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989B1 - 라이프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프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989B1
KR101030989B1 KR1020080048302A KR20080048302A KR101030989B1 KR 101030989 B1 KR101030989 B1 KR 101030989B1 KR 1020080048302 A KR1020080048302 A KR 1020080048302A KR 20080048302 A KR20080048302 A KR 20080048302A KR 101030989 B1 KR101030989 B1 KR 10103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sensor
home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080A (ko
Inventor
엄두섭
정부영
차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웨이
Priority to KR102008004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9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9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가지고 홈 내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센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각종 센싱 데이터를 센서융합하고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행동패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 및 인터넷을 이용한 라이프 케어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다수 센서에 의한 상황인지, 사용자 행동패턴 및 행동인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라이프 케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지식이 없어도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이프 케어 시스템 {Life care system}
본 발명은 라이프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센서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이 각종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홈 내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혈압/맥박 등의 생체인식 센서, 화재센서, 가스감지센서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위급 상태 및 화재 및 가스누출 등의 위험을 감지하고 위험상태를 감지할 경우 PSTN 모뎀, ADSL 모뎀, 전화기를 사용한 DTMF 신호 전송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응급센터, 병원, 경찰서 등에 위험상태를 알리는 매우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라이프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급상태, 화재 및 가스누출, 도둑침입 등과 같이 위험상태를 유관 기관 및 가족, 친지 등에 통보하는 수준의 단순한 서비스 제공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은 특히 혼자 사는 독거노인 대상의 정부사업으로 이미 몇몇 지자체에서 추진된 상황이나, 사용의 편이성 측면에서 정보 화 능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관계로 사용법이 어려워 대부분의 독거노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막대한 정부 예산을 투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독거노인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을 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사용자 메뉴얼을 익히지 않으면 서비스를 받기 어렵고 사용법을 익힌 후에도 기억 손실에 의하여 다시 사용자 매뉴얼을 공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일부 기본적인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비효율성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홈 내를 모니터링 하고 이상이 감지될 경우 이를 즉시 유관기관 및 관련자들에게 통보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는 단순한 서비스 제공에만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내에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센서 및 센서융합(sensor fusion)을 통해 홈 내의 상황인지, 사용자 행동패턴 및 사용자 행동인지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나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인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수단은 다수의 센서를 가지고 홈 내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센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각종 센싱 데이터를 센서융합하고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행동패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홈서버는 다수의 센서와 통신하는 제 1 USN 인터페이스부; 제 1 USN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센싱 데이터의 센서융합을 기초로 홈 내의 상황을 인지하고, 과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며 서비스 메뉴 및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 제 1 제어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상황 확인 콘텐츠, 서비스 콘텐츠 또는 알리미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또한, 홈서버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인터넷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제어부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제어한다.
홈서버의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영상재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또한 사용자의 지시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홈서버와 통신하는 제 2 USN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 가속도 감지부의 움직임 신호를 홈서버로 전송 하기 위한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홈서버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 데이터를 스피커나 영상재생장치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제어부는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홈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한다.
또한 홈서버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 데이터를 스피커나 영상재상장치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질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자신의 답을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홈서버에 전송하고 홈서버는 입력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입력부는 가속도 감지부, 스위치부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센서유닛은 동작감지(PIR)센서, 도어센서,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적외선(IR)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센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알리미 서비스,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방범 서비스, 도우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센서 및 인터넷을 이용한 라이프 케어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다수 센서에 의한 상황인지, 사용자의 행동패턴 및 행동인지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라이프 케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이나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지식 없이도 용이하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특정 절차에 따라 일일이 해당 버튼을 누르는 등의 입력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 컴퓨터나 기타 정보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라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와 홈서버(10)를 통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유관기관 및 공공기관 등을 연결하여 각종 알리미 서비스 및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생활의 편리함을 주고, 서비스 제공 업체는 보다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홈 서버(10), 센서유닛(20), 사용자 단말기(30), 인터넷(40), 관리 서버(50), 이동 통신망(60), 서비스 단말기(70), 공공 기관 및 유관 기관(80)으로 구성된다.
홈 서버(10)는 센서유닛(20)로부터 입력된 센싱 데이터의 센서융합(sensor fusion)을 통해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 및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서비스 메뉴, 상황확인 콘텐츠, 알리미 콘텐츠 및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센서융합은 다양한 센서의 신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수집하여 종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다양한 센서의 신호원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종합된 하나의 신호나 정보로 통합이 가능하다.
홈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 확인을 위한 질문 데이터를 스피커나 영상재생장치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사용자의 답변을 입력한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의도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서버(10)는 센서유닛(20)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며, ADSL 모뎀 또는 PSTN 모뎀과 같은 데이터 통신 모뎀을 통해 인터넷(40)에 연결되어 원격지에 있는 관리 서버(50)와 연동된다.
홈서버(10)는 관리 서버(50)와의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 약 복용 시간, 방문 복지사 방문시간 등)를 얻고,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병원,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에 이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인터넷(40)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에 이를 알린다. 이때 관리 서버(50)는 위급 상황에 관련된 기관에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서버(10)는 제 1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인터페이스부(11), 제 1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 제 1 오디오 코덱부(13), 제 1 비디오 코덱부(14), 제 1 제어부(15) 및 제 1 메모리부(16)로 구성된다.
제 1 USN 인터페이스부(11)는 상황인지를 위해 홈 내에 설치된 센서유닛(20)의 각종 센서, 즉 PIR 센서, 도어 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은 물론이고 가스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건강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생체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및 사용자 단말기(3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제 1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는 홈서버(10)를 인터넷(4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PSTN 모뎀, ADSL 모뎀, 무선랜, 케이블 TV 모뎀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법을 적용한다.
제 1 오디오 코덱부(13)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제 1 제어부(15)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스피커로 출력시킴으로써 인터넷(40)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 1 비디오 코덱부(14)는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제 1 제어부(15)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1 비디오코덱부(14)를 통하여 홈서버(10) 자체에 저장된 영상 혹은 인터넷 스트리밍을 통하여 수신한 영상을 홈서버(10)와 연결되는 TV, 컴퓨터의 모니터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제 1 제어부(15)는 센서유닛(20)로부터 입력된 센싱 데이터를 센서융합(sensor fusion)하고 센서융합을 통해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인지하며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행동 패턴을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른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 확인을 위한 질문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 1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메뉴, 상황확인 콘텐츠, 알리미 콘텐츠, 서비스 콘텐츠가 음성 및 영상 형태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제 1 메모리부(16)는 각종 센싱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원부(미도시)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센서유닛(20)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홈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홈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PIR 센서, 도어 센서,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IR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 구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센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유닛(20)의 각 센서와 홈서버(10)의 제1 USN 인터페이스(11)가 무선 통신을 하여 각종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 송한다.
여기서, 센서유닛(20)에 구비된 각종 센서 중 조도센서, 전기량센서,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IR(Infrared Ray) 센서와 같이 특정 요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설치 위치가 중요하지 않은 센서는 홈서버(10)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홈서버(10)와 연결되어 홈서버(10)로부터 전송된 질문 데이터를 자체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질문데이터에 상응하는 답변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 및 홈서버(10)는 제 1, 2 오디오 코덱부(13, 3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있어 인터넷 전화 기능을 지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는 제 2 USN 인터페이스부(31), 제 2 오디오 코덱부(32), 가속도 감지부(33), A/D변환부(34), 스위치부(35), 표시부(36), 제 2 제어부(37) 및 제 2 메모리(38)로 구성된다.
제 2 USN 인터페이스부(31)는 홈서버(10) 및 센서유닛(20)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2 오디오 코덱부(32)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속도 감지부(33)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감지 데이터를 제 2 제어부(37)로 전송한다.
A/D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or: 34)는 마이크를 통해 인식된 사용 자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치부(35)는 버튼과 연결되어 있어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된 신호를 제 2 제어부(37)로 전송한다.
표시부(36)는 사용자가 눌러야 할 버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LED와 같은 발광 소자로 구성된다. 즉 표시부(36)는 제 2 제어부(37)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정한 버튼을 누르기를 요구할 때 해당 버튼 가까이에 있는 LED를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사용자 단말기(3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제어부(37)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홈서버(1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제어부(37)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해 가속도 감지부(3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홈서버(10)의 제 1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를 적분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는 속도 및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30)의 가속도 감지부(33)로 2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기(30)의 가속도 감지부(33)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넘어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걸음 수를 카운팅하고 사용자 위급상태 유무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운동량을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제어부(37)는 사용자 단말기(3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도록 제어한 후 그 질문에 대한 답이 '예'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30)를 상하로 '아니오'일 경우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에 요청을 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답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의 움직임 수행 시 사용자 단말기(30)의 움직임 데이터를 제 1 제어부(15)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5)는 제 2 제어부(37)로부터 전송받은 움직임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제 2 제어부(37)는 가속도 감지부(33) 외에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해 마이크 및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제어부(37)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직접 음성으로 '예' 또는 '아니오'라고 답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 후 신호 처리하여 신호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5)는 제 2 제어부(37)로부터 전송받은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여기서의 음성인식은 일반적인 음성인식과 달리, 음성인식을 하기 전에 미리 '예' 또는 '아니오'라는 답만을 사용자가 하도록 요구한 후에 음성인식을 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율이 매우 높으며, 발음된 음절 수 만을 카운팅하는 매우 단순한 알고리즘만으로도 사용자의 답을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 2 제어부(37)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에 연결된 버튼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홈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5)는 제 2 제어부(37)로부터 전송받은 버튼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다.
사용자에게 질문을 할 때 홈서버(10)의 제 1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홈서버(1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질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메모리부(38)는 홈서버(10)에서 전송된 데이터, 가속도 감지부(33)에서 전송된 가속도 데이터, 스위치부(3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및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배터리(미도시)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인터넷(40)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홈서버(10), 관리 서버(50), 서비스 단말기(70),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80)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관리 서버(50)는 각종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사용자 프로파일, 즉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일, 결혼기념일 등 사용자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홈서버(10) 및 서비스 단말기(70)에서 사용자 정보 요청 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홈서버(10) 및 서비스 단말기(7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50)에 저장된 사용자의 각종 정보는 사용자를 케어하는 각종 기관, 가족, 친지 등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입력되어진 정보이다.
서비스 단말기(70)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음 없이 사용자에게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망(60)을 통해 인터넷(40)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관리 서버(50)에 기록된 사용자에 관한 상황정보를 얻는다.
서비스 단말기(70)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라이프 케어 서비스 제공 시, 복지사가 독거노인의 집을 방문하기 전에 서비스 단말기(70)와 홈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독거노인이 집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복지사가 독거노인의 집에 헛걸음을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복지사는 서비스 단말기(70)에 방문한 독거노인의 집에서 독거노인과의 상담 기록 및 독거노인의 요구사항 등을 현장에서 기록할 수 있어 복지사의 업무 효율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서비스 단말기(70)는 이동 통신망(60)을 사용하여 인터넷(40)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관리 서버(50)에 기록된 독거노인의 과거와 현재의 상황정보를 얻는다.
도 4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동작 구조도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하는 상황이면, 센서유닛(20)의 PIR 센서는 사용자의 기상에 따른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고 조도센서는 햇빛이나 조명에 의하여 조도값이 달라지는 것을 감지하며 홈서버(10)의 마이크는 사용자가 내는 기상 소리를 감지한다.
센서유닛(20)에서 감지된 데이터로부터 홈서버(10)는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인지 결과를 도출한다.
홈서버(10)는 센싱된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과거 행동패턴에 관한 통계데이터와 상황인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결과를 바탕으로 홈서버(10)는 적절한 서비스 메뉴를 만들어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형태로 홈서버(10) 혹은 사용자 단말기(3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3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메뉴를 제공할 경우에는 홈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30) 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한다.
홈서버(10) 혹은 사용자 단말기(30)의 스피커를 통해 서비스 메뉴를 들은 사용자는 서비스 메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의 버튼, 마이크 혹은 가속도 감지부를 사용하여 버튼의 누름, 사용자 음성, 사용자 움직임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의도를 홈서버(10)로 전송한다.
홈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한 후 해당 서비스의 서브 메뉴를 작성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서비스 콘텐츠, 상황확인 콘텐츠(즉, 질문 데이터) 또는 알리미 콘텐츠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 콘텐츠 작성 시 사용자 프로파일 즉,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일, 결혼기념일 등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각종 정보는 사용자를 케어하는 각종 기관, 가족, 친지 등이 온라인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입력을 하게 된다.
또한 약 복용 시간, 방문복지사의 방문시간, 친지 모임 등 약속시간, 소유 차량의 엔진 오일 등 부품 교환 시기, 자동차 검사 시기 등 사용자에게 편리한 각종 알리미 콘텐츠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입력을 하게 된다.
또한 거주지 주변의 음식점, 세탁소, 미용실 등 각종 생활 관련 도우미 정보도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중국음식점 혹은 치킨집 등의 음식점에 전화를 걸거나 홈서버(10)를 이용하여 주문을 하면 해당 음식점에서는 주문기록을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에 입력을 하고 관리 서버(50)는 이를 인터넷(40)을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하여 음식점 주문기록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주문기록은 향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음식주문을 할 경우 사용자의 음식점 주문기록을 바탕으로 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서비스를 메뉴화하고 이를 음성으로 들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게 주문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홈서버(10)가 TV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재생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음식주문 시 음식점 주문기록을 포함한 음식점에 관한 정보가 화면을 통하여 제공된다.
이에 따라 음식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식점 주문기록을 바탕으로 한 쿠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 주문 시 음식점의 신 메뉴를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CRM의 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음식점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지 않아도 라이프 케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주문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문기록에 따라 할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황확인 콘텐츠(즉, 질문 데이터)는 상황인지 및 행동패턴 분석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행동 및 의도를 판단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평상 시 잠들 시간에 PIR 센서, 마이크를 통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갑자기 조도센서의 조도값이 낮아질 경우 사용자가 취침하려는 것으로 인식하고 다음과 같은 상황확인 콘텐츠를 스트리밍을 통하여 스피커로 들려준다. "주무시겠습니까? 잠드시면 편안하게 주무실 수 있도록 제가 옆에서 지키겠습니다. 주무실 생각이 없으실 경우에는 왼쪽 아래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이와 같은 음성 방송 후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범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방범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황확인 콘텐츠를 방송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시스템의 오류를 줄이는 한편 사용자가 케어를 받는다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비스 콘텐츠는 인터넷 방송, 음악, 전자책, 뉴스, 영화, 두뇌활동 증진을 위한 게임, 지역사회 방송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며 인터넷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콘텐츠의 서비스 시각, 서비스의 내용, 총 서비스된 시간 등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통계 처리되어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서비스 선호도는 서비스 메뉴에 반영되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가 먼저 서비스 메뉴에 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라이프 케어 서비스의 종류에는 약 복용 시간 등 각종 알리미 서비스, 보안 서비스, 건강 및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음악 방송 같은 각종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음식주문 같은 각종 생활 관련 도우미 서비스 등이 있다.
즉, 각종 센서들을 사용한 상황인지, 과거의 행동패턴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기초로 한 행동패턴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서비스 메뉴 혹은 미리 준비된 서비스 콘텐츠, 상황확인 콘텐츠 또는 알리미 콘텐츠를 음성 혹은 음성/영상 형태로 방송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고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단순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편리하고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방식을 사용한다.
라이프 케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음악, 뉴스, 전자책, 인터넷 방송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홈서버(10) 자체에 콘텐츠를 저장하여 제공하거나, 홈서버(10)가 연결된 인터넷(40)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홈서버(10)는 사용자의 행동패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평소 멀티미디어를 즐기는 시간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미리 준비된 서비스 메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사용자에게 묻는다.
이때 서비스 메뉴의 순서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서비스 선호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오후 시간대에 주로 음악을 자주 듣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음악을 듣기를 원하는 지를 가장 먼저 물어보게 된다.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하여 서비스 메뉴를 듣고 해당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면 스피커를 통한 음성지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의 해당 버튼을 누르거나, 가속도 감지부 혹은 마이크가 사용자 단말기(3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자의 움직임 혹은 음성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홈서버(10)에 전달한다.
만약 해당 서비스를 받지 않기를 원하면 마찬가지로 음성지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의 해당 버튼, 가속도 감지부, 마이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홈서버(10)에 전달한다.
사용자의 답변에 따라 다음 음성 서비스 메뉴가 진행되며, 사용자가 더 이상 서비스를 원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버튼을 눌러서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는 매일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해당 시간대에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 순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메뉴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음악을 듣기를 원할 경우 음악메뉴는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를 바탕으로 홈서버(10)가 미리 준비하고 있다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에 따른 음악메뉴의 갱신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동일 주기에서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음악메뉴가 방송된다.
2. 알리미 서비스
센서유닛(20)의 PIR 센서 및 홈서버(10)의 마이크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를 홈 내에 설치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한다.
홈서버(10)는 입력된 센싱 데이터와 홈서버(10)에 구비된 조명 센서 및 IR 센서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황인지 판단한다.
조명 센서는 사용자가 아침에 일어나서 조명을 킬 경우 변화되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밤에 취침 시 조명을 끌 경우 변화되는 조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IR 센서는 리모콘 등에서 TV 등을 조작 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에 IR 센서를 사용하면 TV 시청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융합하게 되면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홈서버(10)는 센서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과 상황이 인지된 시간 및 상황이 발생된 시간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과거 행동패턴 통계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한 것임을 유추한다.
홈서버(10)는 아침 기상 상황과 관련된 알리미 콘텐츠가 선택하고 이를 스트리밍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방송한다. 여기서 알리미 콘텐츠의 예로 "안녕히 주무셨나요?"등이 있다.
한편, 홈서버(10)가 사용자의 아침기상을 인지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취침 시 설정된 방범서비스를 자동으로 해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침기상 관련 알리미 서비스 이외에도, 사용자를 보살피는 방문 복지사나 가족, 친지 혹은 병원 등이 관리 서버(50)에 약복용 시간을 입력하면 인터넷(40)을 통해 관리 서버(50)에 연결된 홈서버(10)로 약복용 시간을 전송하고, 홈서버(10)는 약 복용시간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생일이나, 기념일에 대한 정보를 홈서버(10)에 입력하면 이에 관한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다른 알리미 서비스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상점 등과의 협력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승용차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카센터에서 엔질오일이나 타이어 등을 교환하였을 경우, 카센터에서는 이러한 교환기록을 관리 서버(50)를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하여 홈서버(10)가 사용자의 승용차에 대한 차계부를 자동으로 쓸 수 있도록 하여 엔진오일이나 타이어 등의 부품 교환 시기를 자동으로 사용자에 알 려 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카센터에서는 사용자에게 마일리지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카센터를 자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여 카센터로서도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카센터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측면에서도 홈서버(10)가 자동으로 자신의 승용차에 대한 관리를 대신하여 주기 때문에 승용차 관리에 대한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홈서버(10)는 센서유닛(20)의 PIR 센서, 마이크 센서, 조명 센서, IR 센서 및 사용자 단말기(30)에 구비된 가속도 감지부(33)의 센싱 데이터를 센서융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한다.
홈서버(10)는 특별한 상황이 인지되지 않을 경우는 센서들에 의한 센싱 데이터와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연결시켜 행동패턴 통계데이터로 저장한다.
홈서버(10)는 사용자가 홈 내에 있으며 평상시 활동하는 시간대 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 동안 센서유닛(2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빠졌다고 판단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확인 콘텐츠(즉 질문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를 스트리밍 블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한편, 센서유닛(20)의 다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빠졌다고 판단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홈서버(10)에 연결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획득한 영상을 신호처리 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빠져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이 경우 카메라는 사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사용자의 상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용도에 국한하여 사용된다. 이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에 관련된 상황확인 콘텐츠의 예로는 "어디 불편하시 곳은 없으십니까? 불편하시면 제가 병원에 연락하여 드릴까요? 연락하기를 원하시면 사용자 단말기의 가운데 버튼을 누르시기 바랍니다. 괜찮으시면 오른쪽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이 있다.
사용자로부터 답변이 있으면 즉시 병원이나 응급센터 등에 연락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수차례 동일한 상황확인 메시지를 반복하고 아무런 답변이 없을 경우는 홈서버(10)의 인터넷 전화 기능, SMS 문자 전송 기능, 메시지 전송 기능 등을 사용하여 병원이나 응급센터 등에 연락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센서를 사용한 상황인지 및 상황확인 콘텐츠 방송을 사용하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확인을 거치는 과정을 통하여 위급상황 판단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혼절 등과 같이 갑작스럽게 위급상황에 빠지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의식이 있을 경우는 본인 스스로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응급버튼을 누르거나 병원 등에 전화를 걸어서 조치를 받게 된다.
4. 방범 서비스
방범서비스의 개시는 홈서버(10)가 센서유닛(20)의 PIR 센서에 의한 움직임 의 감지가 줄어들고 조도센서에 의하여 불의 소등이 감지되고 마이크를 통해 소리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취침을 하려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홈서버(10)는 사용자의 과거 행동패턴 통계데이터와 상황이 발생한 시간을 종합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행동을 유추한다.
홈서버(10)는 유추한 상황에 맞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지금부터 방범서비스에 들어가도 좋습니까?" 라는 서비스 메뉴를 스트리밍으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전달된 서비스 메뉴를 청취한 후, 자신의 의도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하여 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한다.
서비스가 개시되면 센서유닛(20)의 PIR 센서, 도어 센서 및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방범서비스를 개시한다.
방범서비스 중에 침입을 탐지한 센서는 데이터를 홈서버(10)에 전달하고 홈서버(10)는 상황인지 및 행동분석을 통해 침입상황임을 판단한다.
침입상황에 해당하는 상황확인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에게 침입 상황을 소리로 전달한다.
침입에 해당하는 상황확인 콘텐츠는 "침입발생! 침입발생! 침입발생! " 이라는 메시지 및 경고음이 반복되는 것이다. 메시지 및 경고음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해제할 때까지 반복된다.
사용자가 일정 시간 안에 사용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메시지 및 경고음을 중지시키지 않으면 홈서버(10)는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경찰서, 가족, 친지 등에게 인터넷 전화, SMS 문자 전송 혹은 메시지 전송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집에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확인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침입자에게는 경고를 통하여 스스로 물러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입자의 위협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메시지 및 경고음을 중지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도 홈서버(10)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침입상황을 통보하기 때문에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의 오작동에 의한 오경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범서비스의 해제는 방범서비스의 시작과 마찬가지로 센서의 입력에 의한 상황인지, 행동패턴 통계데이터, 행동패턴분석, 상황확인 등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5. 도우미 서비스
사용자의 거주지 주변의 음식점, 세탁소, 미장원 등을 홈서버(10)와 인터넷(40)을 통하여 연결하면 각종 생활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생활 도우미 서비스의 전형적인 서비스 제공방식은 다음과 같다.
홈서버(10)를 통한 도우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 거주지 주변의 상점 등이 홈서버(10)를 통한 도우미 서비스 제공에 동의를 해야 하며 동의한 상점 등은 자신의 상점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관리 서버(50)를 통하여 등록 한다.
사용자가 도우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30)의 해당 버튼을 누르면 홈서버(10)는 제공 가능한 도우미 서비스 메뉴를 사용자에게 스피커를 통하여 들려준다.
홈서버(10)가 TV 등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화면을 통하여도 도우미 서비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전달된 서비스 메뉴를 청취 혹은 청취와 함께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하여 원하는 도우미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한다.
특정 도우미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도우미 서비스에 대한 서브 메뉴가 음성 혹은 음성/영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해당하는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해당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우미 서비스가 음식주문이면, 사용자는 도우미 서비스를 통하여 원하는 음식점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홈서버(10)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통하여 직접 음식점에 주문을 하거나 아니면 일반 전화 등을 사용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해당 음식점에서 듣고 주문을 할 수 있다.
음식점 등에 자동 주문 웹(Web) 사이트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홈서버(10)가 해당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대신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도우미 서비스를 통하여 해당 상점에 주문을 하거나 구매를 한다면, 해당 상점에서는 주문 혹은 구매 기록을 인터넷(40)에 연결된 관리 서버(50)에 입력을 하고 관리 서버(50)는 이를 인터넷(40)을 통하여 홈서버(10)에 전달하여 관 련 기록을 저장한다.
주문 혹은 구매 기록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에 반영되어 서비스 메뉴 작성에 이용되기 때문에 향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다시 도우미 서비스를 받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상점의 경우에는 이러한 도우미 서비스 제공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구매 및 주문기록을 바탕으로 한 쿠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우미 서비스 이용시 상점의 제품이나 음식점의 신 메뉴를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관계관리(CRM)의 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경우에는 물건을 판매하는 상점이나 음식점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지 않아도 홈서버(10)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주문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문 및 구매 기록에 따라 할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홈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케어 시스템의 동작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홈서버 20: 센서유닛
30: 사용자 단말기 40: 인터넷
50: 관리 서버 60: 이동 통신망
70: 서비스 단말기 80: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

Claims (15)

  1. 다수의 센서를 가지고 홈 내의 상황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각종 센싱 데이터를 센서융합하고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행동패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서버;
    상기 사용자의 지시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홈서버와 통신하는 제 2 USN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의 움직임 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다수의 센서와 통신하는 제 1 USN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USN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센싱 데이터의 센서융합을 기초로 홈 내의 상황을 인지하고, 과거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며 서비스 메뉴 및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황 확인 콘텐츠, 서비스 콘텐츠 또는 알리미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인터넷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출력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영상재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제 2 USN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전송된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스위치부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동작감지(PIR)센서, 도어센서,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적외선(IR)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라이프 케어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알리미 서비스, 위급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방범 서비스, 도우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라이프 케어 시스템.
KR1020080048302A 2008-05-23 2008-05-23 라이프 케어 시스템 KR10103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02A KR101030989B1 (ko) 2008-05-23 2008-05-23 라이프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02A KR101030989B1 (ko) 2008-05-23 2008-05-23 라이프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80A KR20090122080A (ko) 2009-11-26
KR101030989B1 true KR101030989B1 (ko) 2011-04-25

Family

ID=4160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302A KR101030989B1 (ko) 2008-05-23 2008-05-23 라이프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3514B2 (en) 2018-12-19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ing gas sensing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47B1 (ko) * 2013-06-25 2015-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라이프 스타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602B1 (ko) * 2015-04-08 2016-03-10 (주)유진테크시스템 마을방송용 무선 디지털 수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31B1 (ko) * 2003-06-23 2005-09-20 최호림 소형 서버모듈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킹 시스템
KR20060061190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규칙기반 상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4295B1 (ko) *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KR20070056236A (ko) * 2005-11-29 2007-06-04 (주) 대진엠앤티 화재 및 응급상황 대처가 용이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31B1 (ko) * 2003-06-23 2005-09-20 최호림 소형 서버모듈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킹 시스템
KR20060061190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규칙기반 상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4295B1 (ko) *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KR20070056236A (ko) * 2005-11-29 2007-06-04 (주) 대진엠앤티 화재 및 응급상황 대처가 용이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3514B2 (en) 2018-12-19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ing gas sensing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80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182B2 (en) Voice controlled assistance for monitoring adverse events of a user and/or coordinating emergency actions such as caregiver communication
US10359298B2 (en) Electrical power switch control with shopping function
US1138251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infrastructure costs with simplified indoor location and reliable communications
Blythe et al. Socially dependable design: The challenge of ageing populations for HCI
US20200186378A1 (en) Smart hub system
Cha et al. Hello there! is now a good time to talk? Opportune moments for proactive interactions with smart speakers
US20130150686A1 (en) Human Care Sentry System
Mokhtari et al. New trends to support independence in persons with mild dementia–a mini-review
US20150022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s
JP2008243197A (ja) 予期ユーティリティ制御デバイス
Hessels et al. Advances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nd detection systems
KR20010016048A (ko)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
KR101030989B1 (ko) 라이프 케어 시스템
JP2006085390A (ja) 固定型通信端末、携帯型通信端末、情報集約・蓄積サーバおよび見守り専用端末
JP5953149B2 (ja) 高齢者安否確認方法
Doughty et al. Practical solutions for the integration of community alarms, assistive technologies and telecare
WO2023032477A1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5110209A1 (en) Remote control with alert function
JP7268387B2 (ja) 見守り装置および見守り装置用プログラム
JP7354549B2 (ja) 見守り装置および見守りプログラム
Kymäläinen et al. Intention awareness: a vision declaration and illustrating scenarios
JP2022109197A (ja) 見守り生活支援装置およびシステム
Suksawang Designing Smart Tech Solutions for Enhanced Aging in Place: A Caregiver Evaluation
AU201520262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security
KR20150057187A (ko) 고령자용 개인화 서비스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