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642B1 -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642B1
KR101025642B1 KR1020080085227A KR20080085227A KR101025642B1 KR 101025642 B1 KR101025642 B1 KR 101025642B1 KR 1020080085227 A KR1020080085227 A KR 1020080085227A KR 20080085227 A KR20080085227 A KR 20080085227A KR 101025642 B1 KR101025642 B1 KR 10102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nozzle
tank
moving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280A (ko
Inventor
신진혁
조성구
이동재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6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노즐에 제공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이동 바퀴가 제공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팀 발생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저수조; 및 상기 물 탱크와 저수조 사이에 개입되는 탱크 캡; 및 상기 이동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탱크 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 의하면, 스팀이 발생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물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노즐, 스팀 발생 장치, 물 탱크, 가열부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 {Nozzle for cleaner}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노즐에 제공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입력을 이용한 진공 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 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개시된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에 의한 이물 흡입과, 물 청소기에 의한 스팀 청소가 동시에 구현 가능한 진공 스팀 청소기 또한 등장하고 있다.
한편, 스팀 청소기의 노즐은 내부에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걸레가 부착되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고온의 열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는, 물 탱크의 일측에 히터가 구비되며 물 탱크 내부의 물 전체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통가열 방식과, 미량의 물을 히터 측으로 보내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관가열 방식이 적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통가열 방식에 의한 스팀 발생 장치의 경우, 다량의 물을 가열하여야 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이 길어지고, 스팀 노즐 장치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있다. 그리고, 물 탱크를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저수조가 오염되는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관가열 방식에 의한 스팀 발생 장치의 경우, 히터의 크기 및 용량이 작아서 스팀으로 변하지 못한 물이 같이 분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스팀 발생 효율이 저하되며, 제품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가열 방식의 경우, 물을 히터 쪽으로 보내주는 펌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 수행 중에 노즐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스팀으로 변하지 못한 물이 노즐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을 들어 이동시킬 때, 저수조의 물이 넘쳐서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노즐을 들어 이동시키는 상태, 즉 청소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수조에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저수조의 수위가 불필요하게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물이 스팀 발생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팀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수조에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저수조의 수위가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팀이 발생되는 시간을 줄이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노즐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지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 탱크가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물 공급 또는 청소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 탱크의 오염 가능성을 줄이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이동 바퀴가 제공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로부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팀 발생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저수조; 및 상기 물 탱크와 저수조 사이에 개입되는 탱크 캡; 및 상기 이동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탱크 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 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유입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탱크 캡; 및 상기 이동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탱크 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저수조로부터 히터가 구비되는 가열부로 소량의 물이 공급되므로, 스팀이 발생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즐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물 탱크로부터 저수조로 물이 공급되지만, 노즐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물 탱크로부터 저수조로 물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저수조의 수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스팀 청소가 수행되는 상태에서만, 물 탱크로부터 저수조로 물이 공급되므로 저수조의 수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저수조의 수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노즐이 기울어지더라도 물이 노즐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노즐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탱크가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물 공급 또는 청소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물 탱크의 오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노즐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1)에는, 노즐의 외관을 형성하며 안착부(11)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부를 차폐하는 노즐 커버(2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일측에 제공되며 노즐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의 본체(미도시)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30)가 포함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청소기의 노즐(1)은 연장관 및 연결 호스에 의하여 청소기의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노즐(1)이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12)와, 상기 공기 흡입부(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30)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유로(13)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유로(13)는 상기 공기 흡입부(12)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스팀 발생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는 상기 흡입 유로(13)의 상측 및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에는,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110)와, 상기 물 탱크(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소정 양만큼의 물이 흘러 들어가는 저수조(130)와, 상기 저수조(13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15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노즐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제 1 이동바퀴(51) 및 제 2 이동바퀴(52)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바퀴(51,52)는 상기 안착부(11)의 저면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팀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100)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110)와, 상기 물 탱크(11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는 저수조(130)와, 상기 저수조(13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열부(1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물 탱크(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 탱크(11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물 탱크(110)의 일측에는, 상기 물 탱크(1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수조(13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되는 탱크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의 저면은 상기 탱크 개구부(1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11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탱크 개구부(112)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탱크 개구부(112)에는, 상기 탱크 개구부(112)가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탱크 캡(120)이 제공된다. 상기 탱크 캡(120)은 상기 저수조(130)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탱크 캡(120)에는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상기 저수조(130)로 물 공급이 조절되도록 하는 밸브부재(122)와, 상기 밸브 부재(12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23)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110)를 분리하여 물을 채운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에는, 상기 물 탱크(11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 플레이트(116)가 포함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는 상기 저수조(13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물 탱크(110)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에 안착 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에는, 상기 물 탱크(11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착탈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부(117)는 하방으로 함몰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물 탱크(110)에는 상기 착탈부(117)에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탈 돌기(119)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 돌기(119)는 "『 "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 돌기(119)는 상기 물 탱크(110)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탈부(117)에 삽입된다. 상기 착탈 돌기(119)는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물 탱크(110)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의 하측에는, 상기 물 탱크(110)가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레그(118)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레그(118)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116)의 모서리부에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13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저수조(130)의 크기, 즉 물이 저장되는 용량은 상기 물 탱크(110)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130)의 하측에는, 상기 저수조(130)가 지지되도록 하는 제 2 레그(138)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30)에는,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저수조 개구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 개구부(132)는 상기 탱크 개구부(1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개구부(132)가 상기 탱크 개구부(112)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탱크 캡(120)은 상기 탱크 개구부(112)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저수조(130) 내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3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유입 홀(137)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 유입 홀(137)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저수조(130)의 내부에는 대기압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110)와 상기 저수조(130)의 사이에는,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114)가 제공된다. 상기 실링 부재(114)는 상기 저수조 개구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저수조(130)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150)가 제공된다.
상기 가열부(15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15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히터(151)가 제공된다. 상기 히터(151)는 상기 가열부(15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51)에는 시스히터(sheath heater), PTC 히터, 세라믹 히터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히터(151)의 하측에는, 상기 히터(151)의 열이 상기 가열부(151)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펠트(felt)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펠트는 열전달 방지 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펠트는 상기 히터(15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부(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히터(151)가 결합되는 히터 결합 부(154)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결합부(154)에는, 상기 히터(151)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50)에는,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부(155)가 제공된다.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관의 형상을 가지며, 일부는 상기 가열부(150)의 내부로 연장되고, 나머지는 상기 가열부(150)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가열부(150)의 일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가열부(150)의 일면에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가열부(15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가열부(150)의 중심부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51)에 의하여 발생된 스팀은 물 보다 가벼워 상승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저수조(130)와 가열부(150)의 사이에는, 상기 저수조(130)의 물이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136)가 형성된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36)는 상기 저수조(130)의 일측에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물이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136)는 상기 가열부(15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 발생장치(100)에는, 상기 탱크 캡(120)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1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 장치(160)는 상기 안착부(11)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이동 바퀴(51)와 연결된다. 다만, 도 3에는 상기 안착부(11)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장치(160)는 상기 탱크 캡(120)과 연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상기 이동 바퀴(51)가 바닥면에 놓여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1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장치(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탱크 캡(120)은 상기 개폐 장치(160)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탱크 캡(120)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장치(16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에 의한 스팀 발생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탱크(11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탱크 개구부(112)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탱크 캡(120)의 밸브 부재(122)는 개방된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30)의 물은 상기 유입부(136)를 통하여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된다.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파스칼의 원리(Pascal's principle)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30)를 거쳐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파스칼의 원리란, 밀폐된 용기에 담긴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의 모든 부분과 유체를 담은 용기의 벽까지 그 크기가 감소되지 않고 전달된다는 이론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대하여 파스칼의 원리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1) Ptank + ρghwater_tank = Pair + ρghwater_reservoir
상기 식 (1)은 상기 물 탱크(110)에서의 압력과 상기 저수조(130)에서의 압력이 평형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 탱크(110)에서의 압력은 탱크의 진공압과 탱크에 저장된 물에 의한 압력의 합이 되고, 상기 저수조(130)에서의 압력은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공기의 압력과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물에 의한 압력의 합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공기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상기 탱크 캡(120)이 개방되면,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중력, 즉 수압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30)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탱크 캡(120)을 통하여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된다.
이후에,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저수조(130) 내부의 물이 상기 탱크 캡(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게 되면 저수조(13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탱크 캡(120)을 통하여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탱크 캡(120)의 하측 개구부, 즉 수위 결정부(125 : 도 7 참조)를 덮게 되면, 저수조(130)의 공기는 더 이상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110)의 내부에는 진공압과 수위에 의한 수압의 합만큼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30)의 내부에는 대기압과 수위에 의한 수압의 합만큼이 형성된다. 즉, 상기 물 탱크(110)와 저수조(130)의 압력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2) Pair + ρghwater _ reservoir = ρghwater _ boiling + Psteam & air
상기 식 (2)는 상기 저수조(130)에서의 압력과 상기 가열부(150)에서의 압력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열부(150) 내부의 압력은 상기 가열부(150) 내부의 물에 의한 압력과 상기 가열부(150) 내부의 스팀 및 공기 압력의 합이 된다.
즉, 상기 가열부(150) 내부에 물이 없거나, 적은 양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130)와 상기 가열부(150)의 수위 차에 의하여 물은 상기 저수조(13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150) 내부의 수위는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저수조(13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수조(130) 및 가열부(150)에서의 수위가 동일해질 때까지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저수조(130) 및 가열부(150)의 수위가 동일해지면, 물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가열부(15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펌프나 컨트롤러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되 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물이 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탱크(110)로부터 상기 저수로(130)로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탱크 캡(12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캡(12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캡 바디(121)와, 상기 캡 바디(121)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밸브 부재(122)와, 상기 밸브 부재(12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23)와, 상기 가이드부(12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4)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캡 바디(121)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부(121a)와, 상기 내측부(121a)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부(121b)가 포함된다. 상기 내측부(121a) 및 외측부(121b)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121a)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물은 상기 캡 바디(121)의 상단부로부터 유입되며, 상기 캡 바디(121)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130)로 낙하된다.
상기 외측부(121b)는 상기 내측부(121a)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부(121b)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부(1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된 다.
또한, 상기 외측부(121b)의 내주면에는, 상기 탱크 캡(120)이 상기 물 탱크(11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산(121e)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부(121b)의 하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가이드부(12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 공간(121d)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상기 수용 공간(121d)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121d)의 상측에는,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가 결정도록 하는 수위 결정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수위 결정부(125)는 물과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개구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위 결정부(125)는 상기 탱크 캡(12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며, 상기 수위 결정부(125)의 높이는 물의 최대 수위에 대응된다. 즉,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가 상기 수위 결정부(125)를 덮게 되면, 상기 저수조(130) 내의 공기는 더 이상 상기 수위 결정부(125)를 통하여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되지 않게 되면,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저수조(130)로 유입될 수 없다.
즉, 상기 수위 결정부(125)는 상기 저수조(130)의 최대 수위선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내측부(121a)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23)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가이드부(123)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23)가 상기 내측 부(121a)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돌기(12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121a)에는, 상기 지지 돌기(123a)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121c)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돌기(123a)는 상기 지지부(121c)의 상측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 돌기(123a)가 상기 지지부(121c)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23)는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거나 뒤틀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3)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 부재(122)가 고정된다. 상기 밸브 부재(122)는 상기 가이드부(123)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3)와 밸브 부재(122)가 결합되는 방법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밸브 부재(122)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23)에 체결될 수도 있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23)의 하단부에는 상기 개폐 장치(160)와 상호 작용하는 밀착부(123b)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23b)는 상기 개폐 장치(16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4)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124)의 일측단은 상기 밀착부(123b)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내측부(121a)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121a)에는, 상기 스프링(124)이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121f)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121f)는 상기 내측부(121a)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24)은 상기 가이드부(12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압축 및 복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일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다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160)는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는 경우에 따라 작용을 달리한다.
도 7은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는 모습을 도시하며, 도 8은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개폐 장치(160)에는, 상기 저수조(130)의 저면부(131)에 삽입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수조(130)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부(161)와, 상기 실링부(161)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탱크 캡(120)의 밀착부(123b)와 연동되는 가압부(162)와, 상기 가압부(16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63a) 및 제 2 연장부(163b)가 포함된다.
상기 실링부(161)는 끝단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면부(131)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61)의 상단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면부(131)에는, 상기 실링부(161)가 삽입되는 저면 삽입부(131a : 도 9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저면 삽입부(131a)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실링부(161)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즉, 실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물은 하측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161)에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가 삽입되는 삽입부(161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61a)의 상측에는 상기 가압부(162)가 위치되며, 상기 삽입부(161a)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삽입부(161a)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부(161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삽입부(161a)의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연장부(163a)는 상기 삽입부(161a)에 억지 끼움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장부(163a)는 상기 삽입부(16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163a)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161)의 형상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61)에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의 상하 이동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부(161b)가 포함된다.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실링부(161)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가압부(162)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가압부(162)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링부(161)의 하면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61)의 외주면은 상기 변형 부(161b)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면, 상기 제 1 연장부(163a)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실링부(161)의 외주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부(161b)의 변형에 따라 상기 실링부(161)의 다른 부분도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실링부(161)의 하면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면 상기 실링부(161)의 하면은 상방으로 펼쳐지면서 팽팽해지게 된다.
상기 실링부(161)가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실링부(161)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연장부(163b)의 외측에는 상기 연장부(163a,163b)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164)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 2 스프링(164)은 인장되고,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스프링(164)은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장치(160)에는, 상기 제 2 스프링(164)이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165)가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165)는 상기 저수조 저면 부(131)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스프링(164)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165)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제 1 이동 바퀴(5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165)에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 및 제 2 연장부(163b)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관통 홀(165a)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63a, 163b)는 상기 관통 홀(165a)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탱크 캡(120) 및 개폐 장치(16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이 바닥면(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이 바닥면(피청소면)에 놓여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캡(120)은 상기 개폐 장치(16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은, 노즐을 들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실링부(161)의 하면을 형성하며 접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 홀(165a)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연장부(163a)가 위치되며, 상기 관통 홀(165a)의 하측에는 상기 제 2 연장부(163b)가 위치된다.
상기 제 2 스프링(164)은 상기 제 1 이동 바퀴(51)의 자중에 의하여 인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개폐 장치(160)의 가압부(162)의 상측에는, 상기 탱크 캡(120)의 밀착부(123b)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62)와 밀착부(123b)는 서로 이격될 수도 있고, 접촉된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밀착부(123b)가 상기 가압부(162)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밀착부(123b)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123b)에는 상방으로의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2 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밀착부(123)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스프링(124)은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지지돌기(123a)는 상기 지지부(121c)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결국, 상기 밸브 부재(122)는 상기 캡 바디(121)의 상측에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110) 내부의 물은 상기 저수조(130)로 이동될 수 없다.
반면에, 도 10에는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이동 바퀴(51)가 상기 바닥면(80)에 지지되는 것은, 노즐에 의하여 청소가 수행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162) 및 연장부(163a, 163b)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변형부(161b)는 상기 연장부(163a,163b)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펼쳐진다. 이 때, 상기 변형부(161b) 이외의 다른 실링부(161) 부분도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 홀(165a)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연장부(163b)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 2 스프링(164)은 압축된다.
상기 가압부(162)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밀착부(123b)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2)는 상기 밀착부(123b)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스프링(124)은 압축되면서 상기 가이드부(123)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 돌기(123a)는 상기 지지부(121c)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3)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122)는 상기 캡 바디(121)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밸브 부재(122)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 내부의 물은 상기 밸브 부재(122)를 거쳐 상기 저수조(130)의 내부로, 즉 f 방향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30) 내부의 물은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되고, 상기 히터(151)에 의하여 가열되어 스팀이 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하여, 실제로 청소가 수행되는 경우에만,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저수조(130)로 물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수조(130)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청소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130)에 물이 유입되지 않으 므로 저수조의 수위가 불필요하게 높아지게 되는 염려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노즐이 소정 방향으로 요동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는 경우라도, 저수조 내부의 물이 넘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노즐 내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팀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일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다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이 바닥면(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이 바닥면(피청소면)에 놓여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3)

  1. 이동 바퀴가 제공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물 탱크로부터 저수조로의 물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부재가 포함되는 탱크 캡;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이동바퀴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 바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동 바퀴가 지면에 놓여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실링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이동 바퀴가 제공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물 탱크로부터 물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탱크 캡;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바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탱크 캡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가압부;
    상기 저수조의 삽입부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이동 바퀴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삽입부를 실링하며, 상기 이동 바퀴가 지면에 놓여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실링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가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결합되는 청소기의 노즐.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탱크 캡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가 바닥면에 놓여지면, 상기 탱크 캡은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
KR1020080085227A 2008-08-29 2008-08-29 청소기의 노즐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27A KR101025642B1 (ko) 2008-08-29 2008-08-29 청소기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27A KR101025642B1 (ko) 2008-08-29 2008-08-29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80A KR20100026280A (ko) 2010-03-10
KR101025642B1 true KR101025642B1 (ko) 2011-03-30

Family

ID=4217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642B1 (ko) 2008-08-29 2008-08-29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6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327B1 (ko) *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100771514B1 (ko) * 2006-01-26 2007-10-30 김관진 축열을 이용한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장치
KR20080022965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통 연결장치
KR20080045365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스팀분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327B1 (ko) *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100771514B1 (ko) * 2006-01-26 2007-10-30 김관진 축열을 이용한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장치
KR20080022965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통 연결장치
KR20080045365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스팀분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80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468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52118B1 (ko) 청소기의 노즐
EP2327347B1 (en) Cleaner nozzle
KR20100009706A (ko) 청소기의 노즐
KR20080022965A (ko) 물통 연결장치
KR10102564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12978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20002908A (ko) 액체 분사 장치
KR10102566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46844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00009707A (ko) 청소기
KR101038812B1 (ko) 청소기의 노즐
RU2455918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KR101025709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5217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120073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00009712A (ko) 청소기의 노즐
KR200439707Y1 (ko)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용 홀더
KR101003671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05950B1 (ko) 청소기의 노즐
CN211284972U (zh) 挂烫机主机及挂烫机
KR101941825B1 (ko) 온수를 이용하여 글루토출건을 세척하는 자동접착시스템
KR101222723B1 (ko) 청소기의 노즐
CN219000180U (zh) 布艺及宠物清洁机
KR101962761B1 (ko) 초음파와 스팀을 이용하여 자동접착장치를 세척하는 휴대용 스팀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