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49B1 -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49B1
KR101026849B1 KR1020080053827A KR20080053827A KR101026849B1 KR 101026849 B1 KR101026849 B1 KR 101026849B1 KR 1020080053827 A KR1020080053827 A KR 1020080053827A KR 20080053827 A KR20080053827 A KR 20080053827A KR 101026849 B1 KR101026849 B1 KR 10102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floating
dirt
wat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725A (ko
Inventor
전양근
고인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4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성 오물을 효과적으로 수집 및 제거하여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되어 부유성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수중 또는 수변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기둥; 지지기둥 각각에 연결되어 하류가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되 부유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부유성 오물을 안쪽으로 유도하는 오물 가이드 부재; 오물 가이드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그 전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하측면판 각각이 분해 및 조립되도록 각 측면이 마주하는 가장자리에는 해당 측면과의 조립을 위한 연속된 요철형상의 조립편이 형성되되 전면판 상에는 입구가 관통형성되는 한편 배면판에는 망 형상의 출구가 형성된 오물 트랩; 오물 트랩의 각 측면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게 각 측면의 조립편에 마련된 조립수단; 오물 트랩의 전면판 입구가 수압에 따라 닫히거나 열리도록 전면판의 후측 상부에 힌지결합된 판 형태의 도어; 및 오물 트랩이 물에 뜬 상태가 유지되게 좌우측면판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된 부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오물, 트랩, 수거, 도어, 조립

Description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Apparatus to collect wastes in water}
본 발명은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성 오물(지푸라기, 나뭇가지, 바인더, 비닐 또는 수초 등과 같은 협잡물이나 진개물 등)을 효과적으로 수집 및 제거하여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댐 또는 호소(湖沼) 등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에는 지푸라기, 나뭇가지, 바인더, 비닐 또는 수초 등과 같은 협잡물 및 진개물과 같은 부유성 오물이 포함되어 있어 수질을 오염시키거나 각종 시설물의 파손의 원인이 된다.
특히, 대한민국은 매년 겪게 되는 홍수 및 집중 호우 등에 의해서 하천변의 부유성 오물 등이 하천이나 댐 등으로 유입되어 하천이나 댐의 본래 기능을 유지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예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호수의 하나인 팔당호의 경우 호수로 인해 유입되는 부유성 오물의 제거를 위해 연간 70 억원 이상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유입된 부유성 오물의 제거에도 상당한 기간이 소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부유성 오물의 유입에 의해 호소 내의 수질악화는 물론 수자원 이용에도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한, 이처럼 호소 내로 유입된 부유성 오물을 즉시 제거하지 않게 되면 호소 바닥으로 침전되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호소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부유성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호우시나 하천변 공사시에 설치되는 부유성 펜스 같은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고 이로 인한 주변지역의 침수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펜스에 갇히게 되는 부유성 오물은 차후에 수거하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성 오물(지푸라기, 나뭇가지, 바인더, 비닐 또는 수초 등과 같은 협잡물이나 진개물 등)을 효과적으로 수집 및 제거하여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형태로 미리 제작된 구조물을 현장까지 운반한 후, 현장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물류 및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물의 제거가 필요한 설치 장소의 면적에 따라서 일정 크기로 정형화된 여러 개의 단위 구조물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되어 부유성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수중 또는 수변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기둥; 지지기둥 각각에 연결되어 하류가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되 부유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부유성 오물을 안쪽으로 유도하는 오물 가이드 부재; 오물 가이드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그 전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하측면판 각각이 분해 및 조립되도록 각 측면이 마주하는 가장자리에는 해당 측면과의 조립을 위한 연속된 요철형상의 조립편이 형성되되 전면판 상에는 입구가 관통형성되는 한편 배면판에는 망 형상의 출구가 형성된 오물 트랩; 오물 트랩의 각 측면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게 각 측면의 조립편에 마련된 조립수단; 오물 트랩의 전면판 입구가 수압에 따라 닫히거나 열리도록 전면판의 후측 상부에 힌지결합된 판 형태의 도어; 및 오물 트랩이 물에 뜬 상태가 유지되게 좌우측면판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된 부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오물 트랩(trap)의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하측면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의 소통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오물 트랩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 상에는 부구가 체결되기 위한 부구조립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부구의 내측 상에는 부구조립공에 끼워지는 후크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오물 트랩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의 상부에는 운반시 손으로 잡거나 크레인 장비에 걸기 위한 고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오물 트랩의 배면판에 설치되는 출구는 망 형상으로 오물 트랩의 배면판에 대하여 조립 및 분리가 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조립수단은 오물 트랩의 각 측면에 마련된 조립편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 및 조립공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조립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서 오물 트랩의 전후좌우 측면을 이루는 해당 측면 상에는 다수의 오물 트랩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끼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는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어 현장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운반과정을 포함한 제작에서 설치까지 드는 전체적인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는 정형화된 형태의 오물 트랩을 설치 장소의 면적에 맞춰서 여러 개 조합하여 설치 가능하게 됨에 따라서 여러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는 물의 역류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전방에 마련된 입구를 통해서 흘러들어 온 부유물 등 오물이 다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등 효과적인 부유성 오물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트랩의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가 설치된 평면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오물 트랩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오물 트랩(200)은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의 틀인 6면체의 구조로 이루되 그 상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 즉, 상부를 제외한 앞쪽, 뒤쪽, 왼쪽, 오른쪽 및 아래쪽 방향에서 각각 별도로 이루어진 전면판(210), 배면판(220),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이 조립됨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오물 트랩(200)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오물 트랩(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면판(210), 배면판(220),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제작비용이나 시공 등의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특히, 오물 트랩(200)의 전체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나가지 않도록 각 측면의 판들은 발포 사출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오물 트랩(200)은 물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면판(210)에는 입구(212)가 형성되는 한편 배면판(220)에는 출구(222)가 형성되고,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 상에는 각각 물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232,242,25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통공(232,242,25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형이나 삼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오물 트랩(200)의 전면판(210) 후면 상에는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흐르는 물의 세기나 수압 등 외력에 연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형태의 도어(260)가 설치된다. 즉, 판 형태로 이루어진 도어(260)의 상부가 전면판(210)의 후면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서 물의 유속이나 수압 등의 외력에 의해서 힌지점을 기준으로 도어(260) 가 회전하면서 입구(212)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한편 물이 역류하게 되는 등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도어(260)의 위치가 원래로 복귀되면서 입구(212)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어(260)의 상단에는 도어 힌지(262)가 형성되는 한편 전면판(210)의 후측 상부에는 도어 힌지(262)가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결합편(2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판(220)의 출구(222)에는 입구(212)를 통해서 입력된 진개물은 걸러지고 물의 배출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메쉬(mesh)로 이루어진 망(270)이 장착되는데, 망(270)의 상부 등에는 크로스 바(272)가 마련되어 배면판(220)에 대하여 쉽게 조립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배면판(220) 상에는 망(270)의 크로스 바(272)가 끼워지기 위한 클립(226)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하게 되는 측면의 판과 접하게 되는 전면판(210), 배면판(220),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의 해당 가장자리에는 각각 연속된 요철형상으로 된 조립편(214,224,234,244,254)이 형성된다. 즉, 조립편(214,224,234,244,254)은 해당 측면의 판 가장자리에 돌기와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경우 타측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에는 홈과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됨에 따라서 일측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조립편과 타측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조립편은 상호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 사방에 전면판(210), 배면판(220),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하측면판(250)의 경우에는 사방에 조립편(254)이 형성되는 한편, 좌우측 및 하부측 에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삼방에 조립편(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조립편(214,224,234,244,254)에는 끼워 맞춰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수단의 하나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조립공(214a, 224a, 234a, 244a, 254a)이 형성된다. 이 조립공(214a,224a,234a,244a,254a)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측의 조립편과 타측의 조립편이 상호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각 조립공(214a,224a,234a,244a,254a)은 상하방향에서 중심이 일치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관통형성된다.
한편, 각 조립공이 일치된 상태에서는 상에서 하로 향하는 방향으로 조립수단의 다른 하나인 길이가 길게 형성된 조립 핀(280)이 꽂혀지게 된다. 조립 핀(280)의 상단은 조립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이루어진 각각의 측면이 조립되어 사각형상의 틀로 짜여진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쉽게 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하거나 크레인 장비의 이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의 상부에는 손잡이 형태의 고리(236,246)가 형성된다. 이 고리(236,246)는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로프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해당 위치에 부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오물 트랩(200)은 육상 또는 선상 등에서 사각형태의 틀로 조립된 후에 인력 또는 크레인 장비 등에 의해서 수중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오물 트 랩(200)의 크기에 따라서 그 중량은 다르겠지만, 소형의 경우에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작업자의 인력으로도 충분히 들어올려 수중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오물 트랩(200)은 독립된 하나만이 수중에 설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겠지만, 그 설치가 요구되는 면적에 따라서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오물 트랩(200)의 전면판(210), 배면판(220),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 상에는 서로 이웃하는 오물 트랩(200)의 해당 면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공(218, 228, 238, 248)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오물 트랩(20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서로 마주하게 되는 해당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218, 228, 238, 248)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이용된다. 이때, 볼트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보다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나비 볼트(290) 및 나비 너트(292)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공(218,228,238,248)은 도 7a 및 도 7b 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은 좁고 외측은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로 관통형성됨에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오물 트랩(200)의 측면이 완전히 일치되지 않은 경우라도 볼트의 체결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100)는 수면에 부상하는 부유물의 수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인 만큼, 오물 트랩(200)의 일부는 수중에 잠기더라 도 그 상부는 물에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부구(300)가 오물 트랩(200)의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좌측면판(230) 및 우측면판(240) 상에는 부구(300)의 조립을 위한 부구조립공(310)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소정의 부피를 갖는 부구(300)의 일측면에는 부구조립공(310)에 끼워 조립되기 위한 후크(30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러 개의 오물 트랩(200)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각각의 오물 트랩(200)에 부구(300)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맨 좌측 및 맨 우측의 해당 측면에만 부구(300)가 설치되는 것이 오물 수거의 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전술한 바대로 오물 트랩(200)은 물에 뜰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서 그 설치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고 흐르는 물에 떠내려 가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술한 오물 트랩(200)은 어느 고정된 측에 매달린 상태가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오물 트랩(200)이 설치된 위치의 양측에는 지지기둥(110)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지지기둥(110)과 오물 트랩(200)의 전면판(210) 사이에는 오물 트랩(200)을 지지기둥(110)에 붙들어 두는 한편 상류에서 하류로 향하는 진개물이 오물 트랩(200)의 입구(212) 측으로 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오물 가이드 부재(120)가 설치된다.
오물 가이드 부재(1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와 같은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설치과정에서는 상류의 폭은 넓게 하류의 폭은 좁게 설치되는 것이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오물 가이드 부재(120)의 후방 단이 이어지도록 오물 트랩(200)의 전면판(210) 상에는 아이 볼트 형태로 된 오물 가이드 부재 연결고리(216)가 돌출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오물 가이드 부재(120)의 선단은 지지기둥(110)에 연결시 지지기둥(110)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링 형태의 연결고리(122)를 통해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서 오르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1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물이 흐르게 되면 그 물의 유속이나 수압 등 외력의 영향을 받아서 전방의 설치된 도어(260)가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동작하면서 입구(21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물론, 물에 포함된 진개물은 오물 가이드 부재(120) 등에 의해서 입구(212)를 통해 물과 함께 오물 트랩(200)의 내부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오물 트랩(200)으로 입력된 진개물은 배면판(220)의 출구(222)에 설치된 망(270)에 걸리게 되어 오물 트랩(200)의 내부에 머무르게 되는 반면에 물은 망(270)을 통해 출구(222)로 흘러나가게 된다.
한편, 지형적인 영향 등에 의해서 물이 역류하게 되는 경우 등에서는 도어(260)가 닫히게 됨에 따라서 오물 트랩(200)에 갇혀진 오물이 입구(212)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오물 트랩(200)은 그 좌측면판(230), 우측면판(240) 및 하측면판(250) 등에 관통형성된 통공(232,242,252)을 통해서는 물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물의 흐름에는 큰 장애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100)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진개물의 수거가 필요한 장소에 따라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오물 트랩(200)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부유성 오물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오물 트랩(200)에 갇히게 된 부유성 오물은 수질을 관리하는 작업자 등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수거되어 적절한 과정을 통해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인 오물 트랩(200)은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그 제조가 이루어진 후 설치되기까지에는 각 측면이 분리된 채로 보관되거나 이송될 수 있어 관리 및 물류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 트랩의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가 설치된 평면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110. 지지기둥
120. 오물 가이드 부재 200. 오물 트랩
210. 전면판 212. 입구
220. 배면판 222. 출구
230. 좌측면판 240. 우측면판
250. 하측면판 232,242,252. 통공
214,224,234,244,254. 조립편 260. 도어
270. 망 280. 조립 핀
290. 나비 볼트 300. 부구

Claims (7)

  1. 수중에 설치되어 부유성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수중 또는 수변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 각각에 연결되어 하류가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되 부유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부유성 오물을 안쪽으로 유도하는 오물 가이드 부재;
    상기 오물 가이드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그 전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하측면판 각각이 분해 및 조립되도록 각 측면이 마주하는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해당 측면과의 조립을 위한 연속된 요철형상의 조립편이 형성되되 전면판 상에는 입구가 관통형성되는 한편 배면판에는 망 형상의 출구가 형성된 오물 트랩;
    상기 오물 트랩의 각 측면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게 각 측면의 조립편에 마련된 조립수단;
    상기 오물 트랩의 전면판 입구가 수압에 따라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전면판의 후측 상부에 힌지결합된 판 형태의 도어; 및
    상기 오물 트랩이 물에 뜬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좌우측면판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된 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트랩(trap)의 좌측면판, 우측면판 및 하측면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의 소통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트랩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 상에는 상기 부구가 체결되기 위한 부구조립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부구의 내측 상에는 상기 부구조립공에 끼워지는 후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트랩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의 상부에는 운반시 손으로 잡거나 크레인 장비에 걸기 위한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트랩의 배면판에 설치되는 출구는 망 형상으로 오물 트랩의 배면판에 대하여 조립 및 분리가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오물 트랩의 각 측면에 마련된 조립편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 및 상기 조립공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조립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트랩의 전후좌우 측면을 이루는 해당 측면 상에는 다수의 오물 트랩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측면끼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1020080053827A 2008-06-09 2008-06-09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1010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27A KR101026849B1 (ko) 2008-06-09 2008-06-09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27A KR101026849B1 (ko) 2008-06-09 2008-06-09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725A KR20090127725A (ko) 2009-12-14
KR101026849B1 true KR101026849B1 (ko) 2011-04-06

Family

ID=4168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827A KR101026849B1 (ko) 2008-06-09 2008-06-09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07B1 (ko) * 2014-01-10 2014-08-05 김재우 스컴수집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5B1 (ko) * 2006-10-19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소하천의 교량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5B1 (ko) * 2006-10-19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소하천의 교량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725A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US8734053B1 (en) Articulated baffle assembly
CN109137859A (zh) 一种水面漂浮物自动收集装置
CN106978846B (zh) 一种具有控制面源污染功能的全收集防堵塞截污挂篮
IT201800005132A1 (it) Sistema di intercettamento e raccolta di rifiuti e detriti in acqua
KR20120006734A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1026849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100899572B1 (ko)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KR100641742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해수교환 방파제
KR100973347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20120094877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0749718B1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239408B1 (ko) 이물질제거구가 구비된 스크린 장치
KR101889907B1 (ko)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CN209854688U (zh) 一种海上防污装置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1218770B1 (ko)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CN215165320U (zh) 一种具有漂浮物拦截结构的水闸
KR101435790B1 (ko) 하천취입보를 이용한 하천의 정화장치 구조
KR100703610B1 (ko)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