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94B1 -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전하소산 개선제 - Google Patents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전하소산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94B1
KR101026894B1 KR1020057006937A KR20057006937A KR101026894B1 KR 101026894 B1 KR101026894 B1 KR 101026894B1 KR 1020057006937 A KR1020057006937 A KR 1020057006937A KR 20057006937 A KR20057006937 A KR 20057006937A KR 101026894 B1 KR101026894 B1 KR 10102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omposition
olefin copolymer
dissipation
olefin
charge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572A (ko
Inventor
카를로스 길베르토 오르티즈
피터 안쏘니 폭스
레이몬드 린 쥬니어 락쏘
게리 로버트 마르챈드
스티븐 리챠드 오리아니
월터 워너 슈미겔
마이클 케이. 래프너
디팍 알. 패리크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7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5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9Phosphorus containing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 공중합체,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의 잔류물, 및 전하소산 개선제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상응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보다 50% 이상 낮은 소산인자를 가졌다. 조성물은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에서 유용하다.
올레핀 공중합체, 전이금속 촉매,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 전하소산 개선제, 소산인자

Description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전하소산 개선제{CHARGE DISSIPATION MODIFIERS FOR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본 발명은 올레핀 공중합체, 반응 후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로부터의 잔류물, 및 전하소산 개선제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와이어 및 케이블(W&C)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전이금속 촉매, 특히 메탈로센 및 기하구속 촉매의 발견은 수많은 신규하고 유용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합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전이금속 촉매는 전형적으로는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에 의해 활성화된다. 중합체가 형성된 후, 촉매-활성화제 시스템은 물, 메탄올 또는 기타 촉매 불활성화제의 첨가에 의해 불활성화된다. 단리 후, 생성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촉매-활성화제 시스템의 잔류물을 보유하며, 전형적으로는 0.10보다 큰 소산인자를 갖는다. 전기적 용도에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가능한 한 낮은 소 산인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산으로 세척하거나 증기로 스트립핑시켜 촉매 및 활성화제 잔류물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고, 조성물을 세척 또는 증기 스트립핑시키는 방법 따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0.01 이하로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US 3,819,591은 산 세척 기술의 예를 제공하며, US 3,076,795 및 US 3,590,026은 증기 스트립핑 기술의 예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은 소산인자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산 세척 및 증기 스트립핑은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공정에 추가의 단계 및 추가의 제조 비용을 부가하며, 각각 폐기되어야 하는 추가의 폐스트림을 생성하므로,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특정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하면,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상응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보다 약 50% 이상 낮은 수준으로 소산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전기적 용도, 특히 중저전압 와이어 및 케이블 절연체 및 재킷을 위한, 보다 단순하고,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함을 알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올레핀 공중합체, 반응 후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로부터의 잔류물, 및 전하소산 개선제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소산 개선제는 (a)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아민 화합물, (b) 실리카 화합물, (c) 인산,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함유 하지 않는 동일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보다 약 50% 이상 낮은 소산인자를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NRx
Figure 112005020988017-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3이고, 각 R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내고, 각 R1-5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1-5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전기적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하소산 개선제는 원하는 수준의 중합이 달성되자 마자 용액중합 공정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하소산 개선제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이 연속식 용액 공정에서 반응기를 빠져나간 후에 상기 용액에 첨가하거나, 회분식 용액 공정이 사용되 는 경우에는, 중합이 원하는 수준으로 완결된 후에 반응 용기에 직접 첨가하거나, 용액이 반응기로부터 제거된 후에 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전하소산 개선제를 슬러리 또는 기상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고 단리할 수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과 전하소산 개선제가 긴밀하게 혼합되도록,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와이어 및 케이블 제품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가 첨가된 후 개선된 소산인자를 나타내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하는 중합 공정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중합은 용액, 슬러리 또는 기상 공정에서, 지글러-나타(Ziegler-Natta) 또는 카민스키-신(Kaminsky-Sinn) 유형의 중합 반응으로서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조건, 즉 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의 온도, 및 대기압 내지 10,000 기압의 압력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C2-20 α-올레핀 단량체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다. α-올레핀은 지방족, 방향족 또는 고리형 화합물, 예를 들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5번 및 6번 위치에서 C1-20 히드로카르빌기로 치환된 노르보르넨을 포함)일 수 있다.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C2-20 지방족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C2-16 지방족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α-올레핀 단량체는 4-비닐시클로헥센, 비닐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나디엔 및 C2-10 지방족 α-올레핀(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부텐-1, 펜텐-1, 헥센-1,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옥텐-1, 데센-1, 도데센-1 및 스티렌),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단량체는 에틸렌, 및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4-메틸-1-펜텐, 부텐-1, 헥센-1, 옥텐-1 및 스티렌의 혼합물이다.
폴리엔 단량체는 (사용된다면) 가교 부위 또는 분지 부위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각 폴리엔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C4-40 디엔 단량체(본원에서는 "디올레핀"이라고도 함)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공액화 디올레핀이다. 비공액화 디올레핀은 C6-15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디엔일 수 있다. 예시적인 비공액화 디엔은 직쇄 비고리형 디엔, 예를 들면 1,4-헥사디엔, 1,5-헵타디엔 및 1,6-옥타디엔; 분지쇄 비고리형 디엔, 예를 들면 5-메틸-1,4-헥사디엔, 2-메틸-1,5-헥사디엔, 6-메틸-1,5-헵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7-옥타디엔, 5,7-디메틸-1,7-옥타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및 디히드로미르센의 혼합 이성질체; 단일 고리 지환족 디엔,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사디엔, 1,5-시클로옥타디엔 및 1,5-시클로도데카디엔; 다중 고리 지환족 융합 및 가교 고리 디엔,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 테트라히드로인덴,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노르보르나디엔), 메틸 노르보르나디엔; 알케닐, 알킬리덴, 시클로알케닐 및 시클로알킬리덴 노르보르넨, 예를 들면 5-메틸렌-2-노르보르넨(MNB), 5-에틸리디엔-2-노르보르넨(ENB), 5-비닐-2-노르보르넨(VNB), 5-프로페닐-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4-시클로펜테닐)-2-노르보르넨 및 5-시클로헥실리덴-2-노르보르넨이다.
디올레핀이 공액화 디엔인 경우, 이것은 1,3-펜타디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4-메틸-1,3-펜타디엔 또는 1,3-시클로펜타디엔일 수 있다. 디엔은 바람직하게는 ENB, 1,4-헥사디엔 및 노르보르나디엔 중에서 선택된 비공액화 디엔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ENB이다.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와 조합되어 전형적으로 0.10보다 큰 소산인자를 나타내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전이금속 촉매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WO 98/49212, US 5,965,756, US 6,160,066, US 6,143,682, WO 00/02891, WO 00/02891 및 US 6,127,497(후 전이금속 촉매)에 열거되어 있다. 이러한 촉매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이중 촉매 시스템), 단일 또는 다중 반응기를 사용하는 연속식 또는 회분식 반응기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이금속 촉매를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에 의해 촉매 활성으로 만든다. 활성화제 패키지는 붕소 화합물, 및 임의적으로 알루미늄 화합물을 함유한다. 활성화제 패키지에 사용될 수 있는 붕소 화합물의 예로는 각 히드로카르빌기 또는 플루오르화 히드로카르빌기 내에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르화 트리(히드로카르빌)붕소 화합물(그의 과플루오르화 유도체를 포함)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과플루오르화 트리(아릴)붕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이하 "FAB")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붕소 화합물은 활성화제 패키지의 단독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바람 직하게는 알루미늄 화합물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화합물의 예로는 각 알킬기 또는 중합체성 또는 올리고머성 알룸옥산 내에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활성화제 패키지는 각 히드로카르빌기 내에 1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르화 트리(히드로카르빌)붕소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FAB와, 각 알킬기 내에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조합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활성화제 패키지는 FAB와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개질된 메틸알룸옥산(MMAO)의 조합이다. 두 바람직한 활성화제 패키지는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효율적이지만, 그 결과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0.10보다 큰 소산인자를 갖는다.
붕산염은 본 발명의 활성화제 패키지에서 사용되는 붕소 화합물이 아니고 본 발명의 붕소 화학종도 아니다.
이러한 전이금속 촉매 및 활성화제 패키지가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액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용액중합에 적합한 불활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직쇄 및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이소부탄,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뿐만 아니라, 케로센 및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알칸의 혼합물, 고리형 및 지환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메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헵탄, 및 그들의 혼합물; 및 방향족 및 알킬-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에틸벤젠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용매로는 또한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액체 올레핀, 예를 들면 부타디엔, 시클로펜텐, 1-헥 센, 4-비닐시클로헥센, 비닐시클로헥산,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1,4-헥사디엔, 1-옥텐, 1-데센, 스티렌, 디비닐벤젠, 알릴벤젠, 및 비닐톨루엔(모든 이성질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포함)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필요하다면, 일반적으로 기체인 올레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것을 액체로 전환시켜 불활성 액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보다 약 50% 낮은 수준으로 소산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충분한 양으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여,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산 세척 또는 증기 스트립핑에 의해 후처리하지 않고서도, 소산인자를 0.12 미만,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미만으로 감소시킨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전하소산 개선제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미처리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보다 약 50% 낮은 소산인자를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도록, 전하소산 개선제가 중합 반응으로부터 나온 활성화제/촉매 잔류물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접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어진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및 전하소산 개선제가 예를 들면 용액 또는 용융 상태에서 긴밀하게 혼합되는 경우에만 일어날 수 있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용액중합 공정으로부터 생성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올레핀 공중합체-용매 용액에 첨가하는 경우, 전하소산 개선제는 불활성화제 및 전하소산 개선제 둘 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전하소산 개선제가 불활성화제이기도 한 경우, 추가의 불활성화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에 첨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물 또는 메탄올과 같은 별도의 불활성화제를 전형적으로는 전하소산 개선제와의 조합으로 용액에 첨가한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연속식 및 회분식 반응기 공정, 및 단일 반응기 또는 직렬 또는 병렬의 다중 반응기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연속식 공정에서 전하소산 개선제를 불활성화제와 전하소산 개선제의 조합으로서 첨가하든지, 전하소산 개선제를 단독으로 첨가하든지 간에, 전하소산 개선제는 바람직하게는 반응기로부터 빠져나온 유출 스트림에 첨가한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단일 반응기 연속식 공정에서 불활성화제/전하소산 개선제의 조합으로서 또는 전하소산 개선제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이 반응기를 빠져나온 후 공중합체 조성물이 용액 내에 여전히 존재할 때 임의의 시점에서, 전하소산 개선제를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에 첨가한다. 이중 반응기 또는 직렬 다중 반응기 연속식 공정을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이 마지막 반응기를 빠져나온 후 공중합체 조성물이 용액 내에 여전히 존재할 때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한다. 연속식 공정이 다중 반응기 병렬 공정인 경우, 용액이 각 반응기를 빠져나온 후, 또는 모든 반응기 유출 스트림이 합쳐진 후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할 수 있다. 회분식 용액 공정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반응이 목적하는 완결 수준에 도달했을 때, 전하소산 개선제를 반응 용기에 첨가한다.
별도의 불활성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하소산 개선제를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또는 중합 반응이 목적하는 완결 수준에 도달하는 한 전하소산 개선제를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에 첨가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으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전하소산 개선제와 동일한 시점에서 전하소산 개선제와의 조합으로 불활성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별도의 불활성화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할 때, 소산인자는 전형적으로는 약 0.10보다 크다. 물 및 메탄올과 같은 불활성화제를 사용해서는 전형적으로 약 0.10 미만의 수준을 달성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전이금속 촉매 및 활성화제 패키지의 효율이 높을수록, 결과적인 올레핀 공중합체의 소산인자는 낮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촉매/활성화제의 효율이 높은 경우(예를 들면 10 밀리언 그램(million gram = MMg)(중합체)/g(전이금속) 이상의 효율), 몇몇 전기적 용도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위해서는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전하소산 개선제를 사용하면, 소산인자가 개선될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그 개선 수준은 50%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는 또다른 방법은, 올레 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용액, 슬러리 또는 기상 공정으로부터 고체로서 단리시킨 후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하소산 개선제 첨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약 50% 이상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하소산 개선제와 촉매/활성화제 잔류물이 서로 충분히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과 전하소산 개선제를 서로 긴밀하게 혼합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의 예로는, 압출기 또는 기타 용융 블렌딩 장치를 사용해서 올레핀 공중합체를 전하소산 개선제와 용융 블렌딩하거나, 올레핀 공중합체를 적합한 용매에 재용해시키거나, 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전하소산 개선제를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하는 또다른 방법은, 과량의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과 블렌딩하는 것이다. 압출기에서의 용융 블렌딩과 같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조성물을 블렌딩할 수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되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약 50% 이상 감소시키는 전하소산 개선제로는 (a)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아민 화합물, (b) 실리카 화합물, (c) 인산, 및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
NRx
<화학식 II>
Figure 112005020988017-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3이고, 각 R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내고, 각 R1-5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1-5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전하소산 개선제로서 사용된 아민 화합물은 임의의 1차 아민, 2차 아민, 3차 아민 또는 암모니아일 수 있다. R 및 R1-5 기는,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C1-C50 지방족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C3-C20 지방족 화합물과 같은 임의의 히드로카르빌기일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의 예로는 아닐린, 이소프로필아민, 암모니아, 피리딘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N,N-옥타데실 메틸 아민(본원에서는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하소산 개선제로서 사용되는 실리카 화합물은 임의의 형태의 SiO2를 포함한다. 표면-개질된 실리카 및 고표면적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실리카가 가장 바람직하다.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되는 전하소산 개선제의 양은,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이금속 촉매의 양 또는 붕소-함유 화합물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촉매 효율이 낮을수록, 주어진 양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촉매의 양은 많아지며,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약 50% 이상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전하소산 개선제의 양도 많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첨가되는 전하소산 개선제의 양은 소산인자를 0.1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공중합체 조성물 중 전이금속 촉매의 금속 원자의 양은 전하소산 개선제의 필요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금속 원자(예를 들면 티탄, 지르코늄 및 하프늄) 대 전하소산 개선제의 비는 1:1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다.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를 사용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의 융점, 유리전이온도 및 분자량 분포와 같은 물성은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의 첨가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대부분의 와이어 및 케이블 절연체 및 재킷 용도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낮은 소산인자를 갖는다. 대부분의 저전압 용도에서는, 약 0.10 이하의 소산인자가 요구된다. 중전압 용도에서는, 약 0.01 이하의 소산인자가 요구된다. 이러한 소산인자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특정 물질이 중저전압 와이어 및 케이블 절연체 및 재킷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인자는 물질이 장기간 수중(underwater) 시험을 통과하는지 실패하는지의 여부이다. 전형적으로 약 0.10 미만의 소산인자를 갖지 않는 물질은 이러한 시험에 실패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있는 그대로나 함축적으로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부 및 %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 기준이다. 숫자 범위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맨 끝의 숫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아라비아 숫자로써 식별되고, 비교실시예는 알파벳 문자로써 식별된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 WO 98/49212의 실시예 4 내지 7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연속식 중합 공정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사용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이 공정은, 반응물의 연속적 첨가, 중합체 용액의 연속적 제거,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의 불휘발화 및 중합체 회수를 위해 설계되었다. 에틸렌, 프로필렌 및 ENB 단량체, 티탄 [N-(1,1-디메틸에틸)-1,1-디메틸-1-(1,2,3,3a,8a-에타)-1,5,6,7-테트라히드로-2-메틸-s-인다센-1-일]실란아미네이토(2-)-.카파.N][(1,2,3,4-eta)-1,3-펜타디엔 촉매((t-부틸아미도)디메틸(5-2-메틸-s-인다센-1-일)실란 티탄(II) 1,3-펜타디엔 촉매라고도 함), FAB와 MMA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 및 이소파르(Isopar)-E 용매를 단일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하거나 재순환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소파르-E 용매를 사용해 전하소산 개선제 용액을 제조하고,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이 반응기를 빠져나온 후, 이 뜨거운 용액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하였다. 전하소산 개선제 용액의 농도를, 촉매 효율을 기준으로, 티탄 금속 대 전하소산 개선제의 몰비가 1:1000으로 유지되도록, 수동으로 조절하였다. 공중합체 조성물의 회수 전 2시간 이상 동안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 유동을 유지하였다. 전하소산 개선제를 함유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을 정적혼합기, 및 반응기 이후의 가열기를 통해 펌핑하였다. 반응기 이후의 가열기 온도를 150℃에서 유지하였다. 공중합체 조성물을 분리기에 펌핑하고, 분리기에서 미반응 공단량체, 미반응 수소, 미반응 ENB 및 용매를 휘발시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전하소산 개선제 및 촉매/활성화제 잔류물을 포함하는 용융된 공중합체 조성물을 얻었다. 공중합체 조성물의 회수를 완결하고 나서, 전하소산 개선제 용액의 유동을 중단시키고, 이 시스템을 2시간 이상 동안 미처리 공중합체 조성물로 퍼징하여,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된 임의의 물질을 분리기로부터 제거하였다. 새로운 전하소산 개선제 용액을 첨가하기 전에, 전하소산 개선제 첨가 탱크를 신선한 용매로 플러싱함으로써, 전하소산 개선제의 교차오염을 방지하였다. 회수 후, 공중합체 조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115℃에서 8시간 이상 동안 건조시켜, 완전한 용매 불휘발화를 달성하였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만 제외하고, 전하소산 개선제 대신 불활성화제를 첨가하여 앞 단락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실시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의 불활성화제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수득한 그대로 사용하였다. 물 및 메탄올을 피셔 사이언티픽 인터네셔날 인코포레이티드(Fisher Scientific International Inc.)에서 구입하였다. PEP-Q를 클라리안트 코포레이션(Clariant Corp.)에서 입수하였다. 트리프로필포스페이트 및 인산을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mpany)(현 시그마-알드리치 캄파니(Sigma-Aldrich Company)에서 입수하였다. 실리카(에어로실(AEROSIL, 등록상표) R972, 퓸드 소수성 실리카)를 데구사 코포레이션(Degussa Corp.)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아르민(Armeen) M2HT)을 악조 노벨 인코포레이티드(Akzo Nobel Inc.)에서 입수하였다.
공중합체 조성물 50g을, 캠 혼합 블레이드가 장착된 하케(Haake) 혼합기에서 100℃에서, 55rpm의 혼합속도로 3분 동안, 디쿠밀 퍼옥사이드 1g과 블렌딩함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둘 다에서의 전기적 시험을 위한 건조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공중합체 조성물/퍼옥사이드 블렌드 12g을 주형 내에서 2개의 마일라(Mylar, 등록상표) 폴리에스테르 시트(듀폰 캄파니(DuPont Company)) 사이에서 압착하여, 직경이 3.5"이고 두께가 약 0.17cm인 플라크를 제조하였다. 압착기 및 주형을 375℉(191℃)에서 3분 이상 동안 예열함으로써, 플라크를 가교시켰다. 주형에 공중합체 조성물을 채우고, 테트라헤드론 프레스(Tetrahedron Press)에서 3분 동안 20톤의 압력으로써 압착하고, 240의 압착속도로써 120℉(49℃)로 냉각시키고, 이러한 조건에서 3분 동안 유지하였다. 직경이 3.5"이고 두께가 약 0.17cm인 가교된 플라크를 얻었다.
플라크의 소산인자를 테텍스 모델 2914 고체 절연체를 위한 시험 셀(Tettex Model 2914 Test Cell for Solid Insulants)를 사용해서 130℃에서 ASTM D150에 따라 측정하였다. 테텍스 모델 5283 변압기(Tettex Model 5283 Power Transformer)는 전압을 시험 셀에 공급하였다. 테텍스 모델 2966 온도 제어 유닛(Tettex Model 2966 Temperature Control Unit)은 시험 셀 전극을 가열시켰다. 테텍스 모델 5476A 저항 브리지(Tettex Model 5476A Resistance Bridge)에서 저항을 측정하였다. (이상 테텍스 코포레이션(Tettex Corporation)의 테텍스(Tettex) 설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실시예 A 내지 H
70 중량%의 에틸렌, 29.5 중량%의 프로필렌, 0.5 중량%의 ENB, 40의 무니(Mooney) 점도 및 1.3 MMg(공중합체)/g(티탄)을 갖는 공중합체 조성물인 EPDM-1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실시예 A 내지 G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다양한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하였다. 비교실시예 A에서는, 전하소산 개선제 및 불활성화제 둘 다 첨가하지 않았다. 비교실시예 B 내지 G에서는, 다양한 불활성화제를 첨가하였다. 각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측정하였다. 표 1은 전하소산 개선제(실시예) 및 불활성화제(비교실시예)의 유형 및 양, 및 각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명시한다. EPDM-A를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H도 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EPDM-A는, 72 중량%의 에틸렌, 23.6 중량%의 프로필렌, 4.4 중량%의 ENB, 27의 무니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지글러-나타 촉매 및 증기 스트립핑에 의해 제조된, 전기적 용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EPDM 조성물인 노르델(Nordel, 등록상표) 2722E(듀폰 다우 엘라스토머즈 엘엘씨(DuPont Dow Elastomers LLC))였다. 하기 표 및 이후에 나올 표에서, 전하소산 개선제는 "CDM"이라고 표시되며, 불활성화제는 "DEA"라고 표시된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공중합체 조성물 CDM/DEA 농도
CDM/DEA g/8000㎖ 용매5
소산인자
실시예 1 EPDM-1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 48.8g 0.031
실시예 2 EPDM-1 실리카 5.5g 0.021
실시예 3 EPDM-1 인산 8.9g 0.061
비교실시예 A EPDM-1 없음 - 0.454
비교실시예 B EPDM-1 1.6g 0.125
비교실시예 C EPDM-1 이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10103 및 물 2.88g/0.18g 0.156
비교실시예 D EPDM-1 PEP-Q4 94.2g 0.341
비교실시예 E EPDM-1 스테아르산 25.2g 0.195
비교실시예 F EPDM-1 메탄올 2.9g 0.149
비교실시예 G EPDM-1 트리프로필포스페이트 19.3g 0.334
비교실시예 H EPDM-A - - 0.003
3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코포레이션(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의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5 454g(중합체)/시의 제조 속도, 1.3 MMg(중합체)/g(Ti)의 촉매 효율, 및 8g/분의 개선제 용액 유속이라는 조건에서의 값
불활성화제로 처리된 것을 비롯하여 모든 비교실시예 A-G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 및 대조물, 즉 증기 스트립핑된 비교실시예 H의 EPDM-A보다 높은 소산인자를 가졌다. 불활성화제 없이 제조된 비교실시예 A는 모든 시험된 공중합체 조성물들 중에서 가장 높은 소산인자(0.454)를 가졌다. 물이 불활성화제로 사용된 경우(비교실시예 B), 소산인자는 0.454에서 0.125로 감소했다. 마찬가지로, 메탄올이 불활성화제로 사용된 경우(비교실시예 F), 소산인자는 0.149로 감소했다. 따라서, 물 및 메탄올은 각각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감소시키는데에는 어느 정도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실시예의 소산인자는 여전히 대부분의 전기적 용도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는 10배 정도로 너무 높았다.
이르가녹스 1010 및 물이 비교실시예 C에서 불활성화제로서 첨가되었고, PEP-Q가 비교실시예 D에서 불활성화제로서 첨가되었다. 이러한 불활성화제는 통상적으로 첨가제 및 중합체 분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이르가녹스 1010은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가 아니다. PEP-Q는 인을 함유하는 작용화된 분자이지만 역시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가 아니다. 표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비교실시예 D는 0.341의 소산인자를 가졌다. 비교실시예 C는 보다 낮은 소산인자인 0.156을 가졌다. 비교실시예 C의 보다 낮은 소산인자는 주로 물의 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역시, 이러한 첨가제는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0.10 미만의 바람직한 수준으로 감소시키지 못했다.
비교실시예 D에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실시예 G에서 사용된 불활성화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지만,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는 아니다. 비교실시예 G는 비교실시예 D에 대해 측정된 소산인자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높은 소산인자(0.334)를 가졌다. 비교실시예 D 및 비교실시예 G의 불활성화제는 둘 다 인을 함유하지만,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인 인산(실시예 3)과 화학적으로 상이하다.
비교실시예 E는 0.195의 소산인자를 가졌다. 이러한 비교실시예의 불활성화제는 스테아르산이며, 이것은 산 작용성을 갖지만,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대부분의 전기적 용도에서 바람직한 수준으로 감소시키지 못했다.
놀랍게도, 실시예 1 내지 3의 공중합체 조성물은, 화학구조 및 조성이 상당히 상이한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었음에도, 각각 비교실시예 A 내지 G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소산인자를 가졌다. 표 1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각각 0.031, 0.021 및 0.061의 소산인자를 가졌다. 이러한 소산인자는 비교실시예 A 내지 G에서 수득된 것보다 거의 10 단위 차이로 우수하다. 또한, 미처리 공중합체 조성물(비교실시예 A)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소산인자는 93 내지 95% 감소했고, 실시예 3의 소산인자는 87% 감소했다. 또한, 이러한 세 실시예의 소산인자는, 비교실시예 B의 물로 처리된 공중합체 조성물에 비해, 51 내지 83% 감소했다.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실시예 H의 것 만큼 낮은 소산인자를 갖지는 않지만, 실시예의 소산인자는, 비교실시예 H에서와 같이 증기 스트립핑을 수행한 후 증기 스트립핑 폐스트림을 폐기하는 추가의 단계를 거쳐야 하는 단점을 갖지 않으면서도, 대부분의 저전압 용도를 위한 전기적 요건을 충족하기에 충분히 낮다.
실시예 4 내지 8 및 비교실시예 I
70 중량%의 에틸렌, 29.5 중량%의 프로필렌, 0.5 중량%의 ENB, 22의 무니 점도 및 0.53 MMg(공중합체)/g(티탄)을 갖는 공중합체 조성물인 EPDM-2를 촉매 불활성화제로서 물을 사용해서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실시예 4 내지 8 및 비교실시예 I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내지 8에서는, 다양한 전하소산 개선제를 EPDM-2와 블렌딩하였다. 각 전하소산 개선제를 70℃의 온도에서 캠 혼합 블레이드가 장착된 하케 혼합기에서, 55rpm의 혼합속도로 5분 동안, EPDM-2 50g과 블렌딩하였다. 이어서 디쿠밀 퍼옥사이드(1.0g)를 첨가하고, 이 블렌드를 추가로 3분 동안 하케 혼합기에서 100℃에서 55rpm의 혼합속도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블렌딩된 샘플을 압착하여 플라크를 만들고, 전술된 절차에 따라 경화시켰다. 이어서 플라크를 ASTM D150에 따라 130℃에서 시험하였다. 첨가된 개선제의 유형 및 양, 및 블렌딩된 실시예의 결과적인 소산인자가 표 2에 명시되어 있다.
실시예/
비교실시예
공중합체 조성물 전하소산 개선제 첨가된 CDM의 양(g) 소산인자
비교실시예 I EPDM-2 없음 - 0.068
4 EPDM-2 아닐린 0.261 0.009
5 EPDM-2 피리딘 0.281 0.002
6 EPDM-2 이소프로필아민 0.225 0.008
7 EPDM-2 25% 암모니아 및 75% 물 0.323 0.007
8 EPDM-2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 0.530 0.017
실시예 9 내지 10 및 비교실시예 J
70 중량%의 에틸렌, 29.5 중량%의 프로필렌, 0.5 중량%의 ENB, 22의 무니 점도 및 0.56 MMg(공중합체)/g(티탄)을 갖는 공중합체 조성물인 EPDM-3을, 실시예 9의 경우에는 용매를 제거하기 전에 공중합체 용액에 전하소산 개선제를 첨가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EPDM-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개선제를 갖지 않는 EPDM-3 조성물을 비교실시예 J에서 사용하였다. EPDM-3 25g과 실시예 9의 조성물 25g을 하케 혼합기로 5분 동안 블렌딩하고, 퍼옥사이드로 처리하고, 플라크를 제조함으로써, 실시예 10의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가 표 3에 명시되어 있다.
실시예 9의 소산인자는,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조성물인 비교실시예 J의 소산인자보다 50% 넘게 낮다. 실시예 9의 조성물을 동일한 중량부의 비교실시예 J와 추가로 블렌딩하면, 소산인자가 10배 낮아진다(실시예 10). 따라서, 공중합체 조성물을 과량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충분히 접촉시킴으로써,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비교실시예
공중합체 조성물 전하소산 개선제 공중합체 조성물 내 CDM의 양(g) 소산인자
비교실시예 J EPDM-3 없음 - 0.0629
실시예 9 EPDM-3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 0.989 0.0300
실시예 10 EPDM-3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 0.49 0.0032
비교실시예 K 및 L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가 N,N-비스(탈로우알킬)-N-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2,3,4,5,6-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보울더 사이언티픽 캄파니(Boulder Scientific Company))와 MMAO(악조 노벨)의 조합이라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의 도입부에서 기술된 절차대로 EPDM-4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해서 70 중량%의 에틸렌, 29.5 중량%의 프로필렌, 0.5 중량%의 ENB, 20의 무니 점도 및 2.14 MMg(공중합체)/g(티탄)을 갖는 공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조성물 EPDM-4를 비교실시예 K 및 L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실시예 L에서 EPDM-4를 표 4의 전하소산 개선제와 블렌딩하고, 소산인자를 측정하였다.
표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붕산염 활성화제를 사용해 제조된 EPDM에 첨가하는 것은, 소산인자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실제로 소산인자는 증가하였다.
비교실시예 공중합체 조성물 전하소산 개선제 첨가된 CDM의 양(g) 소산인자
비교실시예 K EPDM-5 없음 - 0.093
비교실시예 L EPDM-5 비스-탈로우알킬 메틸 아민 0.497 0.512

Claims (17)

  1. (a) 각각 하나 이상의 C2-C20 α-올레핀 단량체,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엔을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b) 중합 반응 후 하나 이상의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로부터의 잔류물; 및
    (c) (i)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아민 화합물, (ii) 실리카 화합물, (iii) 인산,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하소산 개선제를 포함하며,
    전하소산 개선제로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보다 50% 이상 낮은 소산인자를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I>
    NRx
    <화학식 II>
    Figure 112005020988017-pct00003
    상기 식에서, x는 3이고, 각 R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 르빌기를 나타내고, 각 R1-5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1-5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소산 개선제가 아닐린, 이소프로필아민, 피리딘, 및 N,N-옥타데실 메틸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소산 개선제가 N,N-옥타데실 메틸 아민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소산 개선제가 실리카 화합물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전하소산 개선제가 인산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가 2개의 α-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α-올레핀 단량체가 에틸렌 및 옥텐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α-올레핀 단량체가 에틸렌 및 부텐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옥텐 중에서 선택된 2 또는 3 개의 α-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폴리엔을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 폴리엔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및 5-비닐-2-노르보르넨 중에서 선택된 것인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0.10 이하의 소산인자를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4. (a) 용매에 용해된,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중합 반응 후 하나 이상의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로부터의 잔류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용매 용액을, (i)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아민 화합물, (ii) 실리카 화합물, (iii) 인산,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하소산 개선제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처리된 공중합체 조성물을 단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감소시키는 방법:
    <화학식 I>
    NRx
    <화학식 II>
    Figure 112005020988017-pct00004
    상기 식에서, x는 3이고, 각 R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내고, 각 R1-5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1-5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를 나타낸다.
  15. (a)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중합 반응 후 하나 이상의 전이금속 촉매 및 붕소-함유 활성화제 패키지로부터의 잔류물을 포함하는 고체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용융 상태로 만드는 단계;
    (b)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i)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아민 화합물, (ii) 실리카 화합물, (iii) 인산,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전하소산 개선제와 접촉시키는 단계;
    (c) 소산인자를 개선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불활성화제가 촉매 및 활성화제 잔류물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게 허용하는 단계; 및
    (d) 처리된 공중합체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의 소산인자를 감소시키는 방법:
    <화학식 I>
    NRx
    <화학식 II>
    Figure 112005020988017-pct00005
    상기 식에서, x는 3이고, 각 R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 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내고, 각 R1-5은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및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 및 수소 중에서 선택되거나, 둘 이상의 R1-5 치환체가 함께 고리형 히드로카르빌기를 나타낸다.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17. 전기전도체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절연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057006937A 2002-10-24 2003-10-24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전하소산 개선제 KR101026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087902P 2002-10-24 2002-10-24
US60/420,879 2002-10-24
US10/691,163 2003-10-21
US10/691,163 US7144934B2 (en) 2002-10-24 2003-10-22 Charge dissipation modifiers for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72A KR20050073572A (ko) 2005-07-14
KR101026894B1 true KR101026894B1 (ko) 2011-04-04

Family

ID=3217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937A KR101026894B1 (ko) 2002-10-24 2003-10-24 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전하소산 개선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7144934B2 (ko)
EP (1) EP1554340B1 (ko)
JP (1) JP2006503964A (ko)
KR (1) KR101026894B1 (ko)
AU (1) AU2003285017A1 (ko)
CA (1) CA2503138C (ko)
DE (1) DE60311294T2 (ko)
MX (1) MXPA05004252A (ko)
WO (1) WO20040379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4934B2 (en) * 2002-10-24 2006-12-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dissipation modifiers for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WO2009058560A1 (en) 2007-11-02 2009-05-0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Reduction of dielectric losses through use organoclay in semiconductor or insulator compositions
US20110209897A1 (en) * 2008-11-21 2011-09-01 David Denton Olefin-Based Polymers,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a Medium Voltage Cable Sheath Comprising the Same
US20110015323A1 (en) 2009-07-16 2011-01-20 Equistar Chemicals, Lp Polyethylene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ar phenolic antioxidant and reduced dissipation factor, and methods thereof
JP4930629B2 (ja) * 2010-08-27 2012-05-16 横浜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938440B1 (ko) 2011-12-13 2019-01-1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혼성중합체 조성물
EP3591003B1 (en) 2018-07-06 2021-05-19 SHPP Global Technologies B.V.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low dielectric constant and high stiffness and the shaped article therefore
WO2023057519A1 (en) 2021-10-05 2023-04-13 Borealis Ag Cab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17A (en) * 1897-08-17 Tailor s pressing-machine
US3522183A (en) 1968-05-07 1970-07-28 Simplex Wire & Cable Co Solid dielectric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various voltage stabilizers
JPH11268145A (ja) 1998-03-20 1999-10-05 Toray Ind Inc 電気絶縁用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63060A (ko) * 1960-03-31
US3590026A (en) * 1969-01-03 1971-06-29 Phillips Petroleum Co Recovery of polymers from solution
US3819591A (en) * 1970-05-19 1974-06-25 J Campbell Branched-chain hydrocarbon elastomers
DE2234065C3 (de) 1972-07-07 1978-12-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isches Kabel, vorzugsweise Hochspannungskabel
WO1991004952A1 (en) * 1989-10-06 1991-04-18 Cosan Chemical Corporation Aminocarboxylate salts as corrosion inhibitors in coating applications
US6160066A (en) * 1994-06-24 2000-12-12 Exxon Chemical Patents, Inc. Monocyclopentadienyl metal compounds for ethylene-α-olefin-copolymer production catalysts
KR100276152B1 (ko) * 1995-02-16 2001-03-02 고토 기치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기 절연 부품
US6143682A (en) * 1995-06-07 2000-11-07 Exxon Chemical Patents Inc. Bimetallocyclic transition metal catalyst systems
CN1125829C (zh) * 1996-06-17 2003-10-29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使用过渡金属催化剂体系的升压聚合法
US5965756A (en) * 1996-12-19 1999-10-12 The Dow Chemical Company Fused ring substituted indenyl metal complexes and polymerization process
KR100235203B1 (ko) * 1997-03-15 1999-12-15 배문한 표면이 개질된 사이알론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U2819697A (en) 1997-04-30 1998-11-24 Dow Chemical Company, The Ethylene/alpha-olefin/diene inter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WO2000002891A1 (en) 1998-07-10 2000-01-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Tethered monocyclopentadienyl polymerization catalysts
WO2001046273A1 (en) * 1999-12-20 2001-06-28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polyolefin resins using supported ionic catalysts
US6825253B2 (en) * 2002-07-22 2004-11-30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Ins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locene polymers
US7144934B2 (en) * 2002-10-24 2006-12-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dissipation modifiers for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17A (en) * 1897-08-17 Tailor s pressing-machine
US3522183A (en) 1968-05-07 1970-07-28 Simplex Wire & Cable Co Solid dielectric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various voltage stabilizers
JPH11268145A (ja) 1998-03-20 1999-10-05 Toray Ind Inc 電気絶縁用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4994B2 (en) 2008-06-10
KR20050073572A (ko) 2005-07-14
US7235624B2 (en) 2007-06-26
WO2004037909A3 (en) 2004-09-10
US20040147700A1 (en) 2004-07-29
DE60311294T2 (de) 2007-05-31
MXPA05004252A (es) 2005-07-26
EP1554340B1 (en) 2007-01-17
WO2004037909A2 (en) 2004-05-06
DE60311294D1 (de) 2007-03-08
US7144934B2 (en) 2006-12-05
CA2503138A1 (en) 2004-05-06
JP2006503964A (ja) 2006-02-02
EP1554340A2 (en) 2005-07-20
US20060287415A1 (en) 2006-12-21
US20070219321A1 (en) 2007-09-20
AU2003285017A1 (en) 2004-05-13
CA2503138C (en)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8515B2 (ja) 高分子絶縁部材および半導体部材を有する電気的デバイス
US7384994B2 (en) Charge dissipation modifiers for olefinic interpolymer compositions
JP5276757B2 (ja) 剪断減粘性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インターポリマーおよびそれらの製造法
KR100700765B1 (ko) 단일 반응기에서의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블렌드의 제조 방법
JP461002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のヒドロシリル化架橋
EP0855413B1 (en) Ethylene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KR20140107239A (ko) 혼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30011A1 (en) Methods of Making Chemically Crosslinked Block Copolymer Gels
KR19990022923A (ko) 에틸렌, 알파-올레핀, 비닐 노르보넨 엘라스토머 중합체들을 포함하는 전기장치
EP2352769B1 (en) Medium voltage cable sheath comprising an olefin-based polymer
US7435781B2 (en) Polymers for electrical applications
JPWO2014064801A1 (ja) 絶縁体用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同軸ケーブル
KR100386379B1 (ko) 정온도 특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S6155203B2 (ko)
CN100351295C (zh) 用于烯烃共聚物组合物的电荷耗散改性剂
JPH09124737A (ja) 不飽和基含有オレフイ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 およびその組成物
EA040293B1 (ru) Кабель с изоляционным слоем низкой проводим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