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100B1 -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100B1
KR101027100B1 KR1020100107612A KR20100107612A KR101027100B1 KR 101027100 B1 KR101027100 B1 KR 101027100B1 KR 1020100107612 A KR1020100107612 A KR 1020100107612A KR 20100107612 A KR20100107612 A KR 20100107612A KR 101027100 B1 KR101027100 B1 KR 10102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ing unit
housing
coupling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수
배태완
장중순
배재호
Original Assignee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102010010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링크구조를 도입하여 기존의 가로등이 등주와 가로등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조사각도 내지 조사범위에 한계가 있는 점을 보완하고자 한 것으로 설치될 도로에 맞게 링크를 조절함으로써 도로에 적합한 배광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명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면에 배열되는 광원부와, 상기 하우징 타면에 배열되는 방열부와, 그리고 이웃하는 조명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둘 이상의 조명유닛이 연결되어 조사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ILLUMINATION UNIT AND THE STREET LIGH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유닛과 이를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명유닛에 링크구조를 도입하여 기존의 가로등이 등주와 가로등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조사각도 내지 조사범위에 한계가 있는 점을 보완하고자 한 것으로 설치될 도로에 맞게 링크를 조절함으로써 도로에 적합한 배광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공원등, 방범등 등)은 도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도로를 따라서 설치한 조명시설로서 수은등, 형광등 및 나트륨등이 이에 이용되었고 최근에는 소비전력이 낮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는 엘이디(LED)를 광원으로 채용한 가로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로등의 형식으로는 상당한 높이로 구비되는 등주의 끝부분을 구부려서 램프를 다는 하이웨이형과, 등주의 끝부분에 가로로 암을 뻗게한 후 거기에 램프를 다는 브라켓형과, 등주의 꼭대기에 램프를 다는 주두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등주에 결합되는 램프 즉 조명은 하나로 한정된 구성이고,
이로 인해 도로 등으로의 조사범위에 한계점이 생기게 되자 하나의 조명 내에서 광원이 배열되는 프레임의 설정 각도를 각기 달리하여 조사범위를 다원화시키고자 하고 있으며,
또한 조사각에 한계점이 생기게 되자 이는 등주에 부착된 암의 각도를 조정하여 필요한 조사각도에 변화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광원으로 엘이디가 주로 이용되는데, 엘이디의 특징인 직진성 때문에 빛이 넓게 고루퍼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가로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72757호(2010.07.22)『엘이디 가로등』,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12919호(2010.02.09)『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용 가로등기구』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0972757호는 엘이디 광원의 조사범위를 다양화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하나의 램프 구성 내에서 부분을 나누어 엘이디 광원의 배열 각도를 조절한 것인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 하나의 램프 내부에서 각도를 조절시켜야 하기에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나아가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는 한계가 있으며,
역시 제작 단계에서 형성된 각도외에는 각도 변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2010-0012919호는 등주의 암에 램프를 설치함에 있어 원하는 각도를 설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가로등기구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역시 조사범위 변환에 한계가 있고 후술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한편 엘이디가 광원으로 채용된 가로등의 경우 조사범위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엘이디의 발광으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부의 구조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열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즉, 엘이디조명기구 분야에서는 개발 아이템이 크게 3가지 부분으로 집중되는데, 그 첫째는 광원 즉, LED가 실장되는 PCB에 관한 연구이고, 둘째는 LED의 발광에 수반되는 발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구조에 관한 연구이고, 셋째는 LED의 발광을 위한 전원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방열구조와 관련하여 기존 방열핀을 형성하는 방열방법으로는 압출구조, 다이케스팅구조, 그리고 판구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압출구조 및 다이케스팅 구조는 방열핀과 방열핀을 지지하는 고정판을 일체 형성하는 방식이어서 제작 한계상 판구조보다 더 적은 갯수의 방열핀이 형성되게 되어, 판구조가 효율면에서는 최선이다.
즉, 판구조는 방열핀을 판상으로 별개로 형성하고, 이를 삽입·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판을 구비하여 다수의 방열핀을 고정판에 삽입·고정시킴으로써 방열부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압출구조나 다이케스팅 구조에 비해 높은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판 구조의 경우 고정판에 방열핀을 강제 압입을 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방열핀이 삽입되는 고정판의 고정공에는 삽입되는 방열핀을 양 측에서 잡아 줄 수 있는 돌기들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방열핀의 살 두께만이 아니라 하나의 방열핀이 삽입되는 고정판의 고정공 크기 역시 커지게 되어
종국적으로는 하나의 고정판에 장착되는 방열핀의 갯수는 적어지고, 그만큼 방열 효과 역시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로등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로등을 이루는 조명에 링크구조를 도입하여 등주에 하나의 조명만이 결합되고 결합된 하나의 조명 내에서 조사각도 내지 조사범위를 다원화시키려는 기존 가로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링크구조와 관련하여 고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이와 대향된 위치에 걸림축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도입하여 조명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 동일한 구조를 가진 조명끼리의 연결을 도모하여 종국적으로는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명 유닛만을 생산하도록 하여 제작 단가 내지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결되는 조명유닛끼리의 연결각도를 변환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가로등이 설치될 도로에 적합한 배광 구현이 가능한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면에 배열되는 광원부와, 상기 하우징 타면에 배열되는 방열부와, 그리고 이웃하는 조명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둘 이상의 조명유닛이 연결되어 조사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크부는 하우징 일단에 형성된 것으로 고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하우징 타단에 형성된 것으로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고리부가 걸쳐지는 걸림축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와, 그리고 제1연결부와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부는 양 측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 사이에 형성된 걸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걸침부가 걸쳐지기 위한 것으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부와, 상기 돔부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가 결합되는 걸림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돔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걸침부 내주면에는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대응 톱니가 형성되어 조명유닛끼리의 연결시 연결 각도 구현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로등은
지주와, 상기 지주에서 연결형성되는 암과, 상기 암이 체결되는 것으로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유닛은 앞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을 가진 조명유닛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조명유닛의 제2연결부와 동일한 구조의 제3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존 가로등 특히, LED를 광원으로 한 조명이 사용된 가로등의 한계를 극복하여 설치될 도로의 크기에 맞게 다수의 조명유닛이 구비된 가로등을 설치할 수 있고,
조명유닛끼리의 연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종국적으로는 도로에 적합한 배광구현이 가능한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조명유닛들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기에 제작공정의 단순화 및 제작 단가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조명유닛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기에 가로등이 아닌 터널등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유닛이 설치된 가로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조명유닛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조명유닛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조명유닛의 링크부가 적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조명유닛의 방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조명유닛의 방열부의 결합 및 고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는 고정판들의 결합전 상태를, 그리고 도 7b는 고정판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유닛에 대한 다른 이용 사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등(S)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주(1)와, 상기 지주의 일단에서 연결 형성되는 암(2)과, 상기 암에 결합되는 조명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고 있는 조명유닛(L)과 상기 조명유닛을 암에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부(3)가 도입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유닛(L)은 동일한 구조의 조명유닛 다수 개(L1, L2)가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러한 의미에서 '유닛'이란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명유닛의 설명을 위한 방향성을 정함에 있어, 도 1을 참조하여, 도로 지면으로 향하는 부분을 하부 또는 하면으로, 그 반대방향을 상부 또는 상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유닛(L)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열되는 광원부(200)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열되는 방열부(300)와, 이웃하는 조명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링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부(200)는 기판(210)과 상기 기판에 실장된 다수의 엘이디(220)와, 그리고 이를 덮고 엘이디로부터의 발산되는 빛을 최대한 확산시켜주기 위한 커버(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부 구성에 대한 언급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에는 광원부(200)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방열부(300)가 장착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에서 대향하는 두 측면에서 연결형성되는 측면판(120)과, 그리고 베이스판에서 측면판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남은 두 측면에 각각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링크부를 이루는 구성인 것으로 후술하며,
도면에는 사각형상에 가깝게 하우징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20)에는 공기순환이나 빗물 관통을 위한 통공(1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120)과 제1 및 제2 연결부(410, 420), 그리고 베이스판(110)은 모두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구조인 것으로,
외부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가로등의 특성상 보다 효율적인 방수 기능을 도모하였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링크부(400)를 설명한다.
상기 링크부(400)는 측면판이 형성된 하우징의 남은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와, 그리고 제1 연결부와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제2 연결부를 결합시키는(또는 제2 연결부와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제1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410)는 양 측으로 형성되는 고리부(411)와 상기 고리부 사이에 형성된 걸침부(413)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420)는 상기 걸침부(413)가 걸쳐지기 위한 것으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부(421)와, 상기 돔부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고리부(411)가 걸쳐서 결합되는 걸림축부(42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리부(411)가 이웃하는 다른 조명유닛의 걸림축부(423)에 걸쳐지고 이를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조명유닛끼리의 링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고정수단은,
고리부(411)가 이웃하는 다른 조명유닛의 걸림축부(423)에 걸쳐진 상태에서 걸림축부를 덮는 형태의 캡(430)과, 걸림축부와 캡 각각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볼트공(423a, 431a)과, 상기 제1 및 제2 볼트공을 통해 캡을 걸림축부에 고정시키는 볼트(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캡(430)의 경우, 이는 내부에 걸림축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30b)가 형성된 원통체 형상으로 원통체의 하단에는 고정용 돌기(430c)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용 돌기(430c)는 고리부(411)에 형성된 고정공(411a)에 삽입되는 것으로, 볼트체결만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에서 예견될 수 있는 결합의 불안함 등의 문제점을 보완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명 유닛끼리의 연결은 방열부(300)를 상부로 가게 조명유닛을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 연결부의 걸림축부(423)를 이와 인접하는 다른 조명유닛에 형성된 제1 연결부의 고리부(411)에 안치시킨 다음,
걸림축부에 캡(430)을 씌우되 캡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430c)가 고리부에 형성된 고정용공(411a)에 삽입되도록 캡을 씌우고,
이후 볼트(B)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볼트공(423a, 431a)을 통해 체결하면 된다.
다음으로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의 양 측에 형성된 고리부(411) 사이 공간으로 베이스판(110)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걸침부(4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침부 내주면에는 대응톱니(415)가 형성되어
제2 연결부의 돔부(421)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425) 일부와 맞물리게 된다.
즉, 제2 연결부(420)는 베이스판(110)에서 연결형성되되 돔 형상을 이루는 돔부(421)와, 상기 돔부의 양 측으로 형성된 걸림축부(42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돔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톱니(425)가 형성되고, 형성된 다수의 톱니 중 일부가 걸침부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 톱니(415)와 맞물림으로써,
고정수단만으로 약해질 수 있는 조명유닛끼리의 결합을 보다 강화시키게 된다.
특히 걸침부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 톱니(415)는 돔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 톱니(425) 중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어느 톱니를 선택하여 맞물림되느냐에 따라 연결되는 조명유닛끼리의 형성 각도가 정해지는 것으로,
결국 본 발명은 링크부를 통해 여러 조명유닛을 결합하여 도로 상황에 맞게 조사범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부는 단순히 조명유닛을 연결하는 기능 외에도 연결되는 조명유닛간의 각도 역시 다양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열부(300)를 살펴본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열부는
얇은 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방열핀(310)과, 상기 방열핀을 하우징 즉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핀이 고정판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소위 조립식을 채택하였는데,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만이 방열핀 및 고정판의 구조에 의해 기존 방열부에 비해 많은 수량의 방열핀을 구비할 수 있고,
조립 방식 역시 용이하며, 또한 고정판에 대해 방열핀이 면접촉되는 부위를 최대화시켜 방열 효율을 높이고자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열핀(310)은 면체(311)와 면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꺾임부(313)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측면이 "L"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은 제1 고정판(320)과 제2 고정판(3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 고정판만으로도 하우징에 대한 방열핀의 고정이 가능하지만, 제2 고정판을 더 구비함으로 인해 보다 안정적인 결합 구조와 방열 구조를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판(320)과 제2 고정판(330)에는 방열핀의 갯수에 대응되는 갯수로 방열핀이 관통되는 제1 관통공(321)과 제2 관통공(331)이 형성되고,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의 외곽으로는 이후 볼트체결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공(323, 333)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판에 대한 방열핀의 결합은, 면체(311)가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321, 33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꺾임부(313)는 제1 고정판(320)의 저면에 접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체결공(323, 333)에 볼트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제2 관통공(331)이 제2 고정판(330)에 형성되는 형성위치는 제1 관통공(321)이 제1 고정판(320)에 형성된 형성위치와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시킨다 함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측면 외곽라인을 맞추어 상하 배열시켰을 때(즉, 제1 및 제2 체결공으로 볼트체결시켰을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도로 제1 관통공(321)과 제2 관통공(331)이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도 2의 고정판 확대 도면 참조).
참고로, 도 7b에서 원으로 표시된 "B" 부분은 도 7b 상태에서의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의 배열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체결공(323, 333)에 볼트(B)를 삽입하여 제1 고정판(320)과 제2 고정판(330)을 결합시킬 때(이 경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의 측면 외곽 라인이 맞추어 짐),
제1 및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방열핀의 면체(311) 일면은 제1 관통공의 내면(321a)과 면접촉이 되고 면체(311)의 타면은 제1 관통공과 대향되는 방향에서의 제2 관통공 내면(331a)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및 제2 관통공의 어긋난 배열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방열핀을 고정판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확실한 면접촉을 유도하게 되어 열방출 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을 기준으로 방열핀을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우선 제1 고정판(320)과 제2 고정판(330)을 상하 배열시키는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321)과 제2 관통공(331)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바로 관통되는 형태로 상하 배열시킨다(이 경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의 외곽 라인이 맞지 않고,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 역시 어긋나게 배열된다).
이는 이후 방열핀 면체(311)의 삽입시 삽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주기 위함인데. 이로 인해 방열핀 삽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참고로 도 7a의 확대원"B" 역시 체결공들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열핀의 면체(311)를 제1 관통공(321)과 제2 관통공(331)으로 관통시키는데, 방열핀이 관통공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이 아니라 방열핀의 꺾임부(313)로 인해 방열핀은 제1 고정판(320)에 걸쳐지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320)에 비해 일측으로 이동해 있는 제2 고정판(330)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의 외곽 라인을 맞추면서 제1 체결공(323)과 제2 체결공(333)으로 볼트를 조여 방열핀(310)을 고정판(320, 330)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체의 일면은 제1 관통공 내면(321a)과, 그리고 면체의 타면은 제2 관통공의 내면(331a)과 면접촉되면서 방열핀이 고정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방열시킬 수 있는 면적 역시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링크부와 방열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조명유닛은 가로등에 장착되는데, 결합부(3)를 통해 조명유닛(L)이 가로등의 암(2)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결합부(3)의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우징(31)과 결합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2)로 이루어지고,
조명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부 일단에는 조명유닛의 제2 연결부(420)와 동일한 구조의 제3 연결부(33)가 형성된다.
즉, 제3 연결부(33)는 조명유닛의 제1 연결부(410)가 연결되어 결합부와 조명유닛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각 세부 구조는 조명유닛의 제2 연결부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조명유닛의 제1 연결부와 결합부의 제3 연결부의 고정은 캡을 포함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제3 연결부 역시 톱니 구조를 통해 조명유닛과의 연결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조명유닛은, 링크부(400)를 통해 조명유닛끼리만을 결합시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다각형의 조명구현이 가능하다 할 것인데,
이와 같은 구조의 다각형 조명을 기둥의 꼭대기에 위치시켜 소위 주두형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터널에 구비되는 터널등으로서 조명유닛 1개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조명유닛과 이를 이용한 가로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 조명유닛
100: 하우징 110: 베이스판 120: 측면판 120a: 통공
200: 광원부
300: 방열부 310: 방열핀 311: 면체 313: 꺾임부
320: 제1 고정판 321: 제1 관통공 323: 제1 체결공
330: 제2 고정판 331: 제2 관통공 333: 제2 체결공
400: 링크부
410: 제1 연결부 411: 고리부 411a: 고정공
413: 걸침부 415: 대응톱니
420: 제2 연결부 421: 돔부 423: 걸림축부
425: 톱니 423a;제1 볼트공
430: 캡
430a: 제2 볼트공 430b: 수용부 430c: 고정용 돌기
S: 가로등 1: 지주 2: 암 3; 결합부
31: 결합하우징 32: 고정부 33: 제3 연결부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면에 배열되는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 타면에 배열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조명유닛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이웃하는 조명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링크부를 더 구비하여 둘 이상의 조명유닛이 연결되어 조사범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링크부는
    하우징 일단에 형성된 것으로 양 측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 사이에 형성된 걸침부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와,
    하우징 타단에 형성된 것으로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고리부가 걸쳐지는 걸림축부와 상기 걸림축부 사이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침부가 걸쳐지기 위한 돔부로 이루어진 제2연결부와, 그리고
    제1연결부와 이웃하는 조명유닛의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돔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걸침부 내주면에는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대응 톱니가 형성되어 조명유닛끼리의 연결시 연결 각도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2. 삭제
  3. 삭제
  4. 지주;
    상기 지주에서 연결형성되는 암;
    상기 암이 체결되는 것으로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제1항에 의한 조명유닛이고,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조명유닛의 제2연결부와 동일한 구조의 제3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을 이용한 가로등.
KR1020100107612A 2010-11-01 2010-11-01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KR10102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12A KR101027100B1 (ko) 2010-11-01 2010-11-01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12A KR101027100B1 (ko) 2010-11-01 2010-11-01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100B1 true KR101027100B1 (ko) 2011-04-05

Family

ID=4404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12A KR101027100B1 (ko) 2010-11-01 2010-11-01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1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19B1 (ko) * 2016-01-07 2016-07-06 (주)라이노 가변형 led조명장치
KR101775482B1 (ko) * 2015-12-24 2017-09-07 (주) 젠텍 다관절 구조를 갖는 휴대용 충전식 조명장치
KR20190057171A (ko) * 2017-11-17 2019-05-28 (주)태선에너지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22A (ko) * 2004-10-06 2006-04-11 라이텍코리아 (주) 각도 조절형 가로등기구
KR100988830B1 (ko) 2010-07-26 2010-10-20 (주)이텍 등주용 엘이디 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22A (ko) * 2004-10-06 2006-04-11 라이텍코리아 (주) 각도 조절형 가로등기구
KR100988830B1 (ko) 2010-07-26 2010-10-20 (주)이텍 등주용 엘이디 등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482B1 (ko) * 2015-12-24 2017-09-07 (주) 젠텍 다관절 구조를 갖는 휴대용 충전식 조명장치
KR101636919B1 (ko) * 2016-01-07 2016-07-06 (주)라이노 가변형 led조명장치
KR20190057171A (ko) * 2017-11-17 2019-05-28 (주)태선에너지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2029322B1 (ko) 2017-11-17 2019-10-08 (주)태선에너지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0869B2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123077B1 (ko) 블록 조립 구조를 갖는 led 조명장치
KR100983245B1 (ko) 방열장치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등 기구
KR100998247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KR100707874B1 (ko) 발광다이오드형 가로등의 설치구조
KR100905228B1 (ko) 엘이디 형광등
US20090109674A1 (en) Led light
CN101675293A (zh) 道路发光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708377B1 (ko) 도로조명용 led 가로등기구
KR10098739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06273B1 (ko) 블록 조립 구조를 갖는 led 조명장치
KR20110035514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등기구
KR20100081866A (ko) Led 조명램프
KR101027100B1 (ko) 링크구조를 가진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KR101034482B1 (ko) 등기구
KR101027101B1 (ko) 개선된 방열구조를 구비한 조명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KR101103587B1 (ko) 밝기 균제도를 향상시킨 led 조명장치
KR101367601B1 (ko) 다층 방열 구조를 갖는 엘이디 가로등
EP2644978B1 (en) Led lighting apparatus
JP2011228255A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101022071B1 (ko) 방열구조를 갖는 led등 유니트
KR20100125126A (ko) 가로등
JP2011054348A (ja) Led街路灯の頭部
CN109073834B (zh) 利用发光二极管的照明器
KR10103130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