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950B1 -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950B1
KR101005950B1 KR1020080134068A KR20080134068A KR101005950B1 KR 101005950 B1 KR101005950 B1 KR 101005950B1 KR 1020080134068 A KR1020080134068 A KR 1020080134068A KR 20080134068 A KR20080134068 A KR 20080134068A KR 101005950 B1 KR101005950 B1 KR 10100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nozzle
extension par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135A (ko
Inventor
조성구
신진혁
이동재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노즐에 제공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수조로부터 가열부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가열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로에는, 물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물이 타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 의하면, 저수조로부터 가열부로 소량의 물만이 유입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노즐, 스팀 발생 장치, 저수조, 가열부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 {Nozzle for cleaner}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노즐에 제공되는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수조로부터 가열부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입력을 이용한 진공 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 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개시된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에 의한 이물 흡입과, 물 청소기에 의한 스팀 청소가 동시에 구현 가능한 진공 스팀 청소기 또한 등장하고 있다.
한편, 스팀 청소기의 노즐은 내부에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며, 하측에 걸레가 부착되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고온의 열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는, 물 탱크의 일측에 히터가 구비되며 물 탱크 내부의 물 전체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통가열 방식과, 미량의 물을 히터 측으로 보내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관가열 방식이 적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통가열 방식에 의한 스팀 발생 장치의 경우, 다량의 물을 가열하여야 하므로 스팀 발생 시간이 길어지고, 스팀 노즐 장치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있다. 그리고, 물 탱크를 스팀 발생 장치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저수조가 오염되는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관가열 방식에 의한 스팀 발생 장치의 경우, 히터의 크기 및 용량이 작아서 스팀으로 변하지 못한 물이 같이 분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스팀 발생 효율이 저하되며, 제품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가열 방식의 경우, 물을 히터 쪽으로 보내주는 펌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물이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팀 발생시간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성 없이도 물 탱크로부터 가열부로 물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노즐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지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이 스팀 발생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필요시에 물탱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가열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로에는, 물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물이 타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 유출부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물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를 가지는 가열부; 및 상기 물 유출부와 물 유입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로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연장부 사이에 개입되는 만곡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성 없이도, 물 탱크로부터 가열부로 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로부터 가열부로 소량의 물만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히터에 의한 물의 가열 시간이 짧아지고, 스팀 발생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노즐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를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물탱크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1)에는, 노즐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부 커버(2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양측을 차폐하는 사이드 커버(22) 및 상기 노즐 본체(10)의 일측에 제공되며 노즐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의 본체(미도시)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30)가 포함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청소기의 노즐(1)은 연장관 및 연결 호스에 의하여 청소기의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노즐(1)이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스팀 발생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에는,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110)와, 상기 물 탱크(11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소정 양만큼의 물이 흘러 들어가는 저수조(120)와, 상기 저수조(12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가 상기 노즐(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노즐(1)의 상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커버(20)에는, 상기 물 탱크(11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물 탱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에는, 상기 물 탱크(11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누름부(25)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25)를 조작하여 상기 물 탱크(11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를 상기 노즐 본체(10)에 안착시킨 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물 탱크(110)는 소정의 걸림 구조에 의하여 상기 노즐 본체(10)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 탱크(11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물 탱크(110)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물 탱크(110)의 청소도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저수조(120)의 상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와 저수조(120)의 사이에는, 상기 물 탱크(110)로부터 저수조(120)로의 물 유입이 조절되도록 하는 캡(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저수조(120)의 상측에 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저수조(12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20)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10)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15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저수조(120)로 낙하되고, 상기 저수조(120)의 물은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20)에는, 상기 물 탱크(11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수조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저수조 개구부(121)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120)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조(120)의 물이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 유로(180)가 제공된다. 즉, 상기 연결 유로(180)의 일측은 상기 저수조(1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열부(150)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유로(180)에는, 상기 저수조(1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81)와, 상기 가열부(15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82)와, 상기 제 1 연장부(181) 및 제 2 연장부(182)를 연결하며 소정 방향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183)가 포함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연결 유로(180)는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81)와, 상기 제 1 연장부(181)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183)와, 상기 만곡부(183)로부터 상기 저수조(120)를 향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82)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유로(180)는 대략 "V"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150)에는,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151)와, 상기 가열부(150)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부(155)가 포함된다.
상기 히터(151)는 상기 가열부(15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가열부(150)의 내부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배출 장치(10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20)와,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저수조(120)의 하측에는, 상기 저수조(12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레그(129)가 다수 제공된다. 상기 저수조(120)는 상기 지지 레그(129)에 의하여 상기 노즐 본체(10)의 상면에 대하여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50)에는, 상기 저수조(120)의 물이 유입되는 제 1 가열부(150a)와, 상기 제 1 가열부(150)a)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로부터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가열부(15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열부(150a)의 하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151)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가열부(150b)에는, 상기 히터(151)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팀 배출부(155)가 위치된다. 상기 스팀 배출부(155)는 상기 제 2 가열부(150b)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 2 가열부(150b)의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스팀은 물보다 가벼운 성질을 가지므로, 상기 제 1 가열부(150a)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 2 가열부(150b)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 배출부(155)를 통하여 가열부(15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유로(180)는 상기 저수조(120)와 가열부(15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 유로(180)의 제 1 연장부(181)는 상기 저수조(120)의 물 유출부(122)에 연결되며, 제 2 연장부(182)는 상기 가열부(150)의 물 유입부(153)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181)의 상단부 높이(h1), 즉 상기 지지 레그(129)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181)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 2 연장부(182)의 상단부 높이(h2), 즉 상기 지지 레그(129)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연장부(18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 유로(180)는 상기 제 1 연장부(181)로부터 상기 제 2 연장부(182)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유로(180)가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저수조(120)의 물은 상기 가열부(15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20)의 물은 상기 저수조(120)의 수위와 가열부(150)의 수위가 동일해질 때까지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만곡부(183)의 외측 단부는 상기 물 유입부(153)보다 더 좌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만곡부(183)의 외측 단부를 지나는 접선 ℓ1은 상기 물 유입부(153)를 지나는 선 ℓ2보다 더 좌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노즐(1)의 사용중에 상기 저수조(120)가 기울어져 상기 물 유출부(122)를 통하여 많은 물이 유출되는 경우, 즉 상기 저수조(120)가 상기 물 유출부(122) 방향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많은 물이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181)로 이동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 유로(180)는 상기 만곡부(183)에서 만곡되며, 상기 제 2 연장부(182)가 상기 저수조(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181)의 물이 상기 제 2 연장부(182)로 이동되는 것이 다소 제한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181)로 많이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2 연장부(182)에는 제한된 양이 이동되므로, 상기 가열부(150)에는 적은 양의 물만이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유입부(153)에는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가열부(150)에서 가열되는 물의 양이 적어지므로, 스팀이 발생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 유로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0)에는, 상기 저수조(120)와 가열부(1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28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유로(280)에는, 상기 저수조(120)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81)와, 상기 저수조(120)의 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82) 및 상기 제 1 연장부(281)와 제 2 연장부(282)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28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장부(281)는 상기 저수조(120)의 물 유출부(122)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장부(282)는 상기 가열부(150)의 물 유입부(153)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283)는 상기 제 1 연장부(281) 및 제 2 연장부(282)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유로(280)는 대략 "┏"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저수조(120)가 상기 물 유출부(122) 방향으로 기울여져서 많은 물이 유출되는 경우라도, 물이 상기 만곡부(283)를 지나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결국, 물이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 유로(280)는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므로, 물이 상기 가열부(150)로 소량씩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300)에는, 상기 저수조(120)와 가열부(150)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38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유로(280)에는, 상기 저수조(120)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81)와, 상기 제 1 연장부(381)로부터 상기 저수조(120)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82)와, 상기 저수조(120)의 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연장부(383) 및 상기 제 2 연장부(382)와 제 3 연장 부(383)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38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장부(381)는 상기 저수조(120)에서 유출되는 물의 방향이 180도 바뀌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382)는 상기 저수조(120)의 일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만곡부(383)는 상기 제 2 연장부(382)에서 흐르는 물의 방향이 90도 바뀌어질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장부(383)는 상기 제 1 가열부(150a)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저수조(120)가 상기 물 유출부(122) 방향으로 기울여져서 많은 물이 유출되는 경우라도, 물이 상기 연결 유로(380)를 지나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결국, 물이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 유로(380)는 상기 저수조(120)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를 향하여 라운드 및 절곡되어 연장되므로, 물이 상기 가열부(150)로 소량씩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의한 스팀 발생 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탱크(11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저수조(12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20)의 물은 상기 연결 유로(180)를 통하여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된다.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파스칼의 원리(Pascal's principle)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20)를 거쳐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파스칼의 원리란, 밀폐된 용기에 담긴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의 모든 부분과 유체를 담은 용기의 벽까지 그 크기가 감소되지 않고 전달된다는 이론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20) 내부의 공기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상기 물 탱크(110)가 상기 저수조(120)에 안착되면, 상기 물 탱크(110)에 제공되는 캡(미도시)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캡이 개방되면,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중력, 즉 수압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20)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저수조(1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캡을 통하여 상기 물 탱크(110)로 유입된다.
이후에, 상기 저수조(12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캡은 차폐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110)의 내부에는 진공압이 형성되며, 더 이상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저수조(120)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120)에 물이 일정 이상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150) 내부에 물이 없거나 적은 양이 있는 경우, 상기 저수조(120)의 물은 상기 저수조(120)와 상기 가열부(150)의 수위 차에 의하여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수조(120) 및 가열부(150) 에서의 수위가 동일해질 때까지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저수조(120) 및 가열부(150)의 수위가 동일해지면, 물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50)로 미량의 물만이 공급되므로 상기 히터(151)에 의한 스팀 발생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물 탱크(110)의 물은 상기 가열부(15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펌프나 컨트롤러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가열부(150)로 물이 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므로,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노즐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평면도.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가열부까지 연장되는 연결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로에는,
    물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물이 타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저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 사이에 개입되는 청소기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3 연장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V" 형상을 가지는 청소기의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저수조 측이 상기 가열부 측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8.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며, 물 유출부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물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를 가지는 가열부; 및
    상기 물 유출부와 물 유입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로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복수의 연장부 사이에 개입되는 만곡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는,
    상기 저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일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타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
KR1020080134068A 2008-12-26 2008-12-26 청소기의 노즐 KR10100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68A KR101005950B1 (ko) 2008-12-26 2008-12-26 청소기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68A KR101005950B1 (ko) 2008-12-26 2008-12-26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35A KR20100076135A (ko) 2010-07-06
KR101005950B1 true KR101005950B1 (ko) 2011-01-05

Family

ID=4263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68A KR101005950B1 (ko) 2008-12-26 2008-12-26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7526A (en) * 1987-07-22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rpet maintenance machinery
KR100401327B1 (ko)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100784721B1 (ko) 2007-03-06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청소기의 안전장치
KR20080056391A (ko) * 2006-12-18 2008-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7526A (en) * 1987-07-22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rpet maintenance machinery
KR100401327B1 (ko) 2000-10-06 2003-10-10 한경희 스팀청소기
KR20080056391A (ko) * 2006-12-18 2008-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스팀청소기
KR100784721B1 (ko) 2007-03-06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청소기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35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6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52118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14468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0641843B1 (ko) 물 유출 방지 환수구조를 갖는 스팀청소기
EP2327347B1 (en) Cleaner nozzle
KR100846909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05950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00009706A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25709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03671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2566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3881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46844B1 (ko) 청소기의 노즐
US10941516B2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base having a gravity-fed boiling chamber
KR101012978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120073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05217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158605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00009707A (ko) 청소기
RU2455918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KR101025642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1550357B1 (ko) 스팀 발생 장치
KR100848907B1 (ko) 스팀발생장치
KR100800187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0846910B1 (ko)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