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102B1 -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102B1
KR101025102B1 KR1020090050268A KR20090050268A KR101025102B1 KR 101025102 B1 KR101025102 B1 KR 101025102B1 KR 1020090050268 A KR1020090050268 A KR 1020090050268A KR 20090050268 A KR20090050268 A KR 20090050268A KR 101025102 B1 KR101025102 B1 KR 10102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ish
partition
plat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595A (ko
Inventor
민부기
Original Assignee
민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부기 filed Critical 민부기
Priority to KR102009005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1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들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여 해류와 포식성 어류로부터 물고기들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는 원판형태의 상판과 바닥판의 사이를 반원통형의 기둥이 마주보며 교차하여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이루는데,
반원통형의 기둥은,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구조물에 칸막이를 삽입·장착한 다음, 개방된 면의 칸막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서 가림막으로 막은 형태의 외측기둥과,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내측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은 바닥판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기둥이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기둥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개방된 면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판이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의 상부에 결착되고, 상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중간지지판이 형성되어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의 결속한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는 외측기둥의 내면에 크기가 각기 다른 물고기 방을 형성하고,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이 교차하는 부위로 물고기들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작은 물고기들이 해류와 포식성 어류로 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피신하여 인공어초안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인공어초 , 물고기 , 어장 , 어족자원 , 수산자원

Description

인공어초{ARTIFICIAL FISHING REEF}
본 발명은 어족자원을 보호·배양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설치하는 구조물인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어초'란 해저에서 어류가 많이 모여 좋은 어장이 되는 장소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적인 어초는 상승류와 하강류의 해류가 흐름으로써 영양염류가 상층까지 운반되어지는 곳에 주로 생성되는데, 상층은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이를 먹이로 하는 수많은 작은 물고기들이 서식하게 되고, 이러한 물고기를 노리는 포식성 어류인 대형어들이 모여들게 됨으로써 풍부한 어장이 형성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면이 바다이지만, 그동안 어족에 대한 무분별한 남획과 가두리양식장 등에 의한 해양환경의 악화로 연안의 어족자원이 고갈되면서 수산자원의 번식과 보호가 절실한 실정이다.
그래서 미래의 수산자원을 확충하는 방편의 하나로 어족자원의 보호와 배양을 위하여 바다의 적소에 폐선을 가라앉히거나 각종 인공어초의 투입이 시행되고 있다.
인공어초는 어족자원을 보호·배양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설 치하는 어장 시설 구조물이며, 주로 콘크리트, 강재, 석재, 세라믹 등으로 제작된다.
물고기는 바닷속에서 다른 물체에 몸을 접촉하면서 의지하거나 가깝게 있으면서 몸을 보호하려는 본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물고기의 본능을 이용하는 인공어초는 주로 연안의 수심 10m ~ 50m 의 해역에 설치되며, 물의 흐름이 느려지도록 하기 때문에 물고기들이 모여들어 머물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란장의 역할도 하면서, 대형어에 쫓길 때 숨는 장소로도 활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인공어초가 설치된 곳은 물고기의 밀도가 자연어장보다 3~4배나 높아, 바다에 물고기들이 모여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물고기를 양식하는 바다목장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바다에 투입되고 있는 인공어초는, 형태는 다양하지만 구조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이 서로 이어져 연결된 형태만을 이루고 있어서 노출된 영역이 많아, 작은 물고기들이 거친 해류와 포식성 어류로 부터 안전하게 숨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인공어초는 포식성 어류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물고기들에 맞게 다양한 크기의 피난처를 제공하여야 하지만 현재의 인공어초는 각기 물고기에 맞는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고 크기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피신할 수 있는 대피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물고기들이 크기에 맞게 안전한 장소를 확보 하여 풍부한 어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인공어초를 제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크기가 다른 물고기들이 인공어초내에서 각기 크기에 맞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인공어초내에 만들어진 각기 크기에 맞는 공간안에서 인공어초의 내부와 외부로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빠르게 흐르는 해류로 부터 물고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네번째 과제는 작은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식성 어류는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해류와 대형어로부터 안전한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는 원판형태의 상판과 바닥판의 사이를 반원통형의 기둥이 마주보며 교차하여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이루는데,
반원통형의 기둥은,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구조물에 칸막이를 삽입·장착한 다음, 개방된 면의 칸막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서 가림막으로 막은 형태의 외측기둥과,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내측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은 바닥판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기둥이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기둥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개방된 면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어 배치되 며, 상판이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의 상부에 결착되고, 상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중간지지판이 형성되어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을 결속한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는 외측기둥의 내면에 크기가 각기 다른 물고기 방을 형성하고,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이 교차하는 부위로 물고기들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길을 형성하여, 작은 물고기들이 해류와 포식성 어류로 부터 안전하게 피신하여 인공어초 안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인 인공어초(1)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근해의 어족자원을 보호·배양하기 위하여 해중이나 해저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공어초는 일반적으로 바형태의 프레임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만들어진 구조를 이루어, 빠른 해류에 노출되기 쉽고, 물고기의 크기에 따라 구분되지 못하고 같은 공간에서 다양한 크기의 물고기들이 한꺼번에 서식하였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물고기나 산란된 알에서 나온지 얼마되지 않은 물고기의 경우 해류와 포식성 어류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1)는 이러한 기존의 인공어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그 형태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태의 상판(30)과 바닥판(32)의 사이를 반원통형의 기둥이 마주보며 교차하여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이룬다.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서 상판(30)과 바닥판(32)의 사이에서 본 발명인 인공어초(1)의 외곽을 마주보며 교차하여 둘러싸고 있는 반원통형의 기둥을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외측기둥 내면(11a)이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구조물(A)에 칸막이(12)를 삽입·장착한 다음(B), 개방된 면의 칸막이(12)와 칸막이(12)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면서 가림막(13)으로 막은 형태(C)의 외측기둥(10)과, 길이가 긴 원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원통 형태의 내측기둥(20)으로 이루어지며,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은 첨부도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32)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기둥(10)이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기둥(20)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개방된 내면(11a,21)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판(30)이 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의 상부에 결착되고, 상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중간지지판(31)이 형성되어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을 결속한다.
칸막이(12)와 칸막이(12)사이에 부착되는 가림막(13)은 기본적으로, 가림막(13)하단의 칸막이(12)와 닿은 상태에서 내부출입구(14)만 개방되도록 장착하거나(E), 물고기방(50) 내부의 해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가림막(13)과 가림막(13)하단의 칸막이(12)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거나 가림막에 작은 구멍을 뚫어 해수순환구(15)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장착된다.(D)
외측기둥(10)에는 물고기방(50)과 내부출입구(14)와 해수순환구(15)를 형성 하고, 내측기둥(20)은 외측기둥(10)과 교차되어 외부출입구(40)를 형성하면서 강한 해류를 막아 인공어초(1) 내부를 보호하며, 첨부도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30)은 포식성 어류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인공어초(1)의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하면서 상부출입구(33)를 형성하여 물고기들이 다닐 수 있도록 하며, 중간지지판(31)은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를 지지하면서 가운데는 인공어초(1)안에서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한 구멍인 이동구(34)가 형성되며, 이러한 모든 것이 하부의 바닥판(32)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인 인공어초(1)가 완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인공어초(1)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들은 각기 크기에 맞는 물고기방(50)에서 생활하면서 내부출입구(14)와 이동구(34)를 통하여 인공어초(1) 내부를 돌아다닐 수 있고, 상부출입구(33)와 외부출입구(40)를 통해 자유롭게 인공어초(1) 밖으로 나갈 수 있으며, 포식성 어류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었을 시 빠르게 외부출입구(40)를 통해 물고기방(50)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대형어인 포식성 물고기는 인공어초(1)의 내부로 따라 들어올 수 없게 되어 물고기는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공어초 내부로 포식성어류가 침입을 하는 일이 발생하여도 각 물고기방(50)에 숨어있거나, 물고기방(50)에서 바로 외부출입구(40)를 통해 인공어초밖으로 피신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인 인공어초(1)는 물고기들에게 보다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조에서 본 발명인 인공어초(1)는 외측기둥(10)의 내면(11a)에 칸막이(12)와 가림막(13)을 설치하여 물고기방(50)과 내부출입구(14)를 형성한 것과,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의 개방된 내면(11a,21)이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내부출입구(14)의 양옆에 인공어초(1)의 외부로도 출입할 수 있는 별도의 외부출입구(40)를 확보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이 상판(30),중간지지판(31),바닥판(32)과 결착하는 방법은 용접을 통한 결착, 볼트와 너트를 사용한 결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물고기들이 내부와 외부로 출입하는 내부출입구(14)와 외부출입구(40)의 크기는 서식하게 하고자 하는 물고기의 크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하며, 더불어 물고기방(50)의 내부도 서식하는 물고기의 크기에 맞게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인 인공어초(1)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의 형태를 반원통이라 하였지만, 반원통과 함께 수직으로 절단된 다각형형태의 기둥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다각형의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도 본 발명에 속한다.
더불어 상판(30)과 중간지지판(31)과 바닥판(32)의 형태도 원모양의 판형태와 함께 다각형의 판형태도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 은 본 발명인 인공어초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인공어초의 외곽을 형성하는 반원통형 기둥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인공어초의 외곽을 형성하는 반원통형 기둥의 수평 단면과 물고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인공어초의 외곽을 형성하는 반원통형 기둥의 수직 단면과 물고기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인 인공어초의 전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본 발명인 인공어초. 10 : 외측기둥.
11 : 속이 빈 반원통형 기둥. 11a : 외측기둥 내면
11b : 외측기둥 외면. 12 : 칸막이.
13 : 가림막. 14 : 내부출입구.
15 : 해수순환구 20 : 내측기둥.
21 : 내측기둥 내면. 22 : 내측기둥 외면.
30 : 상판. 31 : 중간 지지판.
32 : 바닥판. 33 : 상부출입구.
34 : 이동구.
40 : 외부출입구(외측기둥과 내측기둥의 교차 간격).
50 : 물고기 방. 60,60a : 물고기.
A : 속이 비고 내면이 개방된 반원통형.
B : 칸막이가 장착된 반원통형.
C : 가림막이 부착되어 완성된 외측기둥.
D : 해수순환구(15)가 있는 외측기둥.
E : 해수순환구(15)가 없는 외측기둥.

Claims (3)

  1. 인공어초에 있어서,
    길이가 긴 원 또는 다각형 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외측기둥 내면(11a)이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다각형 또는 반원통 형태의 구조물(A)에 칸막이(12)를 삽입·장착한 다음(B), 개방된 면의 칸막이(12)와 칸막이(12)사이를 가림막(13)으로 막아 물고기방(50)을 형성하는데, 가림막(13)과 상부의 칸막이(12)에 간격을 두어 내부출입구(14)를 형성하고, 가림막(13)과 하부의 칸막이(12)는 닿도록 하여 가림막(13) 내부에 물고기방(50)을 형성한 외측기둥(10)과, 길이가 긴 원 또는 다각형 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다각형 또는 반원통 형태의 내측기둥(20)을 형성한 다음, 바닥판(32)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기둥(10)이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기둥(20)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의 개방된 내면(11a,21)이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내부출입구(14)의 양옆으로 내측기둥(20)에 의해 외부출입구(40)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 상부출입구(33)가 형성된 상판(30)으로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의 상부를 덮고, 원 또는 다각형의 판형태인 상판(30)과 바닥판(32)의 사이는 중앙에 물고기의 이동구(34)가 형성된 원 또는 다각형의 판형태인 중간지지판(31)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2. 인공어초에 있어서,
    길이가 긴 원 또는 다각형 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외측기둥 내면(11a)이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다각형 또는 반원통 형태의 구조물(A)에 칸막이(12)를 삽입·장착한 다음(B), 개방된 면의 칸막이(12)와 칸막이(12)사이를 가림막(13)으로 막아 물고기방(50)을 형성하는데, 가림막(13)과 상부의 칸막이(12)에 간격을 두어 내부출입구(14)를 형성하고, 가림막(13)과 하부의 칸막이(12)는 물고기방(50) 내부의 해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가림막(13)과 가림막(13)하단의 칸막이(12)사이에 간격을 두거나 가림막(13)에 구멍을 뚫어 해수순환구(15)를 형성함으로써 가림막(13) 내부에 물고기방(50)을 형성한 외측기둥(10)과, 길이가 긴 원 또는 다각형 통을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이면서 이등분된 방향이 개방되고 속이 빈 반다각형 또는 반원통 형태의 내측기둥(20)을 형성한 다음, 바닥판(32)의 상부 테두리에서 외측기둥(10)이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기둥(20)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의 개방된 내면(11a,21)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내부출입구(14)의 양옆으로 내측기둥(20)에 의해 외부출입구(40)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 상부출입구(33)가 형성된 상판(30)으로 외측기둥(10)과 내측기둥(20)을 덮고, 원 또는 다각형의 판형태인 상판(30)과 바닥판(32)의 사이는 중앙에 물고기의 이동구(34)가 형성된 원 또는 다각형의 판형태인 중간지지판(31)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림막(13)에 구멍을 뚫어 해수순환구(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KR1020090050268A 2009-06-08 2009-06-08 인공어초 KR10102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68A KR101025102B1 (ko) 2009-06-08 2009-06-08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268A KR101025102B1 (ko) 2009-06-08 2009-06-08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595A KR20100131595A (ko) 2010-12-16
KR101025102B1 true KR101025102B1 (ko) 2011-03-25

Family

ID=4350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268A KR101025102B1 (ko) 2009-06-08 2009-06-08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8726B (zh) * 2013-01-31 2014-12-10 株洲博尔曼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装配整体式人工暗礁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343Y1 (ko) * 2003-06-27 2003-10-17 원 회 양 해저 목장 기능을 가지는 방파제
KR100666198B1 (ko) * 2006-02-22 2007-01-09 유용호 폐타이어를 이용한 내수면용 인공어초
JP2007014231A (ja) * 2005-07-06 2007-01-25 Kaiko Engineer:Kk 魚貝類の飼育装置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343Y1 (ko) * 2003-06-27 2003-10-17 원 회 양 해저 목장 기능을 가지는 방파제
JP2007014231A (ja) * 2005-07-06 2007-01-25 Kaiko Engineer:Kk 魚貝類の飼育装置
KR100666198B1 (ko) * 2006-02-22 2007-01-09 유용호 폐타이어를 이용한 내수면용 인공어초
KR100831748B1 (ko) * 2008-02-01 2008-05-23 해주이엔씨 (주)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595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40196U (zh) 一种组合式梯台状人工鱼礁
EP3419417B1 (en) Aquaculture fish pen with mortality trap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KR20130006396U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1751116B1 (ko) 다각형 인공어초
KR100948592B1 (ko) 원통 2단형 인공어초
KR101549056B1 (ko) 문어 은신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
KR101025102B1 (ko) 인공어초
KR100906601B1 (ko) 인공어초
JP2007082466A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CN104798707B (zh) 河口潮间带水域以砂质滩涂为基础的人工鱼礁建设方法
KR101234573B1 (ko) 경사판 어초
KR20130060686A (ko) 해중림 조성용 어초
KR200456709Y1 (ko) 인공어초
JP4998877B2 (ja) イセエビ用の増殖礁とその設置方法
KR20150029107A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1211536B1 (ko)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KR101252235B1 (ko) 돌기형 인공 어초
KR20140042947A (ko) 양식을 위한 어류(魚類) 거소(居所)
CN105393996A (zh) 一种浅海捕鱼装置及其捕鱼方法
KR102640855B1 (ko)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