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610B1 -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 Google Patents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610B1
KR100703610B1 KR1020060087012A KR20060087012A KR100703610B1 KR 100703610 B1 KR100703610 B1 KR 100703610B1 KR 1020060087012 A KR1020060087012 A KR 1020060087012A KR 20060087012 A KR20060087012 A KR 20060087012A KR 100703610 B1 KR100703610 B1 KR 10070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river
sea
collection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08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에 관한 것으로,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물질 수거망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도 계속해서 하천수의 통수와 이물질 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하천(1)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간에 일정 폭을 두면서 각각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제1,2도입부, 상기 제1,2도입부의 해상측 단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해상측 벽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제1,2이물질 수거부(11,12)를 갖는 옹벽(10)과;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판상 구조물로서 상기 옹벽의 제1,2이물질 수거부에 각각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하천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2이물질 수거망(20,30)과; 전체적으로 판상이면서 일측은 상기 옹벽의 힌지 포인트에 힌지 결합되고 양측에 하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곡선형 안내부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첨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상기 제1,2도입부 중 어느 일측 도입부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2이물질 수거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하천과 연통시키는 댐퍼(40)으로 구성된다.
하천, 이물질, 해상, 이물질 수거부, 이물질 수거망, 댐퍼

Description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A SEA WASTE REMOVING ESTABLISH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의 구성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2는 제1이물질 수거부에서 이물질을 수거하는 상태이며,
도 3은 제2이물질 수거부에서 이물질을 수거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옹벽, 11,12 : 제1,2이물질 수거부
13,14 : 제1,2도입부, 20,30 : 이물질 수거망
40 : 댐퍼, 50 : 구동수단
본 발명은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물질 수거망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도 계속해서 하천수의 통수와 이물질 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있 도록 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줄기나, 소하천으로 흐르는 물을 보면 관광객이 버린 플라스틱병 등과 같은 쓰레기 및 부유물이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흐르는 하천에 떠다니는 쓰레기 및 부유물 등은 상수원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천을 떠다니는 부유물은 특히 장마철 또는 홍수시에 많은 피해를 가져 오기 때문에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 환경단체나 호소관리기관 등에서 인력을 동원에서 호소등에서 떠내려오는 초모류나, 쓰레기 등을 수거해서 건조시킨 후 소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력을 이용해서 하천 등의 부유물을 제거하기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마철 또는 홍수시에는 위험하기 때문에 부유물을 거의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마철 또는 홍수시에 떠내려 오는 초목류 등에 의해 소규모로 건축된 다리 등에 끼어 흐르는 하천을 방해 하여 범람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 이물질 수거용 그물망을 설치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이물질을 모으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물질 수거용 그물망에 모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에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여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그대로 해상으로 유입되는 문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하천수에 포함되어 해상에 유입되려는 각종 이물질이 해상에 유입되기 이전에 차단하며, 하천수의 통수와 이물질 여과 작업을 원활하게 하면서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은, 하천과 바다가 접하는 곳에 시공되며 다수의 이물질 수거부를 갖는 옹벽, 상기 이물질 수거부에 각각 장착되어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 수거망, 상기 다수의 이물질 수거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하천과 연통시키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 수거 시설은, 하천(1)과 바다(2)가 만나는 곳에 설치되며 좌우 대칭의 제1,2이물질 수거부(11,12)를 갖는 옹벽(10)과, 옹벽(10)의 제1,2이물질 수거부(11,12)에 각각 장착되어 하천수는 해수에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해수에 유 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1,2이물질 수거망(20,30)과, 옹벽(10) 내에 장착되어 제,2이물질 수거부(11,12)가 선택적으로 하천(1)과 유체 연통 가능하도록 개폐하는 댐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10)은 하천(1)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간에 일정 폭을 두면서 각각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제1,2도입부(13,14), 제1,2도입부(13,14)들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연통되는 제1,2이물질 수거부(11,12)로 이루어진다. 제1,2이물질 수거부(11,2)는 제1,2도입부(13,14) 사이의 중심선과 일치되는 부분의 힌지 포인트(제1,2이물질 수거부(11,12)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1,2도입부(11,12)의 해상측 단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해상측 벽에 각각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이 각각 장착되는 통공(11a,12a)이 형성된다.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은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판상 구조물로서 옹벽(10)의 제1,2이물질 수거부(11,12)에 각각 형성된 통공(11a,12a)에 결합되어 하천(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W)이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의 하단부에 집중되지 않도록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의 일면(하천(1)측 면)에는 다단의 이물질받이턱(21,31)이 형성된다.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에는 이물질(W)이 쌓이게 되며,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은 경사지면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통공(11a,12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경사형 슬라이드 레일(11b,12b)이 형성되며, 제 1,2이물질 수거망(20,30)의 좌우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11b,12b)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22,32)가 형성되어,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이 경사형 슬라이드 레일(11b,12b)을 따라 기울진 채로 승강한다.
댐퍼(40)는 하천(1)의 출구와 제1,2이물질 수거부(11,12)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2이물질 수거부(11,12)의 어느 하나는 하천(1)과 유체 연통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천(1)과 연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2이물질 수거망(20,30)의 어느 하나 예컨대 제1이물질 수거망(20)에 모인 이물질(W)을 제거할 때에는 제2이물질 수거망(30)으로만 하천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조는 전체적으로 판상이면서 일측은 옹벽(10)의 힌지 포인트(제1,2이물질 수거부(11,12)의 사이에 힌지(41) 결합되고 양측에 하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곡선형 안내부(42,43)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 자유 단부에 첨예부(44)가 형성된다.
즉, 첨예부(44)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제1,2도입부(13,14) 중 어느 일측 도입부(13,14)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제1,2이물질 수거부(11,12)를 선택적으로 하천(1)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댐퍼(40)는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수단은 예컨대, 댐퍼(40)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는 제1,2체인(51,52), 제1,2도입부(13,14)에 각각 장착되며 제1,2체인(51,52)을 감거나 풀어 댐퍼(40)의 첨예부(44)가 제1,2도입부(13,14)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구동하는 드럼(53,54)으로 구성된다. 드럼(53,54)은 각각 록킹핀(미도시)에 의해 그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이물질 수거부(11)에서 이물질(W)을 수거할 때에는 댐퍼(40)의 첨예부(44)가 제2도입부(14)에 맞닿아 제1이물질 수거부(11)는 하천(1)과 연통되고 제2이물질 수거부(12)는 하천(1)과 연통되지 않는다.
하천(1)에서 흘러오는 하천수는 제1도입부(13)와 댐퍼(40)의 제1안내부(42)의 안내를 받아 제1이물질 수거부(11)에 유입되어 제1이물질 수거망(2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부유물과 침전물)은 제1이물질 수거망(20)에 걸려 해수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1이물질 수거망(20)에 많은 양의 이물질(W)이 쌓여 제1이물질 수거부(11)를 통해서 하천수가 배출되지 못할 경우 제1이물질 수거망(20)에 쌓인 이물질(W)을 제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댐퍼(40)에 의해 제2이물질 수거부(12)를 하천과 연통시키고 제1이물질 수거부(11)를 폐쇄한다. 그 방법을 설명하면, 제2드럼(54)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 상태(록킹핀을 해제하는 방법 등)에서 제1드럼(53)을 감으면 제1체인(51)이 감기게 되어 댐퍼(40)가 힌지(41)의 안내를 받아 도 2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첨예부(44)가 제1도입부(11)에 접하게 되므로 도 3에서처럼, 하천(1)과 제2이물질 수거부(12)가 연통되고 제1이물질 수거부(11)는 하천(1)과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천수는 제2이물질 수거부(12)를 경유한 후 해상으로 흘러나가게 되어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W)이 제2이물질 수거망(30)에 모아지게 되며, 이 과정 중에 제1이물질 수거망(20)을 제1이물질 수거부(11)에 서 분리하여 이물질(W)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물질 수거망(30)에 이물질이 쌓여 통수가 원활하지 않으면, 이렇게 되면 댐퍼(40)를 다시 도 2처럼 이동하여 제1이물질 수거부(11)를 하천(1)과 연통시켜, 하천수가 제1이물질 수거부(11)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W)이 제1이물질 수거망(20)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에 의하면,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물질 수거망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중에도 계속해서 하천수의 통수와 이물질 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2)

  1.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 설치되어 상기 하천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다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해양수질오염 수거 시설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간에 일정 폭을 두면서 각각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제1,2도입부, 상기 제1,2도입부들 사이의 중심선과 일치되는 부분의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2도입부의 해상측 단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해상측 벽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제1,2이물질 수거부를 갖는 옹벽과;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판상 구조물로서 상기 옹벽의 제1,2이물질 수거부에 각각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하천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해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2이물질 수거망과;
    전체적으로 판상이면서 일측은 상기 옹벽의 힌지 포인트에 힌지 결합되고 양측에 하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곡선형 안내부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첨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상기 제1,2도입부 중 어느 일측 도입부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2이물질 수거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하천과 연통시키는 댐퍼와;
    상기 댐퍼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는 제1,2체인, 상기 제1,2도입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2체인을 감거나 풀어 상기 댐퍼의 첨예부가 상기 제1,2도입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하는 드럼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경사형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이물질 수거망은 하천측 면에 다단의 이물질받이턱이 형성되면서 그 좌우 양측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이물질 수거망이 상기 경사형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기울진 채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KR1020060087012A 2006-09-08 2006-09-08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KR10070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12A KR100703610B1 (ko) 2006-09-08 2006-09-08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12A KR100703610B1 (ko) 2006-09-08 2006-09-08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610B1 true KR100703610B1 (ko) 2007-04-09

Family

ID=3816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12A KR100703610B1 (ko) 2006-09-08 2006-09-08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301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만으로 유입되는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CN117684526A (zh) * 2024-01-29 2024-03-12 四川炬原玄武岩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玄武岩布料分离河道杂物的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1206A (ja) 1985-06-11 1987-04-25 Oyo Chishitsu Kk ダム濁水の浄化装置
KR100432521B1 (ko) 2003-10-06 2004-05-20 한갑석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468438B1 (ko) 2004-02-10 2005-01-31 강막동 강물의 부유 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1206A (ja) 1985-06-11 1987-04-25 Oyo Chishitsu Kk ダム濁水の浄化装置
KR100432521B1 (ko) 2003-10-06 2004-05-20 한갑석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468438B1 (ko) 2004-02-10 2005-01-31 강막동 강물의 부유 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301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만으로 유입되는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KR102614302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하천과 연결되는 해양의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CN117684526A (zh) * 2024-01-29 2024-03-12 四川炬原玄武岩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玄武岩布料分离河道杂物的装置及方法
CN117684526B (zh) * 2024-01-29 2024-04-16 四川炬原玄武岩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玄武岩布料分离河道杂物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503B1 (ko) 부유물 수거장치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0956387B1 (ko) 무동력으로 초기 우수 분리가 가능한 우수 집수 장치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KR100703610B1 (ko) 해양 수질 오염물 수거시설
KR100973347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JP2012036711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0406506B1 (ko)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KR100673982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49718B1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100972750B1 (ko) 제진기
KR100384198B1 (ko)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
KR20040114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JP4659495B2 (ja) 排水ポンプ設備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JP5097312B2 (ja) 流水中の除塵方法
KR101026849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CN213477120U (zh) 一种活鸡运输车辆清洗车间排水装置
KR20060039086A (ko) 수중보의 수질오염물 수세회수장치
JP3207397B2 (ja) 除塵設備
CN208815485U (zh) 一种水利工程用栅栏
JP2005307721A (ja) ごみ回収用浮き
CN210097053U (zh) 沉水式过滤装置
KR100691673B1 (ko) 소제도구 인입관을 구비한 교량용 배수장치
JP4444913B2 (ja) 除塵用立体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