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660B1 -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660B1
KR101030660B1 KR1020100070016A KR20100070016A KR101030660B1 KR 101030660 B1 KR101030660 B1 KR 101030660B1 KR 1020100070016 A KR1020100070016 A KR 1020100070016A KR 20100070016 A KR20100070016 A KR 20100070016A KR 101030660 B1 KR101030660 B1 KR 10103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eakwater
coupled
units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희 filed Critical 김성희
Priority to KR102010007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660B1/ko
Priority to PCT/KR2011/004741 priority patent/WO2012011680A2/ko
Priority to JP2013520638A priority patent/JP553236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해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한 방파제를 구성하는 단위 유닛의 구성과 결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파랑 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 1 구조체;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구조체의 일부; 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Unit of Breakwater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해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한 방파제를 구성하는 단위 유닛의 구성과 결합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끊임없이 밀려오는 파랑이 항만 시설물로 진입하지 않도록 차단하여 항내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하고 항만내의 각종 시설물 또는 정박중인 선박들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의 시설물이다.
종래에는 방파제가 파랑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해 해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홀(hole)을 형성하였다. 방파제에 천공된 홀의 경우 일렬로 배열되거나 엇갈리게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었으나, 파랑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 방파제에서 파랑 에너지의 일부만을 상쇄하고 내해 측으로 잔존 에너지가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태풍 등의 기상 악화시 파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키지 못하고 항만내로 전달시키게 되어, 항내 시설물 및 정박중인 선박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만 시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파랑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파랑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키기 위해 파랑의 유동 방향과 경로를 고려하여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설계하여 항만내로 파랑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시설물 및 정박중인 선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파랑 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 1 구조체(110); 상기 제 1 구조체(110)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는 연결부(120);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구조체(130)의 일부; 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 가능하고, 돌기(111)와 홈(112)이 구비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에는 돌기(131) 또는 홈(13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구조체(13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단위 유닛(100)마다 8개씩 구비되되, 상기 제 1 구조체(110)에 충돌한 파랑이 분산되어 유동되는 경로에 상기 제 2 구조체(130)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4개씩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는 상기 단위 유닛(100)내에서 인접하는 다른 제 2 구조체(130)의 일부와 연결되는 지지대(14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각 모서리에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150)내부에 제 1 구조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표면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부(120)가 각각 결합되되,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은,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각각의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더 큰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더 작은 구조체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은,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유입되는 파랑이 중심에 위치한 제 1 구조체에 충돌한 후 파랑의 유동 방향을 고려하여 1차 충돌후의 파랑이 유동되는 지점에 제 2 구조체를 형성하여 파랑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흡수 또는 분산되도록 구성되므로, 항만내로 유입될 수 있는 파랑 에너지를 최대한 흡수 또는 분산시켜 시설물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중심에 위치하는 제 1 구조체의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방파제로 유입되는 파랑이 1차로 충돌할 때 방파제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잔존하는 파랑 에너지를 제 2 구조체 측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제 1 구조체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방파제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단위 유닛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 1 구조체에 파랑이 정면으로 충돌할 때 방사형으로 파랑 에너지가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제 1 구조체가 상하단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고 돌기와 홈으로 결합될 수 있어,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제 2 구조체에 돌기와 홈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단위 유닛이 결합되어 방파제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단위 유닛에 구비된 제 2 구조체의 일부가 모여 결합되므로 다수개의 단위 유닛을 결합할 때 결합 강도가 향상되고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제 1 구조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4개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연결부의 단부에 제 2 구조체의 일부가 결합되어 있어 다수개의 단위 유닛을 결합하여 방파제를 형성할 경우 제 1 구조체에 충돌한 파랑이 분산되어 유동되는 경로에 제 2 구조체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파랑의 유동 경로를 고려하여 에너지를 분산시키므로 항만 내부로 유입되려는 파랑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은 하나의 단위 유닛내에 구비된 제 2 구조체의 일부를 인접하는 다른 제 2 구조체의 일부와 연결시키도록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어,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단위 유닛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켜 방파제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구조체가 구비된 단위 유닛이 교번하여 배치되고, 이들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될 수 있으므로, 제 1 구조체에 파도가 부딪혀 발생되는 반사파를 크게 줄일 수 있어 불규칙한 해파에너지를 상쇄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단과 하단이 분리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수개 결합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인접하는 제 2 구조체의 일부 상호간 지지대가 구비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수개 결합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른 측면에서 구현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크기가 다른 제 1 구조체가 구비된 단위 유닛이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방파제(防波堤, breakwater)는 외해(外海)로부터의 파랑(波浪)을 막아서 내항(內港)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인공항에는 방파제가 필수적이다. 방파제의 구조는 직립제(直立堤), 경사제(傾斜堤), 혼성제(混成堤)로 분류될 수 있다. 직립제(直立堤) 구조는 소규모의 방파제에서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하단에서 직립하여 구축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항만내측으로 파랑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효과는 뛰어난 반면에 지반이 약한 경우 침하하거나 기초 사석(捨石)이 붕괴되는 경우가 있다. 경사제(傾斜堤) 구조는 사석(捨石)이나 테트라포드(tetrapod)를 쌓아 올린 것으로, 지반이 약한 경우에서도 축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면에서 파랑이 쇄파(碎波)되므로 월파(越波)가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방파제를 축조하기 위한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혼성제(混成堤) 구조는 상술한 경사제(傾斜堤) 위에 직립제(傾斜堤)를 적층한 것으로, 양 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파제의 다른 분류로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식 방파제는 해저의 바닥면에 기초 구조물로 고정하는 방식을 말하고, 부유식 방파제는 해수면위에 방파제가 떠다니도록 하여 방파제의 밑으로 해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방식을 말한다.
방파제를 축조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할 때 다음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파랑의 진행 방향에 대해 방파제를 수직으로 설치하면 짧은 연장(延長)으로 넓은 면적의 해수면이 정온하게 된다. 또한, 수직인 경우보다 경사를 가하는 경우 경사각에 따라 방파제에 충돌하는 파력(波力)을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물막이 공법에 의한 방파제는 해수의 자연적인 흐름을 방해하여 계절에 따른 토사의 이동을 막아 수질이 악화되고 항만내에 토사가 퇴적되는 반면 해수욕장의 모래가 유실되며, 해양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적인 해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파랑 에너지가 항만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데, 상술한 부유식 방파제에 의하면 해수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유식 방파제는 설치를 위한 환경 요건에 제약이 많고 제작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경제적이 못하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고 파제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내되 도 1a 는 돌기가 표현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1b 는 홈이 표현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단과 하단이 분리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수개 결합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인접하는 제 2 구조체의 일부 상호간 지지대가 구비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수개 결합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다른 측면에서 구현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크기가 다른 제 1 구조체가 구비된 단위 유닛이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100)은 제 1 구조체(110), 연결부(120),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상기 단위 유닛(100)의 중심에 위치하여 구심점이 되며, 파랑이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는 부위이다.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직육면체, 정사면체 등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파랑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 파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단면이 원형인 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조체(110)에 1차적으로 충돌한 파랑 에너지가 방사형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돌기(111)와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방파제는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을 해저에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 환경이 열악한 데, 상기 제 1 구조체(110)가 분리됨에 따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돌기(111) 및 상기 홈(112)을 이용하여 상단과 하단을 끼움 결합함에 따라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제 1 구조체(110)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구조체(13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설계에 따라 상기 제 1 구조체(1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충분한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구조체(130)는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그 일부가 결합되어 있고,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각각의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구조체(130)를 다수개로 분할한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결합된 것이 상기 단위 유닛(100)이고, 상기 단위 유닛(100)을 상호 결합하여 방파제를 구성하는 경우, 분할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두 모여 상기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구조체(130)가 분할된 절편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유닛(100)에 상기 연결부(120)를 8개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는 상기 제 2 구조체(130)를 8등분한 절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4개씩 방사형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8등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120)마다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 주변을, 7개의 다른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둘러싸도록 하는 경우 제 2 구조체(130)가 완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단위 유닛(100)에 상기 연결부(120)가 8개 구비되고 8등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8개 결합된 경우, 최초의 단위 유닛(100)을 입체적으로 둘러싸도록 26개의 다른 단위 유닛(100)이 결합되면, 최초의 단위 유닛(100)에 결합된 8개의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두 완성되어 최초의 단위 유닛(100) 주변에 8개의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파랑의 유동 방향을 고려한 것으로 파랑의 진행이 가로 막힌 경우, 파랑은 포물선 형태로 진행하게 된다. 최초에 상기 제 1 구조체(110)에 충돌한 파랑은 방사형으로 분산되면서 상기 제 2 구조체(130)에 다시 2차 충돌하게 되고, 상기 제 2 구조체(130)에 2차적으로 충돌한 파랑은 최초에 충돌한 단위 유닛(100)의 후면에 위치한 단위 유닛(100)의 제 1 구조체(110)에 다시 충돌하게 되어 그 과정이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파랑은 각 단위 유닛(100)에서 상기 제 1 구조체(110)와 상기 제 2 구조체(130)를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거치면서, 파랑 에너지가 흡수 또는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는 자연적인 유동 방향에 따라 유동되어 생태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파랑 에너지는 소멸되어 항만내의 시설물이나 선박을 파손할 우려가 없다. 도 1a 와 도 1b 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에는 돌기(131) 또는 홈(13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수개의 단위 유닛(100)을 결합하여 상기 제 2 구조체(130)가 완성되는 경우 결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 유닛(100)은 지지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다수개의 제 2 구조체(130)의 일부중 어느 하나를 인접하는 다른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단위 유닛(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유닛(100)에 상기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각각 8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140)는 8개의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면, 하면, 측면으로 각각 4 개씩 총 1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를 더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어 방파제를 형성할 때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단위 유닛(100)은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를 구비한 프레임(150)의 내부에 연결부(120)와 제 1 구조체(110)가 구비된다. 육면체 형태의 상기 프레임(150)은 각 모서리에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구조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표면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인접되는 단위 유닛(100) 상호간에는 상기 프레임(150)이 상호 결합된다. 이는 도 4 에서 도시한 방파제의 단위 유닛(100)과 동일한 구조를 다른 측면에서 설명한 것으로, 도 4 에서 도시한 단위 유닛(100)은 상기 제 1 구조체(110)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120), 상기 제 2 구조체(130), 상기 지지대(1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 반면에, 도 6 에서 도시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포함된 상기 프레임(150)의 내부에 상기 제 1 구조체(110) 및 상기 연결부(120)가 구비된 것으로 다른 측면에서 상기 단위 유닛(1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방법은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구조체(110)를 갖는 단위 유닛(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큰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작은 구조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구조체(110)와,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구조체(110)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파제 단위 유닛 결합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파랑 에너지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이를 응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파고가 높아 종방향의 에너지가 큰 파랑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종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파고가 낮으나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방향의 에너지가 큰 파랑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가 파랑의 진행방향에 따라 횡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직경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되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에 의해 불규칙한 파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방파제 단위 유닛 110 : 제 1 구조체
111 : 돌기 112 : 홈
120 : 연결부 130 : 제 2 구조체
131 : 돌기 132 : 홈
140 : 지지대 150 : 프레임

Claims (10)

  1. 방파제의 단위 유닛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의 중심에 위치하여 파랑 에너지를 1차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 1 구조체(110);
    상기 제 1 구조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구조체(110)와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120);
    상기 연결부(120)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구조체(110)에서 1차적으로 분산된 파랑 에너지를 2차적으로 분산시키는 제 2 구조체(130)의 일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조체(130)의 일부에는 돌기(131) 또는 홈(13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상기 돌기(131) 및 상기 홈(132)이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 가능하고, 돌기(111)와 홈(112)이 구비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유닛(100)의 각 제1 구조체(110)는 다양한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각 단위 유닛(100)에 속한 상기 각 제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단위 유닛(100)마다 8개씩 구비되되, 상기 제 1 구조체(110)에 충돌한 파랑이 분산되어 유동되는 경로에 상기 제 2 구조체(130)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4개씩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는 상기 단위 유닛(100)내에서 인접하는 다른 제 2 구조체(130)의 일부와 연결되는 지지대(14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8. 방파제의 단위 유닛에 있어서,
    각 모서리에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150)내부에 제 1 구조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표면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부(120)가 각각 결합되되,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일부가 모여 상호 결합되어 제 2 구조체(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의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단위 유닛(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는 각각의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더 큰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130)의 직경보다 더 작은 구조체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단위 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 1 구조체(110)의 직경 크기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 유닛의 결합 방법.
KR1020100070016A 2010-07-20 2010-07-20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KR10103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16A KR101030660B1 (ko) 2010-07-20 2010-07-20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PCT/KR2011/004741 WO2012011680A2 (ko) 2010-07-20 2011-06-29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JP2013520638A JP5532367B2 (ja) 2010-07-20 2011-06-29 防波堤の単位ユニットとその結合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16A KR101030660B1 (ko) 2010-07-20 2010-07-20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660B1 true KR101030660B1 (ko) 2011-04-20

Family

ID=4405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16A KR101030660B1 (ko) 2010-07-20 2010-07-20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32367B2 (ko)
KR (1) KR101030660B1 (ko)
WO (1) WO201201168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06B1 (ko) 2012-09-05 2014-04-15 장석환 버섯구조의 테트라포드
KR101399812B1 (ko) *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KR102623832B1 (ko) * 2023-02-20 2024-01-10 김석문 단위 방파블록의 유기적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0540B (zh) * 2022-06-13 2024-02-13 上海交通大学 一种生态消浪防冲的多铃透空块体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958A (en) * 1974-06-13 1975-08-12 Jr Peter P Pranis Open water fish farming apparatus
JP2009042616A (ja) 2007-08-10 2009-02-26 Kwansei Gakuin 多面体結晶構造模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9823A (ko) * 1973-10-25 1975-06-10
JPS5826443B2 (ja) * 1975-05-30 1983-06-02 オノ タイザブロウ スイチユウトラスコウゾウブツ
JPS59183910U (ja) * 1983-05-20 1984-12-07 株式会社 中村鉄工所 多目的ブロツク
JPS606534U (ja) * 1983-06-11 1985-01-17 寺田 功 ニツトウエア−
FR2556757B1 (fr) * 1983-12-14 1987-04-10 Bouygues Sa Treillis porteur tridimensionnel en beton et procede pour realiser ce treillis
JPH0169827U (ko) * 1987-10-29 1989-05-09
JPH0367547U (ko) * 1989-11-01 1991-07-02
JP3010324B2 (ja) * 1991-08-21 2000-02-21 東邦シートフレーム株式会社 組立型人工魚礁
JP5342048B1 (ja) * 2012-08-29 2013-11-13 佐々木 孝和 離岸式海中防波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958A (en) * 1974-06-13 1975-08-12 Jr Peter P Pranis Open water fish farming apparatus
JP2009042616A (ja) 2007-08-10 2009-02-26 Kwansei Gakuin 多面体結晶構造模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06B1 (ko) 2012-09-05 2014-04-15 장석환 버섯구조의 테트라포드
KR101399812B1 (ko) *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KR102623832B1 (ko) * 2023-02-20 2024-01-10 김석문 단위 방파블록의 유기적 결합 구조를 가지는 방파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680A2 (ko) 2012-01-26
WO2012011680A3 (ko) 2012-03-29
JP2013531157A (ja) 2013-08-01
JP5532367B2 (ja)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750B1 (ko) 방파제의 단위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과 그 설치 방법
KR101030660B1 (ko) 방파제의 단위 유닛과 그 결합 방법
KR101132928B1 (ko) 방파제 단위유닛
CN106218830B (zh) 一种可设置宽浮箱的张力腿平台
JP5913642B2 (ja) ケーソン防波堤、そのケーソン防波堤構築用ケーソンユニット及びそのケーソン防波堤の製造方法
KR101386626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0762375B1 (ko) 조류발전설비 보호시설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CN106400734A (zh) 可移动式临时防波堤结构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KR101290148B1 (ko) 소파기능이 부가된 방파제의 캡콘크리트
KR101141894B1 (ko) 해안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소파 구조물
KR102051913B1 (ko) 해수의 유통성을 확보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시공 방법
KR20160108257A (ko) 방파제 단위모듈,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RU25216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ледовой защиты для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расположенного на мелководном континентальном шельфе
CN205776068U (zh) 一种浮筒及采用该浮筒组合的浮式防波堤
KR101391360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198407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방파제 구조물용 단위구조체
KR101043021B1 (ko) 방파제 및 항만접안시설를 보호하기 위한 소파블럭 구축방법
KR10129178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케이슨
KR20160021321A (ko) 소파블록
KR101568264B1 (ko) 파향 전환기능을 갖는 잠제블록
KR101104050B1 (ko) 보강형 방파제
KR20190099845A (ko) 부유식 방파제
KR102549761B1 (ko) 근고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