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445B1 -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445B1
KR101028445B1 KR1020090069552A KR20090069552A KR101028445B1 KR 101028445 B1 KR101028445 B1 KR 101028445B1 KR 1020090069552 A KR1020090069552 A KR 1020090069552A KR 20090069552 A KR20090069552 A KR 20090069552A KR 101028445 B1 KR101028445 B1 KR 10102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orting
edge
circumferential edg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298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모토하루 쿠로사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8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9823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소형이며,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소형이며,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약간 외주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및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이다.
코인 배분 장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체, 선별 구멍, 이송 날개, 낙하 보조 장치, 평행 이동 기구, 기준 둘레 가장자리, 가압 장치

Description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COIN SELECTING DEVICE AND COIN SELECTING/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코인을 종류마다 선별하는 코인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코인을 종류마다 선별하고, 선별한 코인의 수를 검지하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직경이 상이한 코인을 종류마다 선별하고, 또 계수할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고속 또한 소형의 직경이 상이한 코인을 종류마다 선별하고, 또 계수할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인」은 통화로서의 경화, 게임기의 메달 및 토큰 등의 총칭이다.
제1 종래 기술로서, 상면에 코인류가 얹히도록 하고, 또한 수동 혹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의 외주로부터의 코인류의 취입구를 가지고 회전반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대략 원호형상의 코인류 반송 경로와, 코인류 반송 경로 중에 뚫려서 설치되고, 반송 상류로부터 반송 하류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작은 코인류로부터 직경이 큰 코인류까지를 순차 선별 낙하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선별 구멍과, 상기 회전반의 외주 상방에 배치되어 당해 회전반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고, 상기 코인류 반송 경로면을 향하여 코인류를 가압하면서 반송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환형상의 반송 벨트와, 코인류의 취입구와 상기 반송 방향의 가장 상류측의 선별 구멍 사이의 코인류 반송 경로 중에 배치되어 코인류의 통과수 및 직경을 판별하기 위한 코인류 판별 수단과, 상기 코인류 판별 수단에 의한 계측 결과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과한 코인류의 종류마다의 수량 및 전체 수량 등의 계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류의 계수 선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제2 종래 기술로서, 회전 디스크 상의 코인을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부여하고, 정지 둘레면에 형성한 금종마다의 출구에 당해 원심력에 의해 코인을 이송하여 금종마다 선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863490호(도 1~도 9, 3페이지~10페이지)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2636505호(도 2~16, 4페이지~7페이지)
제1 종래 기술은, 원호형상의 코인류 반송로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반송 벨트의 마찰력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금종의 직경에 맞추어 소직경으로부터 대직경의 순으로 형성된 선별 구멍에 낙하시킴으로써 금종마다 선별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반송 벨트의 가압력에 의해 코인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게 하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향상을 위해 반송 벨트의 속도를 높이면 원심력이 이겨서 코인이 내측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져 버려, 소정의 선별 구멍에 낙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종래 기술은 선별 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또 제1 종래 기술을 코인 선별 계수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제2 종래 기술은, 코인의 원심력에 의해 금종마다의 출구로 유도하기 위해서, 출구에 늘어서는 코인의 유도로를 회전 디스크의 둘레 방향에 배치해야 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또 제2 종래 기술을 코인 선별 계수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소형이며,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소형이며, 단위 시간당 선별 코인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선별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약간 외주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및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선별 구멍의 상측으로부터 선별 구멍을 향하여 이송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낙하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평행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서 평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약간 외주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및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 상기 선별 구멍으로의 낙하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의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하 보조 장치는 상기 선별 구멍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별 구멍을 향하여 코인을 탄성적으로 압하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의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코인은 회전체의 이송 날개에 의해 하나씩 베이스 플레이트 상을 슬라이드된다.
슬라이드하는 코인은 가압 장치에 의해 원심력에 반하여 회전체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되면서 이동한다.
선별 구멍부에 있어서, 코인의 내측 가장자리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된다. 또 코인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대응하는 금종보다 소직경 코인의 선별 구멍부에서는 외측 기준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한다. 대응하는 금종의 선별 구멍에 상대한 경우, 가압 장치는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기준 둘레 가장자리측에 가까워지지 않기 때문에, 코인을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는 힘이 급속하게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 내측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하는 당해 코인의 외 측 가장자리는 하면이 외측 기준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자중 및 또는 상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선별 구멍에 낙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인을 가압 장치에 의해 회전체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고, 또한 하방으로 낙하시키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도 가압 장치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므로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코인 둘레면이 멀어지지 않고, 확실하게 대응 금종의 선별 구멍에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고속 선별이 가능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이송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코인은 낙하 보조 장치에 의해 선별 구멍을 향하여 가압된다.
코인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여 중력만으로는 선별 구멍에 전부 낙하할 수 없는 경우라도 확실하게 선별 구멍에 낙하시킬 수 있어, 고속화해도 작은 선별 구멍에 확실히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이라도 코인을 고속 선별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가압 장치가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서 평행 이동 기구에 의해 평행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에 의해 가압하는 방식에 비해 코인을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는 힘을 대략 균일화할 수 있고, 한층 작은 힘으로 코인을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 코인이 가압 장치를 밀어내려고 해도, 가압력을 코인의 누름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부터 작용시키므로, 작은 힘으로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할 수 있어, 코인이 잘못 낙하하는 일이 없다.
또 코인이 가압 장치에 의한 유지력에 의해 선별 구멍에 낙하하지 않는다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코인은 회전체의 이송 날개에 의해 하나씩 베이스 플레이트 상을 슬라이드된다.
슬라이드하는 코인은 가압 장치에 의해 원심력에 반하여 회전체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되면서 이동한다.
선별 구멍부에 있어서, 코인의 내측 가장자리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된다.
또 코인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대응하는 금종보다 소직경 코인의 선별 구멍부에서는 외측 기준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한다. 대응하는 금종의 선별 구멍에 상대한 경우, 가압 장치는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기준 둘레 가장자리측에 가까워지지 않기 때문에, 코인을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는 힘이 급속하게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 내측 가장자리 상을 슬라이드하는 당해 코인의 외측 가장자리는 하면이 외측 기준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자중 및 또는 상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선별 구멍에 낙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인을 가압 장치에 의해 회전체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 가압하고, 또한 하방으로 낙하시키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도 가압 장치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 로 가압하므로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코인 둘레면이 멀어지지 않고, 확실하게 대응 금종의 선별 구멍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낙하한 코인의 센서를 가지는 점에서 금종별의 선별 코인수를 계수할 수 있으므로, 선별 능력이 높고, 또한 소형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는 코인은 선별 구멍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된 롤러에 의해 상기 선별 구멍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하된다.
따라서 낙하해야 할 코인은 이 압하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선별 구멍 내에 떨어뜨려져, 적절한 선별 구멍에 선별된다.
코인을 압하하는 것은 롤러이기 때문에 코인과의 마찰력은 매우 작고, 바꾸어 말하면, 회전체의 회전 저항은 작다.
따라서 코인의 이동 속도가 크더라도 소정의 선별 구멍에 신속하게 낙하되므로, 고속화해도 선별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회전체에 의해 이동되는 코인은 선별 구멍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에 의해 선별 구멍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하된다.
코인이 복수의 롤러에 압하되는 경우, 코인은 면에 의해 압하되므로, 평행하게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단체의 롤러에 비해 한층 원활하게 선별 구멍에 코인을 낙하 시킬 수 있고, 또한 고속 선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약간 외주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 및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 또한 상기 선별 구멍의 상측으로부터 선별 구멍을 향하여 이송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낙하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장치는 평행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서 평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이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이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가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낙하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낙하 보조 장치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계수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100)가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코인 선별 계수 장치(100)는 대략 코인 선별 장치(102) 및 코인 계수 장치(104)를 포함하고 있다.
코인 선별 계수 장치(100)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 금종 코인을 금종마다 선별하고, 선별 금종마다의 코인을 계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우선 코인 선별 장치(102)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선별 장치(102)는 코인을 금종별로 배분하는 기능을 가진다.
코인 선별 장치(102)는 기대(106), 코인 정렬 장치(108), 및 코인 배분 장치(112)를 포함하고 있다.
기대(106)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대(106)는 코인 정렬 장치(108), 코인 배분 장치(112)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대(106)는 측면에서 보아 사다리꼴형상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114), 우측 사이드 프레임(116) 및 양자를 접속하는 스테이(118, 122)로 이루어진다.
기대 좌측 사이드 프레임(114)과 우측 사이드 프레임(116)의 상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24)가 경사져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4)에는 코인 정렬 장치(108), 코인 배분 장치(112) 등이 부착된다.
그 다음에 코인 정렬 장치(108)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정렬 장치(108)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낱개 상태의 코인을 하나씩 구분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코인 정렬 장치(108)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마찬가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인 정렬 장치(108)는 베이스 플레이트(124), 회전 디스크(126) 및 보류 보울(128)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124)를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4)는 회전 디스크(126)의 통공(132)에 낙하하여 회전 디스크(126)에 의해 압동되는 코인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24)는 직사각형평판형이며, 코인이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마모하지 않도록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회전 디스크(126)를 설명한다.
회전 디스크(126)는 보류 보울(128)에 낱개 상태에서 보류된 코인을 교반하고, 하나씩 구분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회전 디스크(126)는 원반형이며, 둘레 가장자리부에 등간격으로 코인이 낙하하는 원형의 통공(1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통공(132)은 선별하는 최대 직경 코인보다 약간 대직경의 원형 구멍이다.
통공(132)의 상면측의 회전 방향 후위의 후방 둘레면(134)은 비스듬히 형성되고, 막자사발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 디스크(126)의 통공(132) 사이의 리브(136)의 하면에는 코인의 압동 돌조(138, 142)가 형성된다.
회전 디스크(126)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상면에 고정된 최대 코인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4분의 3주를 둘러싸는 안내 링(144)의 안내 구멍(146) 내에 동심 상태로 배치된다.
회전 디스크(126)는 측방에 도립 상태로 배치한 전기 모터(148)에 의해 감속기(152)를 사이에 두고 선택적으로 정전 또는 역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은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의 회전이며, 역전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다.
회전 디스크(126)의 중앙에는 재두 원추형의 교반체(154)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보류 보울(128)을 설명한다.
보류 보울(128)은 다수의 코인을 낱개 상태에서 보류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류 보울(128)은 세로 방향의 통형상체이며, 하단부(156)는 회전 디스크(126)보다 약간 큰 원형으로, 상단부(158)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와 상단부는 사면(16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보류 보울(128)은 하단부의 걸음 후크(도시 생략)를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걸음 구멍(160)에 후크하고, 반대측을 고정 장치(161)로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 디스크(126)는 보류 보울(128)의 하단부(156)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류 보울(128)에 낱개 적층된 각종 코인은 회전 디스크(126)의 회전에 의해 교반된다.
상세히 서술하면, 회전 디스크(126) 상의 코인이 통공(132)에 낙하하거나 리브(136)에 얹히거나, 및 교반체(154)의 정부의 사면에 의해 교반된다.
이 교반에 의해 코인(C)이 통공(132) 내에 베이스 플레이트(124)와 평행하게 낙하한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24) 상면에 코인(C)의 하면이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는 하나씩 구분된다.
또한 코인의 둘레 가장자리가 압동 돌조(138, 140)에 의해 압동되므로, 코 인(C)은 안내 링(144)의 안내 구멍(146) 내주면에 안내되면서 회전 디스크(126)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함께 회전되는 코인(C)은 송출부(159)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24)로부터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규제 핀(160, 16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유도되어, 하나씩 송출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24)는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는데, 경사진 경우, 회전 디스크(126)로의 코인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하방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다음에 코인 배분 장치(112)가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코인 배분 장치(112)는 코인을 금종별로 배분하는 기능, 상세하게 서술하면 코인의 직경의 차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직경별로 배분하는 기능을 가진다.
코인 배분 장치(112)는 회전체(164),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제3 선별 구멍(172), 제4 선별 구멍(174) 및 각 선별 구멍에 대응하여서 설치한 제1 가압 장치(176), 제2 가압 장치(178), 및 제3 가압 장치(180) 및 상면 규제체(182)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회전체(164)를 설명한다.
회전체(164)는 코인 정렬 장치(108)에 의해 1매씩 송출된 코인(C)을 수취하여 제1 선별 구멍(166)으로부터 제4 선별 구멍(174)에 순차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회전체(164)는 원반형이며, 회전축선(183)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된 원호형상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디스크(126)의 통공(132)과 동일수이며,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한 이송 날개(186)를 가진다.
이송 날개(186)의 사이의 유지 오목부(188)에는 최대 직경 코인 1매 및 최소 직경 코인 2매가 유지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회전체(164)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상면에 대해서 가장 얇은 코인(C)의 두께 이하의 간격의 평면 내에 있어서, 회전 디스크(126)의 구동원으로부터 기어 수단(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고, 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디스크(126)와 동기하여 회전된다.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는 동일 반경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체(164)가 회전해도 동일원 상을 이동한다.
이송 날개(186)는 동일 반경으로 형성되고, 선단은 회전 디스크(126)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 디스크(126)의 회전에 의해 규제 핀(160, 16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송출된 코인(C)은 이송 날개(186)에 의해 수취된 후, 이송 날개(186)에 의해 압동되면서 선별 통로(190)를 반송된다.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및 제3 선별 구멍(172)을 설명한다.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및 제3 선별 구멍(172)은 소정 직경의 코인(C)을 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및 제3 선별 구멍(172)은 기본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1 선별 구멍(166)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별 구멍(166)은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형성된 내측 안내 가장자리인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 및 외측 기준 가장자리인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에 의해 구성된 호형상의 긴 구멍이다.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는 회전체(164)의 회전축선(183)을 중심으로 한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보다 약간 큰 소정의 반경을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와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 사이에 호형상의 내측 코인 가이드(195)가 형성된다.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보다 약1밀리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낙하)되는 코인(C)이 낙하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경차가 너무 작은 경우, 오선별될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코인(C)이 낙하하기 어려워지므로, 1~3밀리정도가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내측 코인 가이드(195)의 폭은 약1밀리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는 낙하하는 코인(C)에 대한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모따기한 후, 버프 연마하고,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형성해도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고정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4)에는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2)의 반경 방향의 외방에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구멍(200)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98)가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98)는 슬라이드 구멍(200)의 우측 가장자리(202) 및 좌측 가장자리(204)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대해서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가 동심원적 상태를 유지한 채 평행 이동 가능하다.
우측 가장자리(202) 및 좌측 가장자리(20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98), 구체적으로는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의 안내 장치(206)이다.
안내 장치(206)는 본 실시예 대신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의 고정 장치(208)를 도 4,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 장치(208)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98)를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대해서 적당한 위치에 있어서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서포트 플레이트(212) 및 볼트(214)를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212)는 직사각형이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98)보다 돌출된 측방 가장자리부에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216)(실시예에서는 4개)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212)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213)는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212)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98)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대해서 내측 가장자리(213)가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보다 약간 외측에 위치하도록 노크 핀(도시 생략)에 의해 일체화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하다.
서포트 플레이트(212)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하측으로부터 할당하고, 긴 구멍(216)을 관통하는 볼트(214)를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서포트 플레이트(212)의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대한 고정 위치에 의해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와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의 거리가 설정된다.
이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와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의 거리는 선별하는 코인(C)의 직경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어 50엔 코인을 선별하는 경우, 50엔의 직경은 21밀리이지만, 그 다음으로 작은 직경 22.6밀리의 100엔 코인이 낙하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와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의 거리는 21밀리를 넘고, 22.6밀리 미만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또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는 회전축선(183)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반경에 일률적으로 형성되므로, 정확하게는 회전축선(183)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반경 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설정은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와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의 최대 거리 위치에 있어서 만족시키도록 정해진다.
그 다음에 코인 가이드판(218)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가이드판(218)은 제1 선별 구멍(166)으로부터 낙하한 코인(C)이 충돌하여 원심력에 의한 관성력이 감쇠되어, 수직 하강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코인 가이드판(218)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호형상의 판형상체이며, 서포트 플레이트(212)의 내측 가장자리(213)에 인접한 하면에 고정된다.
제1 선별 구멍(166)으로부터 낙하한 원심력을 가지는 코인(C)은 코인 가이드판(218)에 충돌하여 반경 방향의 관성력이 소멸되어, 약간 튀어 오르면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것에 의해 코인을 대략 바로 아래로 낙하시켜, 이것에 의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 다음에 제4 선별 구멍(174)을 설명한다.
제4 선별 구멍(174)은 최대의 500엔 코인이 낙하한다.
따라서 500엔 코인이 낙하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되므로, 상기 조정 기구는 필요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0엔, 50엔, 100엔, 및 500엔 코인이 선별 대상이므로, 소직경으로부터 대직경의 순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제3 선별 구멍(172) 및 제4 선별 구멍(174)이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선별 구멍(166)에 최소의 50엔 코인, 제2 선별 구멍(168)에 2번째로 소직경의 100엔 코인, 제3 선별 구멍(172)에 3번째로 작은 100 엔 코인이 낙하하도록 각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와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의 거리가 설정된다.
최대의 500엔 코인은 제4 선별 구멍(174)에 낙하하도록 설정된다.
제4 선별 구멍(174)은 500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500엔 코인의 직경을 넘는 코인이 낙하하도록 설정된다.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제3 선별 구멍(172) 및 제4 선별 구멍(174)으로부터 낙하한 코인(C)은 개별의 통로에 의해 안내되어, 금종마다의 집금 봉투에 보류된다.
그 다음에 제1 가압 장치(176), 제2 가압 장치(178), 및 제3 가압 장치(180)를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가압 장치(176, 178, 180)는 이송 날개(186)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4) 상을 슬라이드되는 코인(C)을 대응하는 선별 구멍의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보다 먼 곳에 있어서,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가진다.
가압 장치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다른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가압 장치(176), 제2 가압 장치(178), 및 제3 가압 장치(180)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제1 가압 장치(176)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제1 가압 장치(176)는 가압체(222), 가압체 안내 장치(224) 및 가압 수단(226)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가압체(222)를 설명한다.
가압체(222)는 대략 사다리꼴의 평판형상이며, 장변부는 코인(C)을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를 향하여 밀기 위한 압동 가장자리(228)가 형성된다.
압동 가장자리(228)는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8)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그 회전체(164)의 회전 방향에 대한 상류측 단부는 상류를 향하여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가장자리(2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체(222)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의 상면 상을 슬라이드 가능하다.
그 다음에 가압체 안내 장치(224)를 설명한다.
가압체 안내 장치(224)는 가압체(222)를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대해서 평행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평행 이동 기구인 4절 평행 링크 기구를 베이스로 하는 6절의 평행 링크 기구(228)에 의해 구성된다.
가압체(222)를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이송 날개(186)에 의해 이동되는 코인(C)과 안내 가장자리(232)의 충돌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코인(C)이 멋대로 이동(불규칙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행 링크 기구(228)는 서포트 플레이트(212)의 이면으로부터 평행하게 하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지지축(232F)과 제2 지지축(232S), 일단부를 제1 지지축(232F) 또는 제2 지지축(232S)에 축지지한 제1 링크(234F)와 제2 링크(234S), 제1 링크(234F)의 단부의 베어링에 단부의 지지축(236F)을 축지지시킨 제3 링크(238F), 제2 링크(234S)의 타단부의 지지축(236S)을 단부의 베어링에 축지지한 제4 링크(238S), 및 제3 링크(238F), 제4 링크(238S)의 타단의 베어링(242F, 242S) 에 축지지한 가압체(22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지지축(244F, 244S)으로 구성된다.
제1 링크(234F)와 제2 링크(234S)의 길이는 동일하며, 제3 링크(238F)와 제4 링크(238S)의 길이는 동일하다.
지지축(244F와 244S)은 슬라이드 플레이트(198) 및 서포트 플레이트(212)에 겹치도록 형성한 긴 구멍(246F, 246S)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체 안내 장치(224)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체(22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98) 상을 슬라이드하는 경우, 지지축(244F, 244S)을 사이에 두고 제3 링크(238F), 제4 링크(238S) 및 제1 링크(234F), 제2 링크(234S)가 각각 지지축 둘레를 등각도 회전 이동하므로 평행 이동한다.
또한 가압체(222)의 이동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제2 가압체 안내 장치(24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의 제2 가압체 안내 장치(248)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98)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원기둥형 가이드(252) 및 가압체(222)의 중앙에 형성한 직사각형의 가이드 구멍(254)을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 구멍(254)의 내측면이 가이드(252)의 외주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압체(222)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가압체(222)의 이동을 원활화하기 위해서이다.
그 다음에 가압 수단(226)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가압 수단(228)은 가압체(222)를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가진다.
가압 수단(228)은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의 하나인 스프링(256)이다.
스프링(256)의 일단은 서포트 플레이트(2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음 핀(258)에, 타단은 가압체(222)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서포트 플레이트(212)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에 겹치도록 형성한 긴 구멍(262)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음 핀(264)에 걸림으로써 가압체(222)가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되도록 설정된다.
가압체(222)의 압동 가장자리(228)는 가이드 구멍(254)의 외측 가장자리(260)가 가이드(252)의 외주에 맞닿음으로써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4)와 한면이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외측 가장자리(260)에는 우레탄 시트를 첩부하여, 가압체(222)의 충돌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운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상면 규제체(182)를 설명한다.
상면 규제체(182)는 선별 통로(190)의 상면의 구획을 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면 규제체(182)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대해서 최대 코인의 두께를 넘고, 가장 얇은 코인 두께의 2매 이하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송 날개(186)에 의해 압동되는 코인(C)이 2매 겹쳐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가장 두꺼운 코인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되는 코인(C)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코인(C)이 대응하는 선별 구멍에 낙하할 때, 호형상 내측 가장자리(192)를 지지점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낙하하므로, 코인(C)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면 규제체(182)에 압접하여, 원활하게 코인(C)이 낙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면 규제체(182)의 선별 통로(190)를 향하고, 또한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인접하는 소정 범위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프 홈(26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하고자 하는 코인(C)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 릴리프 홈(265)에 들어감으로써 낙하 저항이 감소하므로, 코인(C)의 낙하가 원활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릴리프 홈(265)은 제조의 편의상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선별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그 다음에 제1 낙하 보조 장치(266), 제2 낙하 보조 장치(268), 제3 낙하 보조 장치(272)를 도 7~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낙하 보조 장치(266, 268, 272)는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멍(168), 제3 선별 구멍(172)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선별 구멍에 대응하는 코인(C)이 확실하게 낙하하도록 코인(C)을 압하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 낙하 보조 장치(266), 제2 낙하 보조 장치(268), 제3 낙하 보조 장치(272)는 동일 구성이므로, 제1 낙하 보조 장치(266)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제1 낙하 보조 장치(266)는 유지체(274), 압하 롤러(276) 및 가압 수단(278) 을 가진다.
유지체(274)는 상면 규제체(182)의 상면에 고정되고, 좌우 측벽에 형성된 상면 규제체(182)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8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축(282)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282)에 압하 롤러(276)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그 하단 둘레면은 상면 규제체(18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286)를 통과하여 선별 통로(190)에 위치하고 있다.
유지체(274)에 지지축(286)이 지지축(282)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스프링(288)이 감겨, 그 자유단이 지지축(282)의 양단부에 걸리고, 지지축(282)에 베이스 플레이트(124)를 향하는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선별 통로(190)를 이동하는 코인(C)은 압하 롤러(276)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대해서 가압되고, 50엔 코인(C)은 제1 선별 구멍(166) 내에 가압되어 낙하된다.
제1 선별 구멍(166)을 선택되지 않은 코인(C)이 통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선별 구멍(166)을 100엔 코인이 통과하는 경우, 100엔 코인의 직경은 50엔 코인보다 크므로, 100엔 코인은 가압체(222)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된다.
가압체(222)는 100엔 코인(C)에 의해 눌려, 평행 이동 기구(228)에 의해 평행 이동되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가압체(222)의 압동 가장자리(228)와 호형상 외측 가장자 리(194) 사이에 호형상의 외측 코인 가이드(290)가 형성된다.
따라서 100엔 코인(C)은 내측 하면이 내측 코인 가이드(195)에, 외측 하면이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1 낙하 보조 장치(266)의 압하 롤러(276)에 의해 가압되어도 제1 선별 구멍(166)에 낙하하지 않고 통과한다.
이 때, 압하 롤러(276)는 이들 코인(C)에 의해 밀어 올려지므로, 지지축(282)은 긴 구멍(284)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인(C)의 통과를 허락한다.
마찬가지로 10엔 및 500엔 코인(C)도 내측 코인 가이드(195) 및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가압되면서 낙하하지 않고 이동한다.
그 다음에 코인 계수 장치(104)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인 계수 장치(104)는 금종마다 받아들인 코인(C)의 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다른 기구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의 코인 계수 장치(104)는 선별 통로(190)를 향함과 아울러, 제1 선별 구멍(166)의 직전에 배치한 제1 센서(292), 제1 선별 구멍(166)과 제2 선별 구멍(168) 사이에 배치한 제2 센서(294), 제2 선별 구멍(168)과 제3 선별 구멍(172) 사이에 배치한 제3 센서(296), 제3 선별 구멍(172)과 제4 선별 구멍(156) 사이에 배치한 제4 센서(298), 제4 선별 구멍(174)에 설치한 제5 센서(30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302)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5 센서는 코인(C)에 의한 반사광을 검지하여 코인(C)의 통과를 검지하는 반사형의 센서이다.
그러나 투과형 센서, 기계식 센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제1 센서(292), 제2 센서(294), 제3 센서(296), 제4 센서(298) 및 제5 센서(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2)에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R0M(도시 생략)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처리하고, 소정 금종의 코인이 소정의 선별 구멍에 낙하했는지를 확인함과 아울러, 선별한 코인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센서(292)의 검지 신호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제1 선별 구멍(166)에 50엔 코인이 낙하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50엔 코인의 1을 계수한다.
제1 센서(292)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제3 센서(296)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100엔 코인이 제2 선별 구멍(168)에 낙하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100엔 코인의 1을 계수한다.
제1 센서(292)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고,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제3 센서(296)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며,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제4 센서(298)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10엔 코인이 제3 선별 구멍(172)에 낙하한 것으로 하여 10엔 코인의 1을 계수한다.
제1 센서(292)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 되고,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제3 센서(296)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며,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제4 센서(298)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고, 또한 제5 센서(300)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된 경우, 50O엔 코인이 선별된 것으로 하여 500엔 코인의 1을 계수한다.
또한 상기 소정 시간은 회전 디스크(126) 또 회전체(164)에 인코더를 부착하고, 당해 인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수가 소정수가 된 것을 판별하는 것으로 바꾸어도 된다.
그 다음에 이동 안내 장치(304)를 도 3, 4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 안내 장치(304)는 직경이 상이한 코인(C)이 스무스하게 제1 가압체(222)에 안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동 안내 장치(304)는 회전 디스크(126)와 제1 가압체(222) 사이의 선별 통로(190)의 측방에 배치된 롤러(306), 롤러(306)를 지지하는 레버(308) 및 레버(308)를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312)을 포함하고 있다.
레버(308)는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이면에 돌출하는 지지축(314)에 중간을 회전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레버(308)의 일단에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긴 구멍(316)을 관통하는 지지축(318)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312)은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4)로부터 돌출하는 걸음체(도시 생략)에, 타단이 레버(308)의 걸음 구멍(도시 생략)에 걸려, 도 4, 6에 있어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레버(308)에 부여하고 있다.
롤러(306)는 최소의 50엔 코인 이외의 코인이 통과할 때, 당해 코인(C)과 접촉하여, 이동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롤러(306)는 50엔~500엔 모든 코인과 접촉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가압체(222)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되기 전에 롤러(306)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함으로써 코인(C)이 멋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보류 보울(128) 내에 10엔으로부터 500엔 코인(C)을 낱개 적층 상태에서 투입한다.
회전 디스크(126)의 회전에 의해, 코인(C)이 교반되어 통공(132)에 낙하하고, 규제 핀(160, 161)에 안내되어 회전 디스크(126)의 둘레 방향으로 1매씩 송출된다.
이송 날개(186)의 회전 경로에 송출된 코인(C)은 이송 날개(186)에 수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4) 상을 슬라이드하여 원형의 선별 통로(190)를 이송된다.
우선 50엔 코인이 선별 통로(190)에 송출된 케이스를 설명한다.
50엔 코인은 회전체(164)의 회전에 의해, 롤러(306)에 안내되고, 또는 안내되지 않고 가압체(222)의 안내 가장자리(232)에 이르고, 이 안내 가장자리(232)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에 안내되고, 계속해서 압동 가장자리(228)에 의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에 안내된다.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와 압동 가장자리(228)의 간격은 50엔 코인의 직경 보다 약간 크므로, 50엔 코인은 원심력에 의해 압동 가장자리(228)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 날개(186)에 의해 선별 통로(190)를 이송된다.
제1 선별 구멍(166)에 있어서, 50엔 코인(C)의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의 하면은 내측 코인 가이드(195)에 지지되는데,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8)측의 하면은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또한 압하 롤러(276)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압하된다.
이것에 의해 50엔 코인(C)은 롤러(276)에 의해 압하되고, 제1 선별 구멍(166)에 낙하한다(도 11 참조).
한편 50엔 코인(C)이 제1 선별 구멍(166)에 이르기 전에 제1 센서(292)에 의해 검지된다.
그러나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는 검지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5O엔을 1로서 계수한다.
그 다음에 100엔 코인(C)이 송출된 케이스를 설명한다.
100엔 코인(C)은 우선 롤러(306)에 충돌하여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으로 이동되고,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된다.
그 다음에 제1 선별 구멍(166)에 이르는데, 50엔 코인보다 직경이 크므로 가압체(222)를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압동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의 호형상 외측 가장자리(198)보다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어진 위치와 압동 가장자리(228)의 사이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98)의 상면이 나타나므로, 100엔 코인(C)은 하면이 내측 코인 가이 드(195) 및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낙하 보조 장치(266)에 의해 눌리면서 제1 선별 구멍(166)을 통과한다(도 6 참조).
그 다음에 100엔 코인(C)은 제2 선별 구멍(168)에 이른다.
제2 선별 구멍(168)은 100엔 코인(C)이 낙하되는 구멍이므로, 상기한 50엔 코인과 마찬가지로 제2 선별 구멍(168)에 낙하된다.
한편, 제1 센서(292)에서의 코인 검지 후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제3 센서(296)의 검지 신호가 소정 시간 내에 출력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100엔을 1로서 계수한다.
그 다음에 10엔 코인(C)이 송출된 케이스를 설명한다.
10엔 코인(C)은 우선 롤러(306)에 충돌하여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으로 이동되고,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된다.
그 다음에 제1 선별 구멍(166)에 이르는데, 50엔 코인보다 직경이 크므로 가압체(222)를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압동한다.
이것에 의해 100엔 코인(C)은 하면이 내측 코인 가이드(195) 및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압 장치(176)에 의해 눌리면서 제1 선별 구멍(166)을 통과한다.
그 다음에 10엔 코인(C)은 제2 선별 구멍(168)에 이른다.
10엔 코인(C)은 100엔 코인보다 크므로, 마찬가지로 제2 선별 구멍(168)을 통과한다.
그 다음에 10엔 코인(C)은 제3 선별 구멍(172)에 이른다.
제3 선별 구멍(172)은 10엔 코인(C)이 낙하되는 구멍이므로, 상기한 50엔 코인과 마찬가지로 제3 선별 구멍(172)에 낙하된다.
한편, 제1 센서(292)에서의 코인 검지 후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또한 제3 센서(296)가 소정 시간 내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센서(298)가 소정 시간 내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10엔을 1로서 계수한다.
그 다음에 500엔 코인(C)이 송출된 케이스를 설명한다.
500엔 코인(C)은 우선 롤러(306)에 충돌하여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측으로 이동되고,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에 가압된다.
그 다음에 제1 선별 구멍(166)에 이르는데, 50엔 코인보다 직경이 크므로 가압체(222)를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압동한다.
이것에 의해 100엔 코인(C)은 하면이 내측 코인 가이드(195) 및 외측 코인 가이드(290)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압 장치(176)에 의해 눌리면서 제1 선별 구멍(166)을 통과한다.
그 다음에 500엔 코인(C)은 제2 선별 구멍(168)에 이른다.
500엔 코인(C)은 100엔 코인보다 크므로, 마찬가지로 제2 선별 구멍(168)을 통과한다.
그 다음에 500엔 코인(C)은 제3 선별 구멍(172)에 이른다.
500엔 코인(C)은 100엔 코인보다 크므로, 마찬가지로 제3 선별 구멍(172)을 통과한다.
그 다음에 500엔 코인(C)은 제3 선별 구멍(172)에 이른다.
제3 선별 구멍(172)은 500엔 코인(C)보다 크므로, 500엔 코인(C)은 제3 선별 구멍(172)에 낙하한다.
한편, 제1 센서(292)에서의 코인 검지 후 소정 시간 내에 제2 센서(294)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제3 센서(296)가 소정 시간 내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센서(298)가 소정 시간 내에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또한 제5 센서(301)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500엔을 1로서 계수한다.
이 선별 계수 작업이 연속하여 행해지고, 보류 보울(128) 내의 코인(C)이 모두 계수되어, 제1 센서(292)가 소정 시간 이상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코인(C)은 모두 계수된 것으로 하여 전기 모터(148)는 정지된다.
또한 코인의 계수값이 소정값, 예를 들어 1000매가 된 경우,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그 다음에 낙하 보조 장치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 12~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낙하 보조 장치(320A~32GD)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가압된 롤러(322)에 의해 코인(C)을 압하하는 기본 사상은 동일하지만, 롤러(322)가 복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롤러로 구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동일부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구성을 설명한다.
낙하 보조 장치(320A~320D)는 각각 제1 선별 구멍(166), 제2 선별 구 멍(168), 제3 선별 구멍(172) 및 제4 선별 구멍(174)의 상측에 각각 상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낙하 보조 장치(320A~320D)는 동일 구성이므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제1 낙하 보조 장치(320A)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상면 규제체(182)에 L형의 브래킷(324)의 수평부(324H)가 고정되고, 수립부(垂立部)(324V)가 구성된다. 수립은 상면 규제체(182)에 대해서 수립한다는 의미이다.
수립부(324V)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326)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축(326)은 캔틸레버 상태에서 상면 규제체(182)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326)에 앵글형의 요동 브래킷(328)의 상단부가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328)의 하단부(332)는 상면 규제체(182)에 대해서 대략 수립 상태를 이루고, 개구(286)를 따라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하단부(332)는 중앙부(332C), 상류부(332U) 및 하류부(332D)에 의해 형성되고, 선별 통로(190)를 이송되는 코인(C)의 원형의 경로와 마찬가지의 곡률이 되도록, 중앙부(332C)에 대해서 상류부(332U) 및 하류부(332D)는 둔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선별 통로(190)에 있어서의 코인(C)의 이동에 대해서, 상류부(332U), 중앙 부(332C), 하류부(332D)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류부(332U), 중앙부(332C), 하류부(332D)의 각각에 가로 방향의 상류 지지축(334U), 중앙 지지축(334C), 하류 지지축(334D)이 고정되고, 상류 지지축(334U)에 상류 롤러(322U), 중앙 지지축(334C)에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지지축(334D)에 하류 롤러(322D)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롤러(322D)의 하단부는 각 선별 구멍에 상대하는 개구(286)로부터 선별 통로(190)에 돌출되어 있다.
상류 롤러(322U)와 중앙 롤러(322C), 중앙 롤러(322C)와 하류 롤러(322D)의 회전 중심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들 회전 중심의 간격은 선별 대상의 최소 코인(C)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류 지지축(334U)과 중앙 지지축(334C) 혹은 중앙 지지축(334C)과 하류 지지축(334D)의 회전축간 거리는 선별 대상 코인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코인 상면에 대해서 적어도 2개의 롤러가 동시에 상대하는 위치 관계가 생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332C)에 대해서 상류부(332U) 및 하류부(332D)는 둔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롤러(322D)는 이들에 따라서 원호 상에 배치된다.
이 원호는 선별 통로(190)를 이동하는 코인(C)의 중심이 그리는 원호에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코인(C)의 중앙을 압하하게 되므로, 가장 효과적으로 코인(C)을 압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래킷(324)의 수평부(324H)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걸음부(338)와, 요동 브래킷(328)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이동 걸음부(342) 사이에 스프링(344)이 걸려, 요동 브래킷(328)을 도 15(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수평부(324H)에 수립하는 스토퍼(346)가 고정되어 있다.
요동 브래킷(328)의 수평부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체(348)를 고정하고, 완충체(348)가 스토퍼(346)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롤러(322D)가 선별 통로(190)에 대해서 수립하도록 설정된다.
이 때,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롤러(322D)의 하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124)의 상면과의 간격은 코인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선별 통로(190)를 이동하는 각종 코인(C)은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및 하류 롤러(322D)에 의해 압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류 롤러(322U)와 중앙 롤러(322C), 중앙 롤러(322C)와 하류 롤러(322D)의 하단이 선별 통로(190)를 이동하는 코인(C)의 상면과 동시에 접촉하고, 동시에 압하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인(C)이 2개의 롤러에서 동시에 압하되므로, 평행하게 압하된다.
이것에 의해 코인(C)이 압하되는 자세가 안정적이므로, 원활하게 대응하는 선별 구멍에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날개(186)의 속도, 바꾸어 말하면, 선별 속도를 고속으로 해도 확실하게 대응하는 직경의 선별 구멍에 낙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별 대상의 최소 직경 코인인 50엔 코인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류 롤러(322U)와 중앙 롤러(322C), 중앙 롤러(322C)와 하류 롤러(322D)의 피치를 설정하고, 4금종 모두 동일 설정품을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인(C)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류 롤러(322U), 중앙 롤러(322C), 하류 롤러(322D)의 순으로 선별 통로(190)로의 돌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류 지지축(334U), 중앙 지지축(334C) 및 하류 지지축(334D)을 코인(C)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하향 경사가 되는 직선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해야 할 선별 구멍에 있어서, 코인(C)은 가장 먼저 상류 롤러(322U)에 의해 압하되어 약간 낙하하고, 그 다음에 중앙 롤러(322C)에 상대하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이면 중앙 롤러(322C)에 의해 압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류 롤러(322D)는 중앙 롤러(322C)보다 선별 통로(19O)에 돌출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인(C)의 센서는 선별 통로(190)를 이동하는 코인(C)에 의해 롤러(350)가 밀어 올려지고, 당해 롤러(350)가 부착된 요동 레버(352)의 일부가 광전 센서(354)의 광축을 차단함으로써 검지하는 기계식의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100)는 예를 들어 게임장에 있어서의 게임기마다 설치된 금고로부터 코인을 집금할 때의 선별 계수기에 사용할 수 있다.
소형이므로 이동 대차에 적재할 수 있고, 금종이 혼재한 금고라도 금종마다 선별 계수할 수 있으므로, 금고에 복수 금종이 혼재하고 있어도 그대로 코인 선별 계수 장치(100)에 투입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이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가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가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낙하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낙하 보조 장치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계수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이한 낙하 보조 장치를 장착한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이한 낙하 보조 장치를 장착한 코인 선별 계수 장치의 코인 선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이한 낙하 보조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C…코인
124…베이스 플레이트
164…회전체
166, 168, 172…선별 구멍
176, 178, 180…가압 장치
184…기준 둘레 가장자리
186…이송 날개
192…내측 안내 가장자리
194…외측 기준 가장자리
228…평행 이동 기구
266, 268, 272, 320A, 320B, 32OC, 320D…낙하 보조 장치
292, 294, 296, 298, 301…센서

Claims (6)

  1.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C)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24),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184)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186)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16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주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가장자리(192) 및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194)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166, 168, 17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176, l78, 180),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선별 구멍의 상측으로부터 선별 구멍을 향하여 이송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낙하 보조 장치(266, 268, 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는 평행 이동 기구(228)에 의해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서 평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4.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코인을 직경별로 배분하는 코인 배분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가지고, 당해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코인을 하나씩 반송하는 이송 날개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소직경 코인으로부터 대직경 코인의 순으로 대응하는 코인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하류의 대상 코인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 외측 기준 가장자리를 가지는 복수의 선별 구멍,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선별 구멍의 외측 기준 가장자리보다 먼 곳에서, 상기 기준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기 이송 날개에 의해 반송되는 코인을 가압하는 가압 장치,
    상기 선별 구멍으로의 낙하를 검지하는 센서(292, 294, 296, 298, 30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계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보조 장치는 상기 선별 구멍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별 구멍을 향하여 코인을 탄성적으로 압하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KR1020090069552A 2008-09-17 2009-07-29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 KR101028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8311 2008-09-17
JP2008238311A JP5309823B2 (ja) 2008-02-14 2008-09-17 コイン選別装置及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98A KR20100032298A (ko) 2010-03-25
KR101028445B1 true KR101028445B1 (ko) 2011-04-14

Family

ID=4219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552A KR101028445B1 (ko) 2008-09-17 2009-07-29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89U (ko) * 1975-10-06 1977-04-08
JPH01175380U (ko) * 1988-05-31 1989-12-13
KR950002956Y1 (ko) * 1991-06-26 1995-04-17 히로시 아베 코인 투출 장치
JP2002352304A (ja) * 2001-05-29 2002-12-06 Sanyo Electric Co Ltd 円板状体計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89U (ko) * 1975-10-06 1977-04-08
JPH01175380U (ko) * 1988-05-31 1989-12-13
KR950002956Y1 (ko) * 1991-06-26 1995-04-17 히로시 아베 코인 투출 장치
JP2002352304A (ja) * 2001-05-29 2002-12-06 Sanyo Electric Co Ltd 円板状体計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98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4219B1 (en) Coin receiving device in coin processing apparatus
US10255744B2 (en) Disk transferring device and disk dispensing device
EP1679667A1 (en) Coin receiving and disbursing apparatus
EP1791095B1 (en) Coin delivery device and coin delivery device of coin processing apparatus
US4437478A (en) Coin coun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P2680236B1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US8092284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EP1717762A1 (en) Coin dispensing method for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recycling machine using the coin dispensing device
KR100749684B1 (ko) 코인 분배기의 코인 걸림 검출기
KR101028445B1 (ko) 코인 선별 장치 및 코인 선별 계수 장치
EP1785952B1 (en) Coin feeding device
JP5309823B2 (ja) コイン選別装置及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EP1300811A1 (en) Coin stacker
JP2009217807A5 (ko)
JP5561479B2 (ja) コイン選別計数装置
USRE32799E (en) Coin coun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P1739633B1 (en) Coin hopper
JP2012059007A (ja) コイン選別装置およ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EP1850295A1 (en) Coin dispensing method for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recycling machine using the coin dispensing device
JP2618056B2 (ja) 硬貨処理機
US7470175B2 (en) Coin stacking apparatus
JPH03225587A (ja) 硬貨選別装置
KR20190047563A (ko) 거스름돈 배출유닛을 가진 동전계수장치
JPH10297781A (ja) 紙幣処理機
JPS6261189A (ja) 硬貨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