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266B1 -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266B1
KR101033266B1 KR1020100088013A KR20100088013A KR101033266B1 KR 101033266 B1 KR101033266 B1 KR 101033266B1 KR 1020100088013 A KR1020100088013 A KR 1020100088013A KR 20100088013 A KR20100088013 A KR 20100088013A KR 101033266 B1 KR101033266 B1 KR 10103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hollow molding
valve
ai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욱 filed Critical 김종욱
Priority to KR102010008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체(24)에 인접한 슬래브(21) 상부 마감층(22)에 다수의 통기구(11)가 형성된 중공몰딩(中空molding)(10)을 매설하고, 이 중공몰딩(10)과 송풍기(32)를 연결하여 송풍기(32)가 작동함에 따라 중공몰딩(10)을 통하여 공기가 강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신축 건물 뿐 아니라 기설 건물에 있어서도 층고의 축소는 물론 실내 공간의 잠식 없이 효과적인 환기관로의 구축이 가능하며, 이로써 실내 공기 상태를 개선하고 실내 공기내 각종 유해 물질 농도를 저감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VANTILATION FACILITY BUILT IN FLOOR}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체(24)에 인접한 슬래브(21) 상부 마감층(22)에 다수의 통기구(11)가 형성된 중공몰딩(中空molding)(10)을 매설하고, 이 중공몰딩(10)과 송풍기(32)를 연결하여 송풍기(32)가 작동함에 따라 중공몰딩(10)을 통하여 공기가 강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거용 건물은 물론 각종 다중 이용 시설 및 상업용 건물의 대형, 복합화 추세에 따라 자연환기 보다는 공조기 설비 등을 통한 인공 강제환기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환기장치의 설비용량 및 처리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건축용 마감재, 내장재 또는 가구를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보급 확대로 인하여 주거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일반 주거용 건물에 최적화된 환기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통상의 공조설비를 비롯한 급, 배기 설비는 기류를 발생하는 송풍기(32)와 송풍기(32)와 연결된 관로(管路)로 구성되는데, 건물용 기류 관로 즉, 에어덕트(air duct)는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층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물에는 적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덕트는 상층 슬래브(21) 저면과 천장 마감재 사이에 배관되고, 에어덕트 하부에는 배기구인 디퓨저(diffuser)가 천장 마감재를 관통하여 다수 설치되는데, 주거용 건물의 경우 상층 슬래브(21)와 천장 마감재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일반적인 덕트 및 디퓨저를 설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신축 건물이 아닌 기설 건물에 환기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층고의 확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덕트 및 디퓨저 등 관련 설비를 천장 마감재 상측에 수납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데, 미관 및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송풍기(32)와 연결된 관로(管路)를 통하여 건물 내, 외부간 급배기(給排氣)를 수행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체(24)에 인접한 슬래브(21) 상부 마감층(22)에는 중공몰딩(中空molding)(10)이 매설되고, 중공몰딩(10)의 상면에는 다수의 통기구(11)가 형성되되, 통기구(11)의 상단은 마감층(22) 표면에 노출되며, 중공몰딩(10)의 일단은 송풍기(32)와 연결되어 송풍기(32)가 작동함에 따라 중공몰딩(10)을 통하여 공기가 강제 유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이다.
또한, 상기 통기구(11)는 상단부가 폐쇄된 원관형으로 형성되되, 통기구(11)의 상단면에는 통기구(11)와 동심(同心)의 선상(扇狀) 통기공(13)이 천공되고, 통기구(11)의 상단에는 원반형의 회전캡(12)이 자유롭게 회전가능 하도록 동심으로 결합되되, 회전캡(12)에도 선상(扇狀) 통기공(13)이 천공되어, 회전캡(12)이 회전함에 따라 통기구(11)의 개도(開度)가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신축 건물 뿐 아니라 기설 건물에 있어서도 층고의 축소는 물론 실내 공간의 잠식 없이 효과적인 환기관로의 구축이 가능하며, 이로써 실내 공기 상태를 개선하고 실내 공기내 각종 유해 물질 농도를 저감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통기구(11)가 벽체(24)에 인접한 바닥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환기 중 실내 공기의 정체 구역을 최소화하고, 실내 공간의 활용도 또한 최대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몰딩 매설상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공몰딩의 변형된 실시예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통기구 개도 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 중공몰딩 일 실시예 부분절단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매설된 기류 관로인 중공몰딩(中空molding)(10)과 이 중공몰딩(10)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강제로 배기하는 송풍기(32)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32)와 중공몰딩(10) 사이에는 전동밸브인 송풍밸브(33)가 설치되고, 송풍기(32)와 송풍밸브(33)에는 MCU(Micro Controller Unit)가 내장된 콘트롤러(controller)(31)가 연결되며, 콘트롤러(31)에는 오염물 농도 또는 습도 등을 감지하는 내기센서(內氣sensor)(37)가 연결되어 실내 공기의 오염도 또는 습도 측정치가 MCU에 입력됨에 따라 MCU가 송풍기(32)의 가동여부 및 송풍밸브(33)의 개도(開度)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송풍기(32)의 유입구에는 송풍기(3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내 부유 오염물을 여과하는 필터(34)를 설치하고, 필터(34)에는 상수도관과 연결되고 급수밸브(36)가 설치된 급수관(35)을 배관하여, 내기센서(37) 입력치에 따라 MCU가 급수밸브(36)를 개폐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 중공몰딩(10)의 매설 상태 및 상세한 외관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몰딩(10)은 벽체(24)에 인접한 슬래브(21) 상부 마감층(22)에 매설되며, 중공몰딩(10)의 상부면에는 중공몰딩(10) 내부와 마감층(22) 상부 표면을 연결하는 통기구(11)가 형성되어, 송풍기(32)로부터 강제 급기된 외부 공기가 벽체(24) 인근 바닥으로부터 방출되거나, 벽체(24) 인근 바닥의 실내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듯, 중공몰딩(10)을 벽체(24) 하단부 마감층(22)에 매설하여 통기구(11)를 벽면과 바닥의 경계부에 배치함으로써, 환기 중에도 부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실내 공기의 정체현상을 최소화하고, 실내 공간의 활용도 또한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공몰딩(10)이 매설되는 마감층(22)은 구조체인 슬래브(21) 상부에 구성되어 난방관(23)이 배관되는 층으로서, 건물의 구조적 강성에는 일체의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비교적 자유로운 해체 및 재시공이 가능한 층이며, 실제로 바닥 난방 방식의 아파트를 비롯한 주거용 건물의 경우 노후 난방관(23)의 교체 또는 난방 효율의 개선을 목적으로 빈번한 해체 및 재시공이 이루어지는 바, 신축이 아닌 기설 건물에도 본 발명의 간편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통기구(11)를 최대한 벽체(24)에 밀착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 중공몰딩(10)의 일 실시예로서, 통기구(11)가 중공 몰딩 상면 중심부가 아닌 측단부에 돌출벽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4는 통기구(1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통기구(11)의 상단부에 회전캡(12) 방식의 개폐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11)는 상단부가 폐쇄된 원관형으로 형성되되, 통기구(11)의 상단면에는 통기구(11)와 동심(同心)의 선상(扇狀) 통기공(13)이 천공되고, 통기구(11)의 상단면에는 원반형의 회전캡(12)이 자유롭게 회전가능 하도록 동심으로 결합되되, 회전캡(12)에도 선상(扇狀) 통기공(13)이 천공되어, 회전캡(12)이 회전함에 따라 통기구(11)의 개도(開度)가 조절된다.
또한 회전캡(12)의 상면에는 가동홈(14)을 형성하여 주화(鑄貨) 또는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캡(12)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10 : 중공몰딩
11 : 통기구
12 : 회전캡
13 : 통기공
14 : 가동홈
21 : 슬래브
22 : 마감층
23 : 난방관
24 : 벽체
31 : 콘트롤러
32 : 송풍기
33 : 송풍밸브
34 : 필터
35 : 급수관
36 : 급수밸브
37 : 내기(內氣)센서

Claims (2)

  1. 송풍기(32)와 연결된 관로(管路)를 통하여 건물 내, 외부간 급배기(給排氣)를 수행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벽체(24)에 인접한 슬래브(21) 상부 마감층(22)에는 중공몰딩(中空molding)(10)이 매설되고;
    중공몰딩(10)의 상면에는 다수의 통기구(11)가 형성되되, 통기구(11)의 상단은 마감층(22) 표면에 노출되며;
    중공몰딩(10)의 일단은 송풍기(32)와 연결되어 송풍기(32)가 작동함에 따라 중공몰딩(10)을 통하여 공기가 강제 유동되고;
    송풍기(32)와 중공몰딩(10) 사이에는 전동밸브인 송풍밸브(33)가 설치되며;
    송풍기(32)의 유입구에는 오염물을 여과하는 필터(34)가 설치되되, 필터(34)에는 급수밸브(36)가 연결된 급수관(35)이 설치되고;
    송풍기(32), 송풍밸브(33) 및 급수밸브(36)에는 MCU가 내장된 콘트롤러(31)가 연결되되, 콘트롤러(31)에는 내기센서(37)가 연결되어 내기센서(37)의 오염도 또는 습도 측정치에 따라 MCU가 송풍기(32)의 가동여부 및 송풍밸브(33)와 급수밸브(36)의 개폐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2. 삭제
KR1020100088013A 2010-09-08 2010-09-08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KR10103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13A KR101033266B1 (ko) 2010-09-08 2010-09-08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13A KR101033266B1 (ko) 2010-09-08 2010-09-08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266B1 true KR101033266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13A KR101033266B1 (ko) 2010-09-08 2010-09-08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2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83A (ko) * 2000-04-22 2001-11-08 박쌀수 구들방용 온풍장치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83A (ko) * 2000-04-22 2001-11-08 박쌀수 구들방용 온풍장치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101033266B1 (ko) 바닥 매립식 환기장치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CN203571950U (zh) 建筑物恒温恒湿恒氧调整系统
JP2010196997A (ja) 建物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JP6524506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家屋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CN204753916U (zh) 一种内循环双层呼吸式节能幕墙
CN201050856Y (zh) 室内室外通风装置
CN106765834A (zh) 一种低噪音教室用空气喷射装置
CN1987232A (zh) 楼宇室外循环通风装置
CN207797316U (zh) 智能气流导引系统
JP2008133688A (ja) 換気機能を有する一方向ボイドスラブ及びこれを用いたスラブ排気構造並びにスラブ給気構造
JP2004183968A (ja) 床吹出し冷暖房換気システム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20020025128A (ko) 대류식 복합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
JP2005201463A (ja) 地熱を利用した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2013011385A (ja) 空調システム
JP6525157B2 (ja) 換気システム及び家屋
JP5805810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6175020B2 (ja) 住宅
TWI644061B (zh) 室內換氣循環氣流導引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