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655B1 -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655B1
KR101033655B1 KR1020080067595A KR20080067595A KR101033655B1 KR 101033655 B1 KR101033655 B1 KR 101033655B1 KR 1020080067595 A KR1020080067595 A KR 1020080067595A KR 20080067595 A KR20080067595 A KR 20080067595A KR 101033655 B1 KR101033655 B1 KR 10103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board
propulsion
steering means
bar
push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11A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슬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to KR102008006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0Mechanisms for restoring steering device to straight-ahea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는 하부에 전방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바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며 외력을 가해 틸팅되는 조향수단; 틸팅된 상기 조향수단에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조향수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이 일단을 기점으로 좌우 회동하는 한 쌍의 추진바; 및 상기 추진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저면에 후방 바퀴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진바는 물론 조향수단의 좌우 움직임 및 발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 상황에 따라 회전 반경이 적어지며, 회동되는 조향수단, 추진바 및 발판에 탄성력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추진력 발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스케이트 보드, 추진, 조향수단, 추진바, 발판, 틸팅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이 가능하며 최소한의 추진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추진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시키는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스터 스케이트는 보드 저면에 다수개의 캐스터를 부착하여 몸을 좌우로 비트는 동작만으로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것의 일종으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바퀴를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이동 방향의 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향 전환이 용이한 캐스터를 다양하게 접목함에 따라 근래에는 스케이트에 캐스터를 부착하여 통상적인 인 라인(In- Line) 스케이트의 바퀴와는 달리 방향성을 갖는 캐스터를 스케이트 저면에 부착하면 이 캐스터의 좌우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얻어 그 추진력으로 하여금 운동 효과와 더불어 놀이 기구의 일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킥보드 타입의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발판(12) 전후에 전, 후방 바퀴(14, 18)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바 퀴(14)에 조향하는 조향핸들(16)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킥보드(10)는 발로 지면을 차는 과정을 통해 유일한 방법으로 추진력이 발생되므로 이에 추진력이 한정되며, 상기 전, 후방 바퀴(14, 18)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회전 반경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추진바는 물론 조향수단의 좌우 움직임 및 발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 상황에 따라 회전 반경이 적어지며, 회동되는 조향수단, 추진바 및 발판에 탄성력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추진력 발생이 용이할 수 있게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전방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바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며 외력을 가해 틸팅되는 조향수단; 틸팅된 상기 조향수단에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조향수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이 일단을 기점으로 좌우 회동하는 한 쌍의 추진바; 및 상기 추진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저면에 후방 바퀴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발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는, 추진바는 물론 조향수단의 좌우 움직 임 및 발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 상황에 따라 회전 반경이 적어지며, 회동되는 조향수단, 추진바 및 발판에 탄성력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추진력 발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발판 스케이트 보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수단(110), 탄성부재(125), 추진바(130) 및 발판(1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조향수단(1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추진바(1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 바퀴(114)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면서 탑승자가 안전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기능을 하며, 앞포크(Front fork: 112), 전방 바퀴(114), 조향축(116) 및 핸들(118)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향수단(110)은 틸팅 틈 내에서 틸팅(Tilting)됨에 따라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며 좌우 움직임 각도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100)의 회전 반경이 조절되면서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틸팅하면 상기 발판(140)의 후방 바퀴(142)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틸팅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나머지 한 방향으로 틸팅하면 상기 후방 바퀴(142) 또한 회전축을 기점으로 틸팅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6a 및 도 6b 참조)
그리고 수직 방향의 조향수단(110) 각도가 커질수록 회전 반경은 작아진다. 이렇게 상기 조향수단(110)을 틸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방 바퀴(142)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좌우 회동하여 스케이트 보드(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앞포크(112)는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의 공간에 추진 및 조향을 하기 위한 상기 전방 바퀴(114)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 바퀴(114)는 일반적인 바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앞포크(112)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조향축(116)의 저면에 구비되는 방향성 캐스터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조향축(116)은 상기 앞포크(112)의 상단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116)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18)은 중심부가 상기 조향축(116)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전방 바퀴(114)를 제동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앞포크(112)의 상단에는 상기 추진바(130)의 선단을 나란히 연결하는 추진바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추진바 연결부재(120)는 축지지부(122) 및 추진바 지지부(124)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지지부(122)는 상기 추진바 연결부재(120)의 선단에 위치되되 그 중심에 수직 방향의 홀(122a)이 관통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조향축(116)이 위치될 경우 상기 홀(122a)의 내주면과 조향축(116)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조향수단(110) 의 틸팅 틈이 형성된다.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는 상기 축지지부(122)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추진바(130)의 선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 연결부재(132)와 나란히 연결되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2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된 상기 조향수단(110)에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조향수단(110)을 수직 방향으로 원위치시키며, 상기 축지지부(122) 및 상기 조향축(116)의 하단에 수평선상으로 수평홀(121)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홀(121)에 각각 삽입되는 고무 블록 등이 이에 접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축지지부(122)의 홀(122a) 양 내벽과 그와 마주보는 상기 조향축(116)의 양 외벽에 수평홀(121)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수평홀(121) 각각에 삽입 고정시켜 틸팅 틈의 공간 내에서 틸팅된 상기 조향수단(110)이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 추진바(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선단에 전방 연결부재(132)가 구비되고 후단에 후방 연결부재(1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추진바(130)는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에 상기 전방 연결부재(132)가 일률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일단을 기점으로 좌우 회동하여 후단에 구비되는 발판(140)의 간격을 넓히고 좁히는 과정에서 상기 발판(140)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 바퀴(142)의 방향성 전환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100)에 추진력이 발생된 다. (도 7 참조)
한편, 상기 추진바(130)는 한 쌍이 최초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다가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간격을 넓힌 다음 재차 근접하게 위치시킬 경우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와 이 추진바 지지부(124)에 연결되는 전방 연결부재(132)에 일단은 추진바 지지부(12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 연결부재(132)에 고정되는 탄성체(133)가 구비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33)의 상단은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에 결합되는 고정부(132a)의 저면 홈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은 전방 연결부재(132)의 내부 바닥 홈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2a)는 단차 형상으로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에 볼팅된다.
이때, 상기 발판(140)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 바퀴(142)는 상기 추진바(130)의 간격이 넓어질 때 발판(140)의 중심선을 기점으로 내측 방향을 향해 회동되고, 추진바(130)의 간격이 좁아질 때 발판(140)의 중심선을 기점으로 외측 방향을 향해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140)은 상기 추진바(130)의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가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방 바퀴(142)의 좌우 회전이 요구되므로 한 쌍의 발판(140)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대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와 이 추진바 지지부(144)에 연결되는 후방 연결부재(134)에 일단은 추진바 지지부(144)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 연결부재(134)에 고정되는 탄성체(135)가 구비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35)의 상단은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에 결합되는 고정부(134a)의 저면 홈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은 후방 연결부재(134)의 내부 바닥 홈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4a)는 단차 형상으로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에 볼팅된다.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는 추진바 지지부(142)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판(140)의 저면 선단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34a)는 추진바 지지부(144)의 상면에 돌출되게 고정되므로 상기 발판(140)의 저면에 고정부(134a)의 상단과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발판(140)을 회동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킬 때 발판(140)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 바퀴(142)는 발판(140)의 선단이 내측으로 회전될 경우 발판(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을 향해 회동되고, 발판(140)의 선단이 외측으로 회전될 경우 발판(14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을 향해 회동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133, 135)는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와 전방 연결부재(132) 또는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와 후방 연결부재(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바(130)의 회전 또는 상기 발판(140)의 회전 또는 상기 추진바(130)와 발판(140)의 동시 회전시 추진바(130) 또는 발판(140) 또는 추진바(130)와 발판(140)에 비틀림 후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추진바(130)는 상기 조향축(116)에 연결되는 선단이 상기 발판(140)에 연결되는 후단의 높이보다 높으므로 선단과 후단은 수평형태로 구비되면서 중간단은 경사진 상태로 선, 후단과 연결된다.
상기 발판(140)은 그 위에 탑승자가 양 발을 올려놓으며 상기 추진바(130)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 연결부재(13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저면 선단에 추진바 지지부(144)가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후단 후방 바퀴(142)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바퀴(142)는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상기 발판(140)의 후방 저면 양측에 1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개수의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바퀴(142)는 회전축이 경사지는 방향성 캐스터로, 상기 회전축을 기점으로 좌우 회전시켜 스케이트 보드(100)에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는 도 2 내지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 보드(100)의 추진시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에 최소한의 추진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발판(140)에 양 발을 올려놓은 후 상기 핸들(118)을 좌우 방향으로 순차 이동시키면 이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후방 바퀴(142)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며 이를 반복함에 따라 추진력이 더 발생된다.
이때, 상기 조향수단(110)에 상기 추진바(130)를 연결하는 추진바 연결부재(120)에서 상기 축지지부(122)의 홀(122a)과 조향축(116)의 사이에 형성된 틸팅 틈에 탄성부재(125)가 개입되어 조향수단(110)을 좌우로 이동하여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 조향수단(110)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의 추진력을 상기 핸들(128)을 좌우로 반복 기울이지 않고 상기 추진바(130)의 후단 간격을 넓이고 좁히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발판(140)에 양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발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추진바(130)의 후단 간격을 넓히면 발판(140)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 바퀴(142)가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추진바(130)의 후단 간격을 좁히면 상기 후방 바퀴(142)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후방 바퀴(142)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내, 외측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이에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추진바 지지부(12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전방 연결부재(132)에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체(13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추진바(130)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경우 발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추진바(13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의 추진력을 상기 핸들(128)의 좌우 기울임 또는 상기 추진바(130)의 후단 간격을 넓이고 좁히는 과정에서 얻지 않고 상기 발판(140)의 후단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얻을 수 있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40)에 양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쪽 발판(140)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양쪽 발판(140)을 오므렸다 펼쳤다 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판(140)의 선단을 각각 내측 방향을 회전시키면 후방 바퀴(142)들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로 발판(140)의 선단을 외측 방향을 회전시키면 후방 바퀴(142)들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후방 바퀴(142)가 회전축을 기점으로 내, 외측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이에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추진바 지지부(14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후방 연결부재(134) 에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체(13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상기 발판(140)을 발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그 발판(140)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킥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스케이트 보드에서 조향수단이 추진바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A", "B" 부분을 절개하여 탄성체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스케이트 보드에서 조향수단이 좌우로 틸팅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스케이트 보드에서 추진바의 간격이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스케이트 보드에서 추진바의 간격에 따른 발판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스케이트 보드 110: 조향수단
120: 추진바 연결부재 122: 축지지부
124, 144: 추진바 지지부 125: 탄성부재
130: 추진바 132: 전방 연결부재
133, 135: 탄성체 134: 후방 연결부재
140: 발판 142: 후방 바퀴

Claims (9)

  1. 하부에 전방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바퀴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며 외력을 가해 틸팅되는 조향수단;
    틸팅된 상기 조향수단에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향수단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조향수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이 일단을 기점으로 좌우 회동하는 한 쌍의 추진바; 및
    상기 추진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저면에 후방 바퀴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추진바의 선단에 틸팅 틈이 형성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블록은 틸팅 틈을 기준으로 그 양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바의 선단 또는 상기 발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틀림 및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추진바의 선단에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발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추진바의 후단에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추진바의 후단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바퀴는 회전축이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KR1020080067595A 2008-07-11 2008-07-11 스케이트 보드 KR10103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95A KR101033655B1 (ko) 2008-07-11 2008-07-11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95A KR101033655B1 (ko) 2008-07-11 2008-07-11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11A KR20100007111A (ko) 2010-01-22
KR101033655B1 true KR101033655B1 (ko) 2011-05-12

Family

ID=4181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95A KR101033655B1 (ko) 2008-07-11 2008-07-11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02B1 (ko) * 2012-12-24 2014-09-18 주식회사 엠스키 트라이시클 킥스쿠터
CN103879484A (zh) * 2014-04-04 2014-06-25 王仲明 一种自由式滑板车
JP6203984B2 (ja) * 2014-04-11 2017-09-27 エムエスケイアイ コーポレーション 三輪キックスクーター
CN110001851B (zh) * 2019-04-29 2024-05-10 永康市东玮工贸有限公司 一种滑板车转向机构及其转向复位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06A (ko) * 2003-09-02 2005-03-08 (주)비전코리아 안전 트라이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06A (ko) * 2003-09-02 2005-03-08 (주)비전코리아 안전 트라이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11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612B2 (ja) 可撓型ワンピース形スケートボード
KR102107263B1 (ko) 발로 추진하는 휠식 취미 및/또는 스포츠 기구
JP2009533133A (ja) 自発的前進が可能なボード
KR101033655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400918Y1 (ko) 스피드 스케이트보드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US20050236783A1 (en) Personal conveyance for recreational use
KR200465548Y1 (ko) 스케이트 보드
AU6966200A (en) Skateboard
KR100987927B1 (ko) 보드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JP2007330584A (ja) 滑降用車両
KR100787113B1 (ko)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JP6151840B1 (ja) キックスケーター
KR101922335B1 (ko)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KR200421949Y1 (ko) 스케이트보드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KR101347501B1 (ko) 방향캐스터를 가진 보드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KR20100111938A (ko) 인라인 보드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KR20180118490A (ko)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KR100987701B1 (ko) 자전거형 시소 보드
KR20080062416A (ko)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