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163B1 -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163B1
KR101025163B1 KR1020080113288A KR20080113288A KR101025163B1 KR 101025163 B1 KR101025163 B1 KR 101025163B1 KR 1020080113288 A KR1020080113288 A KR 1020080113288A KR 20080113288 A KR20080113288 A KR 20080113288A KR 101025163 B1 KR101025163 B1 KR 10102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noise
contribution
spectrum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381A (ko
Inventor
오재응
박상길
정재은
양인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1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06F17/141Discrete Fourier transforms
    • G06F17/142Fast Fourier transforms, e.g. using a Cooley-Tukey type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다입력계 측정 대상의 소음 및 진동원 규명과 전달경로 특성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제공한다.
진동, 소음, 전달, 경로,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

Description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ANALYSIS SYSTEM OF TRANSFER PATH FOR VIBRATION/NOISE AND ANALYSIS METHOD OF TRANSFER PATH FOR VIBRATION/NOISE}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동/소음 전달경로 해석 분야는 산업사회의 고도화와 복합화로 인해 모든 시스템이 복잡해짐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의 발생원인 및 발생기구가 매우 복잡해짐으로써 필요하게 되었다. 진동/소음 전달경로 해석 분야는 복잡한 기계구조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저소음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음 및 진동원과 전달경로 및 방사 부위 등의 발생과정을 엄밀하게 해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저감대책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진동 및 소음은 그 상태가 매우 복잡하고 여러 개의 진동원 및 소음원이 존재하며 이들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전달함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에는 주파수 영역 법 중 주파수 응답 함수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주파수 응답 함수법은 진동/소음이 진원(source)로부터 출력지점(수음점)까지 전달해 나가는 과정을 알 수 있도록 시스템의 특성을 구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다입력계(Multi input system)의 측정 대상, 예를 들어, 기계 구조물에 대한 진동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에는 주파수 응답함수의 경우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수 없어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진동 소음 전달경로 해석 분야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원인 및 발생기구가 복잡한 시스템에 대해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해석법 및 프로그램 모듈을 많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복잡성과 다양성이 존재하고, 가진원으로부터 수음점에 이르는 전달경로가 복잡한 모델의 경우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전달함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입력계(Multi input system) 측정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해석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를 계산하는 일반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부분 기여도 함수와 다중 기여도 함수를 계산하는 부분/다중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기여순위를 파악하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는 온라인 계측과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이 계측된 데이터를 로딩하는 오프라인 계측을 선택하는 온/오프라인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기여도 계산부의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에 따라 시스템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적용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의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과 잡음을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비를 통해 충분한 입력원이 선정되었는지 판단하는 입력원 유효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결과를 출력 및 저장하는 결과 출력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차원 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진동원을 갖는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해석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원을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된 상기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소음원의 기여 순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진동/소음원을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원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원의 일반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원의 일반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일반 기여도 함수를 이용하여 소음원의 크로스 스펙트럼 제곱을 소음원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의 곱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된 상기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원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잔차 스펙트럼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잔차 스펙트럼으로 소음원의 부분 기여도 및 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원의 일반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원의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다입력계 측정 대상의 소음 및 진동원 규명과 전달경로 특성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은 온/오프라인 선택부(100)와, 데이터 계측부(210)와, 데이터 로딩부(220)와, 오토 파워 스펙트럼(Auto Power Spectrum, APS)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Cross Power Spectrum, CPS) 계산부(300)와, 일반 기여도 계산부(400)와, 시스템 적용 판단부(500)와, 부분/다중 기여도 계산부(600)와, 입력원 유효 판단부(700)와, 기여 출력 스펙트럼 계산부(800)와, 결과 출력 및 저장부(9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은 랩뷰(LabVIEW)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온/오프라인 선택부(100)는 진동과 소음에 대한 데이터의 계측 또는 로딩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계측부(210)와 데이터 로딩부(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즉, 온/오프라인 선택부(100)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선택에 따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은 진동과 소음에 대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계측하거나, 진동과 소음에 대해 계측된 데이터를 로딩한다.
데이터 계측부(210)는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대상을 온라인으로 실시간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과 소음을 실제 측정하는 센서(Sensor)와, 센서에서 측정된 진동 및 소음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or)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센서로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사용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측정된 진동과 소음의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부(300)에 입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은 진동과 소음을 계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역시 센서의 개수에 대응하는 채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로딩부(220)는 진동과 소음에 대해 계측된 데이터를 로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계측부(210)에서 측정되지 않고 별도로 계측된 진동과 소음에 대한 데이터를 로딩한다. 이때, 상기 진동 및 소음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데이터 로딩부(220)에 로딩될 수 있으며, 데이터 로딩부(220)를 통해 로딩된 진동과 소음에 대한 데이터 역시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 부(300)에 입력된다.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부(300)는 데이터 계측부(210) 또는 데이터 로딩부(220)에서 입력된 계측 대상의 진동 및 소음 데이터에 대한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한다. 이때,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은 주파수 응답 함수법의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각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량인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 기여도 계산부(400)는 측정된 두 신호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기여도는 두 신호, 즉, x(t)와 y(t)의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제곱을 각각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이때, x(t)와 y(t)는 0초부터 T초까지 동시에 측정된 N개의 시간 기록들(x1(t), ... , xN(t)와 y1(t), ... , yN(t))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적용 판단부(500)는 입출력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스템 적용 판단부(500)는 상관관계의 존재를 파악하여 시스템 적용의 타당성을 판단하며, 입출력간에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을 적용한다. 물론, 입출력간에 상관관계가 없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주파수 응답 함수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분/다중 기여도 계산부(600)는 신호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부분/다중 기여 도 함수를 계산한다. 이때, 부분 기여도 함수는 잔차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출력과의 기여도를 분석하며, 다중 기여도 함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과 잡음을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비이다.
입력원 유효 판단부(700)는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과 잡음을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비를 통해 충분한 입력원이 선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실제 입력원의 개수가 계산된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의 개수와 동일하다면 입력원은 유효하지만, 입력원의 개수가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의 개수와 상이하다면 입력원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기여 출력 스펙트럼 계산부(800)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기여순위를 파악하며, 결과 출력 및 저장부(900)는 해석결과를 화면에 나타내며 이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다입력계 측정 대상의 소음 및 진동원 규명과 전달경로 특성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 념도이다. 이때, 도 3은 진동/소음원의 입력과 전달 및 출력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잔차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a)는 진동/소음원의 3입력/1출력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b)는 진동/소음원의 3입력/1출력 조건부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은 진동/소음원을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하는 단계 와,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된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 와, 진동/소음원의 기여 순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원을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하는 단계는 온/오프라인을 선택하는 단계(S 1 ) 와,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S 2 ) 와, 일반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S 3 ) 를 포함하고, 주파수 응답 함수법으로 해석된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 부분/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S 4 ) 를 포함하며, 진동/소음원의 기여 순위를 파악하는 단계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S 5 ) 를 포함한다.
온/오프라인을 선택하는 단계(S 1 ) 는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소음원, 즉, 진동 및 소음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온라인 데이터 분석 또는 미리 측정된 데이터를 로딩하여 분석하는 오프라인 데이터 분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이러한 선택에 따라 온라인으로 해석하는 단계와 오프라인으로 해석하는 단계로 나눠질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으로 해석하는 단계는 미리 측정된 데이터를 로 딩하므로, 별도의 측정 단계 없이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해석하는 단계는 별도의 측정단계를 필요로 하므로, 온라인으로 해석하는 단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채널의 개수를 설정하는 채널 설정 단계와, 샘플링 레이트 및 데이터 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채널로 진동 및 소음을 실측하는 다채널 측정 단계를 포함한다.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S 2 ) 는 주파수 응답 함수법(Frequency Response Function method, FRF method)을 기초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여 일반 기여도 함수를 계산하기 위한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산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함수로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시간영역에서 입력에 대한 출력은 응답함수의 합성 적분(Convolution)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주파수 영역에서 입력에 대한 출력은 단순한 곱(y(t)=h(t)·x(t), Y(f)=H(f)·X(f))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출력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 결과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수식 1과 같이 출력은 전달함수와 입력 및 잡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식에서 i는 측정점이고 j는 응답점이다.
[수식 1]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1
또한, 고속 푸리에 변환된 결과를 이용하여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산출하기 위해 수식 1에서 양변에 X의 공액 복소수인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2
를 곱하면 수식 2와 같다.
[수식 2]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3
또한, 수식 2에서 앙상블 평균을 이용하면 수식 3이 유도된다.
[수식 3]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4
또한, 이에 따른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은 수식 4와 같다. 이때, 입력은 잡음과는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잡음을 제거(Sjn(f)=0)하여 수식 3을 수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4]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5
또한, 출력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은 수식 5와 같다.
[수식 5]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6
이때, 수식 5에서 T는 측정 시간이고, E는 앙상블(ensemble) 평균을 나타내며, 위첨자 *는 공액 복소수 연산을 나타낸다. 또한, 입력은 잡음과 상관관계가 없으므 로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7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8
는 0으로 수렴한다.
또한, 입력간에 상관관계가 없을 경우 수식 5는 수식 6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112008078772609-pat00009
일반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S 3 ) 는 측정한 두 신호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를 계산한다. 이는 일반 기여도 함수를 이용하여 두 신호 x(t), y(t)의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제곱을 각각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의 곱으로 나눈다.
또한, 이에 따른 입력들 간의 일반 기여도 함수는 수식 7과 같다.
[수식 7]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0
또한, 입력과 출력사이의 일반 기여도 함수는 수식 8과 같다.
[수식 8]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1
이때, 입출력간 일반기여도(r2 ij(f))가 0.5를 초과한다면 입출력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부분/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하지만, 입출력간 일반기여도(r2 ij(f))가 0.5 이하라면 입출력간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므로 본 발 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주파수 응답 함수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분/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S 4 ) 는 신호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부분/다중 기여도 함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부분/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잔차 스펙트럼(Residual spectrum)을 산출하는 단계 와, 부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와, 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잔차 스펙트럼을 산출하는 단계 는 부분 기여도와 다중 기여도를 계산하기 위해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잔차 스펙트럼을 산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X1(f), X2·1(f), ..., Xq(q-1)!(f))과 출력(Y(f))의 관계식을 정리하면 수식 9와 같다.
[수식 9]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2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3
는 최적 전달 함수로서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순수한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를 나타내며, 최적 전달 함수는 수식 10과 같이 정의된다. 이때, 수식 10은 입력이 세 개이고 출력이 하나일 경우를 예시한다.
[수식 10]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4
여기서, 소음원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잔차 스펙트럼을 구하는 과정은 도 5 와 같이 모델링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입력(입력 1)을 제거한 잔차 스펙트럼은 수식 11과 같다. 이와 같이 상관관계를 제거한 잔차 스펙트럼을 통하여 순수한 각 입력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수식 11]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5
또한, 두 개의 입력(입력 1, 입력 2)을 제거한 잔차 스펙트럼은 수식 12와 같다.
[수식 12]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6
부분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는 잔차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출력과의 기여도를 분석한다.
[수식 13]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7
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출력 스펙트럼과 잡음을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비를 계산한다. 이는 수식 14와 수식 1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14]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8
[수식 15]
Figure 112008078772609-pat00019
이때, 다중 기여도(r2 yx(f))가 0.5를 초과할 경우 입력원이 유효한 것이므로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다중 기여도(r2 yx(f))가 0.5 이하일 경우 입력원이 유효하지 않은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한다.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S 5 ) 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기여순위를 파악한다. 즉,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출력에 대한 각 입력의 기여순위를 파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다입력계 측정 대상의 소음 및 진동원 규명과 전달경로 특성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11)

  1. 삭제
  2.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해석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계측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를 계산하는 일반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부분 기여도 함수와 다중 기여도 함수를 계산하는 부분/다중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기여순위를 파악하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는 온라인 계측과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이 계측된 데이터를 로딩하는 오프라인 계측을 선택하는 온/오프라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해석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을 계측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계측된 상기 대상의 진동 및 소음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오토 파워 스펙트럼 및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선형적인 종속 정도를 계산하는 일반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부분 기여도 함수와 다중 기여도 함수를 계산하는 부분/다중 기여도 계산부와,
    상기 진동 및 소음의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여 기여순위를 파악하는 기여 출력 스펙트럼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의 잡음을 배제한 출력 스펙트럼과 잡음을 포함한 전체 스펙트럼의 비를 통해 충분한 입력원이 선정되었는지 판단하는 입력원 유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
  6. 삭제
  7. 다차원 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소음원을 갖는 대상의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를 해석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원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과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와,
    일반 기여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소음원의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의 제곱을 상기 진동/소음원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의 곱으로 나누는 단계;와,
    상기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소음원의 기여 순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원의 상관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소음원간의 상관관계를 제거하여 잔차 스펙트럼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잔차 스펙트럼으로 진동/소음원의 부분 기여도 및 다중 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반 기여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소음원의 크로스 파워 스펙트럼의 제곱을 상기 진동/소음원의 오토 파워 스펙트럼의 곱으로 나누는 단계;는,
    상기 진동/소음원의 기여 출력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KR1020080113288A 2008-11-14 2008-11-14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KR10102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88A KR101025163B1 (ko) 2008-11-14 2008-11-14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88A KR101025163B1 (ko) 2008-11-14 2008-11-14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81A KR20100054381A (ko) 2010-05-25
KR101025163B1 true KR101025163B1 (ko) 2011-03-31

Family

ID=4227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88A KR101025163B1 (ko) 2008-11-14 2008-11-14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2127A (zh) * 2014-11-19 2015-04-0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外场声激励船舶振动噪声传递路径分析方法
KR20230006116A (ko) 2021-07-02 2023-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소음원 및 진동원으로부터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이 관심 지점까지 전달되는 경로를 파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16B1 (ko) * 2013-12-05 2014-02-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저주파 음파 감지 시스템의 보정 방법
CN106482919B (zh) * 2015-08-28 2019-04-09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传递路径获取方法及装置
CN109323872A (zh) * 2018-10-31 2019-02-12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的整车噪声指标分解方法、装置及系统
CN109187059A (zh) * 2018-11-28 2019-01-11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整车半消声室环境下轨道车辆结构传声路径试验测试方法
CN112447163B (zh) * 2019-08-29 2024-05-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驾驶室内降噪方法及声学消声结构
CN111551371A (zh) * 2020-05-21 2020-08-18 智车优行科技(上海)有限公司 车内噪声传递路径测试方法和车内噪声传递路径测试系统
CN111767870B (zh) * 2020-07-02 2024-02-20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确定水轮机动静干涉振动传递路径的方法
CN112163274B (zh) * 2020-09-25 2021-08-0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内低噪声优化设计方法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2127A (zh) * 2014-11-19 2015-04-0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外场声激励船舶振动噪声传递路径分析方法
KR20230006116A (ko) 2021-07-02 2023-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소음원 및 진동원으로부터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이 관심 지점까지 전달되는 경로를 파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81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63B1 (ko)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시스템과 진동 및 소음 전달경로 해석 방법
US10386339B2 (en) Modal vibration analysis system
JP6027087B2 (ja) スペクトル挙動の変換を実行する音響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Billings et al. Spectral analysis for non-linear systems, Part I: Parametric non-linear spectral analysis
Park et al. Compressive time delay estimation off the grid
JP2014077791A (ja) 複数信号の相互関係を示す方法及び試験測定装置
Polanco-Martinez et al. BINCOR: An R package for estim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wo unevenly spaced time series
JPS6156976A (ja) 伝達関数測定装置
US10242697B2 (en) Pitch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pitch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4522167A (ja) 非コヒーレント・サンプリング・データの小さな漏れのパワースペクトル決定技法
Hessling Dynamic metrology—an approach to dynamic evaluation of linear time-invariant measurement systems
US20100070226A1 (en) Analysis of Chirp Frequency Response Using Arbitrary Resampling Filters
GB2033117A (en) Gas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JP7006799B2 (ja) 情報処理装置、センサ動作最適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1616B1 (ko) 비선형 스펙트럼 상관관계를 이용한 구조물 진단 방법 및 구조물 진단 시스템
Sanchez-Gendriz Signal processing basics applied to Ecoacoustics
JP5094937B2 (ja) 周波数解析装置
JP2010185682A (ja) 一般調和解析装置および周波数分析装置
JPH1082812A (ja) 信号対雑音電力比測定装置
RU2331893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дискретных составляющих в спектре сиг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Hall et al. A model-based approach to dispersion and parameter estimation for ultrasonic guided waves
JP5700850B2 (ja) 遅延推定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たエコー消去方法と、それらの装置と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
JP2017203931A (ja) 音響特性測定装置及び音響特性測定方法
KR101027969B1 (ko) 재귀 이산 푸리에 변환 기반 다중 해상도 주파수 검출 장치및 방법
Van Walstijn et al. Adaptive calibration of a three-microphone system for acoustic waveguide characterization under time-varying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