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92B1 -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 Google Patents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292B1
KR101026292B1 KR1020100112015A KR20100112015A KR101026292B1 KR 101026292 B1 KR101026292 B1 KR 101026292B1 KR 1020100112015 A KR1020100112015 A KR 1020100112015A KR 20100112015 A KR20100112015 A KR 20100112015A KR 101026292 B1 KR101026292 B1 KR 10102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lorless
antifreeze
glass pan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흥
Original Assignee
박일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흥 filed Critical 박일흥
Priority to KR102010011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유리와, 무색 부동액이 순환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각틀 형상의 몸체의 양측에 제1 및 제2유리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제1 및 제2입출관이 연결되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수용부에 충진되는 티오콜과, 상기 티오콜이 충진된 스페이스바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판넬은 제1 및 제2유리와 스페이스바를 접착한 상태에서 그 테두리 부위에 티오콜을 충진하고 커버체로 씌워 마감처리함으로서 무색 부동액이 제1 및 제2유리와 스페이스바로 인한 내부공간을 순환 이동하더라도 수압으로 인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 온실의 효율 저하를 장기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multi-layered glass panel for glasshouse having colorless antifreeze circ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기를 차단하면서 화초나 과일, 채소들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재배공간을 갖는 유리온실에 다열로 배열 설치되어 무색 부동액의 순환하는 복층 유리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나 과일, 채소 등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하기 위해서는 온실의 사용이 절대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온실의 경우 보통 비닐이나 유리패널을 이용해 내부에 화초나 과일, 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재배공간을 갖는 하우스 형태의 비닐온실(비닐하우스)이나 유리온실로 제작되게 된다.
이때, 비닐온실의 경우 비닐을 이용하는 구조 특성상 바람이나 우박, 폭설 등 자연현상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필수적으로 별도의 냉,난방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비용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유리온실의 경우 전술한 비닐온실과 같이 구조 특성상 바람이나 우박, 폭설 등 자연현상에 취약하지는 않으나, 천정유리를 비롯해 유리온실 전체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천정유리에 맺힌 물방울이 열에 의해 증발되면서 유리온실의 내부가 매우 건조해져 일정한 습도를 유지시키기가 매우 어려움과 동시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을 자주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89766호를 제시한 바 있다. 이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에 관한 것으로, 뼈대를 이루는 철골프레임에 유리판넬을 다열로 배열 설치하여 외기를 차단하면서 화초나 과일, 채소들을 재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리온실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넬은 2장의 강화유리가 이격되어 내부공간을 갖으면서 하나의 판넬로 형성된 복층유리판넬로서 유리온실을 형성하며, 상기 유리온실의 상,하단에는 최상단 및 최하단의 복층유리판넬과 각기 연통되는 공급 및 회수용 배관이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공급 및 회수용 배관의 입,출구단에 공급 및 회수용 수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다열로 배열된 각 복층유리판넬의 상,하단에는 공급수조로부터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무색 부동액이 각 복층유리판넬의 내부공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입출관이 대각선 형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입출관을 통해 복층유리판넬이 각 열마다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에 제시된 복층유리판넬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2장의 강화유리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강화유리의 4면 각 테두리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재질의 스페이스바를 각각 설치 고정하여 밀폐된 하나의 판넬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각 복층유리판넬의 상,하단에는 공급수조로부터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무색 부동액이 각 복층유리판넬의 내부공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입출관이 대각선 형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입출관을 통해 복층유리판넬이 각 열마다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고, 상기 입출관의 경우 외부충격에 따른 복층유리판넬의 파손 시 상기 파손된 복층유리판넬의 입,출구측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원터치 형태로 결착되며, 상기 복층유리판넬의 입,출구측에는 입출관의 원터치 착탈이 원활하도록 원터치 삽입 결착방식의 입출관결속구가 설치되되 상기 4개의 스페이스바 중 상,하측에 위치된 2개의 스페이스바에 결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복층유리판넬은 강화유리가 스페이스바에 밀착 고정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따라 무색 부동액이 순환 유동한다.
그런데, 상기 복층유리판넬은 강화유리와 스페이스바가 단순 접착되어 있어 날씨 변화로 인한 온도차 또는 부동액의 순환압력의 변화 등에 의해 강화유리와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위가 벌어지는 현상으로 인한 부동액 누수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강화유리와 스페이스바의 단순 접착으로 인한 복층유리패널의 수명이 짧아 장기간 유리온실의 기능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해야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색 부동액이 순환하는 복층유리판넬의 구조를 개선하여 날씨 변화로 인한 온도차 또는 부동액의 순환 압력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복층유리판넬로 순환하는 무색 부동유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무색 부동액을 순환시키더라도 무색 부동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온실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복층 유리패널에 있어서, 상기 복층 유리패널은;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유리와, 무색 부동액이 순환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각틀 형상의 몸체의 양측에 제1 및 제2유리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제1 및 제2입출관이 연결되는 스페이스바와, 상기 수용부에 충진되는 티오콜과, 상기 티오콜이 충진된 스페이스바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스바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테두리에 상기 티오콜이 충진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에 상기 제1 및 제2유리가 부착되어 무색 부동액을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입출관을 통해 유입된 무색 부동액이 각 복층 유리판넬의 내부공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입출관은 상기 몸체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 대각선 형태로 각각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테두리 4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4개의 분할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제1 및 제2커버날개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는 인접한 커버들 간에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양단부 외측에는 기역(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코너연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제1 및 제2커버날개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에 밀착되는 실리콘재질의 마감부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에 밀착되는 접촉부위에 탄성을 가지는 밀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유리는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스바의 몸체 상측에는 내부공간의 공기 또는 부동액이 토출가능한 토출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바의 양측면에 부착된 제1 및 제2유리의 모서리부분은 코너 완충용 고무캡이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판넬은 제1 및 제2유리와 스페이스바를 접착한 상태에서 그 테두리 부위에 티오콜을 충진하고 커버체로 씌워 마감처리함으로서 무색 부동액이 제1 및 제2유리와 스페이스바로 인한 내부공간을 순환 이동하더라도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 온실의 효율 저하를 장기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무색 부동액을 순환시키더라도 무색 부동액이 수압으로 인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이 설치된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이 설치된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페이스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100)은 유리온실(1)에 설치된다.
유리온실(1)은 전체적으로 전,후면에 출입문을 구비함과 동시에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0) 상에 다수의 복층 유리패널(100)을 다열로 배열 설치하여 외기를 차단하면서 화초나 과일, 채소들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재배공간을 갖는 통상의 하우스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판넬(100)은 프레임(10) 상에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 2장의 유리가 이격되어 내부공간(S)을 갖으면서 하나의 판넬로 형성되며, 내부공간(S)에는 무색 부동액이 대각선 형태로 설치된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을 통해 다수의 복층유리판넬(100)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한다.
이때, 복층유리판넬(100)의 내부공간(S)을 따라 순환하는 무색 부동액의 온도에 의해 유리온실(1)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 계절에 관계없이 유리온실(1)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화초나 과일, 채소들을 보다 원활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온실(1) 중 상기 프레임(10)의 경우 내부에 재배공간을 갖는 하우스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격자모양의 철골 뼈대로 이루어져 다수의 복층 유리판넬(100)이 설치된다.
상기 복층 유리판넬(100)의 상,하,좌,우 각 면에 대하여 각기 이웃하게 배열 설치되는 각각의 복층 유리판넬(100)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 설치됨과 아울러, 서로 이격된 복층 유리판넬(100)들 사이에는 단열효과를 갖도록 수지나 섬유(미도시됨) 등을 충진시킨 후 마감덮개(미도시됨)로 덮어 마감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리온실(1)의 상,하단에는 최상단 및 최하단의 복층유리판넬(100)과 각기 연통되도록 공급용 배관(20)과 회수용 배관(30)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급 및 회수용 배관(20,30)의 입,출구단에는 최상단의 복층 유리판넬(100)부터 최하단의 복층 유리판넬(100)로 무색 부동액을 순환이동시키기 위한 펌프(42)와 무색 부동액을 회수하기 위한 수조(40)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수조(40) 내에 펌프(4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리온실(1)을 구성하는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10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복층 유리패널(100)은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유리(110,112)와, 무색 부동액이 순환되기 위한 내부공간(S)을 확보하기 위해 사각틀 형상의 몸체(121)의 양측에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몸체(12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수용부(122)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이 연결되는 스페이스바(120)와, 상기 수용부(122)에 충진되는 티오콜(130)과, 상기 티오콜(130)이 충진된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체(14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유리패널(100)의 각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복층 유리패널(10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유리(110,112)는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사각형상의 유리를 사용한다. 이 경우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안전한 장점이 있다.
이때, 접합유리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EVA 또는 PVB 접합필름을 삽입하여 접합한 구조로서 유리가 깨지는 경우 유리조각이 이탈되지 않아 안전하다.
한편, 상기 스페이스바(120)는 무색 부동액이 직접 접촉되므로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페이스바(120)는 그 몸체(121)가 무색 부동액이 순환되기 위한 내부공간(S)을 확보하기 위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121)의 테두리에는 수용부(122)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지지부(123,1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몸체(121) 일측에는 상기 제1유리(110)가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 그 몸체(121)의 타측에는 상기 제2유리(112)가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다. 즉, 상기 몸체(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지지부(123,124)에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가장자리가 접착제로 부착됨으로서 무색 부동액을 위한 내부공간(S)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몸체(121)의 양측면에 일체로 부착되므로 전체적으로 복층 유리패널(10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페이스바(120)는 그 몸체(121)의 테두리 상측에 무색 부동액이 유입되는 제1입출관(102)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121)의 테두리 하측에 무색 부동액이 유출되는 제2입출관(104)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입출관(102)을 통해 유입된 무색 부동액이 각 복층 유리판넬(100)의 내부공간(S)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은 대각선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입출관(102,1040)을 통해 각각의 복층 유리판넬(100)이 각 열마다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복층 유리판넬(100)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시 파손된 복층 유리판넬(100)의 입,출구측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은 원터치 착탈이 원활하도록 원터치 삽입 결착방식의 결속구(미도시됨)를 통해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은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몸체(121) 상하측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몸체(121) 상측에는 제1입출관(102)을 통해 물이 보충될 때 내부공간(S)의 공기가 유출되어야 하며 물과 같은 부동액이 순환 중에도 열에 의해 공기방울이 발생하는 경우 공기를 배출하거나, 제2입출관(104)을 잠그는 경우 내부공간(S)의 수압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토수구 역할을 하는 토출관(105)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가 스페이스바(120)의 양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기 위한 코너 완충용 고무캡(128)을 일체로 부착한다. 이와 같은 코너 완충용 고무캡(128)을 이용해 스페이스바(120)의 양측에 접합된 상태의 제1 및 제2유리(110,112) 모서리부분을 보호해 줌으로서 커버체(140)를 부착하는 경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모서리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가 양측면에 부착된 상태의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수용부(122)에는 티오콜(130)이 충진된다.
상기 티오콜(thiokol)(130)은 내유성, 내노화성, 내오존성이 우수한 다황화물계 고무(多黃化物系)로서, 제1 및 제2유리(110,112)와 스페이스바(120) 사이의 접착부위를 통해 무색 부동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티오콜(thiokol)(130)은 상기 수용부(122)에 충분하게 충진해 줌으로서 추후 커버체(140)를 씌우는 경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테두리와 스페이스바(120)의 제1 및 제2지지부(123,124) 테두리를 티오콜(130)이 감싸주어 무색 부동액의 누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티오콜(130)은 경화를 위해 자연 건조시에는 약 24시간이 소요되고 건조실을 이용해 건조시에는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제1 및 제2지지부(123,124)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122)에 티오콜(130)을 충진한 상태에서 커버체(140)를 씌우는데, 상기 커버체(140)는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 4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4개의 분할된 커버(142)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142)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가 양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는 복층 유리패널(100)의 내부공간(S)을 순환하는 무색 부동액이 온도상승으로 인한 부피팽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및 제2유리(110,112)와 스페이스바(12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커버(142)는 한번에 하나씩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를 따라 씌우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 일측의 수용부(122)에 티오콜(130)을 충진한 후, 하나의 커버(142)를 씌우고 인접 테두리의 수용부에 티오콜을 충진하고 다른 커버(142)를 씌우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모든 테두리를 감싸게 된다.
또한, 인접한 커버(142)들 간에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버(142)의 양단부 외측에는 기역(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코너연결구(150)를 이용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코너연결구(150)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되거나 또는 나사(151)를 체결하여서 커버(142)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42)의 양단부 외측에는 코너연결구(150)가 밀착되는 안착홈(142c)이 형성되어 코너연결구(150)의 체결로 인한 커버(142) 표면의 돌출부위를 없애주고 안정적인 코너 연결구(150)의 결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42)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의 테두리에 실리콘재질의 마감부재(160)가 끼워져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양측면에 밀착됨으로서 무색 부동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마감부재(160)의 접촉부위에는 탄성을 가지는 다수의 밀착돌부(162)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제1 및 제2유리(110,112)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무색 부동액의 누수 방지 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유리온실 10: 프레임
100: 복층 유리판넬 102: 제1입출관
104: 제입출관 110: 제1유리
112: 제2유리 120: 스페이스바
130: 티오콜 140: 커버체
150: 코너연결구 160: 마감부재

Claims (10)

  1. 유리온실(1)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복층 유리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복층 유리패널(100)은;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유리(110,112)와, 무색 부동액이 순환되기 위한 내부공간(S)을 확보하기 위해 사각틀 형상의 몸체(121)의 양측에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가장자리가 접착되고 몸체(12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수용부(122)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이 연결되는 스페이스바(120)와, 상기 수용부(122)에 충진되는 티오콜(130)과, 상기 티오콜(130)이 충진된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체(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140)는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테두리 4면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4개의 분할된 커버(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142)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12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21)의 테두리에 상기 티오콜(130)이 충진되는 수용부(122)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지지부(123,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123,124)에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가 부착되어 무색 부동액을 위한 내부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관(102)을 통해 유입된 무색 부동액이 각 복층 유리판넬(100)의 내부공간(S)을 지그재그 형태로 순환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입출관(102,104)은 상기 몸체(121)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에 대각선 형태로 각각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42)는 인접한 커버(142)들 간에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버(142)의 양단부 외측에는 기역(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코너연결구(1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42)의 제1 및 제2커버날개(142a,142b) 테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에 밀착되는 실리콘재질의 마감부재(16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60)는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에 밀착되는 접촉부위에 탄성을 가지는 밀착돌부(1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리(110,112)는 강화유리 또는 접합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몸체(121) 상측에는 내부공간(S)의 공기 또는 부동액이 토출가능한 토출관(10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120)의 양측면에 부착된 제1 및 제2유리(110,112)의 모서리부분은 코너 완충용 고무캡(128)이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10. 삭제
KR1020100112015A 2010-11-11 2010-11-11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KR10102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015A KR101026292B1 (ko) 2010-11-11 2010-11-11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015A KR101026292B1 (ko) 2010-11-11 2010-11-11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292B1 true KR101026292B1 (ko) 2011-03-31

Family

ID=4393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015A KR101026292B1 (ko) 2010-11-11 2010-11-11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022B1 (ko) 2012-03-19 2012-09-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유리온실구조물의 유리 교체 방법
KR102628169B1 (ko) * 2023-07-04 2024-01-23 주식회사 대성그라스팜 복층 유리패널을 이용한 유리온실하우스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34B1 (ko) * 1993-07-08 1996-03-13 이몽용 액체 수납 블록
KR200334590Y1 (ko) 2003-05-23 2003-11-28 라영수 튜브층공기 가온순환 2중 피복온실
KR20090027315A (ko) * 2007-09-12 2009-03-17 손창민 투명 열 차단 접합 구조물
KR100989766B1 (ko) * 2010-05-19 2010-10-26 박일흥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34B1 (ko) * 1993-07-08 1996-03-13 이몽용 액체 수납 블록
KR200334590Y1 (ko) 2003-05-23 2003-11-28 라영수 튜브층공기 가온순환 2중 피복온실
KR20090027315A (ko) * 2007-09-12 2009-03-17 손창민 투명 열 차단 접합 구조물
KR100989766B1 (ko) * 2010-05-19 2010-10-26 박일흥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022B1 (ko) 2012-03-19 2012-09-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유리온실구조물의 유리 교체 방법
KR102628169B1 (ko) * 2023-07-04 2024-01-23 주식회사 대성그라스팜 복층 유리패널을 이용한 유리온실하우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9732C (en) Multi-layered heat insulating window panel
ES2392866T3 (es) Unidad de ventana con alto valor R
US4127103A (en) Heat collect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and systems adapted for use with solar energy
US4159017A (en) Solar panel system
EP1864568A1 (en) Building material, bui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door environment in a building
US20100000520A1 (en) Perforated transparent glazing for heat recovery and solar air heating
US20130276773A1 (en) Solar Thermal Collectors and Thin Plate Heat Exchangers for Solar Applications
CN104060733A (zh) 一种光伏幕墙
KR101404306B1 (ko) 플라베니아 패널을 이용한 냉온수 순환구조를 갖는 온실
KR101518277B1 (ko) 이중 피복 온실
KR100989766B1 (ko)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KR101026292B1 (ko)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용 복층 유리패널
KR20140040656A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CN202857415U (zh) 栽培用大棚
JP4629620B2 (ja) 農業用ハウスの二重断熱空間構造
JP3690605B2 (ja) 温室
US20120090599A1 (en) Solar window heater
US11561026B1 (en) Thermal transfer device for covers
ES2345092B2 (es) Cerramiento para el control de las cargas termicas de edificios.
KR102506956B1 (ko) 수막층을 이용한 저전력 고효율 피복 구조
KR100325129B1 (ko) 비닐하우스 보온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14016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adapted for thermal regulation therein
US10208532B2 (en) Thermally insulating curtain
US20130326974A1 (en) Window assembly and construction module assembly using thermobimetals
EA007557B1 (ru) Перегородк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в помещен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