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32B1 -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32B1
KR101026132B1 KR1020100076911A KR20100076911A KR101026132B1 KR 101026132 B1 KR101026132 B1 KR 101026132B1 KR 1020100076911 A KR1020100076911 A KR 1020100076911A KR 20100076911 A KR20100076911 A KR 20100076911A KR 101026132 B1 KR101026132 B1 KR 10102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ductive plate
protrusion
burr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토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토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토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피가공물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상기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는 버어(124)를 형성하여 상기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버어(124)가 구비된 형상의 도전판(120)을 성형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오목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31)의 주위에는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는 돌부(32)를 구비하며 상기 돌부(32)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융기부(39)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30)를 만드는 용기 성형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상기 용기(30)의 상기 오목홈(31)에 끼워지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는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도록 가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상기 용기(30)의 상기 오목홈(31)의 바닥면을 파고들어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상기 융기부(39)가 눌려지면서 상기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하여 상기 도전판(120)이 상기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and the cooking vessle thereby}
본 발명은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 용기 제조 과정에 있어서도 편리한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랜지(induction range)는 자력(磁力)을 발생시켜 용기의 바닥면에 전기(자력) 소용돌이 효과에 의하여 용기가 급속하게 스스로 발열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화재의 위험성은 물론, 가스를 열원으로 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없어서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식당 등의 요식업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인덕션 랜지는 통상 금속재질의 조리용기가 사용되며, 경량성을 위해 비교적 가벼운 비도전성의 금속 재질, 다시 말해 알루미늄 등으로 성형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금속 재질, 다시 말해 철이나 철함유 합금 재질의 도전판(자기장 속에서 자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중에서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 외부 바닥면에 도전판을 올려놓고 도전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여 도전판이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 제품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싱 작업에 의해 도전판을 용기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방식에 의하면,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 외부 바닥면에 복수개의 버어 결합홈을 형성하고, 도전판에는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버어(도전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임)를 형성하여, 도전판의 각각의 버어가 용기의 버어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용기의 외부 바닥면 위에 도전판을 올려놓고,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도전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는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면, 용기의 외부 바닥면 전체가 찌그러들면서 버어 결합홈 주변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턱에 도전판의 버어가 걸려짐으로써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도전판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구조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방식의 경우, 도전판의 버어가 걸려지는 지지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용기의 외부 바닥면 전체를 찌그러뜨려야 하므로, 그만큼 매우 높은 힘으로 프레싱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처럼 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켜야 하므로 그만큼 대용량의 프레싱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작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보다 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켜야 하고, 이처럼 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키면, 용기의 눌려지는 부분이 용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오고, 이러한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알루미늄 용기가 터져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와 같은 프레싱 작업시 밀려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용기가 터져 버리면 조리용기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거나 다시 용기를 성형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종래 조리용기 제작시 야기되는 문제점을 다시 정리하면, 도전판과 함께 용기를 눌러주는 힘이 매우 커야 되고, 이처럼 눌러주는 힘이 매우 높아야 됨으로 인해 대용량의 프레싱 장치가 필요하며, 용기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킴으로 인하여 바깥으로 밀려나오는 부분에 생겨서 용기 자체가 터지게 되므로 제품 불량 등이 많이 초래된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제품의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용기의 바닥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프레스 힘으로 인해 외부로 밀려 나오는 부분에 의해 용기가 터져버리는 것과 같은 불량을 미연에 차단하고 용기 제조 과정에 있어서도 비교적 콤팩트한 프레싱 장치를 사용하면 되므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리한 등의 여러 바람직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는 새로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피가공물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돌부 결합공 둘레부에는 버어를 형성하여 상기 돌부 결합공 둘레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버어가 구비된 형상의 도전판을 성형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의 주위에는 상기 돌부 결합공에 끼워지는 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부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융기부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를 만드는 용기 성형 과정과,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가 상기 용기의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의 상기 돌부는 상기 돌부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가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가 상기 용기의 상기 오목홈의 부분을 파고들어 지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상기 돌부 상면에 구비된 상기 융기부가 눌려지면서 상기 도전판을 잡아주는 지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도전판이 상기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가공물 모재판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돌부 결합공 둘레부에는 버어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에 버어가 돌출된 형상의 도전판을 형성하되 상기 버어는 하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버어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버어 결합홈의 주위에는 상기 버어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를 성형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가 상기 용기의 상기 버어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돌출부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도전판의 상기 버어를 걸어주는 지지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전판의 상기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용기의 오목홈에 안착되는 도전판의 버어가 프레싱 작업에 의해 용기의 오목홈 부분을 파고들어 도전판을 잡아주는 지지턱을 형성하고 용기의 돌부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가 눌러지면서 도전판을 잡아주는 지지턱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바닥면에 도전판이 고정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용기의 바닥부 전체를 매우 큰 힘을 가하여 눌러주는 방식에 비하여 용기가 터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프레스 장치의 용량도 그만큼 콤팩트한 것을 사용해도 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는 용기의 외측 바닥면에 올려진 도전판 프레싱 작업시 용기의 버어 결합홈 주위에 위로 미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부분만이 찌그러지면서 지지턱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턱이 도전판의 버어를 잡아줌으로써 용기의 외측 바닥면에 도전판이 고정된 구조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용기의 바닥 부분 전체를 매우 큰 힘을 가하여 눌러주는 방식에 비하여 용기가 터져버리는 경우가 없으며, 이로 인해, 프레스 장치의 용량도 그만큼 콤팩트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특히, 용기의 변형 터짐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종래에는 지나치게 높은 힘으로 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켜야 하고, 이처럼 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키면, 용기의 눌려지는 부분이 용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오고, 이러한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알루미늄 용기가 변형되거나 터져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용기가 변형되거나 터져 버리면 조리용기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거나 다시 용기를 성형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용기의 버어 삽입용 버어 결합홈의 주변에 미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부분만이 눌려져서 버어 결합홈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지지턱을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턱이 도전판의 버어를 잡아서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용기의 바닥면 전체 변형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처럼 용기의 바닥면 전체 변형이 생기지 않아서 무리하게 바깥으로 밀려 나오는 부분이 없으므로, 용기 자체가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변형되거나 터져버리는 현상을 근절할 수 있고, 이처럼 조리용기 성형중에 용기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해 불량률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며, 용기에서 돌출부 부분만이 찌그러지면서 도전판 지지용 지지턱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매우 과도한 힘으로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대용량의 프레스 장치가 필요없이 콤팩트한 용량의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도 되는 장점을 가지며, 나아가, 비교적 작은 용량의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므로 작업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전판의 버어가 끼워지는 버어 결합홈은 용기의 외측 바닥면에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된 돌부에 인접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버어 결합홈의 상단부는 돌부의 상면으로 연통되고, 이러한 버어 결합홈의 돌부 상면으로 연통된 부분의 주위에는 다른 돌출부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도전판 위에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할 때에 돌출부가 같이 아래로 찌그러지면서 보조 지지턱을 형성하고, 이 보조 지지턱은 도전판의 버어 주위를 걸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전판의 버어를 아래의 지지턱에 의해 잡아주고 도전판의 상면 부분을 위쪽의 보조 지지턱에 의해 잡아주는 이중 지지턱 지지 구조를 갖춘 조리용기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도전판이 용기의 바닥면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기 전체의 변형이 아니라 돌출부 부분만 변형되면서 생기는 지지턱이 도전판을 용기 바닥면에 고정하는 방식을 취함으로 인하여 제품(즉,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초래되지 않으며, 용기의 바닥면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도전판의 안쪽면과 용기의 바깥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의 바깥면에 가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에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의 결합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도전판의 안쪽면과 용기의 바깥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에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도전판과 용기의 바깥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a는 도 7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 8b는 도 8a의 A-A선 종단면도
도 8c는 도 8a의 B-B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에 가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는 도 9에서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A-A선 종단면도
도 10c는 도 10a의 B-B선 종단면도
도 11a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를 프레싱 작업에 의해 조립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바닥 부분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가로 방향 종단면도
도 11c는 도 11a의 세로 방향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이전의 주요부의 바닥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를 가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는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를 프레싱 작업에 의해 조립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바닥 부분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A-A선 종단면도
도 14c는 도 14a의 B-B선 종단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도전판과 용기를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도전판의 안쪽면과 용기의 바깥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의 바깥면에 가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에 조립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의 결합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된 피가공물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이러한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는 버어(124)를 형성함으로서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버어(124)가 구비된 형상의 도전판(120)을 성형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오목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31)의 주위에는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는 돌부(32)를 구비하며 돌부(32)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융기부(39)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30)를 만드는 용기 성형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용기(30)의 오목홈(31)에 끼워지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용기(30)의 돌부(32)는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도록 가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용기(30)의 오목홈(31) 바닥면을 파고들어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융기부(39)가 눌려지면서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함으로써 도전판(20)이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된 구조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드는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도전판(120)은 철(Fe) 또는 철함유 합금 재질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프레스 가공되는 것으로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부 결합공(122)은 도전판(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연장된 결합공과, 이러한 방사 방향 결합공에 이어지도록 형성된 원호형 구멍 형상의 복수개의 결합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은 원형이나 기타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버어(124)가 형성되어 있다. 도전판(120)을 만들기 위해 도전성 금속재질의 모재판을 펀칭 장치 등을 이용하여 따내기 방식으로 가공하면, 상기 돌부 결합공(122)이 형성됨과 동시에 아래로 뾰족한 쐐기 형태의 버어(124)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판(120)의 버어(124)는 외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된 평탄면을 가짐과 동시에 평탄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단면 쐐기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도전판(120)의 프레싱 작업시 버어(124)가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용기(30)의 오목홈(31)의 바닥면으로 파고들어 지지턱(142)(도 3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버어(124)는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폐루프 구조를 갖는다. 결국, 도전판(120)은 도전성 금속 재질의 피가공물을 피어싱 가공 등의 방식에 의해 돌부 결합공(122)을 형성하면서 돌부 결합공(122)의 하측으로는 버어(124)를 가지며, 동시에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복수개의 결합편(121)(도 3 및 도 4 참조)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용기(30)는 내부에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수용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이러한 용기(30)는 알루미늄(Al) 또는 비도전성 금속으로 성형된다. 이 용기(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미도시)가 착설된다.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는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과 형합되는 돌부(32)가 구비된다. 또한, 돌부(32)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오목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는 융기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융기부(39)는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과, 이러한 경사면에 하향으로 이어진 평탄면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용기(30)의 외측 바닥면 위에 도전판(120)을 올려놓고 눌러주는 프레싱 과정에서 융기부(39)가 바깥면으로 펴지면서 도전판(120), 구체적으로, 도전판(120)의 결합편(121)(도 3 및 도 4에 도시됨)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융기부(39)는 돌부(32)의 둘레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폐루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39)는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형성된 결합편(121)의 코너부와 인접하는 모서리부(예를 들어, 도 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에 상측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도 4에 도시됨)가 더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는 코너 부분의 지지턱(142)의 형성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의 ⓐ는 상기 코너 부분을 평면도로 보여주고, 도 4의 ⓑ는 도전판(120)의 결합편(121)의 모서리부 아래 위치의 버어(124)가 용기(30)의 바닥부 오목홈(31)에 파고들기 이전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보여주며, 도 4의 ⓒ는 도전판(120)의 결합편(121)의 모서리부 아래 위치의 버어(124)가 용기(30)의 바닥부 오목홈(31)에 파고들어 지지턱(142)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종단면으로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형성된 결합편(12)과 하향 연장된 버어(124)가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홈(31)에 끼워지도록 도전판(120)을 용기(30)의 외측 바닥면 위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도전판(1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눌러주는 프레싱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면, 도전판(120)이 프레싱하는 힘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면서 버어(124)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용기(30)의 오목홈(31)의 바닥면을 파고들어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동시에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융기부(39)가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함으로써, 도전판(20)이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된 구조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용기(30)의 오목홈(31) 주위 돌부(32) 상면에 돌출 형성된 융기부(39)가 눌려지면서 생기는 위쪽의 지지턱(142)이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생긴 결합편(121)을 잡아주는 이탈 방지턱이 됨과 동시에 용기(30)의 오목홈(31) 바닥면을 파고드는 쐐기 형상의 버어(124)에 의해 아래쪽의 이탈 방지턱인 지지턱(142)이 형성되므로, 도전판(120)이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하고 신속한 프레싱 작업에 의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판(120) 부분을 아래로 눌러주는 프레싱 작업시에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용기(30)의 돌부(32) 부분을 파고들어가서 아래 위치의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동시에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융기부(39)가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위쪽 위치의 지지턱(142)을 형성함으로써, 도전판(120)이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용기(30)의 돌부(32) 부분에 파고들어가서 지지턱(142)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좀더 정확하게는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바깥으로 펼쳐지면서 용기(30)의 오목홈(31)의 바닥면과 돌부(32) 부분에 파고들어가서 지지턱(142)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기(30)의 오목홈(31)에 안착되어 있던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프레싱 작업에 의해 용기(30)의 오목홈(31) 부분을 파고들어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동시에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39)가 눌러지면서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함으로써 용기(30)의 바닥면에 도전판(120)이 고정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신속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용기(30)의 바닥부 전체를 매우 큰 힘을 가하여 눌러주는 방식에 비하여 용기(30)가 터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프레스 장치의 용량도 그만큼 콤팩트한 것을 사용해도 되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도전판(120)의 돌부 삽입공(122)의 너비는 용기(30)의 바닥면 오목홈(31)의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되어 도전판(120)의 돌부 삽입공(122)과 용기(30)의 오목홈(31)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싱 작업에 의해 용기(30)의 돌부(32)에 형성된 융기부(39)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상기 스페이스로 유입되어 보다 확실하게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지나치게 높은 힘으로 용기(30)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켜야 하고, 이처럼 용기(30)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키면, 용기(30)의 눌려지는 부분이 용기(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오고, 이러한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알루미늄 용기(30)가 변형되거나 터져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용기(30)가 터져 버리면 조리용기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거나 다시 용기(30)를 성형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무리가 가지 않는 프레싱 작업시 도전판(120)의 버어(124)가 용기(30)의 오목홈(31) 부분을 파고들어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용기(30)의 돌부(32) 상면의 융기부(39)가 눌러지면서 상측의 지지턱(142)을 형성하여 용기(30) 바닥면에 도전판(12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용기(30)의 바닥면 전체 변형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처럼 용기(30)의 바닥면 전체 변형이 생기지 않아서 무리하게 바깥으로 밀려 나오는 부분이 없으므로, 용기(30) 자체가 밀려 나오는 부분에 의해 터져버리는 현상을 근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처럼 조리용기 성형중에 용기(30)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해 불량률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매우 과도한 힘으로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대용량의 프레스 장치가 필요없이 콤팩트한 용량의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 하측으로 연장된 버어(124)는 외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된 평탄면을 가짐과 동시에 평탄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단면 쐐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전판(120) 프레싱 작업시 버어(124)가 중심부(안쪽 위치)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펼쳐지므로, 용기(30)의 오목홈(31)의 바닥면으로 보다 원활하게 파고들어 지지턱(14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제작상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39)도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과, 이러한 경사면에 하향으로 이어진 평탄면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싱 과정에서 융기부(39)가 바깥면으로 보다 원활하게 펴지면서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보다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작시의 공정상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용기(30)의 돌부(32) 상면 융기부(39)가 제대로 방향성을 갖도록 안쪽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제대로 지지턱(142)을 형성하므로, 융기부(39)가 제대로 눌려지지 않아 도전판(120)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작시의 작업 신뢰성을 보다 높이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39) 중에서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형성된 결합편(121)의 코너부와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상측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조 지지턱 형성부(도 4의 ⓐ에 평면도로 도시됨)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싱 작업시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가 보다 많이 아래로 눌려지면서 도전판(120)의 결합편(121)의 코너부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상의 신뢰성은 물론 조리용기 자체의 제품 신뢰성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을 피어싱하는 작업중에는 결합편(121)의 코너부가 특히 아래로 두께가 얇아지는 곡면부를 갖는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보다 두꺼운 지지턱(142)으로 잡아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용기(30)의 돌부(32)에 형성된 융기부(39) 중에서 상기 도전판(120)의 결합편(121)의 코너부와 인접되는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를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이며, 이러한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가 프레싱 작업시 눌려지면서 용기(30)의 돌부(32)와 도전판(120)의 곡면형 코너부 사이의 보다 많이 생겨있는 공간부를 채워서 보다 두꺼운 지지턱(142)을 형성함으로써 도전판(120)의 결합편(121)의 코너부를 더욱 튼실하게 잡아줄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작업 공정상의 신뢰성 및 조립된 조리용기 자체의 제품 신뢰성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도전판의 안쪽면과 용기의 외부 바닥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전판을 용기에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5와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도전판(120)의 돌부 결합공(122)의 형상과 버어(124)의 배열 구조와 용기(30)의 돌부(32) 형상 및 오목홈(31)의 배열 구조만 다르고,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과 이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용기(30)와 도전판(120)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7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인 모재판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22)을 형성하고 돌부 결합공(2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버어(24)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22)에 버어(24)가 돌출된 형상의 도전판(20)을 형성하되 버어(24)는 하단으로 갈수록 좌우 너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도전판(20)의 버어(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버어 결합홈(34)을 형성하고 버어 결합홈(34)의 주위에는 버어(24)의 주변에 배치되는 돌출부(36)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30)를 성형하는 과정과, 도전판(20)의 버어(24)가 용기(30)의 바닥면 버어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조립하는 과정과, 도전판(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용기(30)의 돌출부(36)가 찌그러지면서 도전판(20)의 버어(24)를 걸어주는 지지턱(42)을 형성함으로써 도전판(20)의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 주변의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38)도 찌그러지면서 보조 지지턱(44)을 형성함으로써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도전판(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판(20)은 철(Fe) 또는 철함유 합금 재질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프레스 가공되는 것으로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22)이 형성된다. 돌부 결합공(22)은 도전판(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연장된 결합공과, 이러한 방사 방향 결합공에 이어지도록 형성된 원호형 구멍 형상의 복수개의 결합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버어(24)가 형성되어 있다. 도전판(20)을 만들기 위해 도전성 금속재질의 모재판을 펀칭 장치 등을 이용하여 따내기 방식으로 가공하면, 상기 돌부 결합공(22)이 구비된 예비 도전판을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예비 도전판의 돌부 결합공(22)으로 돌출된 버어 형성편을 예비 도전판에 대해 직각 방향 아래로 절곡시킴으로써 돌부 결합공(22) 둘레부 부분에 복수개의 하향 절곡된 버어(24)를 갖는 구조의 도전판(2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버어(24)는 도전판(20)의 상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 너비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단면 역사다리꼴로 구성된다. 즉, 버어(24)가 위쪽부터 아래로 너비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버어(24)는 이러한 단면 역사다리꼴 이외에도 아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너비가 커지는 구조는 모두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버어(24)는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 주위와 외곽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30)는 내부에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수용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이러한 용기(30)는 알루미늄(Al) 또는 비도전성 금속으로 성형된다. 이 용기(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미도시)가 착설된다.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는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과 형합되는 돌부(32)가 구비된다. 또한, 돌부(32)의 측방에 인접되도록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버어 결합홈(3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버어 결합홈(34)은 용기(30)의 상면을 기준으로 좌우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직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버어 결합홈(34)의 주위에는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36)는 도전판(20)의 버의 좌우단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6b)와, 도전판(20)의 버어(24)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36a)로 구성된다. 용기(30)의 돌부(32)가 버어(24)의 일면에 구비되므로, 제2돌출부(36a)는 용기(30)의 돌부(32)와 반대되는 위치에 마주하도록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는 버어 결합홈(34)과 인접되는 위치에 돌출부(38)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은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구비된 돌부(32)에 인접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버어 결합홈(34)의 상단부는 돌부(32)의 상면으로 연통되며, 이러한 버어 결합홈(34)의 돌부(32) 상면으로 연통된 부분의 주위에는 돌출부(38)가 구비된다. 이때, 돌출부(38)는 도전판(20)의 버어(24)의 좌우단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8b)와, 도전판(20)의 버어(24)의 양면 중에서 한쪽 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38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6 및 38)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삼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돌출부(36 및 38)는 윗부분이 뾰족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전판(20)의 각 버어(24)가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각각의 대응하는 버어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도전판(20)을 용기(30)의 외측 바닥면 위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도전판(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눌러주는 프레싱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면, 도전판(20)이 프레싱하는 힘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면서 도전판(20) 자체에 의해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 주위 돌출부(36)가 찌그러지면서 지지턱(42)이 형성되고, 도전판(20)의 버어(24)는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싱 작업시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 주위 돌출부(36)가 눌려지면 생기는 지지턱(42)이 도전판(20)의 버어(24)를 잡아주는 이탈 방지용 지지턱이 되므로, 도전판(20)이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한 프레싱 작업에 의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b 및 도 5c 참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 주위에 위로 미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6) 부분만이 찌그러지면서 도전판(20)의 버어(24)를 고정하여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용기(30)의 바닥부 전체를 매우 큰 힘을 가하여 눌러주는 방식에 비하여 용기(30)가 터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프레스 장치의 용량도 그만큼 콤팩트한 것을 사용해도 되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지나치게 높은 힘으로 용기(30)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켜야 하고, 이처럼 용기(30)의 바닥면 전체를 눌러서 변형시키면, 용기(30)의 눌려지는 부분이 용기(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오고, 이러한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알루미늄 용기(30)가 변형되거나 터져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프레싱 작업시 밀려나오는 부분에 의해 용기(30)가 터져 버리면 조리용기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거나 다시 용기(30)를 성형해야 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용기(30)의 버어(24) 버어 결합홈(34)의 주변에 미리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6) 부분만이 눌려서 버어 결합홈(34)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지지턱(42)을 형성하고, 이 지지턱(42)이 도전판(20)의 버어(24)를 잡아서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용기(30)의 바닥면 전체 변형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처럼 용기(30)의 바닥면 전체 변형이 생기지 않아서 무리하게 바깥으로 밀려 나오는 부분이 없으므로, 용기(30) 자체가 밀려 나오는 부분에 의해 터져버리는 현상을 근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처럼 조리용기 성형중에 용기(30)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해 불량률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용기(30)에서 돌출부(36) 부분만이 찌그러지면서 도전판(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42)을 형성함으로써 매우 과도한 힘으로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대용량의 프레스 장치가 필요없이 콤팩트한 용량의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은 도전판(20)의 버어(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버어 결합홈(34)의 주위에는 돌출부(36)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36)는 도전판(20)의 버어(24)의 좌우단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6b)와, 도전판(2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36a)로 구성되어 있어서, 돌출부(36)를 찌그러뜨려 지지턱(42)을 형성할 때에 도전판(20) 버어(24)의 주면 위치에서 다수개의 지지턱(42)에 의해 버어(24)를 잡아줌으로써, 용기(30)와 도전판(20)의 결합 구조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의 신뢰성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은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구비된 돌부(32)에 인접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버어 결합홈(34)의 상단부는 돌부(32)의 상면으로 연통되고, 이러한 버어 결합홈(34)의 돌부(32) 상면으로 연통된 부분의 주위에는 돌출부(3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38)는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의 돌부(32) 상면에서 도전판(20)의 버어(24) 좌우단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제1돌출부(36b)와, 도전판(2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36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판(20) 위에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할 때에 돌출부(38)가 같이 아래로 찌그러지면서 보조 지지턱(44)을 형성하고, 이러한 보조 지지턱(44)은 도전판(20)의 버어(24) 주위를 걸어주는 기능을 하므로, 도전판(20)이 용기(30)의 바닥면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전판(20)의 버어(24)를 아래의 지지턱(42)에 의해 잡아주고 도전판(20)의 상면 부분을 위쪽의 보조 지지턱(44)에 의해 잡아주는 이중 지지턱(42 및 44)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도전판(20)이 용기(30)의 바닥면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기(30)의 바닥면 부분에 미리 형성된 돌출부(36) 및 돌출부(38)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삼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전판(20)의 버어(24)를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에 끼워 넣을 때에 보다 손쉽게 끼워 넣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프레싱 작업에 의해 돌출부(36 및 38)를 찌그러뜨릴 때에도 보다 원활하게 찌그러지므로, 조리용기 성형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 돌출부(36 및 38)가 상단이 뾰족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고, 돌출부(36 및 38)의 수직부는 버어 결합홈(34)으로 향하고, 돌출부(36 및 38)의 경사부는 버어 결합홈(34)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프레싱 작업시 돌출부(38 및 38)가 보다 원활하게 버어 결합홈(34)을 밀려 들어가면서 지지턱(42 및 44)을 형성하므로, 도전판(20)을 용기(30)에 고정하는 지지턱(42 및 44) 구조를 보다 확실하게 만들어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제품 신뢰성을 한층 높이게 된다.
후술할 돌부(32) 상면의 돌출부(39)도 상기 돌출부(36 및 38)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면 형상의 돌출부(39)가 가지는 효과는 상기 돌출부(36 및 38)가 가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는 도전판(20)의 버어(24)가 용기(30)의 버어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조립한 다음, 도전판(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용기(30)의 돌출부(36)가 찌그러지도록 함으로써, 용기(30)에 형성된 지지턱(42,44)이 도전판(20)의 버어(24)를 잡아 줌으로써 용기(30)의 바닥면에 도전판(20)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30)의 돌부(32)에 미리 형성되어 있던 돌출부(38)가 찌그러지면서 형성된 보조 지지턱(44)이 도전판(20)의 버어(24) 주위 상면을 걸어주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바닥면 부분을 연마기 등에 의해 고르게 연마하는 등의 후처리 공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이전의 주요부의 바닥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를 가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는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를 프레싱 작업에 의해 조립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바닥 부분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A-A선 종단면도, 도 14c는 도 14a의 B-B선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의 형상과 버어(24)의 배열 구조와 용기(30)의 돌부(32) 형상 및 버어 결합홈(34)의 배열 구조만 다르고,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과 이에 의한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용기(30)와 도전판(20)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도전판(20)과 용기(30)를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데, 도 15과 도 16에 의하면,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 외곽부 전체에 이어지지도록 연장된 돌출부(39)를 더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36 및 38)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돌출부(36b,38b)와 제2돌출부(36a,38a)는 서로 이어진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 외곽부 전체에 이어지지도록 연장된 돌출부(39)를 더 형성함으로써, 도전판(20)을 상측에서 아래로 누르는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면, 돌출부(36 및 38)가 아래로 누름 변형되면서 도전판(20)의 버어(24)를 잡아주는 지지턱(42 및 44)을 각각 형성함은 물론이고, 상기 용기(30)의 돌부(32)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폐루프 형상의 돌출부(39)도 함께 아래로 눌림 변형되면서 또 하나의 지지턱(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러한 돌부(32) 상면에 형성되어 있던 돌출부(39)의 눌림 변형에 의해 생긴 지지턱이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 둘레부 전체를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도전판(20)을 잡아서 고정하는 구조가 한층 강화될 수 있게 된다. 즉, 도전판(20)과 용기(30)의 결합력이 상기한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높으며, 이로 인해,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제품 신뢰성을 한층 더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 도전판 22. 돌부 결합공
24. 버어 30. 용기
32. 돌부 34. 버어 결합홈
36.38. 돌출부 39. 융기부
42. 지지턱 44. 보조 지지턱
120. 도전판 122. 돌부 결합공
124. 버어 142. 지지턱

Claims (13)

  1. 금속 재질의 피가공물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상기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는 버어(124)를 형성하여 상기 돌부 결합공(122) 둘레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버어(124)가 구비된 형상의 도전판(120)을 성형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오목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31)의 주위에는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는 돌부(32)를 구비하며 상기 돌부(32)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융기부(39)가 형성된 구조의 용기(30)를 만드는 용기 성형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상기 용기(30)의 상기 오목홈(31)에 끼워지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는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끼워지도록 가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1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상기 용기(30)의 상기 오목홈(31)의 부분에 파고들어가서 지지턱(142)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상기 융기부(39)가 눌려지면서 상기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지지턱(142)을 형성하여 상기 도전판(120)이 상기 용기(3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가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부분에 파고들어가서 상기 지지턱(142)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버어(124)는 외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된 평탄면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평탄면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단면 쐐기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도전판(120) 프레싱 작업시 상기 버어(124)가 중심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오목홈(31)의 바닥면과 상기 돌부(32) 부분을 파고들어가서 상기 지지턱(1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융기부(39)는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하향으로 이어진 평탄면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싱 과정에서 상기 융기부(39)가 바깥면으로 펴지면서 상기 도전판(120)을 잡아주는 상기 지지턱(14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상면에 형성된 상기 융기부(39)는 상기 도전판(120)의 상기 돌부 결합공(122)에 의해 형성된 결합편(121)의 코너부와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상측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조 지지턱 형성부(39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가공물에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돌부 결합공(22) 둘레부에는 버어(24)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돌부 결합공(22)에 버어(24)가 구비된 형상의 도전판(20)을 성형하되 상기 버어(24)는 하단으로 갈수록 좌우 너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도전판 가공과정과, 외부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버어 결합홈(34)이 형성되도록 용기(30)를 성형하는 과정과,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가 상기 용기(30)의 상기 버어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3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어 결합홈(34)의 주위에 상기 버어(24)의 주변에 배치되는 돌출부(36)를 형성하여, 상기 도전판(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할 때 상기 돌출부(36)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도전판(20)의 버어(24)를 걸어주는 지지턱(42)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는 상기 도전판(20)에 형성된 돌부 결합공(22)과 형합되는 돌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돌부(32)의 측방에 인접되도록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상기 버어 결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돌부(32)의 상면에는 상기 버어 결합홈(34)과 인접되는 위치에 돌출부(38)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전판(20)을 상부 위치에서 프레싱하여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상기 도전판(20)을 고정할 때에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38)도 동시에 찌그러지면서 상기 도전판(20)의 돌부 결합공(22) 둘레벽에 걸려지는 보조 지지턱(44)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버어 결합홈(34)은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어 결합홈(34)의 주위에는 상기 돌출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의 좌우단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6b)와,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의 전면 또는 후면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36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버어 결합홈(34)은 상기 용기(30)의 외측 바닥면에 구비된 돌부(32)에 인접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버어 결합홈(34)의 상단부는 상기 돌부(32)의 상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버어 결합홈(34)의 상기 돌부(32) 상면으로 연통된 부분의 주위에는 돌출부(38)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의 좌우단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8b)와,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버어(24)의 전면과 후면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3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기 돌부(32) 상면 외곽부 전체에 이어지지도록 연장된 돌출부(39)를 더 형성하여, 상기 도전판(20)을 상측에서 아래로 누르는 프레싱 작업시 상기 돌부(32) 상면의 상기 돌출부(39)가 아래로 눌림 변형되면서 생기는 지지턱에 의해 상기 도전판(20)의 상기 돌부 결합공(22) 둘레부 전체를 잡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100076911A 2010-04-22 2010-08-10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 KR101026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189 2010-04-22
KR1020100037189 2010-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132B1 true KR101026132B1 (ko) 2011-04-05

Family

ID=4404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11A KR101026132B1 (ko) 2010-04-22 2010-08-10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4155A1 (en) * 2011-12-16 2013-06-19 Chengshao Hu Aluminium pan having composite bottom
CN110125270A (zh) * 2019-05-28 2019-08-16 浙江康家宝炊具有限公司 一种复底铝锅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81902A (ko) * 2002-04-15 2003-10-22 박윤석 전자유도가열기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8486A (ko) * 2002-11-01 2004-05-08 이기화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100534491B1 (ko) * 2005-05-26 2005-12-0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81902A (ko) * 2002-04-15 2003-10-22 박윤석 전자유도가열기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8486A (ko) * 2002-11-01 2004-05-08 이기화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100534491B1 (ko) * 2005-05-26 2005-12-0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4155A1 (en) * 2011-12-16 2013-06-19 Chengshao Hu Aluminium pan having composite bottom
CN110125270A (zh) * 2019-05-28 2019-08-16 浙江康家宝炊具有限公司 一种复底铝锅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213B2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45544B (zh) 端子接头及其形成方法
CN203168831U (zh) 烹饪用具
KR101026132B1 (ko)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조리용기
KR10074502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205795512U (zh) 一种液体加热器
JP4098928B2 (ja) フライヤー
KR10067061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1995017983A1 (fr) Structure et procede d'assemblage de plaques de metal
JP2001321269A (ja) 電磁調理用調理器具の製造方法
KR101278950B1 (ko)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의 도전판 가공 금형
JP2011021824A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フィンの延出部の形成方法
US2457789A (en) Lamp base
EP1819459B1 (en) Method for obtaining a hollow monolithic aluminum- alloy element with handles
JP2003051351A (ja) 雄型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072227U (zh) 一种高频焊接门
KR10054353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4263002B2 (ja) 加熱調理器用の内箱及びその組立方法
EP2146170B1 (en) Radiator element and block for a radiator
CN111387804A (zh) 烹饪器具的腔体及具有其的电蒸箱、腔体加工方法
CN207011212U (zh) 一种电磁炉防辐射屏蔽装置
CN213248483U (zh) 锅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TWI550978B (zh) 定位機構及其定位件與方法以及具有此定位機構之鍵盤
JP5525826B2 (ja) ガスコンロ用汁受け皿覆い
CN212091276U (zh) 滤网及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