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25B1 - Amphibious camping vehicle - Google Patents

Amphibious camp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25B1
KR101028825B1 KR1020100055887A KR20100055887A KR101028825B1 KR 101028825 B1 KR101028825 B1 KR 101028825B1 KR 1020100055887 A KR1020100055887 A KR 1020100055887A KR 20100055887 A KR20100055887 A KR 20100055887A KR 101028825 B1 KR101028825 B1 KR 10102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main shaft
clutch
wheel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근
박장원
Original Assignee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근, 주식회사 소두머니씨앤티 filed Critical 김영근
Priority to KR102010005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34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wheeled type, e.g. multi-wheeled bog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mphibious camping vehicle is provided to enable movement on the ground and water and be used as a camp. CONSTITUTION: An amphibious camping vehicle comprises a cabin(100), a power unit, and a floating unit. The cabin forms a camp space on the ground and water. The power unit moves the cabin on the ground or the water. The power unit comprises a driving source, a first rotating unit(110), a second rotating unit(120), a screw(160), and a clutch part. The first rotating unit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 and is rotated with contacting the surface. The second rotating unit is placed the right side of the cabin and is rotated with contacting the surface. The screw transfers the cabin on the water. The floating unit controls the buoyancy of the cabin.

Description

수륙 양용 캠핑카{AMPHIBIOUS CAMPING VEHICLE}Amphibious motorhome {AMPHIBIOUS CAMPING VEHICLE}

본 발명은 육상에서 사용 가능함은 물론 부력체를 구비하여 수상에서도 사용 가능한 수륙 양용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motorhome which can be used on land as well as having a buoyancy body and can be used in water.

수륙 양용차는 육지뿐만 아니라 물 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으로, 육지에서 자주식 또는 견인식으로 주행 가능하고, 부력체를 구비하여 물 위에 부상되며 추진 기관을 구비하여 물 위에서도 주행 가능하다. 수륙 양용차는 주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 수륙 양용차의 수상 부양 및 수상 추진 기술은 군사용 이외에 일반인을 위한 레저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Amphibious vehicles are vehicles that can be utilized on land as well as on land. The amphibious vehicles can be driven on land independently or towed, floated on water with a buoyancy body, and driven on water with a propulsion engine. Amphibious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mainly for military use, but the waterborne levitation and propulsion technologies of amphibious vehicles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ways for leisure purposes for the general public.

그러나, 현재의 캠핑카는 수상 부양이 불가능하여 주로 육상에서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캠핑이 가능한 운송 수단으로는 일반적인 육상용 캠핑카와 수상용으로는 여객선이나 크루즈선 등이 상용화되어 있을 뿐이다.
However, the current camper is not available to support the water, mainly to be used only on land, an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be camping, the general land camping car and a passenger ship or a cruise ship are commercially availab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캠핑카 형태가 육상용과 수상용이 엄연히 구분되어 있는 현실에 비추어, 수륙 양용차의 내부 및 외부를 수상 레저용에 적합하게 캠핑카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육상 또는 수상에서 주행 및 추진 가능하고 캠핑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수륙 양용 캠핑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current type of camper car is distinctly divided into land and water, by develop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amphibian in the form of a camping car suitable for water leisure, and running on land or water It is to provide an amphibious motorhome that is propellable and can also be used for camping.

이러한 수륙 양용 캠핑카를 활용하여 새로운 관광 사업 및 레저 사업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create a new tourism and leisure business by using such an amphibious motorhome.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한다.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the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과 육지를 이동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 이동시 휠이 회전하거나, 휠과 함께 주행하는 무한 궤도가 회전한다. 육상에서는 캐빈 내부에서 숙박, 취사는 물론, 화장실 이용, 세면, 목욕 등이 가능하고, 이는 수상에서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and land can be moved, and the wheel rotates when moving on land, or the caterpillar traveling with the wheel rotates. On land, you can stay inside the cabin, cook, as well as use the toilet, wash your face, and bath.

낚시 등의 레저 활동시 소음 감소를 위하여 물에서의 추진 동력으로서 축전지로 동작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noise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 motor operated by a battery may be used as a propulsion power in water.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육상 및 수상에서 스스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 또는 외부 견인에 의하여 주행되는 견인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육상에서는 견인식으로 동작되고 수상에서는 자주식으로 제작되어 제작경비의 절감 및 관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The amphibious c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a self-propelled self-driving or a towing type driven by external towing on land and water. In addition, it is operated by the traction onshore and self-propelled by the water,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신축 및 확장 가능한 캐빈 커넥터 또는 윙 부재 커넥터에 의하여 여러 대가 연결될 수 있어 활동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기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연결 상태 및 사용 상태는 제어부 또는 서버의 지령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격 무인 제어될 수 있다. 수상에서 2대, 4대 등 여러 대의 캐빈을 연결하면 숙박은 개별 캐빈 단위로 이루어지고 낚시나 잠수 등 기타 레저 활동은 이보다 큰 단체 단위로 진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수륙 양용 캠핑카를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by the expansion and expansion cabin connector or wing member connector to maximize the activity space, it is very desirable to enjoy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use state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remotely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or the server. If several cabins, such as two or four in the water, are connected, the accommodation can be made in individual cabin units and other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diving can be carried out in larger groups.

각각의 캐빈은 제어부에 의해 현재의 위치, 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에 자리한 서버로 전송하여 한곳에서 종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며, 수상에서의 침수 침몰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Each cabin transmits data such as current location, status, etc. to the serv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in real time by the control unit, so that comprehensive management is performed at one plac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emergencies such as flooding and sinking in the water.

삭제delete

또한,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윙 부재가 출입용 도어 위치에 겹쳐지게 함으로써 캐빈의 점유 공간 감소는 물론 출입용 도어의 방수성과 기밀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wing member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cabin to overlap the entrance door position, the occupancy space of the cabin is reduced, as well as the waterproofness and airtightness of the entrance door ar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파워 유니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안 휠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접안 휠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그루브 및 보조 그루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캐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가 지상에 주차중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가 수면에 부양중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 여러 대를 수면에서 연결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w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yepiec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yepiec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groove and auxiliary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abi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ked on the ground.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14 and 15 are side views and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amphibious motorh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t the surface of the w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파워 유니트(101)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안 휠(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접안 휠(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그루브(152) 및 보조 그루브(153)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캐빈(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가 지상에 주차중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가 수면에 부양중일 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wer unit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yepiece whe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yepiece whe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groove 152 and the auxiliary groove 153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abi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ked on the ground.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도 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것으로 수륙 양용 캠핑카의 차체에 해당하며 캠핑 및 레저 공간이 되는 캐빈(100)과, 상기 캐빈(100)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101)와, 수상에서 캐빈(100)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300)를 포함한다.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vehicle body of an amphibious motorhome, which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nd the cabin 100 which becomes a camping and leisure space, and the power to move or move the cabin 100 on land. Unit 101 and a buoyancy unit 300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100 in the water phase.

따라서,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물과 육지를 이동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 이동시 휠(110a 내지 120d)이 회전하거나, 휠(110a 내지 120d)과 함께 주행하는 무한 궤도가 회전한다. 육상에서는 캐빈(100) 내부에서 숙박, 취사는 물론, 화장실 이용, 세면, 목욕 등이 가능하고, 이는 수상에서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ly, the amphibious motorho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water and land, and when moving on land, wheels 110a to 120d rotate, or the endless track that travels with the wheels 110a to 120d rotates. On land, accommodation, cooking, as well as the use of the toilet, washing face, bathing, etc. in the cabin 100, it is the same in the water.

물에서의 추진 동력은 육상에서 휠(110a 내지 120d)을 구동하는 엔진(172)이 사용되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시 소음 감소를 위하여 축전지로 동작되는 모터(174)가 사용될 수 있다. 엔진(172) 또는 모터(174)는 휠(110a 내지 120d)뿐만 아니라 스크류(160)를 회전시키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터 제트를 구동할 수 있다. The propulsion power in the water may be an engine 172 for driving the wheels 110a to 120d on land, or a motor 174 operated as a battery for noise reduction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can rotate the screw 160 as well as the wheels 110a-120d or drive the water jet, although not shown.

이를 위하여 캐빈(100) 내부에는 엔진(172)와 함께 축전지가 설치되거나, 엔진(172)에 의하여 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가 설치되거나, 태양열에 의하여 축전지를 충전하는 태양열 발전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 storag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cabin 100 together with the engine 172, a charger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y by the engine 172, or a solar power generating means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y by solar heat.

한편,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는 육상에서 스스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으로 개발될 수 있음은 물론, 자체 주행이 불가능하고 외부 견인에 의하여 주행되는 견인식, 즉 수륙 양용 트레일러 형식으로 개발될 수 있다. 견인식인 경우에도 수상에서는 추력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크류(160)나 워터 제트와 같은 수상 추진 수단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mphibious c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veloped in a self-driving self-driving on land, of course, can not be self-driving and can be developed in the form of a traction type, that is, amphibious trailer driven by external towing. Even in the case of a traction type, it is preferable that a means for obtaining thrust is provided in the water phase, so that the water propulsion means such as the screw 160 or the water jet is preferably provided.

도 2 및 도 3은 자주식인 경우의 파워 유니트(10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는 견인식인 경우의 파워 유니트(10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와 같은 수륙 양용 트레일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자주식 수륙 양용 캠핑카에 의하여 견인될 수 있다. 2 and 3 show one embodiment of the power unit 101 in the case of self-propelled type, and FIG. 4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ower unit 101 in the case of a traction type. An amphibious trailer such as FIG. 4 may be towed by the self-propelled amphibious motor vehicle shown in FIGS. 2 and 3.

수륙 양용 캠핑카가 견인식으로 마련되는 경우, 육상은 물론 수상에서 자주식 수륙 양용 캠핑카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는 연결 수단이 필요하다.If the amphibious motorhome is provided towed, there is a need for a connecting means capable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autonomous amphibious motorhome on land as well as on the water.

이러한 연결 수단으로서 캐빈 커넥터(380) 또는 윙 부재 커넥터(385)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빈 커넥터(380) 또는 윙 부재 커넥터(385)는 제어부(390) 또는 서버(395)의 지령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격 무인 제어될 수 있다.Cabin connector 380 or wing member connector 385 may be provided as such a connecting means. The cabin connector 380 or the wing member connector 385 may be automatically remotely controlled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390 or the server 395.

한편, 수륙 양용 캠핑카의 육상에서 수평 유지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윙 부재(320) 및 아웃트리거(33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상에서 수평 유지 및 부력 조절을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310)나, 부력 백(340), 캐빈(100)을 이중 격벽 또는 발포재(157)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ng member 320 and the outrigger 330 may be provided to ensure horizontal maintenance and stability in the land of the amphibious camper. The ballast tank 310, the buoyancy bag 340, the cabin 100 is composed of a double partition wall or foam material 157 to maintain the level in the water and adjust the buoyancy.

또한, 수륙 양용 캠핑카의 육상 접안시 지면이 무른 상태이므로 접안이 곤란할 수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접안 수단도 마련된다.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접안 휠(200)이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during the land docking of the amphibious camping vehicle is a soft state, the eyepiece may be difficult, the eyepiece is also provided to improve this. An exemplary embodiment is the eyepiece wheel 200 shown in FIGS. 5-7.

캐빈(100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통로가 되는 출입용 도어(360)의 방수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캐빈(100)의 부력을 조절하는 윙 부재(320) 등을 출입용 도어(360) 위치에 겹쳐지게 함으로써 캐빈(100)의 점유 공간 감소는 물론 출입용 도어(360)의 방수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킨다.The cabin 100 should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structure of the door 360 to be a passage for the user to enter and ex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member 320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cabin 100, etc. for the door 360 By overlapping the position, the occupancy space of the cabin 100 is reduced, as well as the waterproofness and airtightness of the entrance door 360 are improved.

수상에서 2대, 4대 등 여러 대의 캐빈(100)을 연결하면 숙박은 바록 개별 캐빈(100) 단위로 이루어지만, 낚시나 잠수 등 기타 레저 활동은 이보다 큰 단위로 진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수륙 양용 캠핑카를 활용할 수 있다.
When two or four cabins (100) are connected in the water, accommodation is made in individual cabins (100), but other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diving can be carried out in larger units. You can use a two-way motorhome.

다음으로 파워 유니트(10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unit 101 will be described.

파워 유니트(101)는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캐빈(100)의 주행을 위하여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파워 유니트(101)는 구동원(170)과, 제1 회전부(110)와, 제2 회전부(120)와, 스크류(160)와 클러치부를 포함한다.The power unit 101 is installed to drive the cabin 100 on land or in water. In an embodiment, the power unit 101 includes a driving source 170, a first rotating part 110, a second rotating part 120, a screw 160, and a clutch part.

구동원(170)은 엔진(172) 또는 축전지로 구동되는 모터(174)를 포함한다. The drive source 170 includes a motor 174 driven by an engine 172 or a storage battery.

도시된 스크류(160) 또는 도시되지 않은 워터 제트는 캐빈(100)을 수상에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The screw 160 shown or a water jet, not shown, is the means by which the cabin 100 is moved in the water phase.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휠로 구성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다수의 휠에 접촉 회전되는 무한 궤도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uni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unit 1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heels as shown, or in an exemplary embodiment, not shown, may be composed of a caterpillar whi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wheels.

제1 회전부(110)는 캐빈(1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회전부(120)는 캐빈(100)의 우측에 배치되며, 전진이나 후진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가 모두 구동되고, 커브길이나 제자리에서 선회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회전 주행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된다.The first rotating part 1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 10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 100,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when moving forward or backward. Are all driven, and any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is driven during the rotational driving including the turning of the curved road or in place.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의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예를 들어 제자리에서 선회시 제1 회전부(11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부(120)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110 and 120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for example, when turning in place, the first rotating part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ng unit 120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이러한 형태의 운전 방법은 수륙 양용 캠핑카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조향장치를 단순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별도의 조향장치 없이 회전부의 동작 여부를 통해 수륙 양용 캠핑카를 조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 캠핑카에 적용된 핸들식 조향 장치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륙 양용 캠핑카가 이동하는 공간이 오프 로드일 수 있으므로, 캐빈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다수의 회전체를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This type of driving method helps to simplify the steering system required to drive an amphibious motorhome. This is because the amphibious motorhome can be steer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without a separate steering device.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a steering wheel steering device applied to the existing camper. In addition,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amphibious motorhome moves can be off-road, it is also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in order to efficiently move the cabin.

클러치부는 구동원(170)의 동력을 제1 회전부(110), 제2 회전부(120) 및 스크류(16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The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s power of the driving source 170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unit 110, the second rotating unit 120, and the screw 160.

일 실시예로서, 클러치부는 캐빈(100)의 직선 주행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를 모두 구동원(170)과 연결하고, 캐빈(100)의 회전 주행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원(170)에 연결하며, 캐빈(100)의 수상 이동시 스크류(160)를 구동원(170)에 연결한다.
As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lutch unit connects both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110 and 120 to the driving source 170 when the cabin 100 is linearly driven,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10 when the cabin 100 is driven to rotate. And any one of the second rotating parts 12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170, and the screw 16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170 during the water movement of the cabin 100.

도 2에 도시된 파워 유니트(101)는 각각의 휠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원(170)으로서 엔진(172) 또는 모터(174)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회전 주행시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는 클러치부를 구비한다.The power unit 101 shown in FIG. 2 may individually drive each wheel, and may use both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as the driving source 170, and the first rotating unit 110 may be used when rotating. And a clutch driving only one of the second rotating parts 120.

즉, 제1 회전부(110)는 제1 좌휠(110a) 및 제2 좌휠(110b)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3 좌휠(110c)과 제4 좌휠(110d)을 포함한다. 제2 회전부(120)도 제1 우휠(120a) 및 제2 우휠(120b)은 물론 제3 우휠(120c)과 제4 우휠(120d)을 포함한다.That is, the first rotating part 110 includes not only the first left wheel 110a and the second left wheel 110b but also the third left wheel 110c and the fourth left wheel 110d in some cases.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also includes a first right wheel 120a and a second right wheel 120b as well as a third right wheel 120c and a fourth right wheel 120d.

클러치부는 각각의 휠과, 모터(174)의 양단, 엔진(172)의 양단, 스크류(160), 메인 샤프트(132)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서 동력 전달을 스위칭하는 여러 개의 클러치로 이루어진다. The clutch portion consists of several wheels that switch power transmission at various positions, including each wheel, both ends of the motor 174, both ends of the engine 172, the screw 160, the main shaft 132, and the like.

도 2의 예를 들면, 클러치부는 엔진(172)과 스크류(160)를 연결하는 엔진/스크류 클러치(141)와, 모터(174)와 스크류(160)를 연결하는 모터/스크류 클러치(143)와, 엔진(172)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142)와, 모터(174)와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144)와, 제1 좌휠(110a)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a)와, 제2 좌휠(110b)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b)와, 제1 우휠(120a)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a)와, 제2 우휠(120b)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는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2, the clutch unit includes an engine / screw clutch 141 connecting the engine 172 and the screw 160, and a motor / screw clutch 143 connecting the motor 174 and the screw 160. , The engine / main shaft clutch 142 connecting the engine 172 and the main shaft 132, the motor / main shaft clutch 144 connecting the motor 174 and the main shaft 132, and the first left wheel A fir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a connecting 110a and the main shaft 132, a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b connecting the second left wheel 110b and the main shaft 132; , The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a connecting the first right wheel 120a and the main shaft 132, and the seco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second right wheel 120b and the main shaft 132. At least one of 121b.

육상 주행시 엔진(172)을 메인 샤프트(132)에 연결하려면,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142)는 동력 전달을 위하여 클로즈 상태로 되고, 엔진/스크류 클러치(141)는 동력 전달이 되지 않도록 오픈 상태로 되며,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144) 및 모터/스크류 클러치(143)도 동력 전달이 되지 않도록 오픈 상태로 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engine 172 to the main shaft 132 during land driving, the engine / main shaft clutch 142 is closed for power transmission, and the engine / screw clutch 141 is open for power transmission. The motor / main shaft clutch 144 and the motor / screw clutch 143 are also opened to prevent power transmission.

육상 주행시 모터(174)를 메인 샤프트(132)에 연결하려면,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142)는 오픈 상태가 되며, 엔진/스크류 클러치(141)도 오픈 상태로 되고,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144)는 동력 전달을 위하여 클로즈 상태로 되며, 모터/스크류 클러치(143)는 동력 전달이 되지 않도록 오픈 상태로 된다.To connect the motor 174 to the main shaft 132 when running on land, the engine / main shaft clutch 142 is open, the engine / screw clutch 141 is also open, and the motor / main shaft clutch 144 ) Is in a closed state for power transmission, and the motor / screw clutch 143 is in an open state so as not to transmit power.

수상 추진시 엔진(172)을 스크류(160)에 연결하려면,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142)는 오픈 상태로 되고, 엔진/스크류 클러치(141)는 클로즈 상태로 되며,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144) 및 모터/스크류 클러치(143)는 동력 전달이 되지 않도록 오픈 상태로 된다.To connect engine 172 to screw 160 during water propulsion, engine / main shaft clutch 142 is open, engine / screw clutch 141 is closed, motor / main shaft clutch 144 ) And the motor / screw clutch 143 are opened to prevent power transmission.

수상 추진시 모터(174)를 스크류(160)에 연결하려면,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142)는 오픈 상태로 되고, 엔진/스크류 클러치(141)도 오픈 상태로 되며,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144)도 오픈 상태로 되고, 모터/스크류 클러치(143)는 동력 전달을 위하여 클로즈 상태로 된다.To connect motor 174 to screw 160 during water propulsion, engine / main shaft clutch 142 is open, engine / screw clutch 141 is also open and motor / main shaft clutch 144 ) Is also in an open state, and the motor / screw clutch 143 is in a closed state for power transmission.

이와 같이, 캐빈(100)의 직선 주행시 엔진(172) 또는 모터(174)가 메인 샤프트(13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가 모두 메인 샤프트(132)와 기어(131)로 연결됨으로써 동력을 전달받는다. As such,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32 when the cabin 100 travels linearly. In addition, both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arts 11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32 and the gear 131 to receive power.

즉, 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a)가 제1 좌휠(110a)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며,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b)가 제2 좌휠(110b)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고,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a)가 제1 우휠(120a)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하며,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b)가 제2 우휠(120b)과 메인 샤프트(132)를 연결한다. 제3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c), 제4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d), 제3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c), 제4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d)도 마찬가지이다.That is, the fir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a connects the first left wheel 110a and the main shaft 132, and the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b connects the second left wheel 110b and the main shaft ( 132, the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a connects the first right wheel 120a and the main shaft 132, and the seco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b connects the second right wheel 120b. To the main shaft 132. The same applies to the thir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c, the fourth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d, the thir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c, and the fourth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d.

한편, 캐빈(100)의 회전 주행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 중 어느 하나에만 엔진(172)의 동력이 전달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cabin 100 rotates, power of the engine 172 is transmitted only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110 and 120.

즉, 캐빈(100)의 회전 주행시 엔진(172) 또는 모터(174)가 메인 샤프트(132)에 연결된다. 메인 샤프트 클러치(111a) 및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11b)의 연결에 의하여 메인 샤프트(132)가 제1 회전부(110)와 연결되거나,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a) 및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121b)의 연결에 의하여 메인 샤프트(132)가 제2 회전부(120)와 연결된다.That is,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32 when the cabin 100 rotates. The main shaft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110 by the connection of the main shaft clutch 111a and the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b, or the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a and the second shaft. The main shaft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by the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b.

따라서 제1 회전부(110)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제2 회전부(120)에 동력이 전달되면 제1 회전부(110) 방향으로 캐빈(100)이 움직이게 되고, 제2 회전부(120)가 정지해 있는 상황에서 제1 회전부(110)에 동력이 전달되면 제2 회전부(120) 방향으로 캐빈(100)이 움직이게 되어 캐빈(100)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한편, 케빈(100)의 바퀴가 4개 이상 다수의 바퀴로 구성되는 경우 육상 이동시 장애물 또는 높은 각도의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while the first rotating part 110 is stopped, the cabin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is stopped. In a situation, whe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ting unit 110, the cabin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ng unit 120 to steer the cabin 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wheel of the Kevin 100 is composed of four or more wheels can be easily moved even in obstacles or high-angle terrain when moving on land.

한편, 캐빈(100)의 수상 주행시 엔진/스크류 클러치(141) 또는 모터/스크류 클러치(143)의 연결에 의하여 엔진(172) 또는 모터(174)의 동력이 스크류(160)에 전달된다. 엔진(172) 또는 모터(1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모두 설치되거나 단독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power of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is transmitted to the screw 160 by the connection of the engine / screw clutch 141 or the motor / screw clutch 143 when the cabin 100 is driven in the water. As illustrated, both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may be installed alone or separately.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크류(160)가 1개만 설치되지만, 조향을 위하여 2 개 이상의 스크류(160)가 설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수상에서의 조향시 두 개의 스크류(160) 중 1개를 가동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이때 정지된 스크류(160) 방향으로 캐빈(100)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하나의 스크류(160)를 사용할 경우 방향타(미도시)를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스크류(160) 설치시에는 직진시 모든 스크류(160)를 동시에 가동하게 되며, 후진은 모든 스크류(160)의 역회전을 통하여 후진하게 된다.
As shown, only one screw 160 is installed, but an unillustrated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screws 160 are installed for steering is also possible. That is, during steering in the water phase, one of the two screws 160 is started or stopped.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cabin 100 may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tationary screw 160, and when one screw 160 is used, a rudd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nd used. When the two screws 160 are installed, all of the screws 160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going straight, and the reverse is reversed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of all the screws 160.

한편, 도 3의 경우는 각각의 휠이 독립적으로 클러치에 의하여 개별 제어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휠(110b,120b)만을 선택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며 휠들 상호간을 체인(190) 및 스프로켓(180)으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FIG. 3, each wheel is not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lutch, and only one wheel 110b or 120b is selected to transmit driving force, and the whe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190 and a sprocket 18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이에 따르면 체인(190) 및 스프로켓(180)이 캐빈(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캐빈(100)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고 파워 유니트(101)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엔진(172) 또는 모터(174)의 회전력이 하나의 단일한 휠 구동축(193)에 전달됨으로써 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hain 190 and the sprocket 18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bin 100,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 100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power unit 101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is transmitted to one single wheel drive shaft 193,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loss.

또한, 도 2와 같이 각각의 휠이 독립 구동되는 경우 차축(106)이 캐빈(100)의 벽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각 휠의 차축(106)마다 실링부(105)를 설치해야 하는 복잡함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each wheel is driven independently, the axle 106 must pass through the wall of the cabin 100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 is complexity.

그러나, 도 3과 같이 하나의 휠의 차축(106)이 캐빈(100)의 벽을 관통하여 휠 구동축(193)과 연결되고, 나머지 휠들의 차축(106)은 휠 구동축(193)과 연결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일부의 차축(106)은 캐빈(100)의 벽을 관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링부(105)의 설치가 간편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각 휠을 연동시키는 체인(190) 및 스프로켓(180)도 캐빈(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axle 106 of one wheel penetrates the wall of the cabin 100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and the axle 106 of the other wheels is not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In this case, some of the axle 106 does not have to penetrate the wall of the cabin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ealing portion 105 is simplified. To this end, the chain 190 and the sprocket 180 for interlocking each wheel are also preferably installed outside the cabin 1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좌휠(110a) 및 제2 좌휠(110b)을 포함하여 제3 좌휠(110c) 및 제4 좌휠(110d)은 체인(190) 및 스프로켓(180)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속도로 회전되고 제1 좌휠(110a) 내지 제4 좌휠(110d) 중 어느 하나는 좌휠 구동 클러치(191)에 의하여 휠 구동축(193)에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third left wheel 110c and the fourth left wheel 110d including the first left wheel 110a and the second left wheel 110b are connected to the chain 190 and the sprocket 180 to rotate at the same speed. One of the first left wheel 110a to the fourth left wheel 110d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by the left wheel driving clutch 191.

제1 우휠(120a) 및 제2 우휠(120b)을 포함하여 제3 우휠(120c) 및 제4 우휠(120d)은 또 다른 체인(190) 및 스프로켓(180)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속도로 회전되고, 제1 우휠(120a) 내지 제4 우휠(120d) 중 어느 하나는 우휠 구동 클러치(192)에 의하여 휠 구동축(193)에 연결된다.The third right wheel 120c and the fourth right wheel 120d including the first right wheel 120a and the second right wheel 120b are rotated at the same speed by being connected to another chain 190 and the sprocket 180, Any one of the first right wheel 120a to the fourth right wheel 120d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by a right wheel driving clutch 192.

캐빈(100)의 직선 주행시 좌휠 구동 클러치(191) 및 우휠 구동 클러치(192)가 모두 휠 구동축(193)과 연결되며, 캐빈(100)의 회전 주행시 좌휠 구동 클러치(191) 및 우휠 구동 클러치(192) 중 어느 하나가 휠 구동축(193)과 연결되고, 캐빈(100)의 수상 주행시 엔진(172) 또는 모터(174)의 회전력이 스크류(160)에 전달된다.
The left wheel drive clutch 191 and the right wheel drive clutch 192 are all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when the cabin 100 is linearly driven, and the left wheel drive clutch 191 and the right wheel drive clutch 192 are driven when the cabin 100 is rotated. Any one of)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193,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is transmitted to the screw 160 during the water driving of the cabin 100.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수륙 양용 캠핑카가 견인식으로 마련되는 경우이다. 즉, 캐빈(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캐빈(100)의 하중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제1 회전부(110) 및 제2 회전부(120)는 구동원(170)과 동력 전달이 단절됨으로써 캐빈(100)은 외부 견인에 의하여 육상 이동된다. 수상에서 비상 추진을 위하여 캐빈(100)의 수상 이동시 스크류(160)가 엔진(172) 또는 모터(174)에 연결되어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is the case where the amphibious camper is provided with a traction. That is, the first rot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120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abin 100 to support and rotate the load of the cabin 100 are disconnected from the driving source 170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bin. 100 is land moved by external traction. The screw 160 is connected to the engine 172 or the motor 174 and rotates when the cabin 100 is moved in water for emergency propulsion.

다량의 수륙양용 캠핑카가 집단으로 운영될 경우 자주식에 비해 단순한 구조의 견인식을 여러 대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견인식 수륙양용캠핑카의 경우, 견인은 또 다른 자주식 수륙양용 캠핑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 견인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When a large number of amphibious motorhomes are operated in groups, they can be operated economically by using several simple towing types compared to self-propelled meals. In the case of a towed amphibian camper, the towing may use another self-propelled amphibious camper and may use a separate dedicated towing equipment.

견인식 수륙양용 캠핑카의 경우, 캐빈 커넥터(380)는 견인식 수륙양용 캠핑카를 견인하는 자주식 수륙양용 캠핑카 또는 견인식 수륙양용 캠핑카를 견인하는 전용 견인장비의 견인 커넥터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캐빈 커넥터(380)는 수상에서 여러 대의 캐빈 결합을 위한 커넥터로서 사용되거나 육상에서 견인 장비에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캐빈 커넥터(380)는 다수의 커넥터 결합을 위한 연결 핀과 견인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핀이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캐빈 커넥터(380)는 자주식 또는 견인식 수륙양용 캠핑카에서 동일 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towed amphibious motorhome, the cabin connector 380 may be used as a towing connector of a self-propelled amphibious motorhome towing a towed amphibious motorhome or a dedicated towing equipment towing a towed amphibious motorhome. That is, the cabin connector 380 can be used as a connector for coupling several cabins in the water or as a connector for connection to traction equipment on land. For this purpose, the cabin connector 380 may be used as a connection pin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and a connection pin for a traction device. Cabin connector 38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in the self-propelled or pulled amphibious motorhome.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상으로부터 육상으로 캐빈(100)이 접안시 캐빈(100)의 전방부(108)가 육상에 접촉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캐빈(100)의 접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안 휠(200)이 마련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to 7, when the cabin 100 is docked from the water surface to the land,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land and the cabin 100 can be easily docked. The eyepiece wheel 200 is provided.

지면의 경사각이 θ2이며, 캐빈(100)의 전방부(108)의 경사각이 θ1이고, θ2가 θ1보다 큰 경우, 캐빈(100)의 전방부(108)가 육상에 접촉 간섭될 수 있다. 접안 휠(200)은 이러한 경사각의 차이를 무시할 수 있게 해주어 어떠한 지형에서도 수륙 양용 캠핑카의 접안을 도와준다.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is θ2,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is θ1, and θ2 is greater than θ1,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may be touched and interfered with the land. The eyepiece wheel 200 makes it possible to ignore these differences in inclination angles to help the amphibious motorhome in any terrain.

캐빈(100)의 접안시 캐빈(100)의 전방부(108)보다 접안 휠(200)이 먼저 육상에 접촉됨으로써 캐빈(100)이 육상과 접촉 간섭없이 상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러치부는 구동원(170)의 동력을 제1 회전부(110), 제2 회전부(120), 스크류(160) 및 접안 휠(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When the cabin 100 is docked, the eyepiece wheel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and prior to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so that the cabin 100 can land without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and. To this end, the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s power of the driving source 170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unit 110, the second rotating unit 120, the screw 160, and the eyepiece wheel 200.

도 6에는 메인 샤프트(132)와 접안 휠(200)이 클러치부에 의하여 연결/분리될 수 있으므로 접안 휠(20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한 경우가 도시되고, 도 7에는 접안 휠(200)에 대한 동력 전달이 없으므로 접안 휠(200)은 단순히 지면에 구름 접촉될 뿐이고 스크류(160)의 추진력에 의하여 캐빈(100)이 육상으로 상륙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to the eyepiece wheel 200 since the main shaft 132 and the eyepiece wheel 200 may be connected / disconnected by the clutch part, and FIG. 7 illustrates the eyepiece wheel 200. Since there is no power transmission, the eyepiece wheel 200 merely contacts the grou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bin 100 lands on the lan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crew 160.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수상에서 추진시 유체(312) 저항을 감소시키고, 수상에서 추진시 캐빈(100)의 바닥면(151)을 장애물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그루브(152) 또는 보조 그루부(153)가 도시된다. Meanwhile, FIGS. 8 and 9 show grooves 152 or auxiliary as a means to reduce the fluid 312 resistance when propelled in the water phase and to escape the bottom surface 151 of the cabin 100 from obstacles when propelled in the water phase. Groove 153 is shown.

그루브(152) 또는 보조 그루부(153)의 설치는 수상에서 캐빈(100)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활용된다. 캐빈(100)의 복원력을 높여주는 표면장력이 늘어나 캐빈(100)의 안전성에 도움을 준다.Installation of the groove 152 or the auxiliary groove 153 is utilize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cabin 100 in the water. The surface tension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of the cabin 100 to help the safety of the cabin (100).

그루브(152)는 캐빈(100)의 바닥면(151)을 일부 함몰시킨 것으로 캐빈(100)의 전방부(108)에서부터 캐빈(100)의 후방부(109)를 향하여 연장되는 홈이다. 그루브(152)는 캐빈(100)의 바닥면(151)과 단차(ΔH)를 갖도록 되어 있으므로 캐빈(100)의 바닥면(151)이 호수 바닥이나 바다의 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유체(312)의 흐름(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되었음)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여 유체(312) 저항을 감소시킨다.The groove 152 is a recess that partially recesses the bottom surface 151 of the cabin 100 and extends from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toward the rear portion 109 of the cabin 100. Since the groove 152 has a step ΔH with the bottom surface 151 of the cabin 100, the bottom surface 151 of the cabin 100 does not contact the bottom of the lake or the sea and the fluid 312. Flow (shown by arrows in FIG. 9) is directed in one direction to reduce fluid 312 resistance.

이러한 기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조 그루브(153)가 추가될 수 있다. 보조 그루브(153)는, 그루브(152)의 주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캐빈(100)의 전방부(108)부터 캐빈(100)의 양측면을 향하여 캐빈(100)의 바닥면(151)을 함몰시킨 것이다.
Auxiliary grooves 153 may be added to further enhance this function. The auxiliary groove 153 is formed around the groove 152 and recesses the bottom surface 151 of the cabin 100 from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toward both sides of the cabin 100. will be.

한편, 도 10 내지 도 11에는 캐빈(100)의 부력 유니트(3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에 따르면 캐빈(100)의 격벽 구조에 의하여 부력을 확보하는 실시예가 된다. 즉, 도 10과 같이 캐빈(100)을 단일 격벽으로 구성하는 경우 격벽(155)의 두께(T1)을 최대한 얇게 제작하여 캐빈(100)의 부피는 그대로 유지하되 캐빈(100)의 무게를 줄이면 캐빈(100)이 공차 상태에서 물속에 잠기는 기준선인 홀수선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FIGS. 10 to 11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the buoyancy unit 300 of the cabin 100. According to this, the buoyancy is secured by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cabin 100. That is, when configuring the cabin 100 as a single partition as shown in Figure 10 by making the thickness (T1) of the partition 155 as thin a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volume of the cabin 100 as it is, if you reduce the weight of the cabin 100 cab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dd line, which is the reference line submerged in the water, in the state of tolerance of 100.

이때, 단일 격벽은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11과 같이 이중 격벽으로 캐빈(100)을 제작할 필요가 있는데, 캐빈(100)은 제1 격벽(155) 및 제2 격벽(156)과, 제1 격벽(155) 및 제2 격벽(156)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재(157)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since a single barrier rib may cause a safety problem,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cabin 100 as a double barrier rib as shown in FIG. 11. A foam member 157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155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56.

이중 격벽의 경우 제1 격벽(155) 또는 제2 격벽(156)의 두께(T2)를 단일 격벽의 두께(T1)보다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빈(100)의 부피는 그대로 유지하되 이중 격벽 구조를 취하면 캐빈(100)의 공차 중량을 줄일 수 있어 홀수선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빈의 이동시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제1 격벽 파손시에도 발포제 및 제2 격벽이 물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어 캐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the thickness T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55 or the second partition wall 156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single partition wall. As such, the volume of the cabin 100 is maintained as it is, but when the double partition structure is taken, the tolerance weight of the cabin 100 may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odd line.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partition is damaged due to contact with obstacles when the cabin moves, the foaming agent and the second partition can prevent the ingress of water,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cabin.

부력 유니트(300)에 장착되는 각종 엔진과 장비, 사람 등의 하중으로 인하여 부력 유니트(300)의 평형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수상에서 여러 대의 캐빈(100)이 결합했을 경우에도 각 캐빈(100)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부력 조절 수단이 다양하게 활용된다. 수상에서 부력 유니트(300)와 함께 부력 조절 수단이 사용되어 수상에서 캐빈의 평형을 잡을 수 있다.
The balance of the buoyancy unit 300 may be unstable due to loads of various engines, equipment, and people mounted on the buoyancy unit 300. In addition, even when several cabins 100 are combined in the water phas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height of each cabin 100. At this time, the buoyancy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various ways. A buoyancy adjustment means may be used with the buoyancy unit 300 in the water phase to balance the cabin in the water phase.

한편, 수동적인 부력 조절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능동적으로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력 조절 수단의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not limited to the passive buoyancy adjustment means, embodiments of the buoyancy adjustment means that can be more actively adjusted buoyancy is shown in Figures 12 to 15.

즉, 부력 유니트(300)로서 밸러스트 탱크(310)는 캐빈(100)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유체(312)가 채워진다. 밸러스트 탱크(310)가 캐빈(100)의 전방부(108)로부터 후방부(109)쪽으로 연장되면서 각 위치별로 유체(312)의 수용량을 달리하는 구조로 된 경우, 캐빈(100)의 길이 방향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That is, the ballast tank 310 as the buoyancy unit 300 is provided in the cabin 100 and the fluid 312 is filled therein. When the ballast tank 310 extends from the front portion 108 of the cabin 100 toward the rear portion 109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pacity of the fluid 312 is varied for each positi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abin 100 is horizontal. Has the function to adjust the status.

한편, 밸러스트 탱크(310)가 캐빈(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경우 캐빈(100)의 좌우 방향으로 유체(312)의 수용량을 달리하는 구조로 되므로 캐빈(100)의 좌우 방향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llast tank 3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bin 100, respectively, since the capacity of the fluid 31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abin 10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cabin 100 Has the ability to

또한, 밸러스트 탱크(310)에 출입되는 유체(312)의 양을 캐빈 센서(370)에서 측정한 수평 상태 데이터를 토대로 제어부(390)에서 피드백 제어하는 경우, 캐빈(100)의 수상에서의 자세를 무인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때, 유체(312)는 캐빈(100)이 부양되어 있는 주변의 물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390 feedback-controls the amount of fluid 312 entering and exiting the ballast tank 310 based on the horizontal state data measured by the cabin sensor 370, the attitude of the cabin 100 in the water phase is determine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unattended remote control. At this time, the fluid 312 may be water around the cabin 100 is supported.

그러나, 밸러스트 탱크(310)는 유체(312)의 수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캐빈(100)의 부력을 조절하게 되어 있어서, 캐빈(100)의 부력을 음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 양의 방향으로 새로운 부력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부력 유니트(300)로서 부력 백(340)이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ballast tank 310 is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cabin 100 by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fluid 31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cabin 100 in the negative direction, new in the positive direction It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add buoyancy. Accordingly, the buoyancy bag 340 may be provided as the buoyancy unit 300.

즉, 부력 유니트(300)는, 캐빈(100)의 양측으로 펼쳐지며 상면은 사용자의 활동 영역이 되는 윙 부재(320)와, 윙 부재(320)에 설치되며 부피 변화를 위하여 신축되는 부력 백(340)과, 부력 백(34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컴프레서(350)를 포함하며, 부력 백(340)의 공기 주입량에 따라 캐빈(100)의 부력이 조절된다.That is, the buoyancy unit 300, the wing member 320, which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abin 100 and the upper surface is an active area of the user, buoyancy bag 340 is installed on the wing member 320 and stretched for volume change And a compressor 350 for injecting or extracting air into the buoyancy bag 340, and the buoyancy of the cabin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ir injection amount of the buoyancy bag 340.

윙 부재(320)는 캐빈(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지만 캐빈(100)은 길이보다 폭이 좁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캐빈(100)의 좌우 방향 부력 조절을 위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ng member 32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abin 100, but the cabin 100 is generally narrower than its length,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 member 320 plays a function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buoyancy of the cabin 100.

이를 위하여 윙 부재(320)는 캐빈(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있으며, 윙 부재(320)를 물속에 집어넣어 윙 부재(320)가 밀어낸 물의 무게만큼 양의 부력을 발생하게 하거나, 윙 부재(320)와 함께 부력 백(340)을 장착하고 물속에 잠긴 부력 백(340)의 부피를 공기를 집어넣어 변화시킴으로써 양의 부력을 발생한다. 컴프레서(350)와 부력 백(340)은 공기 파이프(352)에 의하여 연결된다.To this end, the wing members 3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bin 100 to be spr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wing member 3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to generate a positive buoyancy by the weight of the water pushed by the wing member 320. Or a positive buoyancy is generated by mounting the buoyancy bag 340 together with the wing member 320 and putting air into the volume of the buoyancy bag 340 submerged in water. Compressor 350 and buoyancy bag 340 are connected by air pipe 352.

윙 부재(320)는 상면이 낚시나 각종 수상 레저 활동시 사용자의 활동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동일한 부피당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 백(340) 자체를 윙 부재(320)로 이용할 수 있으며, 부력 백(340)의 상면에서 다양한 레저 활동이 이루어진다. 윙 부재(320)는 수상에서 파도 등 수면의 변화에 따른 캐빈(100)의 롤링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며 캐빈(100)의 전복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ing member 32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so that the upper surface can be the user's activity space during fishing or various water leisure activities,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weight per volume made of a foam material. The buoyancy bag 340 itself may be used as the wing member 320, and various leisure activities ar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ag 340. The wing member 320 stably controls the rolling of the cabin 100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water, such as waves in the water, and serves to prevent the cabin 100 from overturning.

또한, 윙 부재(320)는 캐빈(100)의 양측으로 임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지만 윙 부재(320)의 설치 공간을 줄이고 수륙 양용 캠핑카의 외관을 매끈하게 하며 캐빈(100)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지 않으며 출입용 도어(360)의 방수성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윙 부재(320)는 출입용 도어(360)와 겹치는 위치에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wing member 320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cabin 100, but reduces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wing member 320, smooth the appearance of the amphibious motorhom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 100 The wing member 320 may be collapsible in a position overlapping the access door 360 so as not to decrease and to enhance the waterproofness of the access door 360.

즉, 윙 부재(320)가 접혀지면 출입용 도어(360)와 겹쳐지며 출입용 도어(360)를 폐쇄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감소는 물론 수상 운용시 출입용 도어(360)를 통한 누수를 차단한다. 출입용 도어(360)를 통한 사용자의 캐빈(100) 왕래를 위하여 윙 부재(320)가 펼쳐지면 육상에서는 아웃트리거(330)가 윙 부재(32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wing member 320 is folded, the door 360 overlaps the entrance door 360 and closes the entrance door 360,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blocking leakage through the entrance door 360 during water operation. When the wing member 320 is unfolded for the user's cabin 100 to come and go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door 36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rigger 330 supports the load of the wing member 320 in the land.

일 실시예로서, 아웃트리거(330)는 접혀졌을 때는 윙 부재(320)의 내부로 수납됨으로써 아웃트리거(330)를 구성하는 부품이 윙 부재(3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고, 아웃트리거(330)가 펼쳐졌을 때는 윙 부재(320)의 내부로부터 최대한 먼 거리로 펼쳐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outrigger 330 is folded, the outrigger 330 is accommodated in the wing member 320 so that the parts constituting the outrigger 330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ing member 320, and the outrigger ( When the 330 is unfolded, it is preferable to unfol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inside of the wing member 320 to stably support the load.

이를 위하여 아웃트리거(330)는, 제1 아암(331)과, 제2 아암(335)과, 제3 아암(337)으로 이루어진다. 아웃트리거(330)는 윙 부재(320)의 좌우측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지만 아웃트리거(33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가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o this end, the outrigger 330 includes a first arm 331, a second arm 335, and a third arm 337. The outrigger 330 is shown an embodiment in which a pair is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ing member 320,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outrigger 33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제1 아암(331)은 윙 부재(320)의 일부를 함몰시킨 수납함(339)에 착탈되며, 제1 힌지(333)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제1 링크(332)는 제1 아암(331)을 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제1 아암(331)이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지지한다. 제1 링크(332)는 접혀졌을 때 제1 아암(331)에 형성된 제1 링크(332) 수압공에 수납된다. The first arm 331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older 339 in which a portion of the wing member 320 is recessed, and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333. The first link 332 supports the first arm 331 from the side to firmly support the first arm 331 so as not to shake. The first link 332 is received in the hydraulic link of the first link 332 formed in the first arm 331 when folded.

제2 아암(335)은 제2 힌지(336)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1 아암(331)의 내부에 수납된다. 제3 아암(337)의 일측은 제2 아암(335)의 내부에 수납되고 제3 아암(337)의 타측은 지면에 접촉된다. 제3 아암(337)은 제2 아암(335)에 대하여 신축됨으로써 윙 부재(32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arm 335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336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rm 331. One side of the third arm 337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rm 335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arm 337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third arm 337 may expand and contract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335 to adjust the support height of the wing member 320.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수륙 양용 캠핑카 여러 대를 수면에서 연결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14 and 15 are side views and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amphibious motorh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t the surface of the water.

여러 대의 수륙 양용 캠핑카를 연결하면 거주 공간이나 레저 활동 공간이 연결 대수에 비례하여 증가되므로 그 용도를 더욱 다양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륙 양용 캠핑카의 상호 연결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빈 커넥터(380)와 윙 부재 커넥터(385)가 그 실시예가 될 수 있다.Connecting several amphibious motorhomes can increase the use of the living space and leisure activiti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onnected units. Thu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connection means of the amphibious motorhome be provided. Cabin connector 380 and wing member connector 385 may be embodiments.

캐빈 커넥터(380)는 서로 인접한 캐빈(100)을 서로 연결한다. 캐빈 커넥터(380)끼리 상호 연결함으로써 여러 대의 캐빈(100)이 수상에서 연결된다. 육상에서는 자주식 수륙 양용 캠핑카와 견인식 수륙 양용 캠핑카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abin connector 380 connects the cabins 100 adjacent to each other. Several cabins 100 are connected in the water phase by interconnecting the cabin connectors 380. On land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connecting self-propelled amphibious motorhomes and towed amphibious motorhomes.

캐빈 커넥터(380)는 캐빈(100)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 또는 공압 장치나 유압 장치에 연결되어 그 높이가 승강될 수 있으며, 수상에서 크기가 다른 캐빈(100)을 서로 연결할 때 캐빈 커넥터(3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캐빈(100)의 수면 높이가 일정하게 한다.The cabin connector 380 may be connected to a storage battery or a pneumatic device or a hydraulic device installed inside the cabin 100, and the height thereof may be elevated. When the cabin connector 380 of different sizes in the water phas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justing the height, the water level of the cabin 100 is made constant.

다른 캐빈(100)과의 결합, 수상 계류 및 견인시 캐빈 커넥터(380)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평상 운영중인 경우에는 서로 겹쳐 있다가 다른 캐빈(100)과의 결합, 수상 계류장 계류, 견인용 커넥터 등으로 활용될 경우 캐빈 커넥터(380)의 일부를 펼쳐 결합에 따른 활용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수상 계류장 계류시에는 길이의 확장을 통해 용이하게 계류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레저 활동 공간으로 활용한다.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ength of the cabin connector 380 in engagement with other cabins 100, water mooring and towing. That is, in normal operation, when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used as a combination with another cabin 100, a water mooring mooring, a traction connector, and the like, a part of the cabin connector 380 can be expanded to expand the utilization spa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In the case of mooring mooring, it can be easily moor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length and used as various leisure activities space.

한편, 윙 부재 커넥터(385)는 윙 부재(3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여러 대의 캐빈(100)을 서로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윙 부재 커넥터(385)는 윙 부재(320) 내부에 수납되거나 캐빈(1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축전지나 유압 장치 또는 공압 장치에 의하여 그 신축량이 자동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wing member connector 385 may be used as a means for connecting several cabins 100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wing members 320 to each other. The wing member connector 385 may be accommodated in the wing member 320 or the cabin 100, and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storage battery, a hydraulic device, or a pneumatic device.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여러 대의 수륙 양용 캠핑카의 연결 상태를 각각의 캐빈(100)에 설치된 제어부(390) 및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395)의 네트워크에 의하여 중앙 집중으로 원격 제어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각각의 캐빈(100)의 운영상태와 위치, 긴급사항 등의 데이터를 각각의 캐빈(100)에 설치되어있는 제어부(390)와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원격지 서버(395)로 전송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5,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nection state of several amphibious motorhomes is centrally controlled by a network of a controller 390 installed in each cabin 100 and a server 395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is illustrated. . That is, data such as operation status, location, and emergency of each cabin 100 are transmitted to the remote server 395 through the control system 390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installed in each cabin 100.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캐빈 커넥터(380)와, 윙 부재 커넥터(385)와, 부력 백(34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컴프레서(350)와, 밸러스트 탱크(310)가 제어부(390)에 연결되며, 캐빈(100)의 사용 상태나 캐빈(100)의 잠수 깊이를 감지하는 캐빈 센서(370)가 측정값을 제어부(390)에 전달한다. In the specific embodiment, the cabin connector 380, the wing member connector 385, the compressor 350 for injecting or extracting air from the buoyancy bag 340, and the ballast tank 310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390. Is connected, the cabin sensor 370 for detecting the use state of the cabin 100 or the diving depth of the cabin 100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390.

또한 캐빈(100)의 위치 및 결합 상태를 제어부(390)에서 감지하여 원격 서버로 그 데이터를 전달하여 캐빈(100) 하나 또는 전체의 위치 및 운영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캐빈(100)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경보가 뜨고 관리자는 해당 캐빈(100)에 경고메시지를 음성 또는 별도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캐빈(100)의 침수 또는 침몰의 경우에도 위급신호를 원격 서버에 전달하여 관리자가 해당 캐빈(100)의 위급사항을 인지, 구조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90 detects the location and coupling state of the cabin 1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mote server,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location and operation state of one or all cabins 100. When each cabin 100 is out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 alarm is displayed and the manager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or a separate signal to the cabin 100. In addition, in case of the flooding or sinking of the cabin 10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server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the emergency of the cabin 100, and perform rescue activities.

제어부(390)는 캐빈 센서(370)의 측정값에 따라 캐빈 커넥터(380), 윙 부재 커넥터(385), 컴프레서(350) 및 밸러스트 탱크(31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90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cabin connector 380, the wing member connector 385, the compressor 350, and the ballast tank 31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cabin sensor 370.

캐빈 센서(370) 및 상기 제어부(390)는 RF 통신에 의하여 서버(395)와 연결되며, 서버(395)에 의하여 각 캐빈(100)의 사용 상태, 각 캐빈(100)의 요금 부과 상태, 각 캐빈(100)의 체크 인 또는 체크 아웃 여부, 각 캐빈(100)끼리의 연결 상태 및 각 캐빈(100)의 부양 상태가 중앙 통제된다.The cabin sensor 370 and the control unit 390 are connected to the server 395 by RF communication, by the server 395, the usage state of each cabin 100, the charging state of each cabin 100, each Whether the cabin 100 is checked in or checked out,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abin 100 and the support state of each cabin 100 are centrally controlled.

삭제delet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캐빈 101...파워 유니트
105...실링부 106...차축
108...캐빈의 전방부 109...캐빈의 후방부
110...제1 회전부 110a...제1 좌휠
110b...제2 좌휠 110c...제3 좌휠
110d...제4 좌휠 111a...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11b...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11c...제3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11d...제4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20...제2 회전부
120a...제1 우휠 120b...제2 우휠
120c...제3 우휠 120d...제4 우휠
121a...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21b...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21c...제3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21d...제4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131...기어 132...메인 샤프트
141...엔진/스크류 클러치 142...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
143...모터/스크류 클러치 144...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
151...바닥면 152...그루브
153...보조 그루브 155...제1 격벽
156...제2 격벽 157...발포재
160...스크류 170...구동원
172...엔진 174...모터
180...스프로켓 190...체인
191...좌휠 구동 클러치 192...우휠 구동 클러치
193...휠 구동축 200...접안 휠
300...부력 유니트 310...밸러스트 탱크
312...유체 320...윙 부재
330...아웃 트리거 331...제1 아암
332...제1 링크 333...제1 힌지
334...제1 링크 수납공 335...제2 아암
336...제2 힌지 337...제3 아암
339...수납함 340...부력 백
350...컴프레서 352...공기 파이프
360...출입용 도어 370...캐빈 센서
380...캐빈 커넥터 385...윙 부재 커넥터
390...제어부 395...서버
100 ... cabin 101 ... power unit
105 Sealing section 106 Axle
108 ... the front of the cabin 109 ... the rear of the cabin
110 ... first rotating part 110a ... first left wheel
110b ... second left wheel 110c ... third left wheel
110d ... 4th left wheel 111a ... 1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b ... 2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c ... 3r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11d ... 4th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120 ... 2nd rotating part
120a ... 1st right wheel 120b ... 2nd right wheel
120c ... 3rd right wheel 120d ... 4th right wheel
121a ... 1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b ... 2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c ... 3r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21d ... 3r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131 ... gear 132 ... main shaft
141 Engine / Screw Clutch 142 Engine / Main Shaft Clutch
143 ... motor / screw clutch 144 ... motor / main shaft clutch
151 ... bottom 152 ... groove
153 Auxiliary groove 155 First bulkhead
156 2nd bulkhead 157 foam
160.Screw 170.Motor
172 Engine 174 Motor
180 ... sprocket 190 ... chain
191 ... left wheel drive clutch 192 ... right wheel drive clutch
193 ... wheel drive shaft 200 ... eyepiece wheel
300 ... buoyancy unit 310 ... ballast tank
312 Fluid 320 wing member
330 ... Out trigger 331 ... First arm
332 ... First link 333 ... First hinge
334 ... 1st link holder 335 ... 2nd arm
336 ... 2nd hinge 337 ... 3rd arm
339 ... Storage box 340 ... buoyant bag
350.Compressor 352.Air pipe
360 ... entry door 370 ... cabin sensor
380 ... cabin connector 385 ... wing member connector
390 ... Controller 395 ... Server

Claims (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니트는, 엔진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과, 상기 캐빈의 좌측에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캐빈의 우측에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부와, 상기 캐빈을 수상에서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1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스크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좌휠 및 제2 좌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우휠 및 제2 우휠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엔진과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엔진/스크류 클러치와, 상기 모터와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모터/스크류 클러치와, 상기 엔진과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엔진/메인 샤프트 클러치와,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모터/메인 샤프트 클러치와, 상기 제1 좌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와, 상기 제2 좌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와, 상기 제1 우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와, 상기 제2 우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캐빈의 직선 주행시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가 상기 제1 좌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가 상기 제2 좌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가 상기 제1 우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가 상기 제2 우휠과 상기 메인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캐빈의 회전 주행시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및 상기 제2 좌휠/메인 샤프트 클러치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가 상기 제1 회전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제1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 및 상기 제2 우휠/메인 샤프트 클러치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가 상기 제2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빈의 수상 주행시 상기 엔진/스크류 클러치 또는 상기 모터/스크류 클러치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의 동력이 상기 스크류에 전달되는 수륙 양용 캠핑카.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ncluding;
The power unit includes a drive source including an engine or a motor, a first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econd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crew for moving the cabin in the water phase, and a clutch par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sou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the second rotating part, and the screw,
The first rotating part includes a first left wheel and a second left wheel,
The second rotating part includes a first right wheel and a second right wheel,
The clutch unit includes an engine / screw clutch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screw, a motor / screw clutch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screw, an engine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main shaft, and the motor; A motor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main shaft, a fir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first left wheel and the main shaft, and a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onnecting the second left wheel and the main shaft At least one of a clutch, a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first right wheel and the main shaft, and a seco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ing the second right wheel and the main shaft,
The engine or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when the cabin is running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s the first left wheel and the main shaft, and the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2 connect the left wheel and the main shaft, the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s the first right wheel and the main shaft, and the seco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connects the second right wheel and the main shaft. ,
When the cabin rotates, the engine or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and the main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part by a connection of the first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and the second left wheel / main shaft clutch. The main shaf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part by the connection of the first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and the second right wheel / main shaft clutch,
An amphibious motorhome in which power of the engine or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screw by connecting the engine / screw clutch or the motor / screw clutch when the cabin is water-dried.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유니트는, 엔진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원과, 상기 캐빈의 좌측에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캐빈의 우측에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부와, 상기 캐빈을 수상에서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1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스크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제1 좌휠 및 제2 좌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좌휠 및 상기 제2 좌휠은 체인 및 스프로켓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좌휠 및 제2 좌휠 중 어느 하나는 좌휠 구동 클러치에 의하여 휠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우휠 및 제2 우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우휠 및 상기 제2 우휠은 또 다른 체인 및 스프로켓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우휠 및 제2 우휠 중 어느 하나는 우휠 구동 클러치에 의하여 상기 휠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휠 구동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캐빈의 직선 주행시 상기 좌휠 구동 클러치 및 상기 우휠 구동 클러치가 모두 상기 휠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캐빈의 회전 주행시 상기 좌휠 구동 클러치 및 상기 우휠 구동 클러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휠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캐빈의 수상 주행시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스크류에 전달되는 수륙 양용 캠핑카.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ncluding;
The power unit includes a drive source including an engine or a motor, a first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econd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crew for moving the cabin in the water phase, and a clutch par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sou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part, the second rotating part, and the screw,
The first rotating part includes a first left wheel and a second left wheel,
The first left wheel and the second left wheel are rotated at the same speed by being connected by a chain and a sprocket, and any one of the first left wheel and the second left wheel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by a left wheel drive clutch,
The second rotating part includes a first right wheel and a second right wheel,
The first right wheel and the second right wheel are rotated at the same speed by being connected to another chain and sprocket, and either one of the first right wheel and the second right wheel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by a right wheel driving clut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or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drive shaft,
Both the left wheel drive clutch and the right wheel drive clutch are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when the cabin is driven in a straight line,
One of the left wheel drive clutch and the right wheel drive clutch is connected to the wheel drive shaft when the cabin rotates;
An amphibious motorhome in whi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o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screw when the cabin is water-dr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유니트는, 상기 캐빈의 양측으로 펼쳐지며 상면은 사용자의 활동 영역이 되는 윙 부재와, 상기 윙 부재에 설치되며 부피 변화를 위하여 신축되는 부력 백과, 상기 부력 백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백의 공기 주입량에 따라 상기 캐빈의 부력이 조절되고,
상기 윙 부재가 접혀지면, 상기 캐빈에 출입을 위한 출입용 도어와 상기 윙 부재가 겹치는 수륙 양용 캠핑카.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ncluding,
The buoyancy unit includes a wing member tha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abin and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an active area of the user, a buoyancy bag installed on the w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hange volume, and a compressor for injecting or extracting air into the buoyancy bag. ,
The buoyancy of the cabi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ir injection amount of the buoyancy bag,
When the wing member is folded, the amphibious motorhome for the door and the wing member for access to the cabin overlaps.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유니트는, 상기 캐빈의 양측으로 펼쳐지며 상면은 사용자의 활동 영역이 되는 윙 부재와, 상기 윙 부재에 설치되며 부피 변화를 위하여 신축되는 부력 백과, 상기 부력 백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백의 공기 주입량에 따라 상기 캐빈의 부력이 조절되고,
상기 윙 부재가 펼쳐졌을 때 상기 윙 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아웃트리거가 마련되는 수륙 양용 캠핑카.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ncluding,
The buoyancy unit includes a wing member tha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abin and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an active area of the user, a buoyancy bag installed on the w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hange volume, and a compressor for injecting or extracting air into the buoyancy bag. ,
The buoyancy of the cabi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ir injection amount of the buoyancy bag,
An amphibious motorhome provided with an outrigger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wing member when the wing member is unfold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윙 부재의 일부를 함몰시킨 수납함에 착탈되도록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제1 링크와,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제1 아암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아암과,
일측은 상기 제2 아암의 내부에 수납되고 타측은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아암에 대하여 신축됨으로써 상기 윙 부재의 지지 높이를 조절하는 제3 아암을 포함하는 수륙 양용 캠핑카.
The method of claim 16,
The outrigger,
A first arm pivoted about a first hinge so a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torage box in which a portion of the wing member is recessed;
A first link supporting the first arm from the side;
A second arm received inside the first arm while being rotated about a second hinge;
An amphibious motorhome comprising a third arm, one side of which is housed in the second arm and the other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stretched relative to the second arm to adjust the support height of the wing member.
삭제delete 육상 또는 수상에서 캠핑 공간이 되는 캐빈;
상기 캐빈을 육상 이동시키거나 수상 이동시키는 파워 유니트;
상기 캐빈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유니트; 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캐빈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캐빈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캐빈 커넥터끼리 상호 연결함으로써 여러 대의 캐빈이 연결되고,
상기 캐빈의 양측으로 펼쳐지는 윙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윙 부재 커넥터와,
상기 윙 부재에 설치되며 부피 변화를 위하여 신축되는 부력 백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컴프레서와,
상기 캐빈에 마련되며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캐빈의 사용 상태나 상기 캐빈의 잠수 깊이를 감지하는 캐빈 센서와,
상기 캐빈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캐빈 커넥터, 상기 윙 부재 커넥터, 상기 컴프레서 및 상기 밸러스트 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는 수륙 양용 캠핑카.
A cabin that becomes a camping space on land or in water;
A power unit for land-moving or water-moving the cabin;
Buoyancy unit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cabin; Including,
Cabin connector is provided by connecting cabins adjacent to each other.
Several cabins are connected by interconnecting the cabin connectors,
A wing member connector connecting the wing members to both sides of the cabin,
A compressor installed on the wing member and injecting or extracting air into the buoyancy bag that is stretched to change the volume;
A ballast tank provided in the cabin and filled with a fluid;
Cabi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state of the cabin or the depth of diving of the cabin,
An amphibious motorhom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cabin connector, the wing member connector, the compressor and the ballast tank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cabin senso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센서 및 상기 제어부는 RF 통신에 의하여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캐빈의 연결 여부 및 상기 각각의 캐빈의 부양 상태가 중앙 통제되는 수륙 양용 캠핑카.
The method of claim 19,
The cabi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rver by the RF communication, the amphibious camping car is centrally controlled by the server whether the connection of each cabin and the support status of each cabin.
삭제delete
KR1020100055887A 2010-06-14 2010-06-14 Amphibious camping vehicle KR101028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87A KR101028825B1 (en) 2010-06-14 2010-06-14 Amphibious camp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87A KR101028825B1 (en) 2010-06-14 2010-06-14 Amphibious camp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825B1 true KR101028825B1 (en) 2011-04-12

Family

ID=4405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87A KR101028825B1 (en) 2010-06-14 2010-06-14 Amphibious camp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2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340A (en) 2015-06-10 2016-12-20 주식회사 한인테크 An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excellent stability
CN106827989A (en) * 2017-02-21 2017-06-13 林方杰 A kind of amphibious Multipurpose caravan compartment
CN109878279A (en) * 2019-03-25 2019-06-14 何适 A kind of cell and family's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cabin
KR102288482B1 (en) * 2021-03-18 2021-08-10 주식회사 네오오토 Small mobile home and camping caravan combined with small mobile home
KR20230001915A (en)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정수마린 Boats that serve as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guide blade
KR20230001911A (en)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정수마린 Boats that serve as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fly eye lens type lamp
KR20230085352A (en) * 2021-12-07 2023-06-14 유한회사 거성 Vehicle For Tidal Fla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201A (en) 1999-06-09 2003-01-21 フオ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Amphibious vehicle
US6840825B1 (en) * 2001-01-23 2005-01-11 Frank Messano Amphibious recreational vehicle
JP2007125960A (en) 2005-11-02 2007-05-24 Tokai Univ Propulsion device, automatic steering device, automatic steering method, and automatic steering program for amphibious vehicle
KR20090080036A (en) * 2006-10-18 2009-07-23 나바텍 리미티드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2201A (en) 1999-06-09 2003-01-21 フオルクスワ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Amphibious vehicle
US6840825B1 (en) * 2001-01-23 2005-01-11 Frank Messano Amphibious recreational vehicle
JP2007125960A (en) 2005-11-02 2007-05-24 Tokai Univ Propulsion device, automatic steering device, automatic steering method, and automatic steering program for amphibious vehicle
KR20090080036A (en) * 2006-10-18 2009-07-23 나바텍 리미티드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340A (en) 2015-06-10 2016-12-20 주식회사 한인테크 An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excellent stability
CN106827989A (en) * 2017-02-21 2017-06-13 林方杰 A kind of amphibious Multipurpose caravan compartment
CN106827989B (en) * 2017-02-21 2019-03-29 荣成康派斯新能源车辆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mphibious Multipurpose caravan compartment
CN109878279A (en) * 2019-03-25 2019-06-14 何适 A kind of cell and family's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cabin
CN109878279B (en) * 2019-03-25 2024-03-15 何适 District and family disaster prevention emergency cabin
KR102288482B1 (en) * 2021-03-18 2021-08-10 주식회사 네오오토 Small mobile home and camping caravan combined with small mobile home
KR20230001915A (en)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정수마린 Boats that serve as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guide blade
KR20230001911A (en)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정수마린 Boats that serve as amphibious camping caravan having fly eye lens type lamp
KR20230085352A (en) * 2021-12-07 2023-06-14 유한회사 거성 Vehicle For Tidal Flats
KR102654234B1 (en) * 2021-12-07 2024-04-04 유한회사 거성 Vehicle For Tidal Fla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825B1 (en) Amphibious camping vehicle
US10011328B2 (en) Vessel
US8986056B2 (en) Amphibious yacht
KR101473570B1 (en) Built-engine amphibious airboat
US20110045716A1 (en)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CA2688466C (en) Amphibious all-terrain vehicle
US8337265B2 (en) Amphibious yacht
BRPI1000730B1 (en) floating crawler water tractor
AU5531100A (en) Amphibious vehicle for civil protection applications, derived from tracked vehicles
WO2006119057A1 (en) Watercraft with submerged passive flotation devices
KR101540582B1 (en) an amphibious boat
KR101911056B1 (en) Amphibious vehicle
CN106218807A (en) The efficient hydrofoil landing craft of multifunction caterpillar and operational approach
AU2012380361A1 (en) Amphibious yacht
CN216659476U (en) Amphibious ship
US9168983B2 (en) RV barge
CN111391587B (en) Fixed amphibious carries thing landing ship
CN209756671U (en) small amphibious multi-terrain yacht
KR101650771B1 (en) Driving device for an amphibious boat
WO2014100568A1 (en) Amphibious yacht
JP3586022B2 (en) Underwater vehicle
KR20150029270A (en) Amphibious Trailer
RU225025U1 (en) Multi-purpose amphibious vehicle
US20220266643A1 (en) Track-driven outdoor vehicle
KR20190023351A (en) Amphibious trailer having catamara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