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68B1 -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68B1
KR101027068B1 KR1020090113299A KR20090113299A KR101027068B1 KR 101027068 B1 KR101027068 B1 KR 101027068B1 KR 1020090113299 A KR1020090113299 A KR 1020090113299A KR 20090113299 A KR20090113299 A KR 20090113299A KR 101027068 B1 KR101027068 B1 KR 10102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기
백진욱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0Correct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 G01S19/41Differential correction, e.g. DGPS [differential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은 상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 경우, 손실 거리가 소정의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손실 거리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연결한 일직선의 거리-,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손실 지역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손실 지역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 시간, 멀티미디어

Description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Method and server for correct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에서 수행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어디에 가서 무엇을 했는지 등에 대한 기억을 잊을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메모장을 휴대하고 메모장에 메모함으로써 기억을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메모장을 항상 휴대하는 것에 대하여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다.
최근 휴대기기의 발달로, 사람들은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도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를 이용하여 보고 들은 것을 문장으로 기록할 수 있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비롯하여 무선 인터넷 모듈, GPS 모 듈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하고 기록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을 보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를 보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은 상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 경우, 손실 거리가 소정의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손실 거리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연결한 일직선의 거리-,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손실 지역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손실 지역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은 상기 위치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속도가 이동 수단의 소정의 운행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운행 속도 이상인 경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위치 확인 정보를 무시하여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수단에 따라 오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통해 웹서버가 수집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위치 확인 정보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 및 인터넷 단말기(30, 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이동 경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이동 경로 정보는 위치 확인 정보,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위성(50)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 확인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을 탑재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무선 인터넷 기능(예를 들어, WiFi 기능), 카메라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탑재할 수 있다.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이동 중에 위치 확인 모듈을 통해 위치확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 는 GPS 모듈을 통해 위치, 날짜, 시간,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는 GPS 모듈을 통해 수집된 위치, 날짜, 시간,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14)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14)에 수집된 시점의 위치 확인 정보를 결합하여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14)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 특정 지점에서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메타 데이터에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 및 시간 정보(12)를 포함시켜 동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수집된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탑재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수집된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순간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 이동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인터넷에 연결된 경우 지정 된 시간에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 이동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및 전송 명령을 받아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 이동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는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는 인터넷 단말기(30, 40)로 이동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블로그(Blog)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는 블로그를 통해 지도에 이동 경로 정보를 표시하여 인터넷 단말기(30, 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는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위에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특정 위치에서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넷 단말기(30, 40)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에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노트북, 데스크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단말기 등 각종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단말기(30, 40)는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웹브라우저를구동하여 블로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단말기(30, 40)는 지도에 이동 경로 정보를 표시한 데이터를 이동 경로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부(220), 이동 경로 정보 생성부(230), 업로드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위치 확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위치 확인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는 위치 확인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위치, 날짜, 시간,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위치 확인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 형식으로 생성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위치 확인 정보를 다음의 두 가지 저장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1. $GS, 위도(도), N, 경도(도), E*
2. $GD, fix, 위성갯수, 위도(도), 위도(분), 경도(도), 경도(분), 날짜, 시간, 해수면기준(고도), 지표면기준(고도)*
여기서, "$"기호는 문자열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고, "*"기호는 문자열의 끝을 알리는 것이다.
1번에서 정의된 제1 위치 확인 정보는 변화가 작은 위도와 경도에 대한 위치확인 정보이다. 1번에서, "GS"는 변화가 크지 않은 위도와 경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토콜 코드이다. 즉, 제1 위치 확인 정보는 도 단위로 위도와 경도가 변화될 경우 생성될 수 있다.
2번에서 정의된 제2 위치 확인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위도와 경도에 대한 위치 확인 정보이다.
2번에서, "GD"는 실시간으로 위치 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토콜 코드이다. "fix"는 DGPS 사용여부를 나타낸다.
2번의 저장 형식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위도와 경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즉, 제2 위치 확인 정보는 도 및 분 단위로 위도와 경도가 변화될 경우에 생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날짜, 시간, 해수면 기준 또는 지표면 기준에 따른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상술한 두 가지 저장 형식의 위치 확인 정보를 구조체 형태로 변환하여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문자열로 저장하는 것보다 용량을 감소시키고 암호화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는 위치 확인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는 미수신되는 순간의 위치, B는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
1. 위치 확인 정보가 미수신되는 순간의 위치를 이용(Ax, Ay)
2.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이용(Bx, By)
3. 위치 확인 정보가 미수신되는 순간의 위치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의 중간 위치를 이용((Bx-Ax)/2, (By-Ay)/2)
4. 위치 확인 정보가 미수신되는 순간의 위치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 위치 확인 정보가 미수신되는 순간의 시간(At)과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시간(Bt)을 이용하여 중간값을 이용((Bx-Ax)/(Bt-At), (By-Ay)/(Bt-At))
5. 지도상에서 보정되는 위치와 사진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에처리하도록 체크(예를 들어, 임의로 보정되는 위치의 시간에 대한 함수를 C, 사진의 포함된 시간을 t라고 가정하면, (Cx(t), Cy(t))로 보정)
6.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사진,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디미더 데이터수집부(220)는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생성부(230)는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로부터 위치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부(22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정보 생성부(230)는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생성부(2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에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는 위치 확인 정보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위치 확인 정보가 결합되어 가공될 수 있다.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에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특정 위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업로드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부(240)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시점에 기 저장된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로드부(240)는 인터넷이 연결 되는 시점, 미리 설정된 시간, 사용자의 전송 명령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동 경로 정보를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업로드부(2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부(2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비압축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부(2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위치 확인 정보가 입력될 것으로 가정하고 전송을 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위치 확인 정보 수집부(210)에 수집된 위치 확인 정보,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부(220)에 의해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이동 경로 정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경로 정보는 위치 확인 정보, 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이동 경로 정보 저장부(10), 블로그 제공부(320), 지도 저장부(330) 및 이동 경로 정보 처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저장부(10)는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경로 정보는 위치 확인 정보,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확인 정보는 위치 확인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 날짜, 시간,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획득된 위치 확인 정보가 결합되어 가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블로그 제공부(320)는 인터넷 단말기(30, 40)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블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블로그를 제공하는 웹서버일 수 있다.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가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업로드한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수 있다.
지도 저장부(330)는 소정 영역의 지도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는 서버 관리자에 의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처리부(340)는 지도 저장부(330)에 저장된 지도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정보에 따라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이동 경로 중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처리부(3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에서 해당되는 위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처리부(3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진이거나 동영상인 경우, 이미지를 지도에서 해당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경로 정보 처리부(340)가 지도에 이동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이동 경로 정보에 포함된 위치 확인 정보에 대하여 보정을 수행한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손실되거나 오류가 발생한 위치 확인 정보를 보정하여 보정된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위치 확인 정보(예를 들어, 15~30m의 오차 발생)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하여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용된다. DGPS는 정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 정밀하게 측정된 기준국 위치와 GPS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비교하여 보정오차값을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정보(1~5m)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손실된 위치 확인 정보 및 오류가 발생한 위치 확인 정보를 보정하여 보정된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우선, 이하에서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 경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되는 순간은 사용자가 지하 구간으로 들어가는 순간이 될 수 있고,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되는 순간은 사용자가 지하 구간에서 나오는 순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지하 구간은 터널, 지하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 지역이 터널인 경우, 터널 출구와 터널 입구의 위치 좌표를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지도를 이용하여 터널 출구와 터널 입구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 지역이 지하철인 경우, 사용자가 지하철에 탑승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사용자가 같은 역으로 나온 경우, 아무 처리도 하지 않는다. 또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사용자가 다른 역으로 나온 경우, 어떤 노선으로 이동하였는지 알 수 없으므로 지하철에 탑승한 것으로 간주하고 아무 처리를 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입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연결한 일직선의 거리(이하, 손실 거리)가 미리 설정된 상주 거리 이하인 경우,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경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되거나 다시 정상 수신된 위치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수학식1]
Bt-At<K
여기서, Bt는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시각이고, At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의 시각이고, K는 손실된 위치에서 일직선 거리가 상주 거리인 과거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산출한 평균 상주시간이다.
또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처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질의하거나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손실된 위치 확인 정보에 대하여 처리방안을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다음의 내용을 대화창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1. 처리하지 않음
2. 어떻게 이동하였는지 지도에 직접 표시
3. 손실된 위치와 다시 정상 수신된 위치를 서로 연결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위치 확인 모듈로써 GPS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DGPS를 이용한 경우, 오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DGPS를 비사용한 경우,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 보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위치 확인 정보는 약 30m의 오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DGPS를 비사용하는 경우, 무조건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GPS 신호의 이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GPS 신호가 해당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오작동하여 전혀 다른 위치를 가르키는 경우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는 시간 및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위치 확인 정보에 포함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 가속도, 이동방향, 실제 위치 정보(예를 들어, 해당 위/경도의 건물, 도로 등) 등의 부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이동 속도에 따라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수단(예를 들어, 자전거, 차량, 기차, 항공기, 선박 등)의 운행속도와 산출된 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이동 수단을 판단하고 이동 수단에 따른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수단이 자전거인 경우, 자전거는 길이 아닌 곳에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오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수단이 차량인 경우, 근처의 차도를 기준으로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차도를 검색하고 직선거리로 가장 가까운 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수학식 2]
(x-Ax)^2+(y-Ay)^2≤a
여기서, A는 보정위치이고, Ax 및 Ay는 보정위치의 X/Y 좌표값이고, a는 미리 설정된 원 범위(원의 반경)이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x, y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를 검색하여 보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차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차도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오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수단이 기차인 경우, 철길을 기준으로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기차가 역 또는 철길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수단이 선박인 경우, 바다나 강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하지만, 선박이 바다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는 경우 보정이 불가하므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지역별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갑작스러운 변화는 무시하고 이동 경로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동 수단이 항공기인 경우, 선박인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공항정보가 검색되고, 고속으로 이동하나 도로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항공기로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속도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10)는 위치 확인 정보 수집 시, 이동 수단을 사용자에게 질의하여 파악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GPS 신호의 이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순간적으로 위치 확인 정보가 전혀 상이한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0km/h에서100km/h로 가속하는데 걸리는 100km/h 가속 시 간(초)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순간 가속도가 100km/h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위치 확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순간 가속도가 100km/h 가속도를 초과하는 상황이 몇 초간 유지될 수 있으므로,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삭제한 위치 확인 정보부터 가속도를 산출하지 않고, 상이한 위치를 가리키기 전 상황으로부터 가속도를 산출한다.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오류를 보정하기 위하여X축을 거리, Y축을 속도로 하는 그래프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해당 구간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값은 가속도의 변화량, 가속도의 변위, 이동 속도 등에 대한 설정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가속도(a)의 변화량(da/dt)이 매우 클 경우(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가속도의 변화량, 가속도,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이동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방향이 심하게 변하는 구간은 일직선으로 이동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시간 t에 대한 속도(t)의 방향과 시간 t+1에 대한 속도(t+1)의 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발견되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해당 구간에 대해서 일직선으로 이동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확인 정보 보정부(35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가속도와 위치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가속도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상 차기가 나는 경우, 해당 위치 확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면(S410), 손실 지역이 터널 또는 지하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다음으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 지역이 터널 또는 지하철인 경우, 손실 거리가 소정의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여기서, 손실 거리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연결한 일직선의 거리이다. 상주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 거리와 상주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의 상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 거리가 상주 거리를 초과한 경우, 손실 지역에 따른 보정을 수행한다(S440).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 지역이 터널인 경우, 터널 출구와 터널 입구의 위치 좌표를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지도를 이용하여 터널 출구와 터널 입구의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손실 지역이 지하철인 경우, 사용자가 지하철에 탑승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가 같은 역으로 나온 경우, 아무 처리도 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가 다른 역으로 나온 경우, 어떤 노선으로 이동하였는지 알 수 없으므로 지하철에 탑승한 것으로 간주하고 아무 처리를 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입력하게 한다.
S430에서 판단 결과, 손실 거리가 상주 거리 이하인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 지역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한다(S450).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 거리가 미리 설정된 상주 거리 이하이고,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시간과 다시 정상 수신된 시간의 차가 소정의평균 상주 시간 미만인 경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위치 또는 다시 정상 수신된 위치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S420에서 판단 결과, 손실 지역이 터널 또는 지하철이 아닌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손실된 위치 확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처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질의한다(S460).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대화창을 이용하여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 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 발생을 인식한다(S5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DGPS를 비사용하는 경우, 무조건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DGPS 이용 여부를 판단한다(S520).
S520에서 판단 결과,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DGPS를 이용한 경우, 오류 보정을 비수행하고(S530), DGPS를 비사용한 경우, 부가 정보를 산출한다(S540). 여기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치 확인 정보에 포함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 가속도, 이동방향, 실제 위치 정보(예를 들어, 해당 위/경도의 건물, 도로 등) 등의 부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이동 수단의 운행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50).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지 또는 이동 수단에 탑승하여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 기준 도보 속도를4.5km/h로 가정하면, 이동 수단의 운행 속도를 최소 10km/h로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이동 수단의 운행 속도인 10km/h 이상인 경우, 사 용자가 이동 수단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이동 수단에 따른 운행 속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이동 속도와 이동 수단의 운행 속도를 비교하여 이동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이 자전거, 차량, 기차, 항공기, 선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경우, 다음 표 1과 같이 각 이동 수단에 따른 운행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이동 수단에 따른 운행 속도 테이블이다.
[표 1]
이동 수단 속도
도보 4.5 km/h
자전거 10 km/h
차량 30 km/h
선박 40 km/h
기차 50 km/h
항공기 500 km/h
S550에서 판단 결과, 이동 속도가 운행 속도 이상인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 GPS 신호의 이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순간적으로 위치 확인 정보가 전혀 상이한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의 급격한 증가 여부를 차량의 100km/h 가속 시간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가 차량의 100km/h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60에서 판단 결과,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에 따른 오류 보정을 수행한다(S570). 즉,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위치의 위치 확인 정보는 무시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위치의 위치 확인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위치의 전/후의 위치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처리할 수 있다.
S560에서 판단 결과, 순간 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은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이동 수단에 따른 오류 보정을 수행한다(S580).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이동수단(예를 들어, 자전거, 차량, 기차, 항공기, 선박 등)의 운행속도와 산출된이동 속도를 비교하여 이동 수단을 판단하고 이동 수단에 따른 오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에 따른 오류 보정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550에서 판단 결과, 이동 속도가 운행 속도 미만인 경우,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처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질의한다(S590).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20)는 해당 위치의 위치 확인 정보를 무시하거나,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수집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1)

  1.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기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손실 지역이 지하 구간인 경우, 손실 거리가 소정의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여기서, 손실 거리는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순간과 위치 확인 정보가 다시 정상 수신된 순간의 위치를 연결한 일직선의 거리-;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손실 지역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손실 지역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지역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 구간이 터널인 경우, 터널 출구와 터널 입구의 위치 좌표를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지하 구간이 지하철인 경우, 사용자가 지하철에 탑승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손실 지역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손실 거리가 상기 상주 거리 이하이고,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시간과 다시 정상 수신된 시간의 차가 소정의 평균 상주 시간 미만인 경우, 위치 확인 정보가 손실된 위치 또는 다시 정상 수신된 위치에 상주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지역이 터널 또는 지하철 외에 다른 지역인 경우, 손실된 위치 확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처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된 위치 확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처리 방법을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단계는
    대화창을 이용하여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받고,
    상기 대화창에는 처리하지 않음, 어떻게 이동하였는지 지도에 직접 표시, 손실된 위치와 다시 정상 수신된 위치를 서로 연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6. 위치 확인 정보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이동 경로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기 표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속도가 이동 수단의 소정의 운행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운행 속도 이상인 경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위치 확인 정보를 무시하여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수단에 따라 오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가속도가 소정의 가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가속도는 차량이 0km/h에서 100km/h로 가속하는데 걸리는 100km/h 가속 시간(초)을 이용하여 산출한 100km/h 가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DGPS를 미사용하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자전거, 차량, 기차, 항공기, 선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X축을 거리, Y축을 속도로 하는 그래프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해당 구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값은 가속도의 변화량, 가속도의 변위,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11. 상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KR1020090113299A 2009-11-23 2009-11-23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KR10102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99A KR101027068B1 (ko) 2009-11-23 2009-11-23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99A KR101027068B1 (ko) 2009-11-23 2009-11-23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068B1 true KR101027068B1 (ko) 2011-04-11

Family

ID=4404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99A KR101027068B1 (ko) 2009-11-23 2009-11-23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87A (ko) * 2017-05-30 2018-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362A (ja) 2002-01-18 2003-10-02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位置修正装置およびgps測位信頼度判定方法
KR20040033181A (ko) * 2002-10-11 200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 위치 데이터 수신 불량 지역에서의 이동체 위치예측 방법
KR20060055920A (ko) * 2004-11-19 2006-05-24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6247A (ko) * 2007-02-15 200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현재위치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362A (ja) 2002-01-18 2003-10-02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位置修正装置およびgps測位信頼度判定方法
KR20040033181A (ko) * 2002-10-11 200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 위치 데이터 수신 불량 지역에서의 이동체 위치예측 방법
KR20060055920A (ko) * 2004-11-19 2006-05-24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6247A (ko) * 2007-02-15 200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현재위치 표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87A (ko) * 2017-05-30 2018-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KR102055638B1 (ko) * 2017-05-30 2019-12-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140B1 (ko) 자율 주행 차량 내에서 증강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352718B2 (en) Discovering points of entry to a location
US830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ing routing data created by remote navigation server
CN107690568B (zh) 基于频率的通行行程表征
US10533862B1 (en) Biasing map matched trajectories based on planned route information
US9689702B2 (en) Navigation system with map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7463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generation of textual directions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US20110320114A1 (en) Map Annotation Messaging
US10775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warnings for navigations
CN104620078A (zh) 产生替代路线
US20180202811A1 (en) Navigation using an image of a topological map
US11408739B2 (en) Location correction utiliz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s
US11410429B2 (en) Image collection system, image collection method, image collection device, recording medium,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20150168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paths using gps tracks
US9959289B2 (en) Navigation system with content deliver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238735B2 (en) Parking lo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arking lot guidance system, parking lo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parking lot guidance program
JP6647172B2 (ja) 経路同定装置、経路同定システム及び経路同定方法
JP2015076077A (ja) 交通量推定システム、端末装置、交通量推定方法および交通量推定プログラム
US9341498B2 (en) Navigation system with route guidanc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210195213A1 (en) Timestamp and metadata processing for video compression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s
US76239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based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road map data
US20200408553A1 (en) Rou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out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in-vehicle terminal
US10701180B2 (en) Navigation system with content deliver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027068B1 (ko) 위치 확인 정보의 보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CN110411450B (zh) 一种用于压缩轨迹的地图匹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