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026B1 -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26B1
KR101032026B1 KR1020090122606A KR20090122606A KR101032026B1 KR 101032026 B1 KR101032026 B1 KR 101032026B1 KR 1020090122606 A KR1020090122606 A KR 1020090122606A KR 20090122606 A KR20090122606 A KR 20090122606A KR 101032026 B1 KR101032026 B1 KR 10103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lay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채희엽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미래나노텍(주)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미래나노텍(주), 주식회사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2Bases or plates or solder therefor
    • H01L23/4922Bases or plates or solder therefor having a heterogeneous or anisotropic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5Organic substrates,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01L31/022475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composed of indium tin oxide [I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기발광 장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각각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유기발광 장치는 인쇄회로기판(PCB) 등을 통해 기판의 상면에서 개별 소자 각각의 양 전극에 동시에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보조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 OLED, 유기조명

Description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OR LARGE AREA ORGANIC ILLUMIN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조명은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사용하는 조명을 말한다. 유기발광소자는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홀(hole)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electron)가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며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유리나 플라스틱 위에 투명한 전극인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위에 여러 가지 유기물을 적층하고 그 위에 금속전극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투명전극인 ITO는 양극, 그리고 금속전극은 음극에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면 적층된 유기물에서 빛을 얻을 수가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는 도 1과 같 다.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은 투명하여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금속전극에 비해서는 전기저항이 매우 높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를 대면적으로 구현하고자 할 때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넓은 발광 면적 내의 전압분포가 고르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고른 휘도의 발광을 대면적으로 얻기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투명전극의 아래 혹은 위에 금속을 이용하는 보조전극을 설치하는 것이다. 금속 보조전극은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가늘게 격자모양으로 만들며 넓은 면적에 있어서 고른 전압분포를 얻으면서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격자의 주기는 가능한 한 넓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격자모양의 금속보조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은 공정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문제뿐 만이 아니라, 투명전극 위에 보조전극이 형성된 경우에 보조전극의 높이 때문에 그 위에 구성해야 하는 유기물을 고르게 적층하는데 있어서 공정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를 유기조명으로 활용할 때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일정 크기의 화소(pixel)로 투명전극 위에 제작한다. 각각의 화소를 동시에 구동하여 대면적의 유기조명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화소는 투명전극에 양극, 유기발광소자의 최상부에 형성하는 금속전극에 음극을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구동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기조명의 구동방식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은 각각 기판과 금속전극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양극으로 사용되는 투명전극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보조전극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보조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조전극을 사용하지 않고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대면적의 유기 조명의 구동이 가능한 유기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각각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가 핀(pin)전극 또는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전도필름은 상기 유기발광 장치의 상 면을 덮어, 전원의 연결 역할과 동시에 유기발광소자를 봉지(encapsulation)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유기 발광층 가장자리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와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 면의 일부분에서 연장되고, 인접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상보적인 모양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기판은 투명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은 투명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투명전극은 산화인듐주석(ITO)계 투명전극, 산화인듐아연(IZO)계 투명전극, 산화주석계 투명전극, 산화아연계 투명전극 및 투명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투명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전극층은 금속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명전극 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판을 준비 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층을 식각(etching)하여 다수의 이격된 제1 전극층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 위에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제2 전극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들에 의하여 제조된 기판 위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적층시에 덮여지지 않고 가장자리로 연장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또는 액상잉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 위와 상기 기판상의 이격된 공간의 일부까지 연장 적층되어,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전극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금속 페이스트의 인쇄, 또는 패턴 모양으로 미리 제조한 금속 전극의 이송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전극에 보조전극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일면에서 이격된 유기발광소자 각각의 투명전극 및 금속전극에 동시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전극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기판 상에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를 배열이 가능하여 면적의 제한이 없는 유기조명의 구동이 가능하다.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자 패턴을 통하여 대면적의 면광원의 구현이 가능하다.
보조전극의 형성에 따른 복잡한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저가의 유기조명을 제조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와 인쇄회로기판을 이방성전도필름을 통하여 연결하는 경우, 이방성전도필름이 유기발광소자를 봉지(encapsulation)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봉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장치의 유기발광소자 배열 및 그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도 3의 각 층의 두께는 실제 소자의 각 층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설명을 위해 두께를 확대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상에 각 층의 적층 과정 및 개별 유기발광소자의 배열 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장치는, 기판(100)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200, 300, 40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200),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00),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층(4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각각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판(100)은 도 3의 아래 방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절연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00)은 높은 전도성 및 일함수를 가지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층은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인듐아연(IZO), 산화주석계 및 산화아연계 투명 전도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투명 전도성 고분자, 예컨대 PEDOT:PSS 등을 투명전극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전극층(200)은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기판의 상면에서 전원을 접속할 수 있도록 유기 발광층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고 연장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접속부의 돌출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인접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전원 접속부와 상보적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인접 소자와의 최적 배열을 위하여 도 4(왼쪽)에 도시되어 있듯이 "ㄴㄱ"의 패턴으로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 면의 일부에서 연장된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300)은 다양한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의 유기 발광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알려진 다양한 발광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기 발광층의 구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단일 층으로 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유기 발광층은 전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층들이 포함되어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밖에도 버퍼층, 블록킹층 등이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기 발광층(300)은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적층되어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 2전극층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의 전원 접속부를 제외하고 제1 전극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가운데 참조).
상기 제2 전극층(400)은 임의의 도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금속 전극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의 발광이 필요한 경우라면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투명전극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전극층(400)은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적층되며, 기판상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연장 적층되어 유기 발광층의 측면에 돌출된 제2 전극의 전원 접속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의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제2 전극의 전원 접속부는 서로 겹쳐 지지 않게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층 가장자리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접속부의 돌출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인접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전원 접속부와 상보적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인접 소자와의 최적 배열을 위하여 도 4(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듯이 "ㄱㄴ"의 패턴으로 일부가 돌출된 모양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별 유기발광소자의 적층 구조 및 패턴 모양에 따라, 기판 상에서 개별 유기발광소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기판의 상면으로 제1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와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가 노출되어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개별 유기발광소자에 독립적으로 전원의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개별 유기발광소자의 제1 전극 전원 접속부 및 제2 전극 전원 접속부가 기판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유기 발광층 가장자리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개별 유기발광소자에 일괄적으로 독립하여 전원의 연결이 가능하다. 전원의 연결은 인쇄회로기판을 기판의 상면 방향에 배치하여 기판상의 개별 유기발광소자 모두에 동시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노출된 전원 접속부에 다양한 방법으로 전원의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유연성 인쇄회로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 판을 사용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기판상의 개별 유기발광소자의 전극 접속부에 전원의 음극 및 양극을 정확히 연결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 전극이 형성된 인쇄회로가 필요하다.
상기 전원 접속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핀(pin)전극,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 등을 사용하여 전원의 연결이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핀전극을 사용하여 개별 유기발광소자와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한 사진을 나타내었다(도 5의 점선은 투명전극이 위치하는 모양을 나타내며, 기판의 하면에서 바라본 사진임). 상기 이방성전도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어, 소자의 봉지(encapsul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은, 투명전극 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층을 식각(etching)하여 다수의 이격된 제1 전극층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도 4 왼쪽);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 위에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는 단계(도 4 가운데);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제2 전극층을 적층하는 단계(도 4 오른쪽); 및 상기 단계들에 의하여 제조된 기판 위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투명전극 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여, 투명전극을 식각(etching)하여 제1 전극층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적층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 위에, 유기 발광층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는 전원 접속부를 제외하고 적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또는 액상잉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통하여 유기 발광층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의 적층 단계는, 상기 유기 발광층을 덮고, 연장된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전극의 패턴을 적층할 수 있으며,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금속 페이스트의 인쇄, 패턴 모양으로 미리 제조한 금속 전극의 이송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2 전극층의 적층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장치(발광전, 발광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적층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기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장치의 적층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200: 제1 전극층(투명전극)
300: 유기 발광층
400: 제2 전극층(금속전극)
500: 보조전극

Claims (14)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각각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가 핀(pin)전극 또는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전도필름은 상기 유기발광 장치의 상면을 덮어, 전원의 연결 역할과 동시에 유기발광소자를 봉지(encapsulation)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와 상기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유기 발광층 가장자리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와 제2 전극층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 면의 일부분에서 연장되고,
    인접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원 접속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상보적인 모양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기판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투명전극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산화인듐주석(ITO)계 투명전극, 산화인듐아연(IZO)계 투명전극, 산화주석계 투명전극, 산화아연계 투명전극 및 투명 전도성고분자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투명전극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금속 전극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
  10. 투명전극 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 층을 식각(etching)하여 다수의 이격된 제1 전극층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 위에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제2 전극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들에 의하여 제조된 기판 위에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유기발광소자 각각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의 적층시에 덮여지지 않고 가장자리로 연장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또는 액상잉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 위와 상기 기판상의 이격된 공간의 일 부까지 연장 적층되어, 유기 발광층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금속 페이스트의 인쇄, 또는 패턴 모양으로 미리 제조한 금속 전극의 이송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명용 유기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90122606A 2009-12-10 2009-12-10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06A KR101032026B1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06A KR101032026B1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026B1 true KR101032026B1 (ko) 2011-05-02

Family

ID=4436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06A KR101032026B1 (ko) 2009-12-10 2009-12-10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198A (ja) 2004-07-23 2006-03-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198A (ja) 2004-07-23 2006-03-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722B2 (en) Micro LED displ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EP2743909B1 (en) Pixel structure, pixel unit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6110695B2 (ja) 発光装置
KR10055297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5409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TWI524515B (zh) 光電裝置陣列
KR102139677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650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5928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429315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965654A (zh) 有机发光二极管、接触装置和制造有机发光二极管的方法
EP3343661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CN108321305B (zh) 一种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123682B2 (en) Light-emitting device
US9337440B2 (en) Organic luminescent display device
JP6143763B2 (ja) 発光デバイスパターンのための改良されたマスキング
TWI553852B (zh) 有機發光二極體陣列的製備方法
US10305062B2 (en) Lighting assembly and lighting device
KR101032026B1 (ko) 대면적 유기조명을 위한 유기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6886B1 (ko) 오엘이디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42418B1 (ko) 유기전자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11013A (ko) 유기 발광 소자
JP2013179020A (ja) 有機光電子素子
JP2006260965A (ja) パッシブマトリクス有機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