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941B1 -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941B1
KR101031941B1 KR1020080114643A KR20080114643A KR101031941B1 KR 101031941 B1 KR101031941 B1 KR 101031941B1 KR 1020080114643 A KR1020080114643 A KR 1020080114643A KR 20080114643 A KR20080114643 A KR 20080114643A KR 101031941 B1 KR101031941 B1 KR 10103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base
pair
screw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773A (ko
Inventor
이경우
홍옥순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08011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9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대차(10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1)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1)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완충패널(21)과, 상기 제1완충패널(21) 저면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뒷바퀴(RW)와, 구동 뒷바퀴(RW)로부터 구동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구동 뒷바퀴(RW)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M1)로 이루어진 주행구동부(20)와; 상기 주행구동부(20)가 설치되는 베이스(10)의 반대편측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2)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2)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완충패널(31)과, 상기 제2완충패널(31)의 저부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커터(32)와, 상기 커터(32)를 상하로 구동하는 캠부재(33)와, 상기 캠부재(33)로부터 구동벨트(V)로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구가하는 제2구동모터(M2)로 이루어진 스케일 제거부(30)와; 상기 스케일 제거부(30)가 위치한 일측의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 고정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3)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3)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하우징(41)과, 상기 휠하우징(41)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FW) 로 이루어진 주행종동부(40)와; 상기 주행종동부(40)와 주행구동부(20) 사이의 베이스(10)상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4)과, 베이스(10) 저부로 관통되는 나사조절축(S4)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그네틱 프레임(51)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 저부에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자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52)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의 전후측에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부재(53)를 포함하는 자력발생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강관의 내, 외주면 곡률에 따라 이송대차에 마련된 구동 뒷바퀴, 마그네틱 프레임측 캐스터, 앞바퀴를 내, 외주면에 밀착 세팅하여 안정된 자력 이송과 함께 스케일 제거가 이루어지고, 앞바퀴의 조향각에 따라 그 뒤를 이어 마그네틱 프레임측에 설치된 캐스터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되, 마그네틱 프레임은 직진방향을 유지하여 내,외주면의 곡률을 갖는 강관에서 마그네틱의 자력발생을 안정되게 유지시켜 스케일작업 궤도에서 전반적인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각 개별적으로 쇽업쇼바 효과와 동일한 완충효과를 갖추어 스케일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114643
이송대차, 마그네틱 프레임, 캐스터, 조향

Description

스케일 제거장치{Scale eliminate apparatus}
본 발명은 사면이나 강관 내의 스케일 제거를 위한 스케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형 선박의 슬로우프 형태의 사면이나, 대직경의 강관 내부 곡률에 맞게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저면 부분의 효율적인 밀착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특히 강관 내,외부에서의 이송대차 각 구성부를 곡률에 맞게 정확하게 세팅하여, 안정된 주행으로서 스케일 제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직경의 강관 내부에는 유체이송 및 저장에 따라 내표면상에 스케일이 점차 적층되어 쌓이게 되며, 이러한 스케일 제거작업은 인위적으로 샌딩공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형 선박의 선체에는 사면을 이루는 지대와 대구경의 강관 등이 있는바, 작업자가 쉽게 올라설 수 없는 지역에서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스케일 제거작업으로서 대표적인 수동식 방법으로는 샌드 블라스팅 작업이 있으나, 이는 작업현장에서의 시야 확보가 어렵고, 경사면이나 강관의 직경이 작업자의 손이 닿지 못하는 정도로 대구경일 경우, 작업자의 위치선정이 어렵게고, 샌드블라스팅 작업은 열악한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건강에 문제를 주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관점을 고려하여 자력을 이용한 이송대차상에 스케일 장비를 탑재하여 자력발생에 의한 이송대차를 무선조정으로서 밀착 운행되도록 하여 비교적 경사도가 있는 사면 스케일 작업이나 강관 등과 같은 곡면에서도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로봇장치등을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스케일 제거장치를 요약하면, 주어진 이송대차를 강관의 내경에 전자석에 의해 자력발생으로 이송대차를 밀착시켜 360도 회전과 함께 나선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운행함과 동시에, 내경 표면에 쌓인 스케일을 제거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통상 평면이나 사면에서의 스케일 제거작업은 비교적 수월하게 이루어지나, 곡면을 이루는 작업부분에서는 이송대차의 밀착 운행에 따라 각 부분이 굴절가능하게 제작은 되어 있으나, 해당하는 곡률에 정확히 세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송대차가 주행하는 방향전환시 자력을 발생하고 있는 마그네틱 위치는 이송대차의 전환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조정됨으로써, 구동 뒷바퀴를 제외한 앞바퀴 및 마그네틱 프레임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캐스터는 작업 대상 면으로부터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이송대차의 주행속도가 매우 늦추어지는 경우로, 스케일 제거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고, 이송대차의 불안정한 주행으로 심하게는 360도 회 전시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통상적으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비의 탑재는 이송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대차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비 또한 대차의 상부에 설계되는 이유에서 특히 360도 회전을 하는 이송대차의 스케일 제거시간은 상기와 같은 부수장비의 자중 설계조건 정도에 따라 주행 및 스케일 제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형 선박의 슬로우프 형태의 사면이나, 대직경의 강관 내부 곡률에 맞게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저면 부분의 효율적인 밀착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특히 강관 내,외부에서의 이송대차 각 구성부를 곡률에 맞게 정확하게 세팅하여, 안정된 주행으로서 스케일 제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대차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로 고정 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과, 베이스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완충패널과, 상기 제1완충패널 저면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뒷바퀴와, 구동 뒷바퀴로부터 구동벨트로서 연결 설치되어 구동 뒷바퀴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주행구동부와; 상기 주행구동부가 설치되는 베이스의 반대편측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로 고 한 쌍의 나사조절축과, 베이스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완충패널과, 상기 제2완충패널의 저부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의 내, 외주 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커터와, 상기 커터를 상하로 구동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로부터 구동벨트로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구가하는 제2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스케일 제거부와; 상기 스케일 제거부가 위치한 일측의 베이스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과, 베이스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하우징과, 상기 휠하우징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로 이루어진 주행 종동부와; 상기 주행종동부와 주행구동부 사이의 베이스상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과, 베이스 저부로 관통되는 나사조절축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그네틱 프레임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 저부에 설치되어 강관의 내, 외주면에 자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의 전후측에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부재를 포함하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케일 제거장치가 제공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 중 어느 하나의 연결로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자력발생부가 설치된 베이스의 상면에는 호형의 장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휠 하우징측으로부터 연결로드의 장공을 통해 베이스상부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제1수직가이드봉과,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된 자력발생부의 각 마그네틱 프레임 상부 양측로부터 베이스의 상부측 장공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가 마련된 제2수직가이드봉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가이드봉 및 제2수직가이드봉의 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는 구성으로서, 휠하우징의 회전반경에 따라 각 마그네틱프레임의 동방향으로 동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는 강관의 내, 외주면 곡률에 따라 이송대차에 마련된 구동 뒷바퀴, 마그네틱 프레임측 캐스터, 앞바퀴를 내, 외주면에 밀착 세팅하여 안정된 자력 이송과 함께 스케일 제거가 이루어지고, 앞바퀴의 조향각에 따라 그 뒤를 이어 마그네틱 프레임측에 설치된 캐스터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되, 마그네틱 프레임은 직진방향을 유지하여 내,외주면의 곡률을 갖는 강관에서 마그네틱의 자력발생을 안정되게 유지시켜 스케일작업 궤도에서 전반적인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각 개별적으로 쇽업쇼바 효과와 동일한 완충효과를 갖추어 스케일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송대차(10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10)상으로부터 주행구동부(20), 스케일 제거부(30), 주행종동부(40), 자력발생부(50), 조향콘트롤 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구동부(20)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1)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1)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완충패널(21)과, 상기 제1완충패널(21) 저면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뒷바퀴(RW)와, 구동 뒷바퀴(RW)로부터 구동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구동 뒷바퀴(RW)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M1)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케일 제거부(30)는, 주행구동부(20)가 설치되는 베이스(10)의 반대편측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2)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2)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완충패널(31)과, 상기 제2완충패널(31)의 저부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커터(32)와, 상기 커터(32)를 상하로 구동하는 캠부재(33)와, 상기 캠부재(33)로부터 구동벨트(V)로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구가하는 제2구동모터(M2)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행종동부(40)는, 상기 스케일 제거부(30)가 위치한 일측의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 고정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3)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3)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하우징(41)과, 상기 휠하우징(41)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FW)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발생부(50)는, 주행종동부(40)와 주행구동부(20) 사이의 베이 스(10)상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4)과, 베이스(10) 저부로 관통되는 나사조절축(S4)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그네틱 프레임(51)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 저부에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자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52)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의 전후측에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력발생부(50)는 베이스(10)의 하부면에 하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캐스터부재(53)는 고정볼트(B)로서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공부(54a)를 갖는 브라켓트(54)의 하부에 캐스터(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스터부재(53)는 마그네틱 프레임(51) 양측에 상호 좁은 간격과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웃하는 마그네틱 프레임(51)과의 간격이 좁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트네틱 프레임(51) 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각 마그네틱(52)은 전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상기 조향콘트롤부(60)는, 상기 주행종동부(4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상부에 수직상에 설치되는 제3구동모터(M3) 및 피니온기어(61)와, 상기 피니온기어(61)와 치합되는 랙기어부(62a)가 마련되며, 양단은 휠하우징(41)에 각 연결 설치되어 앞바퀴(FW)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연결로드(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로드(62)에 형성된 랙기어부(62a)는 피니온기어(6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며, 피니온기어(61)의 회전동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로 평행 하게 조향조작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상에 있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일자형의 장공(12)과 호형의 장공(11)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한 쌍의 연결로드(62) 중 어느 하나의 연결로드 양측에는 베이스(10)상부측 장공(12)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제1수직가이드봉(70)과,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된 자력발생부(50)의 각 마그네틱 프레임(51) 상부 양측로부터 베이스(10)의 상부측 호형의 장공(11)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가 마련된 제2수직가이드봉(8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가이드봉(70) 및 제2수직가이드봉(80)의 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휠하우징(41)의 회전반경에 따라 각 마그네틱 프레임(51)측 캐스터(C)는 동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마그네틱 프레임(51)은 작업 대상의 내,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직진될 수 있도록 하여 마그네틱을 통한 자력발생이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탄성부재(T)는 도 1,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으로부터 중심측으로 높이를 갖는 판스프링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스케일 제거장치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관(1)의 내부로 진입시킨 이송대차(100)는 강관의 내, 외주면 직경이 갖는 곡률에 따라 세팅작업을 실시한다. 도면상에서 실시된 스케일 작업 대상은 강관의 내경에 스케일 제거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베이스(10)상에 설치된 주행구동부(20)측 나사조절축(S1), 스케일 제거부(30)측 나사조절축(S2), 주행종동부(40)측 나사조절축(S3), 자력발생부(50)측 나사조절축(S4)은 각각 베이스(10)의 상부로부터 체결되는 너트(N)의 체결정도를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상기 각 부에 구성되어 있는 구동 뒷바퀴(RW), 앞바퀴(FW)가 접하도록 세팅시켜 준다.
상기 주행구동부(20)은 제1완충패널(21)상에 설치된 구동 뒷바퀴(RW)가 강관의 내,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정도, 즉, 전반적으로 이송대차(100)의 저면이 강관(1)의 내, 외주면 곡률에 맞추어진 상태에서 세팅이 이루어진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50)측은 그 하부에 위치한 마그네틱 프레임(51) 양측에 설치된 캐스터부재(53)의 이차적인 조정으로서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캐스터(C)가 각각 안정된 상태로 밀착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캐스터부재(53)는 마그네틱 프레임(51)의 양측에 상호 넓은 간격과 좁은 간격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는 각 마그네틱 프레임과의 간격을 좁혀 강관의 곡률에 적합하게 캐스터의 간격을 좁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곡률반경에 맞도록 한 상태의 상기 자력발생부(50)측 마그네틱 프레임(51) 저면에 설치된 한 쌍의 마그네틱(52)은 전후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곡률을 갖는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케일 제거부(30)측 나사조절에 의한 제2완충패널(31)상에 설치된 커터(32)는 제거하고자 하는 스케일의 깊이 등을 감안하여 조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대차(100)를 구성하는 베이스(10)의 저부측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대차는 주행구동부(20)측 제1구동모터(M1)의 구동시작으로 구동벨트(V)를 통해 구동 뒷바퀴(RW)를 전진구동시켜 전반적인 이송대차(100)를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대차(100)의 주행이 이루지면서 베이스(10)의 전방측 저부에 설치된 스케일 제거부(30)는 제2구동모터(M2)의 회전과 함께 구동벨트(V)로서 연결 설치된 캠부재(33)를 구동하고, 캠부재(33)와 연결된 커터(32)를 상,하로 구동시켜 불균일하게 돌출된 스케일을 커터로 깍아 내어 가면서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짐에 있어, 커터(32)를 받져 지지하고 있는 제2완충패널(31)은 나사조절축(2)상의 탄성부재(T)에 의해 떨림상태에 따른 완충효과와 더불어 강관(1) 내, 외주면으로부터의 커터(2)가 밀착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커터(32)의 구동은 스케일을 설정된 깊이 깍아 내어가면서 이송대차(100)의 주행은 연속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되는 이송대차는 강관의 내,외부 직경에 대해 360도 회전과 더불어 내부로 점차 진입하거나, 또는 내부에서 외부측 방향으로 이송대차의 진로방향을 설정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되는 이송대차(100)상의 자력발생부(50)측 마그네틱(52)은 각각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이유에서 강관(1)의 내, 외주면 곡률반경에 대해 항상 일정한 자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캐스터(C)를 포함한 앞바퀴(FW) 및 구동 뒷바퀴(RW)가 강관의 내, 외주면에 안정된 상태로 밀착 이송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강관의 내,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여 들어가면서 스케일 제거하는 과정에서의 앞바퀴(FW)의 방향전환은, 베이스(10)상 설치된 조향콘트롤부(60)측 제3구동모터(M3)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3구동모터(M3)측 피니온기어(61)의 회전각 조정에 따라 베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되며, 주행종동부(40)측 휠하우징(41)과 연결된 연결로드(62)는 그 길이방향에 랙기어부(62a)가 상기 피니온기어(61)와 치합된 관계에서 상기 휠하우징(41)을 포함한 앞바퀴(FW)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강관(1)의 내부 직경상에서 나선방향으로 연속 주행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송대차(100)를 구성하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플레이트(90)와, 상기 주행종동부(40)측 휠하우징(41)측에 설치된 연결로드(62)는 다음과 같이 동작됨으로써, 휠하우징(41)의 조향이 결정된다.
상기 휠하우징(41)의 방향전환은 주어진 제3구동모터(M3)의 회전에 따라 피니온기어(61)와 접하여 좌우 평행동작되는 연결로드(62)측 제1수직가이드봉(70)은, 도 7과 같은 직진상태인 경우, 사면이나 평면상에서의 스케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상에 마련된 일자형의 장공(12) 을 통해 조향각도 만큼 움직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각각의 마트네틱 프레임(51)상에 설치된 두개의 제2수직가이드봉(80)들은 상기 베이스(10)상에 형성된 호형의 장공(11)을 따라 각각의 마그네틱 프레임(51)에 대한 이송대차의 베이스(10)는 휠하우징(41)의 조향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은 도시된 은선과 같이 직진방향을 유지하되, 이때 마그네틱 프레임측에 설치된 캐스터만이 방향전환되어 이송대차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연속으로 나선방향으로 강관의 내,외주면서 밀착 주행하는 이송대차의 주행형태를 유지하는 상태이다.
즉, 마그네틱 프레임과 마그네틱은 곡률을 갖는 내,외주면에서 자력발생의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송대차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운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켜 준다.
결국, 앞바퀴(FW)와 각각의 캐스터(C)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대차(100)의 전반적인 주행에 있어, 스케일 작업위치 변경에 따른 궤도 수정에서 매우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스케일 제거장치는 기존의 장치보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됨은 물론, 강관의 내,외경 곡률에 맞게 안정된 세팅작업으로서 강관의 내, 외주면을 주행하면서 스케일의 제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의 자력발생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자력발생부에 일예의 탄성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의 연결플레이트가 적용설치된 일 시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의 스케일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설명>
10: 베이스 20: 주행구동부
30: 스케일 제거부 40: 주행종동부
50: 자력발생부 60: 조향콘트롤부
90: 연결플레이트 100: 이송대차

Claims (8)

  1. 이송대차(10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1)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1)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완충패널(21)과, 상기 제1완충패널(21) 저면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뒷바퀴(RW)와, 구동 뒷바퀴(RW)로부터 구동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구동 뒷바퀴(RW)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M1)로 이루어진 주행구동부(20)와;
    상기 주행구동부(20)가 설치되는 베이스(10)의 반대편측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한 쌍의 나사조절축(S2)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2)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완충패널(31)과, 상기 제2완충패널(31)의 저부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커터(32)와, 상기 커터(32)를 상하로 구동하는 캠부재(33)와, 상기 캠부재(33)로부터 구동벨트(V)로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구가하는 제2구동모터(M2)로 이루어진 스케일 제거부(30)와;
    상기 스케일 제거부(30)가 위치한 일측의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 고정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3)과, 베이스(10)의 저부로 관통된 나사조절축(S3)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휠하우징(41)과, 상기 휠하우징(41)에 구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FW)로 이루어진 주행종동부(40)와;
    상기 주행종동부(40)와 주행구동부(20) 사이의 베이스(10)상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너트(N)로 고정되는 나사조절축(S4)과, 베이스(10) 저부로 관통되는 나사조절축(S4)상에 제공되는 탄성부재(T)로서 완충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프레임(51)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 저부에 설치되어 강관(1)의 내, 외주면에 자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마그네틱(52)과, 상기 마그네틱 프레임(51)의 전후측에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부재(53)를 포함하는 자력발생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일자형의 장공(12)과 호형의 장공(11)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한 쌍의 연결로드(62) 중 어느 하나의 연결로드 양측에는 베이스(10)상부측 장공(12)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제1수직가이드봉(70)과,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된 자력발생부(50)의 각 마그네틱 프레임(51) 상부 양측로부터 베이스(10)의 상부측 호형의 장공(11)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나사체결부가 마련된 제2수직가이드봉(8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수직가이드봉(70) 및 제2수직가이드봉(80)의 단부를 관통하는 형태가 되게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90)를 더 포함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T)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 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T)는 양단으로부터 중심측으로 높이를 갖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트네틱 프레임(51) 저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각 마그네틱(52)은 전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부재(53)는 고정볼트(B)로서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공부(54a)를 갖는 브라켓트(54)의 하부에 캐스터(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종동부(4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상부에 수직상에 설치되는 제3구동모터(M3) 및 피니온기어(61)와, 상기 피니온기어(61)와 치합되는 랙기어부(62a)가 마련되며, 양단은 휠하우징(41)에 각 연결 설치되어 앞바 퀴(FW)의 진행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연결로드(62)로 이루어진 조향콘트롤부(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KR1020080114643A 2008-11-18 2008-11-18 스케일 제거장치 KR10103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3A KR101031941B1 (ko) 2008-11-18 2008-11-18 스케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3A KR101031941B1 (ko) 2008-11-18 2008-11-18 스케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773A KR20100055773A (ko) 2010-05-27
KR101031941B1 true KR101031941B1 (ko) 2011-05-09

Family

ID=4228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43A KR101031941B1 (ko) 2008-11-18 2008-11-18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254B1 (ko) * 2011-03-31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스키드 구조물의 이물 제거장치
KR102517549B1 (ko) * 2021-05-14 2023-04-05 권병주 관로 갱생 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591A (ko) * 1994-12-22 1996-07-18 석진철 무인운반차의 현가장치
KR20030045205A (ko) * 2001-12-01 2003-06-1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판부착먼지 제거차
JP3144736U (ja) * 2008-06-28 2008-09-11 山下マシーン有限会社 鋼板溶接用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591A (ko) * 1994-12-22 1996-07-18 석진철 무인운반차의 현가장치
KR20030045205A (ko) * 2001-12-01 2003-06-1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판부착먼지 제거차
JP3144736U (ja) * 2008-06-28 2008-09-11 山下マシーン有限会社 鋼板溶接用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773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40316Y (zh) 对称角焊用的装置
CN103949960B (zh) 一种便携式钢管内壁除锈车
US8561736B2 (en) Adjustable mid-wheel power wheelchair drive system
CN103722477A (zh) 轨腰除锈打磨机
CN110170907A (zh) 一种用于金属筒生产的筒壁除锈设备
CN202490722U (zh) 喷涂装置
KR101031941B1 (ko) 스케일 제거장치
CN108032277A (zh) 带有升降机构的机器人
CN102672206A (zh) 用于钢管端面加工的平口装置
CN110539284A (zh) 一种单边适应式轨道机器人底盘
CN210258629U (zh) 一种改进型物流搬运agv
CN110026867B (zh) 一种多角度加工辊轮制造装置
CN103331683A (zh) 不锈钢盖板表面抛光拉丝装置
WO2014111673A1 (en) A continuous crawler
CN209665139U (zh) 内外壁喷砂设备
US3217395A (en) Apparatus for pulling and pressing bearings and the like
CN111318763A (zh) 一种可用于切割的冶金机械设备
KR101992011B1 (ko) 자동용접대차
US2727340A (en) Portable tool for reconditioning crane rails
RU2018130878A (ru) Мобильный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окарный станок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катания колесной пары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4058836A (zh) 一种焊道残余应力消除装置及方法
CN210098669U (zh) 一种端板打孔装置
CN106624964A (zh) 一种车床用高效机械手装置
CN110449794B (zh) 一种兼容移动导轨和移动底座小车的组合式焊接机身
CN202162671U (zh) 自动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