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421B1 -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421B1
KR101027421B1 KR1020100127060A KR20100127060A KR101027421B1 KR 101027421 B1 KR101027421 B1 KR 101027421B1 KR 1020100127060 A KR1020100127060 A KR 1020100127060A KR 20100127060 A KR20100127060 A KR 20100127060A KR 101027421 B1 KR101027421 B1 KR 10102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ata sharing
computing device
sharing reque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남
최시원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1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릴레이 서버가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80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는 단계;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데이터 공유 요청이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컴퓨팅 장치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모바일 기기로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인터넷 이용을 위한 HTTP와 같은 웹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포트인 80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컴퓨터의 방화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컴퓨터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for sharing data of computing device using 80port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인터넷 이용을 위한 HTTP와 같은 웹(web)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포트인 80포트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일반 휴대폰뿐 아니라, 애플사에서 제공되는 아이폰(i-phone), 삼성전자에서 제공되는 갤럭시S 등의 스마트폰(smart-phone)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이다. 스마트폰은 일반 이동통신망뿐 아니라,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을 통신 장치로써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작은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애플사의 아이패드(i-pad),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 등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존에는 업무 또는 비업무 용으로 일반 개인용 컴퓨터인 데스크탑(desk 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만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기기를 별도로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쉽고 편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 기존에는 USB 메모리 등의 이동식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해당 프리젠테이션 파일을 모바일 기기로 직접 옮겨야 했다.
비록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종 기기간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외부의 장치가 컴퓨터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알아야 한다. 만일 컴퓨터가 고정 아이피가 아닌 유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해당 컴퓨터로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보안을 위해 방화벽이 설정되어 있어, 접근하려는 외부 장치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그 처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모바일 기기로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이용을 위한 HTTP와 같은 웹(web)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통신 포트(port)인 80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컴퓨터의 방화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컴퓨터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릴레이 서버가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80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활성화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한 곳이 미리 설정된 지역인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출력 정보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장치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80포트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릴레이 서버로 접속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주기적으로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릴레이 서버에 저장된 경우,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서버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중계하도록, 상기 릴레이 서버로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80포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80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활성화 상태인지 또는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다음 번 데이터 공유 요청 문의까지의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정보를 취득한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번 데이터 공유 요청 문의까지의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가 공유하도록 하는 릴레이하는 릴레이 서버에 있어서,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80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데이터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모바일 기기로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인터넷 이용을 위한 HTTP와 같은 웹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포트인 80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컴퓨터의 방화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컴퓨터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가 직접 릴레이 서버로 문의하는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모바일 장치의 현재 위치, 활성화 상태를 이용함으로써 컴퓨팅 장치의 처리 부하 및 네트워크 자원 사용을 최소화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업성 및 시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가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릴레이 서버를 통해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의 컴퓨팅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릴레이 서버(30) 및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50-1, 50-2, ..., 50-m, 이하 50으로 통칭)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10)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인 데스크탑(desk 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통신 기능이 가능한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10)는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텍스트 문서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50)는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50)는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아이패드, 갤럭시탭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팅 장치(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휴대한 모바일 장치(50)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50)로 하나의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의 모바일 장치(50)로도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시스템에서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 공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50)는 릴레이 서버(30)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210). 일례로, 모바일 장치(50)가 스마트폰인 경우, 릴레이 서버(30) 또는 릴레이 서버(30)를 운영하는 운영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이라 칭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릴레이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디, 패스워드(password) 등을 입력하여 가입할 수 있다. 물론, 아이디는 릴레이 서버(30)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유니크(unique)한 정보로써, 예를 들어 숫자, 기호 및/또는 문자가 조합된 정보이거나 이메일(email) 주소 등일 수 있다.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 수신된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가입정보를 인증하여 정당한 가입자인지 등을 판단함으로써 가입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가입정보를 저장한다(S215). 여기서, 가입정보로서 상기한 아이디/패스워드 외에도 모바일 장치(50)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피 주소(IP Address) 또는 전화번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아이피 주소 또는 전화번호는 연락처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 또는 상기한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agent program)을 설치한다(S220). 즉, 상기한 모바일 장치(50)의 사용자는 본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자신의 컴퓨팅 장치(10)에 에이전트 프로그램(agent program)을 설치함으로써, 차후 모바일 장치(50)를 이용하여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10)에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릴레이 서버(30)에 가입할 당시에 입력하였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릴레이 서버(30)는 컴퓨팅 장치(10)와 연계되는 해당 모바일 장치(50)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컴퓨팅 장치(10)가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컴퓨팅 장치(10)는 80포트를 이용하여 릴레이 서버(30)로 접속하며,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주기로 해당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데이터 공유에 대한 요청이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문의한다(S240).
여기서, 우선 포트(port)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네트워크를 정보가 지나가는 길이라고 비유할 수 있는데 포트는 그 길과 홈페이지를 품고 있는 집의 역할을 하는 서버와의 사이에 있는 문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집에 여러 개의 문이 있을 수 있듯이 하나의 서버는 여러 개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들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HTTP나 FTP, TELNET, SSH, SMTP, POP3 등등은 모두 다 TCP/IP의 TCP 프로토콜 위에다가 만든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이다.
서버가 되는 머신에는 이런 TCP 커넥션을 받을 수 있는 포트라는걸 열어놓게 되는데, 각 프로토콜에 따른 기본 포트는 HTTP=80, FTP=21, TELNET=23, SSH=22, SMTP=25, POP3=110 등이다. 포트번호는 한 아이피 주소(IP address)에 1에서 65535까지 있으며 1-1023은 잘 알려진 포트들(Well Known Ports)로 위와 같이 잘 알려진 프로토콜들이 사용하는 포트이며, 1024부터 49151까지의 포트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 등록된 포트들이며, 49152부터 65535까지는 Dynamic(동적) 및/또는 Private(사적) 포트들이다.
즉, 80번 포트는 다른 포트와 기능적으로 다른 건 아니고 웹을 쓰는 서버들과 브라우저(browser)간에 강제성이 없는 약속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80포트를 이용하는 경우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컴퓨팅 장치(10)의 운영체제에 의한 방화벽 등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S240에서 컴퓨팅 장치(10)가 직접 HTTP 프로토콜에 따른 80포트를 이용하여 릴레이 서버(30)로 접속하고 자신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문의함으로써, 서버 측에서 직접 컴퓨터로 접속하는 종래와 달리 데이터를 공유하고자 하는 장치(즉 컴퓨팅 장치(10))의 아이피 주소 등을 서버가 알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가 고정 아이피를 사용하는지 유동 아이피를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컴퓨팅 장치(10)로부터의 공유 요청 존재에 대한 문의를 수신한 릴레이 서버(30)는 해당 컴퓨팅 장치(10)와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있었는지를 검색하고, 없었다면 컴퓨팅 장치(10)로 이에 대해 알릴 수 있다.
릴레이 서버(30)는 상기한 모바일 장치(50)로부터 컴퓨팅 장치(10)에 대한 데이터 공유를 요청 받으면(S230), 해당 요청 정보를 저장한다(S235). 여기서, 요청 정보로는 해당 모바일 장치(5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팅 장치(1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어떤 데이터를 공유하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자면, 데이터 정보가 최근 작업 문서 보기인 경우, 컴퓨팅 장치(10)에서 최근 실행된 10건의 문서 편집 프로그램에 의한 파일 목록이 확인될 수 있다.
이후, S240에서와 같이 컴퓨팅 장치(10)로부터 공유 요청 존재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신되면, 릴레이 서버(30)는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인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컴퓨팅 장치(10)에 대응되는 모바일 장치(50)를 식별한다(S245). 이때 릴레이 서버(30)는 패스워드를 함께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릴레이 서버(30)는 인식된 모바일 장치(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함으로써(S250), S235에서 저장된 요청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요청을 컴퓨팅 장치(10)로 전송한다(S255). 마찬가지로 릴레이 서버(30)도 80포트를 통해 접속한 컴퓨팅 장치(10)로 동일한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한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컴퓨팅 장치(10)는 수신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공유 데이터를 추출하고(S260), 마찬가지로 80포트를 이용하여 릴레이 서버(30)로 전송한다(S265).
컴퓨팅 장치(10)로부터 공유 데이터를 수신한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로 상기한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relay)한다(S270). 여기서, 릴레이 서버(30)는 단순히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50)로 릴레이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에 따른 출력 정보를 모바일 장치(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를 들면, 공유 데이터가 문서 파일인 경우, 릴레이 서버(30)는 해당 문서파일을 열수 있는 뷰어(viewe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된 뷰어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 화면 정보를 모바일 장치(50)로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영상의 경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의 실행 결과 화면 및 음원 정보가 모바일 장치(50)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50)는 공유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그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마찬가지로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마다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공유 요청 존재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신함에 따라,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정보에 상응하도록 컴퓨팅 장치(10)에 공유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장치(50)로의 릴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30)가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을 참조하면, 릴레이 서버(30)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80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한 컴퓨팅 장치(10)로부터 공유 요청 존재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신하면(S310), 해당 컴퓨팅 장치(10)에 따른 모바일 장치(50)를 인식한다(S315).
릴레이 서버(30)는 인식된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0), 존재하는 경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유 요청 정보를 컴퓨팅 장치(10)로 전송하고(S325) 공유 데이터에 대한 중계를 수행한다(S330).
S32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모바일 장치(50)로부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릴레이 서버(30)는 해당 모바일 장치(50)의 연락처 정보(아이피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50)가 현재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문의한다(S335). 여기서 활성화 상태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말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상태란 현재 상기한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며, 비활성화 상태란 해당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화 상태는 현재 모바일 장치(50)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어지지 않아 휴면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활성화 상태는 휴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져 특정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 상기한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0). 만일 모바일 장치(50)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컴퓨팅 장치(10)로 공유 요청이 없음을 알린다(S345).
이와 달리, 모바일 장치(50)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되면, 컴퓨팅 장치(10)로 모바일 장치(50)의 비활성화 상태를 알린다(S350). 모바일 장치(50)가 비활성화 상태임을 인식한 컴퓨팅 장치(10)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은 S310에서와 같은 공유 요청 존재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행하지 않는다. 쉽게 말해, 모바일 장치(50)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또는 이용되지 않을 확률이 높으므로, 공유 요청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문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모바일 장치(50)가 다시 활성화 상태가 되고 이를 인식한 컴퓨팅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주기로 공유 요청 존재 여부를 문의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50)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컴퓨팅 장치(10)가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통신 부하 및 컴퓨팅 장치(10)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를 이용한 방법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가 위치한 지역 가까이 모바일 장치(50)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10) 근처에 위치한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도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 공유 요청 존재를 문의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을 참조하면, 릴레이 서버(30)는 컴퓨팅 장치(10)로부터 모바일 장치(50)에 의한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문의 받으면, 해당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S410), 만일 공유 요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도 3에 따른 S325 및 S330의 절차를 수행한다(S440 및 S450).
이와 달리,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없었다면, 릴레이 서버(30)는 해당 모바일 장치(50)로 위치 정보를 문의한다(S420).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의 아이피 주소 또는 전화번호와 같은 연락처 정보를 가입 정보로서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50)는 구비된 GPS 수신기(아이폰 등의 스마트폰에는 GPS 수신기가 구비됨)를 이용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로부터 모바일 장치(5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컴퓨팅 장치(10)로 전송한다(S430).
컴퓨팅 장치(10)는 수신된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지역(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가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50m 거리 범위의 위치)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미리 설정된 지역에 모바일 장치(50)가 위치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컴퓨팅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동안은 릴레이 서버(30)로 공유 요청 존재를 문의하지 않는다. 정리하자면, 컴퓨팅 장치(10)와 모바일 서버가 유사한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통신 부하 및 컴퓨팅 장치(10)의 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해 공유 요청 존재 문의 횟수를 줄이는 것이다.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컴퓨팅 장치(10)로 제공되는 실시예를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릴레이 서버(30)는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 및 위치 정보 모두를 취득하여 컴퓨팅 장치(10)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컴퓨팅 장치(10)가 상기한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가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510), 컴퓨팅 장치(10)는 80포트를 이용하여 릴레이 서버(30)로 접속한다(S515).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릴레이 서버(30)로 전송하여 회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신과 연계된 모바일 장치(50)가 무엇인지 릴레이 서버(30)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 해당 모바일 장치(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있었는지를 문의한다(S520).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의해 공유 요청이 존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모바일 장치(50)로 전송하고(S530), 다음 공유 요청 존재를 문의하기까지의 시간 T1을 카운팅한다(S535).
이와 달리, 공유 요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장치(5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50)가 현재 미리 설정된 A존(zone)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540). 물론, A존은 컴퓨팅 장치(10)가 위치한 지역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10)에 접근할 확률이 없는 지역(예를 들어, 집)일 수도 있다. 따라서, A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모바일 장치(50)가 A존에 위치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10)는 시간 T1과는 좀 더 긴 시간인 T2를 카운팅한(S545) 이후 S520으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모바일 장치(50)가 A존이 아닌 다른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550). 물론, 컴퓨팅 장치(10)는 릴레이 서버(30)로부터 상기한 모바일 장치(50)의 위치 정보 및 활성화 정보를 한번에 취득할 수도 있으나, 위치 정보의 취득 이후 모바일 장치(50)가 A존이 아닌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만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정보를 요청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만일, 모바일 장치(50)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컴퓨팅 장치(10)는 S535로 진행한다. 물론 이도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S535로 진행하지 않고 다른 시간인 T4를 카운팅하고 S520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S550에서의 판단결과 모바일 장치(50)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컴퓨팅 장치(10)는 T1, T2와는 다른 시간인 T3를 카운팅한(S555) 이후 S520으로 진행한다. 물론, T3도 T1보다는 더 긴 시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는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 및 위치한 지역에 따라 공유 요청에 대한 빈도가 다를 수 있음을 이용하여, 공유 요청 존재를 문의하는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50)에서의 컴퓨팅 장치(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모바일 장치(5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컴퓨터 공유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공유하고자 하는 컴퓨팅 장치(10)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일례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의 드라이버(driver)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컴퓨팅 장치(10)의 드라이버를 선택하여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실행시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열어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50)는 컴퓨팅 장치(10)에서 최근에 실행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는 문서 파일로만 한정되었으나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최근 실행 동영상, 음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최근 문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모바일 장치(50)는 해당 파일 열기에 대한 요청을 릴레이 서버(30)로 전달하게 되며, 해당 요청 정보는 릴레이 서버(30)에 저장되어 공유 요청을 문의하는 컴퓨팅 장치(10)로 전송된다. 따라서, 해당 공유 요청을 수신한 컴퓨팅 장치(10)는 요청된 파일을 릴레이 서버(30)를 통해 모바일 장치(5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과정에서 요청된 파일을 열어볼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은 릴레이 서버(30)에서 실행되고, 그 출력 정보가 모바일 장치(5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 릴레이 서버(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부(810), 통신부(820), 데이터 릴레이부(830), 응용프로그램 처리부(840), 모바일장치 상태취득부(850) 및 메인 제어부(860)를 포함하되, 데이터베이스부(810)는 회원정보 저장부(812), 공유요청정보 저장부(814), 공유데이터 임시저장부(816) 및 응용프로그램 저장부(8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서버(30)의 상기한 구성부 중 일부(예를 들어 데이터 릴레이부(830), 응용프로그램 처리부(840) 또는 모바일장치 상태취득부(850) 등)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메인 제어부(86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부(810)는 릴레이 서버(30)가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810)의 회원정보 저장부(812)에는 가입된 회원들의 아이디/패스워드, 모바일 장치(50)의 연락처 정보 등이 저장된다. 공유요청정보 저장부(814)에는 모바일 장치(50)들로부터 수신된 공유 요청에 따른 요청 정보가 저장되며, 차후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10)로 제공되면 삭제되거나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다른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공유데이터 임시저장부(816)는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된 공유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5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저장되기 위한 것이며, 응용프로그램 저장부(81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통신부(820)는 컴퓨팅 장치(10)와 인터넷망을 통한 TCP/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물론 모바일 장치(50)와 인터넷망 또는 3G망(3세대망)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통신수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통신부(82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릴레이부(830)는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되어 공유데이터 임시저장부(816)에 저장되는 공유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50)로 릴레이하도록 기능한다. 이와 달리, 공유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50)로 바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어 출력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며,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 처리부(840)에 의해 응용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 중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 출력 결과가 모바일 장치(50)로 제공되는 것이다.
모바일장치 상태취득부(850)는 모바일 장치(50)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기능한다. 그 취득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제어부(860)는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50)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로 상기한 각 구성부들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10-2, ..., 10-n : 컴퓨팅 장치
30 : 릴레이 서버
50-1, 50-2, ..., 50-m : 모바일 장치
810 : 데이터베이스부
812 : 회원정보 저장부
814 : 공유요청정보 저장부
816 : 공유데이터 임시저장부
818 : 응용프로그램 저장부
820 : 통신부
830 : 데이터 릴레이부
840 : 응용프로그램 처리부
850 : 모바일장치 상태취득부
860 : 메인 제어부

Claims (9)

  1. 릴레이 서버가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80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의 비활성화 상태를 알리고,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엔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relay)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2. 삭제
  3. 릴레이 서버가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80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문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한 곳이 미리 설정된 지역인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엔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relay)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출력 정보가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5. 컴퓨터장치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80포트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릴레이 서버로 접속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주기적으로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릴레이 서버에 저장된 경우,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서버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중계하도록, 상기 릴레이 서버로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80포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만일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릴레이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활성화 상태인지 또는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다음번 데이터 공유 요청 문의까지의 시간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0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6. 삭제
  7. 컴퓨터장치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80포트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릴레이 서버로 접속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주기적으로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릴레이 서버에 저장된 경우,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서버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중계하도록, 상기 릴레이 서버로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80포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만일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릴레이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위치정보를 취득한 상기 릴레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리 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 번 데이터 공유 요청 문의까지의 시간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0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8.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9.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가 공유하도록 하는 릴레이 서버에 있어서,
    접속한 컴퓨팅 장치로부터 80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에 따른 공유 데이터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데이터 릴레이부; 및
    상기 데이터 공유 요청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활성화 여부 또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모바일장치 상태취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화 여부 또는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제공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번 데이터 공유 요청 문의까지의 시간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서버.
KR1020100127060A 2010-12-13 2010-12-13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02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060A KR101027421B1 (ko) 2010-12-13 2010-12-13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060A KR101027421B1 (ko) 2010-12-13 2010-12-13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421B1 true KR101027421B1 (ko) 2011-04-11

Family

ID=4404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060A KR101027421B1 (ko) 2010-12-13 2010-12-13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653A (en) * 1997-03-17 2000-10-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edia commands and media data using the HTTP protocol
JP2006343855A (ja) 2005-06-07 2006-12-21 Ntt Docomo Inc コンテンツ中継装置及びコンテンツ中継方法
KR100858650B1 (ko)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90003515A (ko) * 2007-06-14 2009-01-12 (주)아이엔소프트 퍼스널 컴퓨터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공유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653A (en) * 1997-03-17 2000-10-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edia commands and media data using the HTTP protocol
JP2006343855A (ja) 2005-06-07 2006-12-21 Ntt Docomo Inc コンテンツ中継装置及びコンテンツ中継方法
KR100858650B1 (ko)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90003515A (ko) * 2007-06-14 2009-01-12 (주)아이엔소프트 퍼스널 컴퓨터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공유 시스템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946B2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EP3484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01120B2 (en) Client-initiated tethering for electronic devices
US9602502B2 (en) User logi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P2745496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36767B2 (en) Identification-assisted wireless network connections
KR102296162B1 (ko)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636496A (zh) 用于无线设备的隐私增强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5100190A (zh) 对账户与设备的控制关系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30044922A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EP2807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vity
CN111010663B (zh) 一种信息分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JP2016021120A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ワークフロー実行装置、ワークフロー実行方法およびワークフロー実行プログラム
CN104539571B (zh) 信息交互方法、身份鉴权方法、服务器及终端
KR20130068361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094519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P lis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20140280981A1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CN104158854B (zh) 资源共享方法及装置
CN105763601A (zh) 文件分享方法及装置
CN110945882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和终端设备
KR101027421B1 (ko) 80포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5743891A (zh) 上网方法、装置、服务器及路由器
EP4261665A1 (en) Application program login method and system
KR20170050235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액세스 포인트, 그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