용하여 항균 및 항염 활성을 동시에 지니면서 피부에 부착하여 장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 패치 제제를 개발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소나무껍질추출물은 소나무껍질을 주정, 알코올 등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여과한 여액이나 상기 여액을 분말화 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 주정은 에탄올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0∼95%(v/v), 더 바람직하게는 30∼95%(v/v)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소나무껍질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의 수피(樹皮)를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 해송(Pinus thumbergii Parlatore),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 Zucc. for. erecta Uyeki),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 L.), 솔잣나무(Pinus pinea, Cupressus Sempervirens), 호주소나무(Casuarina equisetifolia J.R. & G. Forst., Casuarina litorea L. Casuarinaceae) 또는 히말라야산 소나무(Abies pindrow)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제는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항균, 항염, 항산화 및 콜라겐재생 활성 등을 강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분리정제공정을 수행하여 소나무껍질추출물의 분획물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소나무껍질을 추출하는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소나무껍질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제는 종래 피부에 의료용 또는 화장료용으로 사용해 왔던 유효 성분을 접착물질과 함께 패치에 도포하여 제조한 피부 부착용 패치 제제에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시켜 제조한 패치 제제 또는 소나무껍질추출물 단독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접착물질과 함께 패치에 도포하여 제조한 패치 제제를 말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물질의 물성이나 약물 전달 시스템에 따라 일반 매트리스형 패치와 하이드로겔형 패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제는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패치 제제의 접착층에 0.01∼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05∼2.0중량%를 사용한다. 이는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및 항염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나무껍질추출물의 농도가 너무 높아 용해가 어렵고, 접착력이 감소될 우려도 있으며, 가격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층(11), 접착제 층(12), 박리층(13)으로 구성되는데, 지지층(11)으로는 구체적으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층(12)에 사용되는 접착물질로는 굳기 정도에 따라 고체 타입과 반고체 타입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고체 타입의 접착물질로는 내셔널스타치사의 듀로탁(Duro-Tak)을 사용하고 반고체 타입은 친수성 고분자 겔(hydrogel)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박리층(13)은 실리콘수지가 도포된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고체 타입의 패치 제제는 메트리스형이라 하고, 반고체 타입의 패치 제제는 하이드로겔형이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실시예 1]
국내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벌채된 50년생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으로부터 껍질을 채취한 후, 분쇄기에 통과시켜 분쇄물 10Kg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소나무 껍질 분쇄물 10Kg에 60% 에탄올이 함유된 주정 80Kg을 혼합하고 70℃의 온도로 가열한 항온 수조에서 간헐적으로 섞어주면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하여, 본 발명의 소나무껍질추출물을 제 조하였다.
[ 실시예 2]
국산 적송 수피로부터 제조한 소나무껍질추출물 1.0g을 접착제인 듀로탁(Duro-Tak) 200g과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소나무껍질추출물이 혼합된 접착제 용액을 박리층인 폴리에틸렌 이형필름 위에 도포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접착제의 두께가 0.15mm인 접착층 시트를 제조한 후 지지층인 부직포와 합지한 후 1.5cm X 5cm 크기로 잘라 메트리스형 패치 제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소나무껍질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듀로탁만 함유한 접착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리스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소나무껍질추출물 대신 부신피질호르몬제인 하이드로코르티손을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리스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한천분말(agar agar) 5g을 증류수 250g과 혼합한 후 가열하여 한천분말을 완전히 용해한 후 소나무껍질추출물 3.0g을 혼합하여 용해하였다. 소나무껍질추출물 이 혼합된 한천용액을 박리층인 폴리에틸렌 이형필름 위에 도포하여 두께가 1.5mm인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조하고, 지지층인 부직포와 합지하여 1.5cm X 5cm 크기로 잘라 하이드로겔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항균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살균된 티에스비(TSB)배지에 멸균 루프를 사용하여 보관중인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을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하고, 배양 용액의 균주를 흡광계로 측정하여 균수를 측정한 후 500배로 희석된 티에스비 배지에 3 x 104 개(CFU)/ml가 되도록 희석 조제하여 항균 시험의 대조 시료(Control)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조건에서 소나무껍질추출물을 0.2%를 함유한 희석 티에스비 배지를 항균 시료(Test)로 사용하였고, 각각의 시료를 멸균 플라스크에서 37 ℃, 120 rpm에서 18시간 진탕 배양한 후 각 시료의 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병원성균(Salmonella typhi , Proteus vulgaris , Vibrio cholerae , Klebsiella pneumoniae )에 대해서도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4983109-pat00001
상술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껍질추출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7]
실험동물 피부를 이용하여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피부흡수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필요한 피부는 건강한 무모생쥐(Hairless mouse)를 탄산가스로 질식사시킨 후 외과용 수술 가위를 사용하여 복부에서 피부를 제거하여 얻었고, 소나무껍질추출물이 실험동물의 피부를 통과하는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고안된 실험장치(Keshary-Chien skin permeation system)을 사용하였다.
소나무껍질추출물에 대한 피부투과 실험은 소나무껍질추출물 1.5중량% 용액과, 상기 실시예 2서 제조한 메트릭스형 패치 및 실시예 5서 제조한 하이드로겔형 패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피부를 통과한 소나무껍질추출물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나무껍질추출물 1.5 중량%용액이 가장 흡수 효과가 좋았으며, 접착층의 형태에 따라 하이드로겔형 패치 제제와 메트리스형 패치 제제 순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실험 결과, 소나무껍질추출물이 패치 제제에서 피부에 상당량 흡수되며, 접착물질의 종류에 따라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8]
패치 조성물에 사용된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컬 소거활성과 ABTS + 라디컬 소거활성을 BHA 와 Trolox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BHA (Butyrated hydroxyanisol)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이며, Trolox는 비타민 E의 수용화 형태로 변형시킨 화합물이다. 그리고, 각각의 프리 라디칼의 50%를 소거하는 데 필요한 항산화제의 농도를 EC50(mg/ml)로 하고, 이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4983109-pat00002
상술한 결과, 소나무껍질추출물의 항상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2, 3, 4, 및 5에서 제조한 패치 제제를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환부에 부착하여 3일에 한번씩 패치를 교환하면서 2주간 동안 관찰한 후 아토피 피부염 병변의 호전도를 관찰하였다.
이의 결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소나무껍질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패치는 아토피 피부염이 오히려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고,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로코르티손이 함유된 패치는 초기에는 일시적인 증상완화 효과가 있었지만 2주 후에도 피부염 증상이 초기와 유사한 상태를 나타내었다(미도시).
하지만, 실시예 2와 5에서 제조한 소나무껍질추출물이 함유된 패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크게 호전되어 가려움증과 염증이 감소되었고, 2주후에는 대부분의 피부염 증상이 호전되어 완치되는 결과를 보였다(미도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제제는 종래 패치 제제와는 달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을 억제하고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부여하여, 타 경쟁업체의 제품과 비교하여 안정성이 있고 제품 경쟁력이 있는 패치 제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한 패치 제제는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이 되기 쉬운 화상, 상처,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병 및 민감한 피부 등에 적합하고, 장기간 부착하더라 도 염증의 발생이 억제됨에 따라 효과적인 약물 또는 기능성 물질을 피부를 통하여 장기간동안 전달하게 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전술한 개시에 대해서 일정 범위의 수정, 변화 및 치환이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이 넓게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부합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지지층(11) 및 접착층(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및 화장료용 패치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에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 해송(Pinus thumbergii Parlatore),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 Zucc. for. erecta Uyeki),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 L.), 솔잣나무(Pinus pinea, Cupressus Sempervirens), 호주소나무(Casuarina equisetifolia J.R. & G. Forst., Casuarina litorea L. Casuarinaceae) 및 히말라야산 소나무(Abies pindrow)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소나무의 소나무껍질추출물을 0.01∼5.0중량%로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한 의료용 및 화장료용 패치 제제.
  2. 삭제
KR1020070045910A 2007-05-11 2007-05-11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KR10103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10A KR101034212B1 (ko) 2007-05-11 2007-05-11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10A KR101034212B1 (ko) 2007-05-11 2007-05-11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65A KR20080099965A (ko) 2008-11-14
KR101034212B1 true KR101034212B1 (ko) 2011-05-16

Family

ID=4028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910A KR101034212B1 (ko) 2007-05-11 2007-05-11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09B1 (ko) * 2018-12-19 2020-10-08 주식회사 에이비엘 적송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908A (ko) * 2005-02-03 2006-08-10 주 인 송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 부터제조되는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패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908A (ko) * 2005-02-03 2006-08-10 주 인 송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 부터제조되는 알러지성 비염 완화 및 치료용 패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Phytotheraphyl Research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65A (ko)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orasani et al. Aloe versus silver sulfadiazine creams for second-degree burn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RU2640020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глицерин и танин
RU2571063C2 (ru) Полисахарид семени тамаринд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лечении микробных инфекций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CN110731921A (zh) 具有祛痘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Ali et al. An efficient wound healing hydrogel based on a hydroalcoholic extract of Moringa oleifera seeds
KR101636817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
CN117338691A (zh) 控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1924296B1 (de) Verbandsmaterial mit wirkstoffen
KR101034212B1 (ko) 소나무껍질추출물을 함유한 패치 제제
KR20100130877A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Naseri et al. The effect of henna and linseed herbal ointment blend on wound healing in rats with second-degree burns
CN109364290A (zh) 一种薰衣草精油脂质体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
RU270920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нойно-некротических поражений копытец у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RU2416425C1 (ru) Масло противопролежневое
US9421235B2 (en) Medicine containing extracts of Ficus microcarpa for healing wounds of a diabetic patient
CN113876852A (zh) 一种抑菌抗炎、抗过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2025852A1 (en) Gel formulation prepared with okra fruit extract and use of the gel formulation as a wound healer
KR101833025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1126824A (ja) 脂肪蓄積抑制剤
EP3173066A1 (en) Plaster comprising antiedematous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bruising and injury
Maden et al. Herbal therapy for burns and burn scars
Sahraei et al. Wound healing effect of Satureja khuzistanica and Satureja rechingeri ethanolic extracts in NMRI adult mice
JP2014040487A (ja) 脂肪蓄積抑制剤
KR102445058B1 (ko) 사용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롤 타입 연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