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17B1 -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17B1
KR101026417B1 KR1020100072839A KR20100072839A KR101026417B1 KR 101026417 B1 KR101026417 B1 KR 101026417B1 KR 1020100072839 A KR1020100072839 A KR 1020100072839A KR 20100072839 A KR20100072839 A KR 20100072839A KR 101026417 B1 KR101026417 B1 KR 10102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ing
heat exchanger
wrinkles
thermal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혁
박재홍
조성열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치이
Priority to KR102010007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17B1/ko
Priority to PCT/KR2011/004954 priority patent/WO201201517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overheating, e.g. hea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allowing differential expansion betwe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프레임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전열판과, 상기 전열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 간의 열을 교환하는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열판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완충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라이닝과 상기 하부 라이닝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칼럼과; 상기 칼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의 꼭지점이 상기 홈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칼럼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상기 칼럼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칼럼라이너와; 상기 전열판이 열에 의하여 팽창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응력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지니고 있던 열충격에 의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열교환기가 이용 되어지는 각종 산업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PLATE HEAT EXCHANGER HAVING STRUCTURE FOR SOLVING THE THERMAL SHOCK}
본 발명은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지니고 있던 열충격에 의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열교환기가 이용 되어지는 각종 산업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란 고온유체와 저온유체간의 상호 열전달을 유도하여 작동유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높이거나 낮추는 장치이다. 열교환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요구되는 설치 면적이나 부피가 작으면서도 높은 효율을 내는 열교환기가 바로 판형 열교환기이다.
판형 열교환기는 크게 가스켓 형태와 용접 형태으로 나뉘는데 고온고압하의 작동환경에서는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주로 쓰이고 있다.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는 무늬를 넣은 전열판을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교호하며 적층시키며 용접하여 제작되는데 고온작동환경의 특성상 열에 의해 전열판이 수축하거나 팽창하게 된다.
특히, 정지되어 있던 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Starting condition) 상온을 유지하고 있는 열교환기의 전열판에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어 전열판과 그 전열판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기둥과 구조물 사이의 용접부위에서 열충격에 의하여 파손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2007년 7월 20일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10-0848329호에 기재된 발명은 전열판과 이를 지지하는 기둥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열판의 팽창과 수축시 전열판이 완충공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10-0848329호에 기재된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판형 열교환기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좌상측의 원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칼럼과 칼럼라이너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하 라이닝이 용접 접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하 라이닝이 용접될 경우에 상/하 라이닝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현상을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칼럼(40)과 칼럼라이너(50)를 포함하게 된다.
칼럼(40)은 판재를 결합하여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프레임(11,12,13,14)의 내측 네 모서리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프레임(11,12,13,14)에 밀착되어 프레임(11,12,13,14)과 칼럼(40) 사이로 유체가 흘러가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칼럼(40)은 각 기둥형상을 이루되 내측의 모서리는 상하로 길게 절단되어 평평한 완충면을 형성하게 된다.
칼럼라이너(50)는 칼럼(40)과 내부의 전열판(3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51)이 형성되어 전열판(30)의 가장자리가 홈(5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타측은 둘로 갈라져 칼럼(40)의 둘레에 밀착된다.
이때, 칼럼(40)의 완충면과 칼럼라이너(50)의 중앙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완충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 칼럼(40)의 완충면을 평평하게 하는 대신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칼럼라이너(50)는 일측에 다수개의 홈(51)이 형성된 제1부재(52)와, 제1부재(52)의 타측 말단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칼럼(40)의 둘레에 결합되는 두 개의 제2부재(53)로 구성되는데, 제2부재(53)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한다.
먼저 전열판(30)을 적층한 후 칼럼라이너(50)의 제1부재(52)의 홈(51)을 전열판(30)과 결합한 후 용접하게 된다. 이후 칼럼라이너(50)의 제2부재(53)의 말단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각형을 이루는 칼럼(40)의 둘레에 결합한 후, 칼럼(40)을 프레임 내부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칼럼(40)의 양측면에 단을 형성하여 칼럼라이너(50)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1,12,13,14)의 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프레임(11,12,13,14)에 형성된 유입구(11a, 12a, 13a, 14a)를 통해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면 전열판(30)이 그 열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칼럼라이너(50)의 제1부재(52)를 칼럼(40) 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칼럼라이너(50)의 제1부재(52)와 칼럼(40) 사이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부재(52)는 제2부재(53)를 구부리면서 칼럼(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열교환기의 작동이 정지되어 전열판(30)이 냉각되는 경우 전열판(30)이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부재(52)와 제2부재(53)는 제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열에 의해 전열판(30)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경우에도 칼럼라이너(50)가 변화를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용접형 판형열교환기의 구조상 상기 완충공간은 전열판(30)과 상/하부 라이닝(60, 70)의 용접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부분에서만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열판(30)의 열팽창 시에 상기 완충공간으로 전열판(30)이 이동함으로 인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용접 부위에 오히려 응력집중현상을 유발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여 상/하부 라이닝(60, 70)의 용접 부위에서 응력집중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열교환기가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지니고 있던 열충격에 의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열교환기가 이용 되어지는 각종 산업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프레임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전열판과, 상기 전열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 간의 열을 교환하는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열판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완충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라이닝과 상기 하부 라이닝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칼럼과; 상기 칼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의 꼭지점이 상기 홈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칼럼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상기 칼럼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칼럼라이너와; 상기 전열판이 열에 의하여 팽창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응력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칼럼의 완충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분산수단은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네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과, 상기 제1주름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라이닝에 형성된 주름부는 상기 상부 라이닝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라이닝에 형성된 주름부는 상기 하부 라이닝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주름과 상기 제2주름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 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주름 내측의 상부 라이닝과 하부라이닝의 판면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주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분산수단은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네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과, 상기 제1절개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응력분산수단은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로 이루어지는 절개부와,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과 하부 라이닝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과, 상기 제1주름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라이닝에 형성된 주름부는 상기 상부 라이닝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라이닝에 형성된 주름부는 상기 하부 라이닝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와, 상기 제1주름와 상기 제2주름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열판과 상기 상부 라이닝 및 상기 하부 라이닝은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주름, 제2주름,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주름 과 제2주름 굴곡면의 길이는 그 폭의 100% 내지 130%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용접형 판형 열교환기가 지니고 있던 상부 라이닝 및 하부 라이닝의 용접부위에 열충격으로 인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라이닝 및 하부 라이닝의 용접부위에 대한 응력집중과 피로응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열교환기가 이용되어지는 각종 산업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판형 열교환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좌상측의 원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칼럼과 칼럼라이너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하 라이닝이 용접 접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하 라이닝이 용접될 경우에 상/하 라이닝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현상을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상부 라이닝의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상부 라이닝의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전열판(110)과, 전열판(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 간의 열을 교환하는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프레임(100)의 내측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열판(11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완충면을 형성하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칼럼(200)과, 칼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310)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110)의 꼭지점이 홈(310)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칼럼(200)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칼럼(200)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칼럼라이너(300)와, 전열판(110)이 열에 의하여 팽창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응력분산수단(40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00)은 열교환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유로들이 구비된 판상의 금속재가 상호 결합되어 외부와 차폐되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그 내부 공간에는 하부라이닝(130), 전열판(110), 상부라이닝(1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전열판(110)은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실질적인 열교환 작용이 발생하는 곳이다.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은 각각 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전열판(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후술할 칼럼(200)과의 접촉면은 용접 접합됨으로써 칼럼(200)과 상부라이닝(120) 및 하부라이닝(130)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의 판면에는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과 칼럼(200)과의 용접 접합부위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응력분산수단(4000)이 구비되어 있다.
칼럼(20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교환기 내부의 네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으로서 전열판(110)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전열판(110)과 상호 접촉되는 모서리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굴곡진 완충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완충면은 칼럼(20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칼럼라이너(300)는 칼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310)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110)의 꼭지점이 홈(310)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칼럼(200)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칼럼(200)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부재이다.
응력분산수단(4000)은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네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410)과, 제1주름(410)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420)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400)이다.
열교환기의 최대 사용온도 350℃ 내지 400℃에서 전열판(110)의 변화량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기준으로 주름부(400)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 중 길이가 더 긴 변의 길이에 대하여 0.6% 정도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의 폭은 그 길이의 0.6%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의 폭이 그 길이의 0.55% 미만일 경우에는 열변형에 대한 변위의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용접 부위가 파손될 수 있으며,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의 폭이 그 길이의 0.75% 초과일 경우에는 전열판(1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제1주름(410) 과 제2주름(420)의 폭방향을 따라 굴곡면의 전체 길이는 그 폭의 110% 내지 130%가 되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 부위는 그 부위에 집중되는 응력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부 라이닝(120)에 형성된 주름부(400)는 상부 라이닝(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 또는 깊이를 갖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하부 라이닝(130)에 형성된 주름부(400)는 하부 라이닝(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또는 높이를 갖도록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도 9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판(300)과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의 용접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부분에서 배치된 전열판(300)이 열팽창 시에 상기 완충공간으로 이동하더라도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과 칼럼(200)의 용접 부위에 응력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의 판면에 주름부(400)를 구비하여 전열판(110)이 열팽창하여 완충공간 사이로 전열판(110)이 이동할 때 주름부(400)에서 칼럼라이너(300)와 상부라이닝(120) 및 하부라이닝(130)의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응력분산수단(5000)은,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네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510)과, 제1절개부(510)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520)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400)이다.
제1절개부(510)와 제2절개부(520)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절개부(611)와 제2절개부(520)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절개부(510)과 제2절개부(520)의 폭은 그 길이의 0.6%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1절개부(510)과 제2절개부(520)의 폭이 그 길이의 0.55% 미만일 경우에는 열변형에 대한 변위의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용접 부위가 파손될 수 있으며, 제1절개부(510)과 제2절개부(520)의 폭이 그 길이의 0.75% 초과일 경우에는 전열판(1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도 11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판(110)과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의 용접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부분에서 배치된 전열판(110)이 열팽창 시에 상기 완충공간으로 이동하더라도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과 칼럼(200)의 용접 부위에 응력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의 판면에 절개부(500)를 구비하여 전열판(300)이 열팽창하여 완충공간 사이로 전열판(110)이 이동할 때 절개부(500)에서 칼럼라이너(300)와 상부라이닝(120) 및 하부라이닝(130)의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의 응력분산수단(6000)은,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611)과, 제1절개부(611)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612)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610)와,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621)과, 제1주름(621)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622)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620)로 이루어진다.
상부 라이닝(120)에 형성된 주름부(620)는 상부 라이닝(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부 라이닝(130)에 형성된 주름부(620)는 하부 라이닝(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절개부(611)와 제2절개부(612)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와, 제1주름(621)와 제2주름(622)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주름(621), 제2주름(622), 제1절개부(611) 및 제2절개부(612)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주름(621), 제2주름(622), 제1절개부(611) 및 제2절개부(612)의 폭은 그 길이의 0.6%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1주름(621), 제2주름(622), 제1절개부(611) 및 제2절개부(612)의 폭이 그 길이의 0.55% 미만일 경우에는 열변형에 대한 변위의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용접 부위가 파손될 수 있으며, 제1주름(621), 제2주름(622), 제1절개부(611) 및 제2절개부(612)의 폭이 그 길이의 0.75% 초과일 경우에는 전열판(1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제1주름(621) 과 제2주름(622)의 폭방향을 따라 굴곡면의 전체 길이는 그 폭의 110% 내지 130%가 되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는, 도 13의 열팽창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판(110)과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의 용접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부분에서 배치된 전열판(110)이 열팽창 시에 상기 완충공간으로 이동하더라도 상부라이닝(120), 하부라이닝(130)과 칼럼(200)의 용접 부위에 응력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부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의 판면에 절개부(610)와 주름부(620)를 구비하여 전열판(110)이 열팽창 시 종래의 기술에서 가지고 있던 완충공간 사이로 전열판(110)이 이동할 때 절개부(610)와 주름부(620)에서 칼럼라이너(300)와 상부라이닝(120) 및 하부라이닝(130)의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킴에 기인한 것이다.
전열판(110)과 상부 라이닝(120) 및 하부 라이닝(130)은 정사각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는, 전열판(110)이 직사각 형상이면 이 형태에 따라 상부 라이닝(120) 및 하부라이닝(130)도 가로, 세로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데, 고온조건 하에서 전열판(110)의 변형이 발생했다고 가정했을 때 상부 라이닝(120), 하부 라이닝(130)의 짧은 변과 긴 변의 열변형량의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열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전열판(110), 상부 라이닝(120) 및 하부 라이닝(130)을 정사각 형상으로 구성 할 경우 짧은 변과 긴 변의 열변형량이 거의 일치하여 직사각 형상일 때보다 열충격에 의한 안정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짧은 변과 긴 변의 열 변형량 차이에 의해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비틀림을 최소화하는 수단으로 정사각 형태로 구성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주름(410) 내측의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주름(430, 440)이 형성된다.
상부 라이닝(120)에 구비된 제3주름(430, 440)은 돌출 형성되며, 하부 라이닝(130)에 형성되는 제3주름(430, 440)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3주름(430, 440)이 상부 라이닝(120) 및 하부 라이닝(130)과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전열판(110)과 접촉됨을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프레임 110 : 전열판
120 : 상부라이닝 130 : 하부라이닝
200 : 칼럼 300 : 칼럼라이너
310 : 홈 4000, 5000, 6000 : 응력분산수단
410 : 제1주름 420 : 제2주름
430 : 제3주름 440 : 제3주름
510 : 제1절개부 520 : 제2절개부
610 : 절개부 611 : 제1절개부
612 : 제2절개부 620 : 주름부
621 : 제1주름 622 : 제2주름

Claims (15)

  1. 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전열판(110)과, 상기 전열판(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 간의 열을 교환하는 판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열판(11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되어 완충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상기 하부 라이닝(130)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칼럼(200)과;
    상기 칼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개의 홈(310)이 형성되어 적층된 전열판(110)의 꼭지점이 상기 홈(310)에 삽입 결합되며, 타측은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칼럼(200)의 양측 면에 결합되되 상기 칼럼(200)의 완충면과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칼럼라이너(300)와;
    상기 전열판(110)이 열에 의하여 팽창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응력분산수단(4000,5000,6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200)의 완충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수단(4000)은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410)과, 상기 제1주름(410)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420)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주름(410)과 제2주름(420) 굴곡면의 길이는 그 폭의 110% 내지 130%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120)에 형성된 주름부(400)는 상기 상부 라이닝(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 또는 깊이를 갖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하부 라이닝(130)에 형성된 주름부(400)는 상기 하부 라이닝(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도록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름(410)과 상기 제2주름(420)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 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름(410) 내측의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라이닝(130)의 판면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판(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주름(430, 4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수단(5000)은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각각 상기 네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510)와, 상기 제1절개부(510)의 양단부에서 상기 네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520)로 이루어지는 절개부(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510)와 제2절개부(520)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510)와 상기 제2절개부(520)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 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수단(6000)은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1절개부(611)과, 상기 제1절개부(611)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면을 절개한 제2절개부(612)로 이루어지는 절개부(610)와,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한 쌍의 모서리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 라이닝(120)과 하부 라이닝(130)의 판면에 상기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1주름(621)과, 상기 제1주름(621)의 양단부에서 상기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프레스 가공된 제2주름(622)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라이닝(120)에 형성된 주름부(620)는 상기 상부 라이닝(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 또는 깊이를 갖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하부 라이닝(130)에 형성된 주름부(620)는 상기 하부 라이닝(1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갖도록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611)와 상기 제2절개부(612)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와, 상기 제1주름(621)과 상기 제2주름(622)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위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름(410, 621), 제2주름(420, 622), 제1절개부(510, 611) 및 제2절개부(520, 612)의 폭은 그 길이의 0.55% 내지 0.75%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주름(410, 621) 과 제2주름(420, 622) 굴곡면의 길이는 그 폭의 110% 내지 130%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판(110)과 상기 상부 라이닝(120) 및 상기 하부 라이닝(130)은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KR1020100072839A 2010-07-28 2010-07-28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KR10102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39A KR101026417B1 (ko) 2010-07-28 2010-07-28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PCT/KR2011/004954 WO2012015179A2 (ko) 2010-07-28 2011-07-07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39A KR101026417B1 (ko) 2010-07-28 2010-07-28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417B1 true KR101026417B1 (ko) 2011-04-07

Family

ID=4404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839A KR101026417B1 (ko) 2010-07-28 2010-07-28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6417B1 (ko)
WO (1) WO201201517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83B1 (ko) 2011-09-27 2012-05-31 조형석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KR101236820B1 (ko) 2013-01-11 2013-02-25 주식회사 유진이엔티 판형 열교환기의 용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8519A (zh) * 2012-02-28 2012-07-04 上海艾克森集团有限公司 一种双侧可拆卸板式换热器
CN103791739A (zh) * 2012-11-01 2014-05-14 四平维克斯换热设备有限公司 一种焊接板式换热器
DE102022112511A1 (de) 2022-05-18 2023-11-23 Man Truck & Bus Se Temperiervorrichtung mit mechanisch entkoppeltem Kühlberei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889A (ja) 1999-01-26 2000-08-02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のチュ―ブプレ―ト
KR200413998Y1 (ko) 2006-01-24 2006-04-1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변형 방지용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0848329B1 (ko) 2007-07-20 2008-07-25 임혁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KR20090038359A (ko) * 2007-10-15 2009-04-2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889A (ja) 1999-01-26 2000-08-02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のチュ―ブプレ―ト
KR200413998Y1 (ko) 2006-01-24 2006-04-1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변형 방지용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0848329B1 (ko) 2007-07-20 2008-07-25 임혁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KR20090038359A (ko) * 2007-10-15 2009-04-2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83B1 (ko) 2011-09-27 2012-05-31 조형석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WO2013048021A1 (ko) * 2011-09-27 2013-04-04 Cho Hyung Seok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KR101236820B1 (ko) 2013-01-11 2013-02-25 주식회사 유진이엔티 판형 열교환기의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5179A2 (ko) 2012-02-02
WO2012015179A3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417B1 (ko) 열충격 완화구조를 구비한 판형 열교환기
KR101996089B1 (ko) 단부 패널들에 개선된 연결부들을 구비하는 외부 열교환기 평판들을 구비하는 평판형 열교환기
US20140158328A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air coo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EP2682703B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air coo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US20110017436A1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US20120043064A1 (e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RU2013149571A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EP2682702B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air coo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KR100848329B1 (ko) 판형 열교환기의 열충격 완화구조
US20120037349A1 (en) Heat exchange element
JP2015529321A (ja) 特にt字形の接続エレメントを備えたプレート式熱交換器
WO2013087736A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te heat exchanger
KR20210065990A (ko) 플레이트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KR101458156B1 (ko) 냉매 가스를 사용하는 판형 열교환기
KR101017328B1 (ko) 열교환기용 전열판 및 이 전열판이 설치된 완전용접형 열교환기
JPS63129296A (ja) 交差流型プレ−ト熱交換器
KR20100122263A (ko) 판형 열교환기
KR101356474B1 (ko) 기체용 판형 열교환기
KR101987600B1 (ko)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KR101632954B1 (ko) 벌집 형태의 테두리를 가지는 디스크타입의 열교환기
JP6485918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101263573B1 (ko) 판형 열교환기
KR200424712Y1 (ko) 가스용 판형열교환기의 열팽창흡수 스프링
KR101897927B1 (ko) 고압용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ES2664103B1 (es) Placa de apilamiento para un intercambiador de calor de placas apiladas y un intercambiador de calor de placas apila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