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237B1 -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 Google Patents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237B1
KR101025237B1 KR1020100114705A KR20100114705A KR101025237B1 KR 101025237 B1 KR101025237 B1 KR 101025237B1 KR 1020100114705 A KR1020100114705 A KR 1020100114705A KR 20100114705 A KR20100114705 A KR 20100114705A KR 101025237 B1 KR101025237 B1 KR 10102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creen
projector
image qua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11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2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projector quality test system is provided to perform the image quality test in the similar environment of a general user's. CONSTITUTION: An integrated booth(100) forms a dark room in its inside. A screen mount unit(300) is install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inside. A picture quality measurement unit(400) measures the display quality of the test image on a test screen at a measurement position. The picture quality measurement unit is installed i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based on the test screen(200).

Description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PROHECTOR QUALITY TEST SYSTEM}Projector Image Quality Test System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본 발명은 영상 장치의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을 별도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의 화질을 테스트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system for an ima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testing an image quality of a projector displaying an image on a separate screen.

일반적으로, 프로젝터(Projector)는 소정의 거리에 격리되어 있는 스크린에 영상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장치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적인 영상에서의 콘트라스트(contrast), 루멘(lumen), 밝기(Brightness), 색온도(Color temperature), 시안성, 색재현성 특성 및 각각 항목들의 균일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가 요구된다.In general, a projector is an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by radiating an image onto a screen isol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se projectors ar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tests such as contrast, lumen, brightness, color temperature, cyan, color reproducibility, and uniformity of each item in the overall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Required.

한편, 최근의 프로젝터는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각광받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휴대용 프로젝터 수요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는 대량생산되고 있으며,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recent projectors are in the spotlight as display devices for implementing a large screen of 100 inches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 demand for portable projectors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projector is mass-produced, and it is required to shorten the test time.

이와 같이,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이 요구된다.
As such, in order to shorten the test time for the projector, a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that can easily test the projector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프로젝터의 화질 특성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that can easily test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or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테스트 프로젝터가 셋팅되며,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스크린이 장착되는 스크린 장착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 홀이 형성되는 홀 스크린인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 및 상기 테스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하여 특정되는 측정위치에서의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상기 화질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측정위치는 상기 측정 홀에 해당되는 상기 화질 측정 유닛을 구비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booth to form a dark room therein; A test projector setting unit configured to move between an inner front side and an inner rear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A screen mounting unit mounted on an inner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booth and mounted with a test screen on which a test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is displayed, wherein the test screen is a hall screen on which at least one measurement hole is formed; ; And an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image quality at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ed for the test image displayed on the test screen, wherein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test screen. The position includes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measuring hole.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풀 영상 범위에 일치시키는 테스트 프로젝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표면에서 테스트 영상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여, 테스트 프로젝터의 화질 특성에 대한 테스트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can be easily tested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st projector whose display area matches the full image range. In addition, the test image can be measur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ed screen,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est on th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rojecto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프로젝터 셋팅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스크린 장착 유닛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테스트 스크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a 및 도 1b의 화질 측정 유닛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질 측정 유닛의 측정수단들이 테스트 스크린의 측정홀에 삽입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제어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터 테스트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1A and 1B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jector setting unit of FIGS. 1A and 1B.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creen mounting unit of FIGS. 1A and 1B.
4A to 4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est screens used 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of FIGS. 1A and 1B.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orm in which measuring means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of FIG. 5 is inserted into a measuring hole of a test screen.
7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trol unit.
8A and 8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mplemente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jector test method using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s attain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understanding each of the figures,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cident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준비 스크린들'이란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준비되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말한다. 그리고, '테스트 스크린'이란 상기 준비 스크린들 중에서 선택되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현재 테스트되는 프로젝터 즉, 테스트 프로젝터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말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eparation screens' refers to display screens prepared as display screens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The test screen is a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mong the preparation screens, and refers to a display screen displaying a test image provided from a projector currently being tested, that is, a test project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각각 평면적 및 측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respectively shown in plan and side views.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집적부스(100),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 스크린 장착 유닛(300) 및 화질 측정 유닛(400)을 구비한다.1A and 1B, the projector image quality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booth 100, a projector setting unit 200, a screen mounting unit 300, and an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상기 집적부스(100)는 내부에 암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 스크린 장착 유닛(300) 및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integrated booth 100 forms a dark room therein.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nd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are installed in the integrated booth 100.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에는,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장착되는 테스트 스크린에 테스트 영상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테스트 프로젝터(TP)가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를 이동한다. 그 결과, 스크린 장착 유닛(300)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까지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장착되는 테스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하게 된다.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is set to a test projector TP for irradiating and displaying a test image on a test screen mount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moves between the inner front FS and the inner rear B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As a result,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to the test projector TP is adjusted to adjust the area displayed on the test screen mount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상이 되는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테스트 스크린'의 장착이 가능하다.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inner front F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and may be mounted with a 'test screen' displaying a test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TP to be tested. Do.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하여 특정되는 측정 위치에서의 화질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 즉, 상기 테스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300)의 반대편에 설치된다.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measures the image quality at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ed for the test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n this case,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300 bas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that is, the test screen.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은 전후 이동 레일(210), 좌우 이동 레일(220) 및 프로젝터 셋팅대(230)를 구비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of FIGS. 1A and 1B. Referring to FIG. 2,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includes a front and rear moving rail 210, a left and right moving rail 220, and a projector setting stand 230.

상기 전후 이동 레일(21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front and rear moving rails 21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front FS and the inner rear B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상기 좌우 이동 레일(22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 사이의 넓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이동 레일(220)은 상기 전후 이동 레일(2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후 이동 레일(210)을 따라,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220 are installed in a width direction between an inner left side and an inner right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100. 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220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moving rails 210, along the front and rear moving rails 210, and the inner front FS and the inner rear B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23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가 장착된다.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230)는 상기 좌우 이동 레일(2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좌우 이동 레일(220)을 따라,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 사이의 넓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projector setting table 230 is equipped with the test projector TP to be tested. The projector setting stand 230 is moun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moving rails 220, and moves along 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220 in a width direction between an inner left side and an inner right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100. Do.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230)는 높이 조절축(231) 및 회전판(232)을 더 구비한다. 상기 높이 조절축(231)은 높이 방향으로 신축 및 확장된다. 이에 따라, 탑재되는 테스트 카메라(TP)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projector setting table 230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shaft 231 and the rotating plate 232. The height adjustment shaft 231 is expanded and expanded in the he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mounted test camera TP can be adjusted in height.

상기 회전판(232)은 회전 및 틸팅(tilting)된다. 이에 따라, 탑재되는 테스트 카메라(TP)는 회전 및 틸팅(tilting)이 가능하게 된다.The rotating plate 232 is rotated and tilted. Accordingly, the mounted test camera TP can be rotated and tilted.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에 셋팅되는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는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장착되는 테스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영상을 의도한 위치 및 범위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est projector TP set in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may easily display a test image displayed on a test screen mount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t an intended position and range. .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상이 되는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테스트 스크린의 장착이 가능하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1B,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inner front F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TP to be tested. It is possible to mount a test screen to display the provided test imag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 공급 유닛(300)은 스크린 셋팅 파트(310) 및 스태크 파트(360)를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reen supply unit 300 has a screen setting part 310 and a stack part 360.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에는, 테스트 스크린이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스태크(360)에는,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 중의 어느하나가 상기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하여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로 공급된다.In the screen setting part 310, a test screen is set. The screen stack 360 may store a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One of the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is selected as the test screen and supplied to the screen setting part 310.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집적부스(100) 내부의 소정의 분리높이에 설치되는 분리 받침대(SPAN)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는 상기 분리 받침대(SPAN)의 위쪽에 설치된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pedestal (SPAN)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inside the integrated booth 100. In this case, the screen setting part 310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and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s installed above the separation pedestal (SPAN).

그리고,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상기 스태크 파트(360)는 상기 분리 받침대(SPAN)의 아래쪽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tack part 360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s installed below the separation pedestal (SPAN).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공급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 및 상기 스태크 파트(360)를 구비한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of FIGS. 1A and 1B. Referring to FIG. 3, the screen supply unit 300 includes the screen setting part 310 and the stack part 360 as described above.

상기 스태크 파트(360)는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스크린 스태크들(361a, 361b) 및스태크 실린더(363)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stack part 360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 stacks 361a and 361b and a stack cylinder 363.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 스태크들(361a, 361b) 각각은 상기 준비 스크린들(PSCR)을 보관한다. 상기 스태크 실린더(363)는 상기 스크린 스태크들(361a, 361b)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선택되는 상기 준비 스크린(PSCR)은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의 스크린 레일(311)을 따라 테스트 스크린(TSCR)으로 셋팅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 stacks 361a and 361b holds the preparation screens PSCR. The stack cylinder 363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stacks 361a and 361b. In this case, the selected preparation screen PSCR is set as a test screen TSCR along the screen rail 311 of the screen setting part 310.

한편, 상기 준비 스크린(PSCR)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풀 영상 스크린(FIMSC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 영상 스크린(FIMSCR)은 상기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신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풀 영상 범위(FRG)는 상기 풀 영상 스크린(FIMSCR) 상에 설정되는 가상의 범위로서,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에 대하여 영상의 화질의 신뢰성의 보장이 요구되는 최대 범위이다. At least one of the preparation screens PSCR is preferably a full image screen FIMSCR. The full image screen (FIMSCR) is at least one full detection means attached to it, as shown in Figure 4a,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area in which the test image is displayed is in accordance with the full image range (FRG) (FDET1, FDET2). Here, the full image range FRG is a virtual range set on the full image screen FIMSCR, which is the maximum range for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quality of the test projector TP is requir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은 상기 풀 영상 스크린(FIMSCR)의 좌측 상단 모서리 부근과 우측 하단 모서리 부근에 부착되어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ull sensing means FDET1 and FDET2 are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left corner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full image screen FIMCR.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은 내측 센서(INS1, INS2) 및 외측 센서(UTS1, UT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 센서(INS1, INS2)는 상기 풀 영상 범위(FRG)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센서(UTS1, UTS2)는 상기 풀 영상 범위(FRG)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 센서(INS1, INS2)는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영상에 자신이 내포됨을 확인하며, 상기 외측 센서(UTS1, UTS2)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자신이 배제됨을 확인한다. More preferably, the pull sensing means FDET1 and FDET2 comprise inner sensors INS1 and INS2 and outer sensors UTS1 and UTS2. The inner sensors INS1 and INS2 are disposed inside the full image range FRG, and the outer sensors UTS1 and UTS2 are disposed outside the full image range FRG. The inner sensors INS1 and INS2 confirm that they are embedded in the displayed test image, and the outer sensors UTS1 and UTS2 confirm that they are excluded from the displayed test imag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스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범위가 상기 내측 센서(INS1, INS2)를 내포하고 상기 외측 센서(UTS1, UTS2)를 배제할 때, 상기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에서 제공되는 풀 감지 신호(VDET1~VDET2)는 활성화된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이 상기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풀 감지 신호(VDET1~VDET2)는 활성화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display range of the test image includes the inner sensors INS1 and INS2 and excludes the outer sensors UTS1 and UTS2, the full sensing provided by the pull sensing means FDET1 and FDET2. Signals VDET1 to VDET2 are activated. That is,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test image matching the full image range FRG, the pull detection signals VDET1 to VDET2 are activated.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준비 스크린(PSCR)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홀 스크린이다. 이때, 상기 홀 스크린은 3열 홀 스크린(HSCR1, 도 4b), 4열 홀 스크린(HSCR2, 도 4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은 하나의 측정 홀(MSH1, MSH2)을 포함한다. 참고로, 측정 홀(MSH1, MSH2)의 지름은 추후에 기술되는 측정 수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구현된다.Also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preparation screens (PSCRs) is a hall screen. In this case, the hall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hree-row hall screen (HSCR1, FIG. 4B) and a four-row hall screen (HSCR2, FIG. 4C). In addition,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include one measuring hole MSH1 and MSH2. For reference, the diameters of the measuring holes MSH1 and MSH2 are implemented to a length such that the measuring means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그리고, 측정 홀이 형성되지 않는 노말 스크린을 상기 준비 스크린(PSCR)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normal screen on which no measurement hole is formed is provided as the preparation screen PSCR.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하여 특정되는 측정 위치에서의 화질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 즉, 상기 테스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300)의 반대편에 설치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1B,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measures image quality at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ed for the test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n this case,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300 bas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that is, the test screen.

도 5는 도 1a 및 도 1b의 화질 측정 유닛(400)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좌측 상하 레일(411), 우측 상하 레일(412), 가로 레일(413) 및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을 구비한다.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of FIGS. 1A and 1B. Referring to FIG. 5,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includes left upper and lower rails 411, right upper and lower rails 412, horizontal rails 413, and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상기 좌측 상하 레일(411)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좌측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측 이동홈(411a)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상하 레일(412)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우측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우측 이동홈(412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좌측 상하 레일(411) 및 상기 우측 상하 레일(412)은 축 걸이(417)에 의하여,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을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에 근접하여 설치되도록 한다.The left upper and lower rails 411 include a left moving groove 411a which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nd the right upper and lower rails 412 include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t includes a right moving groove 412a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In this case, the left upper and lower rails 411 and the right upper and lower rails 412 may be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by the shaft hook 417.

상기 가로 레일(413)은 상기 좌측 상하 레일(411)과 상기 우측 상하 레일(412)에 걸쳐 장착되고,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이동 홈(413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 레일(413)은 측정 구동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좌측 이동홈(411a)과 상기 우측 이동홈(412a)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horizontal rail 413 is mounted over the left upper and lower rails 411 and the right upper and lower rails 412, and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groove 413a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In addition, the horizontal rail 413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long the left moving groove 411a and the right moving groove 412a by the operation of a measurement driving motor (not shown). do.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은 색온도, 색감 등의 색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될 수 있으며, 제1 이동 체인(413b)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로 이동 홈(413a)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1 may be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color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temperature and color, and the horizontal moving groove (SEN1)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ving chain 413b. 413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In addition,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may expand and contrac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결과적으로,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상하 전후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다.  As a result,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홀 스크린(HSCR1, HSCR2)의 측정 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영상의 색온도, 색감 등의 색특성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의 측정부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되는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측정 홀(MSH1, MSH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의 측정부가, 측정 홀(MSH1, MSH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의 측정부(예를 들면, 렌즈)가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은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표면에서 테스트 영상을 측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 결과, 보다 정확한 테스트 프로젝터(TP)의 화질 특성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측정 홀(MSH1, MSH2)의 위치는 측정 위치에 해당된다.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measure color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temperature and color of a test imag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ing holes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is inserted into the measuring holes MSH1 and MSH2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selected as the test screens, as shown in FIG. 6.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units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are inserted into the measurement holes MSH1 and MSH2. At this time, the measuring unit (for example, the lens) of the pictur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surfaces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Accordingly, the pictur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obtains the same effect as measuring a test image on the surfaces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As a result, a more accurate test of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rojector TP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measurement holes MSH1 and MSH2 correspond to the measurement positions.

한편,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은 예비 레일(416) 및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preliminary rail 416 and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이때, 상기 예비 레일(416)도 상기 가로 레일(413)와 유사하게 상기 좌측 상하 레일(411)과 상기 우측 상하 레일(412)에 걸쳐 장착되고,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예비 이동 홈(416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예비 레일(416)도 측정 구동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좌측 이동홈(411a)과 상기 우측 이동홈(413b)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preliminary rail 416 is also mounted over the left upper and lower rails 411 and the right upper and lower rails 412 similarly to the horizontal rails 413, an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Groove 416a. In addition, the preliminary rail 416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long the left moving groove 411a and the right moving groove 413b by the operation of a measurement driving motor (not shown). do.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은 밝기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될 수 있으며, 제2 이동 체인(416b)의 동작에 의해 상기 예비 이동 홈(416a)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은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2)들은 상하 전후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다.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may be equipment for measuring brightness and the like, and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along the preliminary moving groove 416a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ving chain 416b. . In addition,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s a result,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2 can move up, down, left, and right.

그리고,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은 상기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되는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측정 홀(MSH1, MSH2)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프로젝터(TP)의 영상의 밝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measure brightness of an image of the test projector TP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ing holes MSH1 and MSH2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selected as the test screen. can do.

이때,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의 측정부가, 상기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되는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측정 홀(MSH1, MSH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들은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들의 측정부가, 측정 홀(MSH1, MSH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의 측정부(예를 들면, 렌즈)가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은 상기 홀 스크린(HSCR1, HSCR2)의 표면에서 테스트 영상을 측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그 결과, 보다 정확한 테스트 프로젝터(TP)의 화질 특성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측정 홀(MSH1, MSH2)의 위치는 측정 위치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unit of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is inserted into the measuring holes MSH1 and MSH2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selected as the test screen. In this way, the measuring units of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are inserted into the measuring holes MSH1 and MSH2. At this time, the measuring part (for example, the lens) of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surfaces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Accordingly,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obtains the same effect as measuring the test image on the surfaces of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As a result, a more accurate test of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rojector TP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measurement holes MSH1 and MSH2 correspond to the measurement positions.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제어 유닛(500)을 더 구비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and 1B,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500.

상기 제어 유닛(5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 및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utside the integrated booth 100 and moves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SEN1 and the preliminary measuring unit SEN2 to the measurement position to be measured. Control 400.

도 7은 상기 제어 유닛(5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유닛(500)은 측정 제어부(510), 셋팅 제어부(520) 및 입력부(530)를 구비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500 in detail.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measurement control unit 510, a setting control unit 520, and an input unit 530.

상기 측정 제어부(510)는 상기 입력부(5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화질 측정 유닛(400)을 제어하여,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 도 5 참조) 및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 도 5 참조)을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measurement control unit 510 controls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30, so that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SEN1 (see FIG. 5) and the preliminary measuring unit SEN2, 5) is moved to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to be measured.

상기 셋팅 제어부(520)는 상기 입력부(5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을 제어한다. 즉,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은 상기 셋팅 제어부(5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은 상기 셋팅 제어부(520)의 제어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300)에 셋팅되는 테스트 프로젝터(TP)는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으로부터 거리 및 높이가 조절된다.The setting controller 520 controls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30. That is,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moves between the inner front side FS and the inner rear side BS of the integrated booth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setting controller 520.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is controlled by the setting controller 520. Accordingly, the test projector TP set in the projector setting unit 300 is adjusted in distance and height from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 유닛(500)은 감지 확인부(5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감지 확인부(540)는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되는 풀 영상 스크린(FIMSCR, 도 4a 참조)의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의 상기 풀 감지 신호(VDET1~VDET2)의 활성화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이 상기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500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check unit 540. The detection checking unit 540 is the full detection signal (VDET1 ~ VDET2) of the full detection means (FDET1, FDET2) of the full image screen (FIMSCR, see Figure 4a) selected as the test scree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By checking the activation of, it is checked whether the displayed test image is within the full image range (FRG).

그리고, 상기 감지 확인부(540)는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300)의 상기 풀 감지 신호(VDET1~VDET2) 모두가 활성화됨에 감지하여, 상기 셋팅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의 거리 및 높이가 확정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checking unit 540 detects that all of the pull detection signals VDET1 to VDET2 of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are activated, and provides the setting control unit 520. Accordingly, the distance and height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are determined.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도 8a 및 도 8b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500)에 대한 도시는 생략된다.8A and 8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mplemented. 8A and 8B, the illustration of the control unit 500 is omitted.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서는,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310) 및 상기 스태크 파트(360)로 구성되는 스크린 장착 유닛, 화질 측정 유닛(400) 및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이 실제 환경과 유사한 암실을 제공하는 집적부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영상의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유닛(400)은, 상기 집적부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유닛(500)에 의하여, 측정 위치에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서 집적부스(100)는 그 골격만이 도시된다. 이는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mounting unit, an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and the screen setting part 310 and the stack part 360 are provided.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is installed inside the integrated booth 100 providing a dark room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that measures the image quality of the test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mount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installed outside the integrated booth to match the measurement position. 8A and 8B, only the skeleton of the integrated booth 100 is shown. This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or can be easily tested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린 장착 유닛이 테스트 영상의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풀 영상 범위에 일치되는지를 확인하는 풀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풀 감지 수단에서 제공되는 풀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의 이동이 제어된다. 이 경우, 테스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풀 영상 범위에 일치시키는 테스트 프로젝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mounting unit includes pull sensing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a displayed area of the test image matches the full image range, and includes a pull sensing signal provided by the pull sensing means. The movement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is thus controll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est projector whose display area of the test image matches the full image range can be easily determined.

계속하여,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터 테스트 방법의 예가 기술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터 테스트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ubsequently, an example of a projector test method using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jector test method using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도 1a 및 도 1b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프로젝터 셋팅 단계(S10), 테스트 프로젝터 위치 확정 단계(S20), 성능 테스트 단계(S30)의 순으로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S. 1A and 1B, the projector t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in the order of a test projector setting step S10, a test projector positioning step S20, and a performance test step S30.

먼저, 테스트 프로젝터 셋팅 단계(S10)가 진행된다.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 셋팅 단계(S10)에서는, 테스트 프로젝터(TP) 즉, 테스트 대상이 되는 프로젝터가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에 셋팅된다.First, a test projector setting step S10 is performed. In the test projector setting step S10, a test projector TP, that is, a projector to be a test target, is set in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이어서, 테스트 프로젝터 위치 확정 단계(S20)가 진행된다.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 위치 확정 단계(S20)에서는, 테스트 프로젝터(TP)의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200)으로부터의 거리 및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 위치 확정 단계(S20)는 테스트 패턴 디스플레이 단계(S21)와 위치 조절 단계(S23)로 진행된다. 상기 테스트 패턴 디스플레이 단계(S21)에서는, 풀 스크린 영상(FIMSCR)을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하여,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을 예비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위치 조절 단계(S23)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을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200)은 스크린 장착 유닛(300)과의 거리가 조절되며, 또한, 높이가 조절된다.Subsequently, the test projector positioning step S20 proceeds. In the test projector positioning step S20, the distance and height of the test projector TP from the screen mounting unit 200 are determined. The test projector positioning step (S20) proceeds to a test pattern display step (S21) and a position adjustment step (S23). In the test pattern display step (S21), the full screen image (FIMSCR) is selected as a test screen, and preliminarily displays a test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TP). In addition, in the position adjusting step (S23), in order to match the displayed test image to the full image range (FR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setting unit 200 and the screen mounting unit 300 is adjusted. The height is adjusted.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테스트 영상이 상기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되는지 여부가 상기 풀 감지 수단(FDET1, FDET2)에 의하여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영상이 상기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될 때, 활성화되는 상기 풀 감지 신호(VDET1~VDET2)가 상기 제어 유닛(500)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500)에 의하여,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500)의 거리와 높이가 조절된다. 그 결과,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의 위치는 확정되며, 상기 테스트 영상은 상기 풀 영상 범위(FRG)에 일치한다.Preferably, whether the test image corresponds to the full image range FRG is detected by the full sensing means FDET1 and FDET2. When the test image is matched with the full image range FRG, the pull detection signals VDET1 to VDET2 that are activated ar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500. The distance and height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500 ar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500.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test projector TP is determined, and the test image coincides with the full image range FRG.

그리고,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의 위치가 확정되면,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성능 테스트 단계(S30)가 진행된다.When the location of the test projector TP is determined, a performance test step S30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test projector TP is performed.

상기 성능 테스트 단계(S30)는 패턴 디스플레이 단계(S31), 측정수단 이동단계(S32), 화질 측정 단계(S33) 및 육안 확인 단계(S34)로 진행된다.The performance test step (S30) proceeds to the pattern display step (S31), the measuring means moving step (S32), the image quality measuring step (S33) and the visual confirmation step (S34).

상기 패턴 디스플레이 단계(S31)에서는, 도 4b 내지 도 4c와 같은 홀 스크린(HSCR1, HSCR2)이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되어,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In the pattern display step S31, the hall screens HSCR1 and HSCR2 as shown in FIGS. 4B to 4C are selected as test screens, and a test image is displayed.

상기 측정수단 이동단계(S32)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500)의 제어에 의하여, 화질 측정 유닛(400)의 화질 측정 수단(SEN1) 또는 예비 측정 수단(SEN2)이 측정 위치에 순서적으로 이동하며, 테스트 스크린의 측정홀에 삽입된다. In the measuring means moving step S3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or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of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400 are sequentially moved to the measuring pos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measuring hole of the test screen.

상기 화질 측정 단계(S33)에서는, 상기 화질 측정 수단(SEN1) 또는 상기 예비 측정 수단(SEN2)은 각 측정 위치에서의 색특성 또는 휘도를 측정하여,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TP)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의 균일성, 콘트라스트 등을 테스트한다.In the image quality measuring step S33,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SEN1 or the preliminary measuring means SEN2 measure color characteristics or luminance at each measurement position, thereby uniformizing the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TP. Test sex, contrast and more.

그 후에, 육안 확인 단계(S34)에서는, 측정홀이 없는 노말 스크린이 장착되며, 노말 스크린에 테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육안으로 테스트 영상을 확인한다. 상기 육안 확인 단계(S34)를 통하여, 테스트되는 프로젝터의 특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in the visual confirmation step S34, a normal screen without a measuring hole is mounted, and a test image is displayed on the normal screen, and then the test image is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visual confirmation step S34,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or to be tested may be checked once agai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테스트 프로젝터가 셋팅되며,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스크린이 장착되는 스크린 장착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 홀이 형성되는 홀 스크린인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 및
상기 테스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하여 특정되는 측정위치에서의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상기 화질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측정위치는 상기 측정 홀에 해당되는 상기 화질 측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n integrated booth forming a dark room therein;
A test projector setting unit configured to move between an inner front side and an inner rear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A screen mounting unit mounted on an inner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booth and mounted with a test screen on which a test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is displayed, wherein the test screen is a hall screen on which at least one measurement hole is formed; ; And
An image quality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n image quality at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ed for the test image displayed on the test screen, the image quality measurement unit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test screen, wherein the measurement position And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은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 사이의 넓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이동 레일로서, 상기 전후 이동 레일에 장착되는 상기 좌우 이동 레일; 및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가 장착되는 프로젝터 셋팅대로서, 상기 좌우 이동 레일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jector setting unit
A front and rear moving rail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an inner front side and an inner rear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A left and right moving rail installed in a width direction between an inner left side and an inner right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mounted to the front and rear moving rails; And
And a projector setting stand on which the test projector is mounted, the projector setting stand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moving rail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는
높이 방향으로 확장가능한 높이 조절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rojector setting stand is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axis extendable in the height direc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셋팅대는
회전 및 틸팅(tilting)되는 회전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projector setting stand is
And a rotating plate rotated and tilted.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테스트 프로젝터가 셋팅되며,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 프로젝터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스크린이 장착되는 스크린 장착 유닛; 및
스크린 장착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하여 특정되는 측정위치에서의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상기 화질 측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스크린이 셋팅되는 스크린 셋팅 파트; 및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을 보관할 수 있는 스태크 파트로서, 상기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 중의 어느하나를 상기 테스트 스크린으로 선택하여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로 공급하는 상기 스태크 파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시스템.
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n integrated booth forming a dark room therein;
A test projector setting unit configured to move between an inner front side and an inner rear side of the integrated booth;
A screen mounting unit mounted on an inner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booth and equipped with a test screen for displaying a test image provided from the test projector; And
An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image quality at a measurement position specified for the test image displayed on a screen mounting unit,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being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setting unit on the basis of the test screen,
The screen mounting unit
A screen setting part for setting the test screen; And
A stack part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the test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ack part which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as the test screen and supplies it to the screen setting part.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집적부스 내부의 소정의 분리높이에 설치되는 분리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셋팅 유닛 및 상기 스크린 셋팅 파트는
상기 분리 받침대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크 파트는
상기 분리 받침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edestal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inside the integrated booth,
The projector setting unit and the screen setting part
Is installed above the separation pedestal,
The stack part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under the separation pedest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크 파트는
상기 준비 스크린들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스크린 스태크들; 및
상기 스크린 스태크들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스태크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ack part
A plurality of screen stacks for holding the ready screens; And
And a stack cylinder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stack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 중의 적어도 어느하나는
상기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풀 영상 범위에 일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신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풀 영상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is
And a full image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full sensing means attached to and installed in order to check whether an area in which the test image is displayed matches the full image rang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준비 스크린들 중의 적어도 어느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홀이 형성되는 홀 스크린으로서, 상기 측정 홀은 상기 측정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홀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reparation screens is
And a hall screen on which at least one measurement hole is formed, wherein the measurement hole is the hole scree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posi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측정 유닛은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좌측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측 이동홈을 포함하는 좌측 상하 레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우측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우측 이동홈을 포함하는 우측 상하 레일;
상기 좌측 상하 레일과 상기 우측 상하 레일에 걸쳐 장착되고,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이동 홈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이동홈과 상기 우측 이동홈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로 레일; 및
상기 가로 이동 홈을 따라 상기 스크린 장착 유닛의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질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of claim 5, wherein
A left upper and lower rail including a left mov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screen mounting unit;
A right upper and lower rail including a right moving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mounting unit;
It is mounted over the left upper and lower rails and the right upper and lower rails, and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and along the left movement groove and the right movement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Transverse rails moved; And
And a picture quality measuring means moving along the horizontal mov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creen mounting uni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집적부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질 측정 수단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질 측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projector image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ystem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outside the integrated booth and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measuring unit to move the image quality measuring means to the measurement position to be measured.
KR1020100114705A 2010-11-17 2010-11-17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KR101025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05A KR101025237B1 (en) 2010-11-17 2010-11-17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05A KR101025237B1 (en) 2010-11-17 2010-11-17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237B1 true KR101025237B1 (en) 2011-03-29

Family

ID=4393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705A KR101025237B1 (en) 2010-11-17 2010-11-17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2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58B1 (en) * 2011-05-17 2011-11-30 (주)아이솔루션 Camera mono-color tracking test system and test method
KR102258210B1 (en) 2021-02-16 2021-05-27 이동우 Projector tes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809A (en) * 2002-07-12 2004-02-12 Seiko Epson Corp Projector inspection apparatus and projector insp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809A (en) * 2002-07-12 2004-02-12 Seiko Epson Corp Projector inspection apparatus and projector inspe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58B1 (en) * 2011-05-17 2011-11-30 (주)아이솔루션 Camera mono-color tracking test system and test method
KR102258210B1 (en) 2021-02-16 2021-05-27 이동우 Projector tes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458B2 (en) Self-calibrating wheel aligner with improved portability
US10271045B2 (en) Apparatus for testing an object
CA264100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of the same
CN103857478B (en) The device and method of the guidance pass of milling train and rolling groove or guidance base for determining the mill stand in multistand mill
NO3301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alibrating a projector's image display to a display screen, and display screen for such use.
KR1020220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dth of coating liquid sprayed from a nozzle
CA2556042A1 (en) Method for locating defective points and marking system
KR101732085B1 (en) Movable type facilities detecting device and facilities maintenance method
US201501242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ment of an optical imaging system
KR101025237B1 (en) Prohector quality test system
JP6945415B2 (en) How to adjust the image measuring device
KR101661533B1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5511092B (en) The calibration equipment of 3 d display device
CN103443580B (en) For calibrat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a measuring reference system of vehicle
US20120293666A1 (en) Multi-direction sfr measurement system
US11705028B2 (en) Mobile device fixture for automated calibration of electronic display screens and method of use
CN105261319B (en) Screen detection means and its detection method
CN207197509U (en) Outward appearance detecting system
KR101358313B1 (en) Measuring apparatus
WO2021149495A1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radle
US20070146383A1 (en) Color uniformity system
CN208751828U (en) Optical detection device
JP6263510B2 (en) 3D display device calibration device
CN209280272U (en) The position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of screen test
JP2021117289A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ra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