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530B1 -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 Google Patents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530B1
KR101028530B1 KR1020100086901A KR20100086901A KR101028530B1 KR 101028530 B1 KR101028530 B1 KR 101028530B1 KR 1020100086901 A KR1020100086901 A KR 1020100086901A KR 20100086901 A KR20100086901 A KR 20100086901A KR 101028530 B1 KR101028530 B1 KR 10102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otating
moving part
pneumatic cylind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길
Original Assignee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아이엔디(주) filed Critical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to KR102010008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0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ulds or injection units usable in different arrangements or combination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에서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캐비티를 형성하여 180°회전 및 역회전을 하는 회전코어를 구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코어를 회전시킴에 있어 공압에 의한 구동력을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작동가능하며,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에 각각 구동력이 되는 공압을 제공함에 있어 일정한 공압을 정확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말단이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A Co-injection Molding having a Rotation Core Driving Appararus}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캐비티를 형성하여 180°회전 및 역회전을 하는 회전코어를 구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코어를 회전시킴에 있어 공압에 의한 구동력을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작동가능하며,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에 각각 구동력이 되는 공압을 제공함에 있어 일정한 공압을 정확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말단이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사이클타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사출이란 두 개의 이종수지 또는 색상이 다른 구 개의 동일수지를 두 개의 주입장치를 가진 이중사출 가능하게 설계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물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회전코어가 포함된 이중사출금형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중사출금형의 일반적인 구조는 1차 캐비티(a1')를 포함하며 좌우로 이동하는 1차금형(a')과, 2차 캐비티(b1')를 포함하며 좌우로 이동하는 2차금형(b')과, 상기 1차금형(a')과 2차금형(b') 사이에 형성되어 180°회전/역회전을 하면서 상기 1차 캐비티(a1') 및 2차 캐비티(b1')와 각각 형합하는 회전코어(c1')를 포함하는 중간금형(c')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코어(c1')의 양측면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1차 캐비티(a1') 및 2차 캐비티(b1')와 형합하여 사출물을 성형하는 제1 코어캐비티(c3')와 제2 코어캐비티(c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코어(c1')는 회동축(c2')이 직접 서브모터(e') 구동축(e1')에 연결되어 서브모터(e')의 구동력에 의해 180°회전/역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차금형(a')의 1차 캐비티(a1')와 상기 회전코어(c1')의 제1 코어캐비티(c3')가 형합하여 1차성형품을 성형한 다음, 회전코어(c1')가 서브모터(e')에 의해 180°회전하여 상기 2차금형(b')의 2차 캐비티(b1')와 형합하여 2차성형품을 성형할 동안, 회전코어(c1')의 제2 코어캐비티(c4')는 1차금형(a')의 1차 캐비티(a1')와 형합하여 다른 1차성형품을 성형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2중으로 사출된 성형품이 완성되어 생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사출금형 구조에서는 빈번하게 180°회전/역회전을 반복하여야 하는 상기 회전코어(c1')의 회전을 서브모터(e')에 직접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브모터(e')의 구입,설치,유지비용에서 과도한 운영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즉, 회전코어(c1')를 위해 설치되는 서브모터(e') 자체의 비용도 과다하게 소모될 뿐더러, 서브모터(e')를 정확한 간격으로 정확한 각도로 회전/역회전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설치 및 지속적인 업데이트 비용 역시 많이 소요되며, 특히 결함이 발생하거나 신호 체계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 자체를 재설정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손실 또한 자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회전코어(c1')의 회동축(c2')에 서브모터(e')의 구동축(e1')을 직접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록 정확하게 180°회전을 한다 하더라도 회전가속도에 의해 회전이 끝난 직후에도 상기 회전코어(c1')는 일정 시간 진동(회전충격)이 발생할수밖에 없고, 따라서 진동이 멎을 때까지는 사출성형작업이 진행될 수 없어 공정사이클타임이 길어지게 됨에 따른 비용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진동은 1차 성형품의 품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이중사출방식에 있어서는 특히 1차 성형품과 2차 성형품 사이 접촉면에 플로우마크나 불균등한 표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품질관리와 고온의 용융수지로 인해 캐비티측의 온도는 고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회전코어(c1') 자체와 그 주변의 온도편차가 크게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서브모터(e')의 경우 이러한 큰 온도편차에서는 작동이 용이하지 않고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 역시 내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c1')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사출금형에서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캐비티를 형성하여 180°회전 및 역회전을 하는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사출금형에서의 회전코어를 회전시킴에 있어 서브모터가 아닌 공압에 의한 구동력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전력으로 작동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결함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에 각각 구동력이 되는 공압을 제공함에 있어 간단하면서도 일정한 공압을 정확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최소화시켜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성형주기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말단이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사이클타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를 통해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를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은 1차금형과 2차금형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이중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코어가 형성된 중간금형을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의 회동축과 연결되어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밀착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 공압을 이용해 상기 이동부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회전충격없이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각각 회전부의 양측에서 상반되게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여 회전부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제1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공압실린더와 상기 제2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과 맞닿는 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코어를 정확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은 상기 제1공압실린더와 제2공압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절기와,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후방주입부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전방주입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라인과,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전방주입부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후방주입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라인과, 상기 조절기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공압의 에어를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밸브를 추가로 포함하여, 저전력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은 상기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는 각각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의 말단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완충축과, 상기 완충축을 수용하며 유압에 의해 완충축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압실과, 상기 완충축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접촉부와 유압실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이동하는 스트로크 구간 내에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속도를 완화하며, 상기 접촉부의 말단은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사이클타임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은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마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에서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캐비티를 형성하여 180°회전 및 역회전을 하는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에서의 회전코어를 회전시킴에 있어 서브모터가 아닌 공압에 의한 구동력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전력으로 작동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결함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에 각각 구동력이 되는 공압을 제공함에 있어 간단하면서도 일정한 공압을 정확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최소화시켜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성형주기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의 말단이 각각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통해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를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회전코어가 포함된 이중사출금형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가 장착된 이중사출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회전코어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의 평면도
도 5a 내지 5c는 회전부, 이동부, 공압실린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a 와 6b는 제1이동부와 제1완충부 사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제1완충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제1이동부의 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제1완충부가 제1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경우와 밀착된 경우의 제1이동부의 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가 장착된 이중사출금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회전코어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회전부, 이동부, 공압실린더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6a 와 6b는 제1이동부와 제1완충부 사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은 제1완충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제1이동부의 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제1완충부가 제1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경우와 밀착된 경우의 제1이동부의 운동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는 1차 캐비티(a1)를 포함하는 1차금형(a); 2차 캐비티(b1)를 포함하는 2차금형(b); 상기 1차금형(a)과 2차금형(b)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1차 캐비티(a1) 및 2차 캐비티(b1)와 결합하여 이중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코어(110)를 포함하는 중간금형(10);을 포함하며, 특히 회전코어(110)의 회동축(111)과 연결되어 회전코어(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0); 상기 회전부(20)와 밀착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이동부(30); 공압을 이용해 상기 이동부(30)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40);를 포함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f)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회전부(20)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는 각각 회전부(20)의 양측에서 상반되게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여 회전부(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공압실린더(40)는 상기 제1이동부(30-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공압실린더(40-1)와 상기 제2이동부(30-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공압실린더(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이중사출금형에서 1차금형(a)과 1차 캐비티(a1), 2차금형(b)과 2차 캐비티(b1), 중간금형(10) 및 상기 회전코어(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코어캐비티(112)와 제2 코어캐비티(113)의 구성들은 앞서 배경기술난에서 설명한 도 1의 1차금형(a')과 1차 캐비티(a1'), 2차금형(b')과 2차 캐비티(b1'), 중간금형(c') 및 회전코어(c1')의 제1,2 코어캐비티(c3',c4')와 동일한 구성들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 사용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f)는 상기 중간금형(10)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코어(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코어(110)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안착,결합하는 베이스(70)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70) 상부에 상기 회전부(20), 이동부(30), 공압실린더(40) 등의 구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20)는 후술할 이동부(30)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코어(110)의 회동축(111)과 연결되어 회전코어(11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20)의 일단은 후술할 이동부(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와 각각 외접하여 연결되고, 회전부(20)의 타단은 상기 회전코어(110)의 회동축(111)과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가 각각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와 외접하여 연결된 상기 회전부(20)가 180°회전/역회전을 반복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코어(110) 역시 180°회전/역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20)와 회전코어(110)의 회동축(111)과의 연결부위에는 마찰을 최소화한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해 로울러 베어링이나 오일론 부싱 등의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와 연결되는 회전부(20) 일단의 외주면 둘레에는 기어치가 형성된 즉, 피니언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상기 회전부(20)와 맞닿는 면에도 각각 기어치가 형성된 즉, 랙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기어 맞물림에 의해 상기 회전부(20)를 정확하게 180°회전/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의 왕복운동에 따른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운동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할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의 작동관계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0)는 후술할 공압실린더(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부(20)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각각 상기 회전부(20)의 양측에서 상반되게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여 회전부(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이동부(30)가 단순히 상기 회전부(20)의 일측에서만 형성되어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부(30)의 이동에 의한 회전부(20)의 회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가 어려울 뿐더러 상기 이동부(30) 하나에 보다 많은 구동력이 작용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부(20)가 회전한 이후에도 일정한 진동을 유발하는 회전충격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이동부(30)를 상기 회전부(20)를 중심으로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로 형성하여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각각 회전부(20)의 양측에서 상반되게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전부(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가 피니언 기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 역시 그에 대응되도록 랙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는 각각 후술할 제1공압실린더(40-1)와 제2공압실린더(40-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구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할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공압실린더(40)는 상기 이동부(30)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0)가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공압실린더(40) 역시 상기 제1이동부(30-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공압실린더(40-1)와 상기 제2이동부(30-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공압실린더(40-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코어(110)의 회동축(111)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30)를 이용한 회전부(20) 및 회전코어(110) 회전방식을 채택함은 물론,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와 제2공압실린더(40-2)를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실린더로 적용하고,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와 제2공압실린더(40-2)에 공급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절기(450)와,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후방주입부(42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전방주입부(410-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라인(460)과,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전방주입부(41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후방주입부(420-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라인(470)과, 상기 조절기(450)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공압의 에어를 상기 제1라인(460)과 제2라인(4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밸브(480)를 추가로 포함하여, 적은 비용과 저전력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유지관리 및 결함에 대한 대응에 있어 효율적이며 높은 온도편차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회전코어(110) 작동구조를 제공하는데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는 상기 제1이동부(30-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실린더를 활용하여 공압에 의해 상기 제1이동부(30-1)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에는 일정 공압의 에어가 유,출입될 수 있는 전방주입부(410-1)와 후방주입부(420-1) 및 유출입되는 공압에 의해 전,후진으로 구동하는 구동축(430-1)과 플랜지부(440-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주입부(410-1)와 후방주입부(420-1)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주입부(410-1)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도 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되어 있던 상기 플랜지부(440-1)를 후방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플랜지부(440-1)와 그에 연결된 구동축(430-1)을 후방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종국에는 상기 구동축(430-1)에 연결된 상기 제1이동부(30-1)를 후진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후방주입부(420-1)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와 반대로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30-1)를 전진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전방주입부(410-1)와 후방주입부(420-1)에 각각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제1이동부(30-1)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전방주입부(410-1)는 후술할 제2라인(470)에 상기 후방주입부(420-1)는 후술할 제1라인(460)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게 되는데, 그 작동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는 상기 제2이동부(30-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와 쌍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대칭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세부구성(즉, 전방주입부(410-2), 후방주입부(420-2), 구동축(430-2) 및 플랜지부(440-2)) 및 작동관계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기(450)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와 제2공압실린더(40-2)에 공급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와 같은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코어(110)의 회전속도 및 회전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상기 조절기(450)를 통해 제1공압실린더(40-1)와 제2공압실린더(40-2)에 제공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효율적인 생산공정의 진행을 위해 상기 조절기(450)에서 조절되는 공압을 0.3~0.7 Bar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라인(460)은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후방주입부(42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전방주입부(410-2)에 에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밸브(480)의 제어하에 상기 제1라인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에 연결된 제1이동부(30-1)는 전진운동을 하고, 그에 대칭되는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에 연결된 제2이동부(30-2)는 후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라인(470)은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전방주입부(41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후방주입부(420-2)에 에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밸브(480)의 제어하에 상기 제2라인에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에 연결된 제1이동부(30-1)는 후진운동을 하고, 그에 대칭되는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에 연결된 제2이동부(30-2)는 전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회전부(20)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밸브(480)는 상기 조절기(450)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공압의 에어를 상기 제1라인(460)과 제2라인(4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밸브(480)로는 솔레노이드밸브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480)는 제어밸브(480)에 연결된 상기 제1라인(460)과 제2라인(470)에 대해 각각 택일적으로 하나의 라인을 개방하면 동시에 다른 라인을 폐쇄하게 되는 작동구조를 갖음으로써, 상기 회전부(20)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1공압실린더(40-1) 및 제2이동부(30-2)와 제2공압실린더(40-2)가 각각 상반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에서의 회전부(20), 이동부(30), 공압실린더(40) 등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30-1)는 후진된 상태이고 상기 제2이동부(30-2)는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밸브(480)가 작동하여 상기 제1라인(460)은 개방하고 상기 제2라인(470)은 폐쇄하게 되면, 상기 조절기(450)를 통해 일정한 공압을 갖으며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제1라인(460)을 통해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후방주입부(42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전방주입부(410-2)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플랜지부(440-1)와 구동축(430-1)가 전진하면서 그에 연결된 제1이동부(30-1)는 전진운동(①방향)을 하고, 그에 대칭되는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에 연결된 제2이동부(30-2)는 후진운동(②방향)을 하게 되며, 상기 제1이동부(30-1)의 전진운동과 상기 제2이동부(30-2)의 후진운동에 따라 랙기어로 형성된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된 상기 회전부(20)는 180°회전(ⓐ방향)하게 되어 회전코어(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그 상태에서 다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밸브(480)가 작동하여 반대로 상기 제1라인(460)은 폐쇄하고 상기 제2라인(470)은 개방하게 되면,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제2라인(470)을 통해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전방주입부(410-1)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의 후방주입부(420-2)에 각각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번에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의 플랜지부(440-1)와 구동축(430-1)이 후진하면서 그에 연결된 제1이동부(30-1)는 후진운동(③방향)을 하고, 그에 대칭되는 상기 제2공압실린더(40-2)에 연결된 제2이동부(30-2)는 전진운동(④방향)을 하게 되어, 랙기어로 형성된 제1이동부(30-1)의 후진운동과 제2이동부(30-2)의 전진운동에 따라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된 상기 회전부(20)는 180°역회전(ⓑ방향)하게 되어 회전코어(110)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f)는 종래와 같이 서브모터를 회전코어의 회동축에 직접 연결하여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상기 회전부(20)와 이동부(30), 공압실린더(40)간의 작동구조를 이용하여 회전코어(110)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서브모터의 구입,설치,유지비용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비용소모를 방지하고 높은 온도편차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특히, 결함이 발생하거나 신호 체계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브모터의 제어프로그램 자체를 재설정하여야 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밸브(480)를 위한 저전력만으로 작동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결함발생시 신속하게 대응(즉, 전문가가 제어프로그램 자체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품을 수리,교체하는 것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할 수 있으며, 구동력이 되는 공압을 제공함에 있어 간단하면서도 일정한 공압을 정확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회전코어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f)는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50-1)와 제2완충부(50-2)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20)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110)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완충부(50-1)는 상기 제1이동부(30-1)의 말단측에서 특히, 제1이동부(30-1)의 이동 후반부의 속도를 완화시켜 주는 구성으로, 제1이동부(30-1)의 말단과 접촉하는 접촉부(510-1)와, 상기 접촉부(510-1)와 연결된 완충축(520-1)과, 상기 완충축(520-1)을 수용하며 유압에 의해 완충축(520-1)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압실(530-1)과, 상기 완충축(520-1)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접촉부(510-1)와 유압실(530-1)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540-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0-1)는 제1이동부(30-1)의 말단과 접촉하는 부위로 테프론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충격 및 제1이동부(3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1이동부(30-1)의 전,후진 이동하는 스트로크 구간 내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제1이동부(30-1)와 접촉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접촉부(510-1)의 말단은 제1이동부(30-1)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제1이동부(30-1)가 왕복이동하는 주기를 개선시켜 종국에는 이중사출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완충부(50-1)의 구성들의 작동관계 및 그 형성위치에 따른 기능 및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완충부(50-2)는 상기 제2이동부(30-2)의 말단측에서 특히, 제2이동부(30-2)의 이동 후반부의 속도를 완화시켜 주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완충부(50-1)와 쌍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대칭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2완충부(50-2)의 세부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기 제1완충부(5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a 와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에서의 제1이동부(30-1)와 제1완충부(50-1) 사이에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부(50-1)의 접촉부(510-1) 말단은 상기 제1이동부(30-1)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이동부(30-1)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공압실린더(40-1)에 일정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제1이동부(30-1)(즉, 랙기어)가 최초 전진운동을 시작하게 되는 구간 즉, 도 6a에서의 'A'구간에서의 제1이동부(30-1)(즉, 랙기어)의 초기 운동속도가 빠르게 증가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회전코어(110)의 회전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8의 (2)에 도시된 상기 제1완충부(50-1)의 접촉부(510-1) 말단이 상기 제1이동부(30-1)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이동부(30-1)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경우에의 제1이동부(30-1)의 운동속도 그래프와, 도 8의 (1)에 도시된 상기 제1완충부(50-1)의 접촉부(510-1) 말단이 상기 제1이동부(30-1)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이동부(30-1)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어 위치한 경우에의 제1이동부(30-1)의 운동속도 그래프를 대비해보면, 도 8의 (1)의 그래프에서의 초기이동속도가 도 8의 (2)에 비해 보다 빠르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완충부(50-1) 본연의 회전충격을 방지하는 완충효과를 위해서 상기 일정간격(d) 이격거리는 상기 제1이동부(30-1)의 이동거리의 1/5~1/4 비율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a에서 상기 제1이동부(30-1)가 지속적으로 전진운동을 하여 도 6b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구간 즉, 'B'구간에서의 작동과정을 보면, 상기 제1이동부(30-1)의 말단이 상기 제1완충부(50-1)의 접촉부(510-1)와 맞닿게 되면서부터 접촉부(510-1)와 그에 연결된 완충축(520-1)가 후진하게 되고, 후진이 계속되면 유압실(530-1)의 유압 및 완충스프링(540-1)의 저항을 받게 되어 상기 제1이동부(30-1)의 운동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여 최종 정지할 무렵에서는 최소의 운동속도로 감속된 후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코어(110)가 회전가속된 후 급작스럽게 순간 회전정지됨에 따라 일정 시간 진동을 계속하게 되는 회전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의 (2)에 도시된 제1완충부(50-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제1이동부(30-1)의 운동속도그래프와, 도 7의 (1)에 도시된 제1완충부(50-1)가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제1이동부(30-1)의 운동속도그래프를 대비해보면, 도 8의 (2)의 경우는 제1이동부(30-1)가 정지하기 직전까지도 운동속도가 많이 줄어들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정지시 회전코어(110)에는 회전충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도 8의 (1)의 경우는 제1이동부(30-1)가 정지하기 직전 최소의 운동속도로 감속이 이루어져 정지하기 때문에 정지시 회전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도 6b의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제1이동부(30-1)가 후진운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1완충부(50-1)의 접촉부(510-1)가 후진운동 시작시점에서 상기 완충스프링(540-1)의 탄성으로 상기 접촉부(510-1) 및 제1이동부(30-1)를 밀어주게 되므로 제1이동부(30-1)의 후진운동시 초기이동속도를 보다 빠르게 증대시켜 종국적으로 회전코어(110)의 회전주기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회전코어의 구동장치는 상기 제1완충부(50-1)와 제2완충부(50-2)의 구성을 통해 회전부(20)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110)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완충부(50-1)와 제2완충부(50-2)의 말단이 각각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d)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이동주기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코어 구동장치는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여 운동방향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회전부(20)를 정확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60)가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측면에서 각각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맞닿아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6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의 측면 이외에 상면에서도 맞닿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제1이동부(30-1) 및 제2이동부(30-2)와 지속적으로 맞닿게 되는 부분이므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기윤활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이란 윤활물질을 함유한 플라스틱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고분자물질로서 강도, 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일종인 MC나일론과 같은 재질을 고려할 수 있는데, 상기 MC나일론은 나일론 6를 원료로 한 폴리아미드 수지로써 원료를 직접 금형에 유입하여 대기압하에서 중합 성형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높은 인장력 및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60)를 통해 제1이동부(30-1)와 제2이동부(30-2)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0)를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1차 금형 a1: 1차 캐비티 b: 2차 금형 b1: 2차 캐비티
f: 회전코어 구동장치
10: 중간금형 110: 회전코어 120: 프레임
111: 회동축 112: 제1 코어캐비티 113: 제2 코어캐비티
20: 회전부
30: 이동부 30-1: 제1이동부 30-2: 제2이동부
40: 공압실린더 40-1: 제1공압실린더 40-2: 제2공압실린더
410-1,410-2: 전방주입부 420-1,420-2: 후방주입부
430-1,430-2: 구동축 440-1,440-2: 플랜지부
450: 조절기 460: 제1라인 470: 제2라인 480: 제어밸브
50-1: 제1완충부 50-2: 제2완충부
510-1,510-2: 접촉부 520-1,520-2: 완충축
530-1,530-2: 유압실 540-1,540-2: 완충스프링
60: 가이드부 70: 베이스
*종래 기술에 사용된 도면부호
a': 1차 금형 a1': 1차 캐비티 b': 2차 금형 b1': 2차 캐비티
c': 중간금형 c1': 회전코어 c2': 회동축
c3': 제1 코어캐비티 c4': 제2 코어캐비티
e': 서브모터 e1': 구동축

Claims (7)

1차금형과 2차금형의 사이에서 회동하며 이중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코어가 형성된 중간금형을 포함하는 이중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의 회동축과 연결되어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밀착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부;
공압을 이용해 상기 이동부를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각각 회전부의 양측에서 상반되게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여 회전부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제1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공압실린더와 상기 제2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가 가속회전하게 되어 회전코어에 회전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말단측에 각각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회전충격없이 회전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과 맞닿는 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코어를 정확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 구동장치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와 제2공압실린더에 공급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절기와,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후방주입부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전방주입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라인과, 상기 제1공압실린더의 전방주입부와 상기 제2공압실린더의 후방주입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라인과, 상기 조절기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공압의 에어를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밸브를 추가로 포함하여, 저전력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와 제2완충부는 각각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의 말단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완충축과, 상기 완충축을 수용하며 유압에 의해 완충축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압실과, 상기 완충축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접촉부와 유압실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이동하는 스트로크 구간 내에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속도를 완화하며,
상기 접촉부의 말단은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이동사이클타임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 구동장치는
상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가 전,후진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마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자기윤활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KR1020100086901A 2010-09-06 2010-09-06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KR10102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1A KR101028530B1 (ko) 2010-09-06 2010-09-06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1A KR101028530B1 (ko) 2010-09-06 2010-09-06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530B1 true KR101028530B1 (ko) 2011-04-11

Family

ID=4404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901A KR101028530B1 (ko) 2010-09-06 2010-09-06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93B1 (ko) * 2015-11-16 2018-01-18 해양산업 주식회사 제품 조립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200136577A (ko) 2019-05-28 2020-12-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개선된 이중사출용 회전판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859A (ko) * 2001-02-05 2002-08-10 임성근 회전방식에 의한 다중사출 금형장치
KR100567661B1 (ko) * 2005-11-18 2006-04-04 이흥복 사출성형기의 회전장치
KR100920811B1 (ko) 2008-07-29 2009-10-08 (주) 우성정공 멀티 사출금형 및 이의 사출방법
KR20090124390A (ko) * 2008-05-30 2009-12-03 최화식 이중성형품 자동생산이 가능한 사출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이중성형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859A (ko) * 2001-02-05 2002-08-10 임성근 회전방식에 의한 다중사출 금형장치
KR100567661B1 (ko) * 2005-11-18 2006-04-04 이흥복 사출성형기의 회전장치
KR20090124390A (ko) * 2008-05-30 2009-12-03 최화식 이중성형품 자동생산이 가능한 사출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이중성형품 제조방법
KR100920811B1 (ko) 2008-07-29 2009-10-08 (주) 우성정공 멀티 사출금형 및 이의 사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93B1 (ko) * 2015-11-16 2018-01-18 해양산업 주식회사 제품 조립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200136577A (ko) 2019-05-28 2020-12-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개선된 이중사출용 회전판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530B1 (ko) 회전코어 구동장치를 포함한 이중사출금형
CN106738746B (zh) 注射成型机
CN206653619U (zh) 内螺纹注塑模具脱模结构和内螺纹注塑模具
JP4560980B2 (ja) 射出成形機
CN203390695U (zh) 一种焊接管在线抛光机
CN109228111A (zh) 压力套生产设备
JPH0985815A (ja) 合成樹脂加工装置の型を嵌合閉鎖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CN104908250A (zh) 一种花蓬头弯管抽芯机构
CN100592974C (zh) 设有多个致动装置的操作机,设备和控制系统
EP2919959B1 (en) Side actuated shooting pot
US20060177539A1 (e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US20170106576A1 (en) Electrical mold clamping apparatus of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s
CN100473514C (zh) 多功能注塑机
JP5595755B2 (ja) 型締め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機
CN203886750U (zh) 用于大功率led球面成型机的自动注胶装置
CN108773019A (zh) 一种具有更换料嘴功能的注塑机
CN205136496U (zh) 发动机用皮带涨紧调节机构
KR101297167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개폐장치
JP2013018210A (ja) スクリュー式射出装置
CN204505735U (zh) 一种注塑装置
KR101004075B1 (ko) 사출 성형기
CN219466810U (zh) 一种注塑供料装置
US10442124B2 (en) Mold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164998B1 (ko) 도트 핀 마킹을 위한 압력 왕복 방식의 실린더 구조 및 이를 가진 마킹 장치
CN204249342U (zh) 旋转式成型模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