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658B1 - 배관용 선통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선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658B1
KR101027658B1 KR1020100108475A KR20100108475A KR101027658B1 KR 101027658 B1 KR101027658 B1 KR 101027658B1 KR 1020100108475 A KR1020100108475 A KR 1020100108475A KR 20100108475 A KR20100108475 A KR 20100108475A KR 101027658 B1 KR101027658 B1 KR 10102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hain
unit
power
pip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401A (ko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10010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6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편리하게 배관에 배선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배관용 선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용 선통장치에 있어서,
배관의 내부 직경보다 롤러 체인의 각 마디의 길이가 더 큰 롤러 체인이 감겨진 롤러 체인부;
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롤러 체인의 각 마디 길이 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롤러 체인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롤러 체인 가이드부;
상기 롤러 체인부를 전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전원부와 동력부와 변속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동력부를 가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동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절시키며;
상기 동력부는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진 상기 롤러 체인을 풀거나 감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변속기부는 상기 동력부의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상기 롤러 체인이 전진 및 후진하게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고, 상기 롤러 체인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선통 장치{Troughing Controller for Du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편리하게 배관에 배선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배관용 선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관로 및 전기관로 등의 각종 배관에 각종 케이블 등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통신관로 및 전기관로 내부에 효과적으로 선통하기 위한 선통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도1에서와 같이, 배관의 한쪽(A)에서 작업자가 강선(탄성 철선)을 배관 내부로 밀어 넣어서 반대편(B)으로 강선이 나오면, 이 강선에 각종 케이블을 묶어서 반대로 작업자가 한쪽(A)에서 이 강선을 잡아당겨서 각종 케이블이 나오도록 하여, 각종 케이블이 배관에 포설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강선이 잘 구부러지지 않으며 여러 번 사용하면 변형이 되어서 특히 곡선 배관의 경우에 강선에 곡선 배관을 따라서 전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고,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에 의존하다 보니 작업자가 많이 필요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배관이 천장 쪽 상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가서 선통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안전성이 낮고 작업 속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강선을 이용한 수동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한쪽(A)에서 추에 낚시줄을 묶어서 이 추를 발사체(건)에서 발사시켜 반대편(B)로 관통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방법은 선통 후에 각종 케이블을 묶어서 한쪽(A)에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낚시줄이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특히 곡선 배관에서는 발사된 추가 곡선부분에 부딪혀서 선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롤러 체인을 사용하여 곡선 배관에서도 편리하게 선통이 되게 함으로써, 선통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되게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용 선통장치에 있어서,
배관의 내부 직경보다 롤러 체인의 각 마디의 길이가 더 큰 롤러 체인이 감겨진 롤러 체인부;
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롤러 체인의 각 마디 길이 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롤러 체인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롤러 체인 가이드부;
상기 롤러 체인부를 전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전원부와 동력부와 변속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동력부를 가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동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절시키며;
상기 동력부는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진 상기 롤러 체인을 풀거나 감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변속기부는 상기 동력부의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상기 롤러 체인이 전진 및 후진하게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고, 상기 롤러 체인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선통장치를 이용하면, 곡선 배관에서도 편리하게 선통이 이루어지게 되고 적은 인력으로 선통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선통작업을 도시함.
도2는 본 발명의 배관용 선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배관용 선통장치를 사용하여 선통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의 롤러 체인이 곡선 배관을 관통하는 것을 도시함.
먼저, 도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선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통장치(10)는 내부에, 전원부(11), 동력부(12), 변속기부(13), 제어부(14), 롤러 체인부(15), 윤활유 첨가부(16), 롤러 체인 가이드부(17), 리모콘부(18), 수동조작부(19)로 구성된다.
전원부(11)는 동력부(12)를 가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고, 제어부(14)의 제어하에 동력부(1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절시킬수 있게 구성한다.
동력부(12)는 배관에 롤러체인(도3, 4 참고)을 삽입하는 선통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람의 힘 대신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진 롤러 체인을 풀어서 배관에 밀어 넣어서 선통작업을 하고, 선통 후 이 롤러 체인에 케이블을 결합시켜(묶어서) 다시 롤러 체인을 감는 작업으로 케이블이 배관을 관통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변속기부(13)는 동력부(12)의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롤러 체인이 적절한 속도로 전진 및 후진하게 한다.
제어부(14)는 롤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고, 전동 모드 및 수동 모드에 따라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며, 롤러 체인의 속도 조절을 제어한다. 또한,롤러 체인이 전진 및 후진시 장애물이 존재하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이 어려운 경우(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동력 전달을 정지시키고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롤러 체인부(15)에는 내부 축에 롤러 체인이 감겨져 있는 원통형 외부 보호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고, 동력부(12)의 모터의 힘이 변속기부(13)에 의해 감속되어 이 원통형 보호 케이스를 회전시키면, 내부의 롤러 체인이 풀리거나 감겨서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를 통해 유출 또는 유입되게 된다.
이때, 도3, 4에 나타난 롤러 체인의 각 마디 길이는 배관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사용해야 하고, 배관의 내부 직경에 따라 적절한 마디 길이의 롤러 체인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3, 4를 참고로 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롤러 체인은 경량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프라스틱 재질에 금속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유 첨가부(16)는 롤러 체인이 배관 내부에서 용이하게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롤러 체인에 윤활유를 첨가하게 된다.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는 높은 곳 또는 낮은 곳에 존재하는 배관에 선통작업을 하는 경우에, 롤러 체인이 높은 곳 또는 낮은 곳의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선통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며, 롤러 체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는 롤러 체인의 마디 길이에 따라서 적절한 직경의 가이드를 제작하여 착탈식으로 부착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동 조작시를 위하여 가이드부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부분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후진시 롤러 체인의 앞부분이 롤러 체인 가이드부(17)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관측하게 한다.
리모콘부(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본체에 결합되어, 롤러 체인의 전진, 후진 및 정지를 제어하는 명령을 인가하고, 전동 모드 및 수동 모드를 선택하게 하여, 제어부(14)에 이 명령 또는 선택 사항을 전달하게 된다.
수동조작부(19)는 전원이 없는 장소 선통장치(10)가 고장으로 전동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람의 힘으로 롤러 체인부(15)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롤러 체인부(15)에 직접 결합된 손잡이가 달린 핸들을 손으로 돌려서 롤러 체인부(15)를 직접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변속기부(13)는 롤러 체인부(15)에서 분리되게 한다.
이제, 도3의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롤러 체인을 이용한 선통장치로 배관 선통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배관의 내부 직경을 알아서, 도4에서와 같이 배관 내부 직경보다 롤러 체인 마디 크기가 큰 롤러 체인을 롤러 체인부(15)에 설치한다. 이때, 배관의 내부 직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마디 크기를 가진 롤러 체인들을 작업자가 소지하고 적절한 것을 롤러 체인부(15)에 감아서 사용해도 좋고, 다양한 마디 크기를 가진 롤러 체인이 내장된 롤러 체인부(15)들을 소지하고 있다가 배관 내부 직경에 따라서 적합한 롤러체인 마디 크기를 가진 롤러 체인부(15)를 선통장치(10)에 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나서, 내부 직경이 롤러 체인 마디 길이보다 적은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를 선통장치(10)과 배관(20) 사이에서 결합시켜서 도3과 같은 구성이 되게 한다.
이제, 배관의 내부 직경보다 더 큰 마디 크기를 가진 롤러 체인이 있는 선통장치(10)의 리모콘부(18)에서 작업자가 롤러 체인의 전진 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이 제어부(14)에 전달되어 롤러 체인이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를 따라서 배관(20)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 체인 마디 크기가 배관 내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롤러 체인의 각 마디가 후방으로 전도되지 않게 되어, 도4에서와 같이, 직선 배관 부분 뿐만 아니라 곡선 배관 부분에서도 배관을 따라서 용이하게 전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을 하는 롤러 체인의 앞부분이 배관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리모콘부(18)를 통해 롤러 체인의 전진을 중지시키는 명령을 제어부(14)에 내리면 롤러 체인의 전진이 중단된다.
이제, 작업자는 이 롤러 체인의 앞부분에 존재하는 고리에 케이블을 결합시킨 후에, 리모콘부(18)로 롤러 체인 후진을 명령하면, 이 명령이 제어부(14)에 전달되어 롤러 체인이 롤러 체인부에 감겨서 후진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는 롤러 체인이 전진한 거리를 모터의 회전수로 감지를 하여 이 회전수 만큼 후진 방향으로 모터가 돌도록 하면, 롤러 체인의 앞부분이 원래 있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롤러 체인의 후진이 멈추면 작업자는 롤러 체인 가이드부(17)를 선통장치(10)에서 분리한다.
그러면, 롤러 체인의 앞부분에 결합된 케이블이 보이게 되어 선통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배관용 선통장치에 있어서,
    배관의 내부 직경보다 롤러 체인의 각 마디의 길이가 더 큰 롤러 체인이 감겨진 롤러 체인부;
    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롤러 체인의 각 마디 길이 보다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롤러 체인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롤러 체인 가이드부;
    상기 롤러 체인부를 전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전원부와 동력부와 변속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동력부를 가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동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절시키며;
    상기 동력부는 모터를 이용하여 감겨진 상기 롤러 체인을 풀거나 감는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변속기부는 상기 동력부의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상기 롤러 체인이 전진 및 후진하게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고, 상기 롤러 체인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용 선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용 선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 체인이 전진 및 후진시에 장애물이 존재하여 체인의 전진 및 후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동력 전달을 정지시키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용 선통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체인이 배관 내부에서 용이하게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롤러 체인에 윤활유를 첨가하는 윤활유 첨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용 선통장치.

KR1020100108475A 2010-11-03 2010-11-03 배관용 선통 장치 KR10102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75A KR101027658B1 (ko) 2010-11-03 2010-11-03 배관용 선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75A KR101027658B1 (ko) 2010-11-03 2010-11-03 배관용 선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401A KR20100131401A (ko) 2010-12-15
KR101027658B1 true KR101027658B1 (ko) 2011-04-12

Family

ID=4350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475A KR101027658B1 (ko) 2010-11-03 2010-11-03 배관용 선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06Y1 (ko) * 2013-10-22 2014-1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심력과 상대회전운동을 이용한 플렉시블 전선관내 전선 삽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076U (ko) * 1986-08-29 1988-03-14
JP2001136623A (ja)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布設装置
KR100838256B1 (ko)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076U (ko) * 1986-08-29 1988-03-14
JP2001136623A (ja)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布設装置
KR100838256B1 (ko)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401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14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CN205076537U (zh) 一种无人机牵引的电缆敷设放线装置
IN2012DN01283A (ko)
KR102105898B1 (ko) 케이블 입선장치
US20220290795A1 (en) Pipe lining preparation assembly
CN107492841B (zh) 穿线设备及其穿线方法
CN216997151U (zh) 一种复合绕线盘
KR101027658B1 (ko) 배관용 선통 장치
US20110057157A1 (en) Cable pulling machine
WO20121605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shing and pulling of cables
CN204615280U (zh) 墙体穿线机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CN210074632U (zh) 多功能穿线机
US11181222B2 (en) Internal pipe lining system having self-propelled, self-powered propulsion devices
KR200475668Y1 (ko) 밋션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릴을 설치한 지중선 풀러
KR102234797B1 (ko) 자주식 유압 릴 풀러
CN214868560U (zh) 用于建筑电气施工保护管的穿线机器人
CN210795283U (zh) 一种电缆敷设用放线装置
EP1953883A1 (en) Tape machine
JP3137968U (ja) ケーブル布設装置
WO2020197919A1 (en) Internal pipe lining system having self-propelled, self-powered propulsion devices
KR102512266B1 (ko) 무선트레버스를 적용한 농업용 호스릴
CN217947255U (zh) 一种线缆盘自动收卷机构
EP17384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ulling cables and similar through flexible tubes
CN215970211U (zh) 一种dn1800管径uv软管管道固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