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23B1 -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23B1
KR101026823B1 KR1020080115667A KR20080115667A KR101026823B1 KR 101026823 B1 KR101026823 B1 KR 101026823B1 KR 1020080115667 A KR1020080115667 A KR 1020080115667A KR 20080115667 A KR20080115667 A KR 20080115667A KR 101026823 B1 KR101026823 B1 KR 10102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crystals
powder
water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724A (ko
Inventor
배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향
Priority to KR102008011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뒤 남은 유골을 가루 형태의 유골분으로 만든 뒤 상기 유골분을 고온으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다시 냉각시켜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순수한 유골만으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할 때 유골분이 가열되는 도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가 구비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은 용융도가니 내부에서 유골분이 가열될 때 상기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골분을 향해 미립자 형태의 물을 분사하는 비산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가능하고, 이러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는 유골분을 용융시킬 때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해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골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유골분, 유골 결정체, 용융도가니, 비산방지부, 호형관, 분사노즐, 구동모터, 신축관

Description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APPARATUS FOR PREPARING A CRYSTAL OF CREMATED REMAINS}
본 발명은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뒤 남은 유골을 가루 형태의 유골분으로 만든 뒤 상기 유골분을 고온으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다시 냉각시켜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순수한 유골만으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할 때 유골분이 가열되는 도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가 구비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례방법은 그 민족의 문화, 기후, 관습의 차이에 따라 여러 형태로 행해진다. 이러한 장례방법은 대표적으로 매장과 화장을 들 수 있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장례방법은 매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시신을 매장하는 경우 묘를 만들기 위해 일정 공간이 필요하고,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함으로 인해 각 국가들은 한정된 국토에서 묘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수목의 회손이 증가함으로 인해 매장 형태의 장례문화는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각 국가들은 장례방식으로 화장을 권장하게 되었고, 여러 제도적인 지원과 홍보로 인해 화장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화장은 불교신도가 많은 국가 위주에서 점차 경제와 사회문화가 발전한 선진국으로 그 보급이 증가하고 있고, 유럽에서는 스위스나 네덜란드 등의 국가가 주변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장률이 높고, 아시아에서는 불교신도가 많은 태국 및 경제가 발전한 홍콩과 일본 등의 국가가 주변국들에 비해 화장률이 높은 편이다.
전통적인 화장법은 시체를 화장한 후 타고 남은 유골을 수습하여 분쇄한 뒤 유골분을 일정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골분을 장기간 보관하다보면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한 유골분은 부패되기 쉽고, 이 경우 유골분에 해충이 기생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화장후 발생된 유골분을 1500~3000도의 고온으로 재차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일정 크기의 구형 구슬로 냉각시켜 사리형태로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형태로 가공된 유골은 장시간 보관하여도 변질될 염려가 없어 화장의 새로운 장례문화로 그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유골분을 가열하는 장치에 대한 예로는 등록특허 제445338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가 있고, 유골분으로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에는 등록특허 제407145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먼저,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는 원형 도가니 안에 유골분을 넣고 도가니 일측에 형성된 화염투입구를 통해 화염을 공급해 도가니 내부의 유골분을 용융시키는 구조이고,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은 유골분을 가열시켜 용융시키되 일정 첨가제를 유골분에 투입하여 유골분이 가열될 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성된 결정체가 미려한 색을 띠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유족의 경우 유골분을 가열하여 결정체를 만드는 것에는 만족하나, 유골분에 첨가제가 첨가되고 완성된 결정체에도 첨가제가 남아 있게 되는 것에 대해서는 반감을 갔는 경우도 있다. 이는 유골 결정체가 고인의 순수한 유골만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어떠한 목적에서이건 불순물이 첨가되어 있다는데 반감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어떠한 첨가제도 사용하지 않고 유골분을 가열해야만 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골분을 가열할 때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유골분이 비산되는 문제가 있어 유골분을 모두 용융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는 유골분을 용융시키기 위해 가열할 때 유골분에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유골분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냉각시켜 얻어지는 유골 결정체가 순수한 유골만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고, 유골분을 가열시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유골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는 상기 유골분이 가열될 때 상기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골분에 물을 분사하는 비산방지부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유골분으로 이동되는 호형관, 상기 호형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골분을 향해 미립자 형태의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호형관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는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물이 상기 호형관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급수관과 상기 호형관은 신축관으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유골분이 가열되는 곳과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기 호형관이 상기 격벽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는 유골분을 용융시킬 때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해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골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첨가제 없이 유골분만으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므로 유족들에게 고인의 순수한 유골 결정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할 때 별도의 첨가물을 첨가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평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의 용융도가니에 비산방지구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는 외부 를 구성하는 본체(10), 유골분을 담는 용융도가니(20), 용융도가니(20)에 유골분을 투입하는 유골분 공급부(30), 상기 투입된 유골분이 용융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부(40), 상기 용융도가니(20)를 회전시키는 도가니 회전부(50) 및 상기 용융도가니(20)에 유골분이 담긴 뒤 상기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될 때 용융도가니(20) 내부에서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1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용융도가니(20)는 중공부(23)가 형성된 원형의 구 형상으로 제조되고, 측면에 유골분이 투입되는 유골분 투입구(21)와 상기 유골분 투입구(21)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용융도가니(20) 내부로 상기 유골분을 용융시키기 위한 화염이 투입되는 화염 투입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유골분 공급부(30)는 상기 용융도가니(20)의 측면에 구비된 유골분 투입구(21)를 통해 용융도가니(20) 내부로 유골분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용융도가니(20)와는 본체(10)의 격벽(1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상기 격벽(12)에 형성된 절개홈(13)을 통해 이동된다.
이러한 유골분 공급부(30)는 상기 용융도가니(20)를 향해 이동되어 유골분을 용융도가니(20)의 중공부(23)에 공급하고 유골분의 공급이 완료되면 다시금 후퇴하여 용융도가니(20)에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40)는 용융도가니(20) 내부의 유골분을 가열하여 유골분을 용융시키는 장치로서, 유골분을 1500~3000도의 화염으로 단계적으로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가열부(40)는 상기 용융도가니(20)의 측면에 구비된 화염 투입구(22)를 향해 고열의 화염을 투입할 수 있는 화염노즐(41)이 구비된다.
상기 도가니 회전부(50)는 상기 용융도가니(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용융도가니(20)에 유골분이 공급된 뒤 가열부(40)에 의해 가열될 때에는 상기 유골분 투입구(21)가 상부를 향하게 용융도가니(20)를 회전시키고, 용융도가니(20) 내부의 유골분이 모두 용융된 뒤에는 상기 유골분 투입구(21)가 하부를 향하도록 용융도가니(20)를 회전시켜 용융도가니(20) 내부의 유골 용융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도가니 회전부(50)는 용융도가니(20)와 축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용융도가니(20)를 회전시키게 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고 인력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용융도가니(20), 유골분 공급부(30), 가열부(40) 및 도가니 회전부(50)는 기존에 사용되던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에서도 모두 사용되던 일반적인 구성품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 구성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산방지부(100)는 상기 용융도가니(20)에 유골분이 투입된 뒤 가열부(40)의 화염에 의해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용융도가니(20) 내부로 미립자 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분사되는 물에 의해 유골분이 서로 응집되게 하여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비산방지부(100)는 만곡되게 구성된 호형관(110)과 상기 용융도가니(20) 내부로 삽입되는 호형관(110)의 단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20) 및 상기 호형관(1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호형관(110)을 살펴보면, 가열부(40)의 화염에 접촉되어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의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호형관(110)의 외관을 이루는 호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호형관(110)은 상기 회전축(140)과 지지대(111)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형관(110)은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단부가 상기 용융도가니(20)에 형성된 유골분 투입구(21)에 삽입되는 것이며, 그 단부에는 물을 미립자 형태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형관(110)은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호형관(110)의 지지대(111)에 결합된 풀리(150)와 벨트(151)로 연결되어 상기 호형관(110)을 상기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호형관(1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0)와 호형관(110)은 벨트(151)에 의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벨트와 동일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와 링크 등도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든 변경은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산방지부(100)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의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1)과 상기 급수관(16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형관(110) 으로 공급하는 신축관(163) 및 상기 호형관(110)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62)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산방지부(100)는 용융도가니(20)와 격벽(12)으로 분리되고, 용융도가니(20)에 물을 분사시킬 때에만 상기 구동모터(130)에 의해 작동되어 호형관(110)이 격벽(12)의 절개홈(13)을 통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산방지장치는 상기 제어밸브(162)의 조작에 의해 용융도가니(20) 내부로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중단하는 것으로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산방지부(100)가 용융도가니(20)와 격벽(11)에 의해 분리되게 하는 것은 유골분을 가열할 때 용융도가니(20)의 주변에는 1500~3000도의 고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고열로 인해 비산방지부(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비산방지부(100)는 사용될 때에만 격벽(11)에 형성된 절개홈(12)을 통해 비산방지부(100)의 호형관(110)과 분사노즐(120)이 용융도가니(2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뒤 수습된 유골을 고운 가루 형태의 유골분으로 가공한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된 유골분은 유골분 공급부(30)에 담기게 되고, 유골분 공급부(30)가 작동되면 상기 유골분은 유골분 투입구(21)를 통해 용융도가니(20) 내부로 공급된다. 유골분이 용융도가니(20) 내부로 모두 공급되면 유골분 공급부(30)는 격벽(12) 넘어 원위치로 돌아간다.
이후, 비산방지부(100)의 호형관(110)은 회전되어 단부의 분사노즐(120)이 용융도가니(20)의 유골분 투입구(21)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어밸브(162)가 작동되어 급수관(161)을 통해 공급된 물은 신축관(163)과 호형관(110)을 통해 분사노즐(1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물은 최종적으로 분사노즐(120)에서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용융도가니(20) 내부의 유골분을 응집시킨다.
상기와 같이 유골분이 응집된 뒤 비산방지부(100)의 호형관(110)은 다시금 구동모터(130)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격벽(12) 반대편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비산방지부(1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응집된 유골분은 가열부(40)의 화염노즐(41)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된다.
이후, 용융도가니(20)에서 배출된 유골 용융물은 일정크기로 분리된 뒤 냉각되어 유골 결정체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평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의 용융도가니에 비산방지구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10: 본체
11: 격벽 12: 절개홈
20: 용융도가니 21: 유골분 투입구
22: 화염 투입구 40: 가열부
41: 화염노즐 100: 비산방지부
110: 호형관 111: 지지대
120: 분사노즐 130: 구동모터
140: 회전축 150: 풀리
151: 벨트 161: 급수관
162: 제어밸브 163: 신축관

Claims (4)

  1. 고인의 유해를 화장하여 얻어지는 유골분을 용융시켜 유골 결정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으로 이동되는 호형관과, 상기 호형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골분을 향해 미립자 형태의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호형관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분이 가열될 때 상기 유골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골분에 물을 분사하는 비산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물이 상기 호형관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급수관과 상기 호형관은 신축관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유골분이 가열되는 곳과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기 호형관이 상기 격벽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KR1020080115667A 2008-11-20 2008-11-20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KR10102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67A KR101026823B1 (ko) 2008-11-20 2008-11-20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67A KR101026823B1 (ko) 2008-11-20 2008-11-20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724A KR20100056724A (ko) 2010-05-28
KR101026823B1 true KR101026823B1 (ko) 2011-04-04

Family

ID=422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667A KR101026823B1 (ko) 2008-11-20 2008-11-20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890B1 (ko) 2018-10-24 2019-12-04 비아로지스 주식회사 인조 보석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55Y1 (ko) 2006-09-29 2006-12-18 심요섭 수공에 의한 사리 제조 장치
KR100837689B1 (ko) 2007-03-08 2008-06-13 심요섭 로터리 타입 사리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55Y1 (ko) 2006-09-29 2006-12-18 심요섭 수공에 의한 사리 제조 장치
KR100837689B1 (ko) 2007-03-08 2008-06-13 심요섭 로터리 타입 사리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724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6030A (zh) 一种市政园林用新能源推车装置
KR101026823B1 (ko)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CN108834868A (zh) 一种无土栽培原生态组合柜
KR101733978B1 (ko) 커피 찌꺼기가 함유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CN206517812U (zh) 一种园林草坪碾压修剪机
CN205694294U (zh) 一种景观设计用剪草机
CN111527904A (zh) 一种全自动绿化带养护装置
KR101191333B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100936728B1 (ko) 사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3940706U (zh) 一种铁皮石斛烘干机
KR200465150Y1 (ko) 하우스 방재장치
KR200423345Y1 (ko) 죽염제조장치
CN215454439U (zh) 一种园林绿化用全自动喷灌装置
CN107675601A (zh) 一种市政道路标线装置
CN206744021U (zh) 一种水稻育苗装置
KR101399306B1 (ko) 죽염 제조장치
CN207755554U (zh) 可防止物料自燃的炒药机
CN207428242U (zh) 一种可加热抬升乌龟晒背台
KR100704026B1 (ko)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KR101081806B1 (ko) 사리 제조기
KR200414282Y1 (ko)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
KR101063520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CN109566316A (zh) 一种优质人参的大棚种植方法
CN109016322A (zh) 一种新型搁板及其制造方法
CN108207861A (zh) 一种市政绿化用新能源推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