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879B1 -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879B1
KR101033879B1 KR1020080119158A KR20080119158A KR101033879B1 KR 101033879 B1 KR101033879 B1 KR 101033879B1 KR 1020080119158 A KR1020080119158 A KR 1020080119158A KR 20080119158 A KR20080119158 A KR 20080119158A KR 101033879 B1 KR101033879 B1 KR 10103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transmission
swash plate
hybrid system
hydraulic pump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531A (ko
Inventor
노보루 나카노
노부오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11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8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이 정지되어도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변속기의 출력축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입력측에 사판 펌프가 설치되고, 출력측에 상기 사판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회전하는 사판 모터가 설치된 자동변속기; 상기 자동변속기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판모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승압하여 사판모터에 재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자동변속기, 사판펌프, 사판모터, 유압펌프, 하이브리드 시스템

Description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 using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이 정지되어도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변속기의 출력축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압을 이용한 자동 변속기는 자동 2륜차량 및 작업용 경차량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일본특개 평6-2647호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자동변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는 엔진의 출력을 사판펌프에 전달하고, 유압으로 변경하여 사판모터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사판모터는 사판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각 실린더의 용적을 변경하고 변속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정유압식 자동변속기의 경우 엔진이 정지되거 나 엔진의 동력이 부족할 때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모터는 엔진 샤프트의 근처에 설치되어 풀리와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그런데, 풀리와 벨트 구동을 유압 구동으로 변경해도 엔진 샤프트의 근처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상기한 이유 때문에 한정된 엔진 룸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모터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서,‘정'유압식 변속은 오일에 줄 수 있는 압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말하고, 토크 컨버터 이외의 방식을 가리키기도 한다. 반면에 ‘동'유압식 변속은 토크 컨버터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이때, 토크 컨버터는 내부에 펌프 임펠러, 고정자, 터빈러너가 있다. 오일이 펌프 임펠러에 의해 회전되어 오일이 회전하면 터빈러너가 회전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압을 리저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엔진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도 리저버에 저장된 유압을 고압 밸브 유닛을 통해 사판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토크를 전달하여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펌프를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엔진이 정지되어도 유압 펌프를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유압 펌프를 유압파이프를 통해 변속기에 접속함으로써, 엔진 축으로부터 떼어 놓아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공간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입력측에 사판 펌프가 설치되고, 출력측에 상기 사판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회전하는 사판 모터가 설치된 자동변속기; 상기 자동변속기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판모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승압하여 사판모터에 재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해 달성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변속기는 사판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사판 모터에 전달하는 고압 밸브 유닛과, 상기 사판 모터에서 배출된 오일을 다시 사판 펌프로 리턴시키는 저압 밸브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펌프는 유압파이프를 통해 자동변속기와 접속된다.
특히, 상기 유압펌프는 내부에 피스톤이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오일을 가압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 전자 솔레노이드 및 에어 컴프레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및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커넥팅로드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피스톤이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와,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작동플런저와, 상기 작동플런저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온오프됨에 따라 작동플런저가 전후진하면서 피스톤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 기 위한 에어 컴프레서; 상기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에 의해 회전블레이드가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지지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동일축 상으로 연결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 및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가 가동됨에 따라 에어가 동력전달부에 공급되고, 상기 에어에 의해 회전블레이드과 함께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커넥팅로드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피스톤이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 밸브 유닛과 유압펌프 사이에는 리저버가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을 저장한 후 엔진 정지시 고압 밸브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하면,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압을 리저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엔진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도 리저버에 저장된 유압을 고압 밸브 유닛을 통해 사판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토크를 전달하여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펌프가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진이 정지되어도 유압 펌프를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유압 펌프가 유압 파이프로 접속되므로, 엔진 축으로부터 떼어 놓아 설치가 가능하고,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이 설치 장소가 제약되는 것이 없다.
또한, 유압펌프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압을 생성할 수 있고, 피스톤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자 솔레노이드 및 에어 컴프레서를 사용할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의 동력 전달용으로 '유압 모터'를 설치하여 엔진 정지시에도 변속기(11)의 출력축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내의 고압 밸브 유닛(14)과 저압 밸브 유닛(15)으로부터 오일을 유압파이프를 통해 꺼내,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 예를들어 차체 저부 등에 설치된 유압모터에 연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유압식 자동변속기(11)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엔진(10)의 출력축은 변속기(11)의 입력측에 설치된 사판펌프(12)와, 변속기(11)의 출력측에 설치된 사판모터(13)와 연결되어 있어, 엔진(10) 출력이 축결합된 사판펌프(12)의 사판을 회전시킨다.
이때, 사판펌프(12)에서 발생한 유압은 고압 밸브 유닛(14)을 통해, 즉 도 3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압 밸브 유닛(14)에 구비되어 있으면서 펌프측과 모터측을 이어주는 각종 유로(도 1에는 미도시) 및 연통로(도 1에는 미도시) 등을 통해 사판모터(13)에 공급된다.
사판모터(13)는 사판부분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그 각도에 의해서 출력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3의 종래 정유압식 자동변속기와 마찬가지로 사판부분을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그 각도에 의해 출력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각도가 있으면 출력은 토크가 있는 늦은 회전이 되고, 각도가 없으면 출력은 토크가 작은 빠른 회전이 된다.
사판모터(13)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유압 파이프를 통해 저압 밸브 유닛(15)으로 리턴되어 사판펌프(12)에 이송되어 가압된다.
예를 들면, 사판모터(13)측과 사판펌프(12)측 간의 오일연락시 사판모터(13)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사판펌프(12)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저버(16)에는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되면 유압은 유압 파이프를 통해 리저버(16)에 작용하게 되고, 리저버(16) 내의 오일에 작용하는 유압은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의 고압 밸브 유닛(14)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리저버(16)는 오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고, 오일에 압력을 가했을 때 맥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유압펌프(17)에 의해 가압된 유압을 리저버(16)에 저장해 두었다가 엔진(10)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도 리저버(16)에 저장된 유압을 고압 밸브 유닛(14)을 통해 사판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사판펌프(12)측으로부터의 동력이 없어도 리저버(16)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통해 토크를 전달하여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의 출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펌프(17)가 정유압식 자동 변속기(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진(10)이 정지되어도 유압 펌프를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유압 펌프는 유압 파이프로 접속되므로, 엔진(10) 축으로부터 떼어 놓아 설치가 가능하고,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이 설치 장소가 제약되는 것이 없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17)의 구동수단을 여러 실시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유압 펌프는 내부에 피스톤(19)이 장착된 구조로 설치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피스톤(19)은 커넥팅로드에 의해 전동모터(18)와 연결되어, 전동 모터(18)가 가동됨에 따라 전동모터(18)에 장착된 회전판(21)이 회전하면서 회전판(21)의 회전운동이 커넥팅로드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유압펌프(17)의 피스톤(19)을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킨다(도 2a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19)은 작동플런저(31)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30)와 연결되어 전자솔레노이드(3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작동플런저(31)가 전진하면서 피스톤(19)을 가압하여 유압을 발생시킨다(도 2b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19)은 커넥팅로드에 의해 에어 컴프레서(40)에 연결되어, 에어 컴프레서(40)가 가동됨에 따라 에어 컴프레서(40)에 장착된 회전판(21)이 회전하면서 회전판(21)의 회전운동이 커넥팅로드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유압펌프(17)의 피스톤(19)을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킨다(도 2c 참조).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컴프레서(40)와 회전판(21) 사이에는 동력전달부(42)가 설치되고, 동력전달부(42)의 내부에는 에어 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에어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블레이드(41)가 장착되어 있다. 즉, 동력전달부(42)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에어의 힘에 의해 회전블레이드(41)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블레이드(41)와 연결된 회전판(21)이 회전하면서 피스톤(19)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펌프(17)는 피스톤(19)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압을 생성할 수 있고, 피스톤(19)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자 솔레노이드(30) 및 에어 컴프레서(40)를 사용할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의 구동수단을 여러 실시예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정유압식 자동변속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1 : 자동변속기
12 : 사판펌프 13 : 사판모터
14 : 고압 밸브유닛 15 : 저압 밸브유닛
16 : 리저버 17 : 유압펌프
18 : 전동모터 19 : 피스톤
21 : 회전판 30 : 전자 솔레노이드
31 : 작동플런저 40 : 에어컴프레서
41 : 회전블레이드 42 : 동력전달부

Claims (9)

  1.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입력측에 사판 펌프가 설치되고, 출력측에 상기 사판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회전하는 사판 모터가 설치된 자동변속기;
    상기 자동변속기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판모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승압하여 사판모터에 재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기는 사판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사판 모터에 전달하는 고압 밸브 유닛과, 상기 사판 모터에서 배출된 오일을 다시 사판 펌프로 리턴시키는 저압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는 유압파이프를 통해 자동변속기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는 내부에 피스톤이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오일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 전자 솔레노이드 및 에어 컴프레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및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커넥팅로드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피스톤이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와,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작동플런저와, 상기 작동플런저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온오프됨에 따라 작동플런저가 전후진하면서 피스톤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에어 컴프레서;
    상기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에 의해 회전블레이드가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지지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동일축 상으로 연결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 및 피스톤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가 가동됨에 따라 에어가 동력전달부에 공급되고, 상기 에어에 의해 회전블레이드과 함께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커넥팅로드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피스톤이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압 밸브 유닛과 유압펌프 사이에는 리저버가 설치되고, 상기 리저버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유압을 저장한 후 엔진 정지시 고압 밸브 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0080119158A 2008-11-27 2008-11-27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103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58A KR101033879B1 (ko) 2008-11-27 2008-11-27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58A KR101033879B1 (ko) 2008-11-27 2008-11-27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31A KR20100060531A (ko) 2010-06-07
KR101033879B1 true KR101033879B1 (ko) 2011-05-11

Family

ID=4236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158A KR101033879B1 (ko) 2008-11-27 2008-11-27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59B1 (ko) * 2012-08-14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소형 기계식 가스 압축장치, 압축방법, 그 압축장치를 갖는 분석 시스템 및 분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704A (ja) * 1994-11-28 1996-06-04 Mitsubishi Motors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式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付作業車両
KR970008056A (ko) * 1995-07-18 1997-02-24 이데이 노부유키 데이터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3239852A (ja) 2002-02-20 2003-08-27 Tadano Ltd 油圧ポンプ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704A (ja) * 1994-11-28 1996-06-04 Mitsubishi Motors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式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付作業車両
KR970008056A (ko) * 1995-07-18 1997-02-24 이데이 노부유키 데이터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3239852A (ja) 2002-02-20 2003-08-27 Tadano Ltd 油圧ポンプ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31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3373B2 (ja) モータまたはポンプとして動作可能な開ループ油圧機構を備えた駆動装置および車両
CN104220750B (zh) 流体压驱动单元
US20150059328A1 (en) Fluid pressure drive unit
CN110578665A (zh) 机动车辆泵组件
US20120279208A1 (en) Hydraulic output drive shaft generator
JP2009540228A (ja) 内燃機関を備えた車両動力伝達系統用の液圧作動式無段変速機
KR20110124602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모터-펌프 유닛
JP2012519253A (ja) 直接制御式線形可変容量ベーンポンプ
JP4900683B2 (ja) 油圧供給装置
CN108138613A (zh) 用于输油的输送装置
US20150292493A1 (en) Fluid-pressure pump
JP6896168B2 (ja) 無段調整可能な巻掛け変速機におけるディスクセット押当て用の蓄圧器を備えた流体システムならびに無段調整可能な巻掛け変速機
US7243492B2 (en) Inclined rotation control device of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KR101033879B1 (ko) 정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US8545188B2 (en) Controller and the use thereof
KR102590734B1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ATE430259T1 (de) Trockenlaufender taumelscheibenverdichter mit einer kolbenstangenlagerung
US20080038136A1 (en) Long life telescoping gear pumps and motors
CN107842589B (zh) 液压控制装置以及动力传递控制装置
KR101724725B1 (ko) 차량의 냉각 팬 구동 시스템
US8011910B2 (en) Low noise gear set for gear pump
JP2017133458A (ja) オイル供給装置
KR101141555B1 (ko) 방제차용 피스톤 펌프 구동장치
CA2576693C (en) Hydraulic submersible pump with electric motor drive
JP2017089458A (ja) 斜板式可変容量ポンプ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