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617B1 -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617B1
KR101024617B1 KR1020100125800A KR20100125800A KR101024617B1 KR 101024617 B1 KR101024617 B1 KR 101024617B1 KR 1020100125800 A KR1020100125800 A KR 1020100125800A KR 20100125800 A KR20100125800 A KR 20100125800A KR 101024617 B1 KR101024617 B1 KR 10102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opening
sliding bar
sli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길
Original Assignee
박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길 filed Critical 박정길
Priority to KR102010012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617B1/ko
Priority to PCT/KR2011/009498 priority patent/WO201207800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72Tidal volume pist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78Breath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위급상황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심폐소생장치{PORT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처치 법을 말하며, 통상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인공호흡과 심장을 자극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시행된다.
인공호흡은 환자의 폐에 공기를 불어 넣어 인공적으로 가스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처치를 말하며, 심장을 자극하는 동작은 처치대상자의 정지된 심장을 자극하여 소생시키기 위한 처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최근 대부분의 병원이나 구급차에는 심장마비 환자를 대비하여 환자의 심장을 전기충격을 가하여 자극하기 위한 전기충격기나 산소탱크의 산소를 자동적으로 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장치 등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고가의 장비들이 갖추어져 있다.
한편,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병원 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심장마비 환자가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현장에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병원 등에 구비되는 심폐소생용 장비 들은 고가이면서도 부피가 커서 개인이 휴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위급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심폐소생술은 개인 들이 직접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인이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안전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때 시술자는 인공호흡시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대고 공기를 불어 넣게 되고, 이때는 환자의 폐 속으로 시술자의 호흡 과정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섞여 있는 공기가 들어가게 되므로, 호흡을 되돌리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충분한 량의 산소를 환자에게 공급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인공호흡 도중에는 시술자와 환자의 입술이 상호 맞대어지게 되므로, 시술자와 처치대상자 중 보균자가 있을 경우, 보균자의 병원균이 상대방에게 옮겨지면서 질병이 전염될 우려도 생기게 된다.
또 개인이 직접 신체를 이용하여 심장을 자극할 때는 시술자가 통상 갈비뼈 상부 쪽에서 환자의 가슴을 자신의 두 손으로 눌러 압박함으로서 환자의 심장 쪽을 자극시키게 되는데, 이때 시술자가 과도하게 큰 힘으로 처치대상자의 가슴을 누를 경우에는 환자의 갈비뼈 등이 부러지게 되는 또 다른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시술자가 큰 힘을 쓸 수 없는 노약자나 어린이인 경우에는 환자의 심장에 자극을 제대로 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위급상황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일단에 사람의 코와 입 둘레를 막을 수 있도록 일단에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을 이루는 몸통과; 일단이 상기 개구 쪽을 향한 상태로 상기 몸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 안쪽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에 마련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와 함께 상기 몸통 내부 공간을 상기 개구 반대 쪽 제1공간과 상기 개구 쪽 제2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외주가 상기 개구와 개구 반대 쪽 사이의 상기 몸통 내주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주가 상기 압박부재 외주와 일체로 연결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의 막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공간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가변시키도록 마련된 막부재와; 상기 제1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몸통 외부와 상기 제2공간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통유로와; 상기 슬라이딩바가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 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통유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바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유로를 개방하도록 마련된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압박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몸통연결부와, 상기 몸통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 반대 쪽 상기 몸통에는 상기 슬라이딩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슬라이딩홀이 마련되고, 상기 막부재는 압박부재를 상기 슬라이딩홀 쪽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상기 압박부재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몸통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딩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부재는 상기 압박부재를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1공간 쪽으로 볼록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재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쪽 상기 중공부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비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상호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통유로는 상기 몸통 외부 공기를 상기 제1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공간 쪽 상기 몸통에 마련된 흡입구멍과, 상기 제1공간과 중공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박부재 쪽 슬라이딩바에 형성된 연결통로와,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상기 제2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압박부재에 마련된 토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압박부재에서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쪽 상기 중공부 양측이 상호 인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공부 쪽 연결통로의 단부를 막고 상기 중공부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통로의 단부를 개방하도록 연결통로의 단부 맞은편 상기 중공부 쪽에 마련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장치는 상기 중공부 쪽 상기 연결통로의 단부 둘레에는 상기 개폐부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1실링부와, 상기 개폐부 둘레에 상기 제1실링부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상기 몸통의 개구 둘레에 마련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개구에 직접 고정된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 안쪽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에 직접 연결된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1압박부재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압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압박부재는 상기 제2실링부재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부재는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제1실링부재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재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유지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라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인공호흡과 심장 자극 동작을 쉽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용이하며 위급 상황시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슬라이딩바의 착탈식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슬라이딩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슬라이딩바가 외력에 의해 몸통의 개구 쪽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2실링부재와 제2압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호흡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장을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일단에 환자의 코와 입 둘레를 막을 수 있도록 하단에 개구(11)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을 이루도록 마련된 몸통(10)과, 일단이 상기 개구(11) 쪽을 향한 상태로 상기 몸통(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20)를 구비한다.
몸통(10)은 상부가 반구형태를 이루고 개구(11)가 형성된 하부가 찌그러진 반구형태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대략 구에 가까운 형상을 취하며, 몸통(10)의 재질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단한 고무재질을 통해 마련된다.
개구(11) 반대 쪽 몸통(10)에는 슬라이딩바(20)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슬라이딩홀(12a)이 형성되며, 슬라이딩바(20)는 플라스틱재질의 막대 형태로 마련되어 슬라이딩홀(12a)을 통해 몸통(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몸통(10) 안쪽 슬라이딩바(20) 단부에는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1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압박부재(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압박부재는 심장마비 증세를 보이는 환자의 심장 쪽을 압박하여 심장에 자극을 주기 위한 것으로, 갈비뼈 안쪽 심장이 위치한 부위를 가압하기 적합한 타원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바(20)는 압박부재(30)에 직접 연결되어 몸통(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몸통연결부(21)와, 몸통연결부(21)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식연결부(22)를 포함하며, 몸통(10) 바깥쪽 착탈식연결부(22)의 단부에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바(20)에 수직으로 일체형의 손잡이(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5)와 슬라이딩바(20)의 착탈식연결부(22)가 몸통(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보다 콤팩트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되어 휴대가 간편해진다.
몸통연결부(21)와 착탈식연결부(22) 사이의 착탈을 위해 몸통연결부(21)의 단부 외주에는 수나사(21a)가 형성되고, 착탈신연결부(22) 단부 내주에는 상기 수나사(21a)와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22a)가 형성되며, 몸통연결부(22)는 하단을 통해 후술하게 될 압박부재(30)의 제1압박부재(4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1압박부재(4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 개구(11) 반대 쪽 몸통(10)에는 슬라이딩바(20)의 체결을 위해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체결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홀(12a)은 이러한 체결부(12)를 통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12)는 몸통(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부(13)와, 제1체결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체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홀(12a)은 제1체결부(13)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홀(13a)과 제2체결부(14)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홀(14a) 통해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슬라이딩홀(13a,14a)은 제1 및 제2체결부(13,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슬라이딩홀(12a)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부 쪽 제2체결부(14)를 하부 쪽 제1체결부(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보관시 몸통(10)의 높이도 줄일 수 있게 되어 휴대가 더욱 편리해 진다.
제1 및 제2체결부(13,14)의 착탈을 위해 제1슬라이딩홀(13a) 상부의 제1체결부(13) 내부에는 암나사(13b)가 가공되고, 제2체결부(14)의 하부 외주에는 상기 암나사(13b)와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14b)가 가공된다.
또한 상기 압박부재(30)를 통해 환자의 심장부위를 압박할 때, 상기 압박부재(30)는 상기 개구(11)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때는 상기 슬라이딩바(20)가 슬라이딩동작을 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슬라이딩바와(20) 체결부(12)에는 상기 압박부재(30)가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몸통(1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딩잠금장치(60)가 설치된다.
슬라이딩잠금장치(60)는 제2체결부(14)에 형성된 나사홀(61)과, 상기 나사홀(6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재(62)와, 상기 나사홀(61)과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5) 하부 쪽 슬라이딩바(20) 외면에 형성된 걸림홀(63)을 통해 구성된다.
따라서 압박부재(30)가 상기 개구(11)를 통해 몸통(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바(20)가 몸통(10)의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홀(61)은 상기 걸림홀(63)과 일치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재(6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재(62)의 단부가 걸림홀(63)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동작이 제한되면서 압박부재(3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재(6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부재(62)가 걸림홀(63)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할 경우, 상기 몸통(10)에 대한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동작은 즉각적으로 다시 허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통(10) 내부에는 인공호흡을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동작에 따라 몸통(10) 내부의 공기를 환자의 폐로 공급하기 위한 막부재(70)가 마련된다. 이러한 막부재(70)는 상기 압박부재(30)와 함께 상기 몸통(10) 내부 공간을 상기 슬라이딩홀(12a) 쪽 제1공간(10a)과 상기 개구(11) 쪽 제2공간(10b)으로 구획하도록 외주가 상기 개구(11)와 슬라이딩홀(12a) 사이의 상기 몸통(10) 중앙부 내주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주가 상기 제1압박부재(40) 외주와 일체로 연결된다.
막부재(70)는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재질의 막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공간(10a,10b)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가변시키게 된다. 이러한 막부재(70)는 상기 제1공간 (10a)쪽으로 볼록하게 마련되어 슬라이딩바(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재(30)를 상기 슬라이딩홀(12a) 쪽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슬라이딩바(20)가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바(2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슬라이딩바(20)는 막부재(70)의 복원력을 통해 도2와 같이 본래의 상태로 원위치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압박부재(30)와 일체를 이루는 슬라이딩바(20)의 몸통연결부(21)는 상기 슬라이딩홀(12a)에 체결된 상태가 되는데, 상기 압박부재(30)를 슬라이딩홀(12a)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막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몸통연결부(21)는 슬라이딩바(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항시 슬라이딩홀(12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몸통(10)에는 상기 제1공간(10a)을 경유하여 몸통(10) 외부와 제2공간(10b)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연통유로(80)가 형성되며,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바(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는 연통유로(80)를 차단시키고 슬라이딩바(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연통유로(80)를 개방하도록 마련된 밸브장치(90)를 구비한다.
상기 연통유로(80) 및 밸브장치(90)의 구조를 제1압박부재(40)의 내부 구조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압박부재(40)는 내부에 중공부(41)를 구비하여 슬라이딩바(20)의 길이방향 쪽 상기 중공부(41) 양측이 슬라이딩바(20)가 상기 개구(1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면서 상호 인접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80)는 몸통(10) 외부 공기를 상기 제1공간(10a)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공간(10a) 쪽 몸통(10)에 마련된 흡입구멍(81)과, 제1공간(10a)과 중공부(4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압박부재(40) 쪽 슬라이딩바(20)에 형성된 연결통로(82)와, 중공부(41)의 공기를 상기 제2공간(10b)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압박부재(40)에 마련된 토출구멍(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구멍(81)은 상기 체결부(12) 둘레의 몸통(10)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82)는 입구가 슬라이딩바(20)의 몸통연결부(21) 하부 둘레에 형성되고 출구가 몸통연결부(21)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슬라이딩바(20)의 몸통연결부(21) 내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멍(83)은 중공부(41) 하부쪽 제1압박부재(40)의 중앙 둘레에 복수개로 마련된다.
또 상기 밸브장치(90)는 연결통로(82)의 출구 맞은편 중공부(41)에 상기 연결통로(82)의 출구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개폐부(9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개폐부(91)는 제1압박부재(40)에서 상기 슬라이딩바(20)의 길이방향 쪽 중공부(41) 양측이 상호 인접하는 과정에서 연결통로(82)의 출구를 막고 중공부(41)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연결통로(82)의 출구를 개방하면서 연결통로(82)를 개폐하게 된다. 슬라이딩바(20)를 가하여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통로(82)가 신속하게 폐쇄되고 슬라이딩바(20) 본래의 상태로 원위치 된 상태에서 연결통로(82)가 다시 신속하게 개방되도록 제1압박부재(40)는 막부재(70) 보다 다소 연질의 고무재질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통로(82)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결통로(82)를 통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밸브장치(90)는 연결통로(82)의 출구 둘레에는 개폐부(91)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1실링부(92)와, 개폐부(91) 둘레에 제1실링부(92)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2실링부(93)를 더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폐쇄된 연결통로(82)의 출구를 이중으로 실링하게 된다.
따라서 몸통(10)의 개구(11)로 환자의 입과 코 주위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바(20)를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밸브장치(90)를 통해 연통유로(80)가 차단되어 제2공간(10b)의 공기는 압축된 상태로 환자의 폐로 공급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딩바(20)를 개구 반대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연통유로(80)가 개방되면서 제2공간(10b)으로 다시 신선한 외부 공기가 공급되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시행하게 되면, 산소량이 충분한 신선한 공기를 환자의 폐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고무나 플라스틱 같은 가벼운 소재를 통해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전원 및 산소탱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위급 상황 현장에서 바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몸통(10)의 개구(11) 둘레는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입과 코 둘레를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100)가 마련되며, 이러한 실링부재(100)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얼굴크기가 다양한 여러 환자에게 공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11)에 직접 고정된 제1실링부재(101)와, 상기 제1실링부재(101) 안쪽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2실링부재(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링부재(101)는 성인 남성의 얼굴크기를 감안하여 성인 남성의 코와 입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2실링부재(102)는 여성이나 어린이의 얼굴크기를 감안하여 작은 얼굴의 코와 입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및 제2실링부재(101,102)는 환자의 얼굴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말랑한 실리콘재질을 통해 형성되며, 얼굴에 대한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실링부재(102,102)는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면서 개구(11) 바깥쪽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실링부재(101)는 몸통(10) 개구(11) 쪽에 몸통(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11) 안쪽에는 제2실링부재(102)의 착탈을 위해 조립돌기(103a)가 형성된 제1조립부재(103)가 고정된다. 그리고 제2실링부재(102)는 상기 조립돌기(103a)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조립홈(104a)을 구비하여 제1조립부재(103)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립부재(104)의 안쪽에 제2조립부재(104)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성인과 어린이는 심장의 크기에 있어서도 차이를 갖게 되므로, 심장을 압박하기 위한 상기 압박부재(30)의 경우에도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구분될 필요가 생기는데,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30)는 슬라이딩바(20)에 직접 연결된 상부 쪽 제1압박부재(40)와, 제1압박부재(40)보다 작게 마련되어 제1압박부재(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쪽 제2압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게 마련되는 제2압박부재(50)의 경우 어린이용으로 이용할 수 있겠으며, 제2압박부재(50)보다 큰 제1압박부재(40)는 성인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2압박부재(50)가 제1압박부재(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구멍(83) 중앙에 해당하는 제1압박부재(40)의 하면에는 내주에 암나사(42a)가 형성된 결합홀(42)이 형성되고, 제2압박부재(50) 상부로는 상기 결합홀(42)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암나사(42a)와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51a)가 외주에 형성된 나사결합부(51)가 마련된다. 제1압박부재(40)와 제2압박부재(50)의 착탈 구조는 전술한 나사결합방식 이외에도 압입방식 등 제1 및 제2압박부재(40,50)의 착탈이 용이하고 제2압박부재(50)를 이용한 압박 작용시 제2압박부재(50)가 제1압박부재(4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2압박부재(50)가 제1압박부재(40)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토출구멍(83)을 통해 중공부(41)의 공기가 제2공간(10b)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제2압박부재(50)는 제1압박부재(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멍(83)을 막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결합부(51)는 상기 결합홀(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압박부재(50) 상면이 제1압박부재(40) 하면과 이격되도록 다소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100)와 압박부재(30)가 모두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구분되어 있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성인용과 어린이용을 따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를 이용하여 성인과 어린이의 심폐소생술 시행시 공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제1압박부재(40)와 제2실링부재(50)를 몸통(10)에 장착하는 동작보다는 몸통(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거하는 동작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므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보다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제2압박부재(50)와 제2실링부재(102)가 몸통(10)에 연결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때는 위급상황발생시 대상 환자가 어린아이일 경우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보관 상태 그대로 이용하면 되고, 대상 환자가 성인일 경우에는 제2실링부재(50)와 제2압박부재(102)를 신속하게 제거한 상태에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제2압박부재(50)가 제1압박부재(4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제2압박부재(50)를 통해 심장 압박 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압박부재(50)는 상기 제2실링부재(102)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2압박부재(50)와 제2실링부재(102)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1압박부재(40)를 이용하여 바로 심장 압박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압박부재(40)는 적어도 하단의 돌출부가 제1실링부재(101)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재(30)는 심장 압박 작용시 환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무재질을 통해 형성되므로, 이러한 압박부재(30)는 심장부위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변형되면서 환자의 심장부위를 제대로 압박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심장부위를 압박하는 과정에서도 압박부재(3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박부재(30)의 내부에는 형태유지부재(110)가 삽입된다. 각 형태유지부재(110)는 고무보다 경질의 플라스틱을 통해 마련된 것으로 제1압박부재(40)에 삽입되는 제1형태유지부재(111)와, 제2압박부재(50)에 삽입되는 제2형태유지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형태유지부재(112)의 경우 상기 나사결합부(51)와 동시에 제작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51)와 한 몸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시행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심장마비 증세를 보이는 위급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이용자는 준비단계로서 휴대하고 있던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꺼내어 분리되어 있던 슬라이딩바(20)의 착탈식연결부(22)를 몸통연결부(21)에 연결하면서 환자를 살펴 압박부재(30)와 실링부재(100)를 환자의 사이즈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때 환자가 어린이이 경우에는 몸통(10)에 장착된 상태의 제2실링부재(102)와 제2압박부재(50)를 그대로 이용하고, 성인일 경우에는 제2실링부재(102)와 제2압박부재(50)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제1실링부재(101)와 제1압박부재(40)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휴대용 심폐소생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준비되면, 이용자는 기도가 열리도록 환자의 목을 뒤로 젖히고 환자의 호흡여부와 흉부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바로 인공호흡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00)로 환자의 코와 입 주변을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연통유로(80)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제2공간(10b) 에는 주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손잡이(25)를 잡고 슬라이당바(20)를 개구(11) 쪽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며, 이때는 밸브장치(90)를 통해 연통유로(80)가 차단되면서 제2공간(10b)의 공기가 환자의 폐로 공급된다. 이후 슬라이딩바(20)에 가해졌던 힘을 빼게 되면, 슬라이딩바(20)는 막부재(70)의 복원력을 통해 본래의 상태로 원위치 되는데, 이 상태에서 연통유로(80)는 다시 개방되어 몸통(10)의 제2공간(10b)으로 다시 외부의 신선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공호흡은 2 ~3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하게 되면, 이산화탄소량이 적고 산소량이 풍부한 주변의 공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을 돕게 되므로, 환자의 폐를 보다 신속하게 소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한 인공호흡 중에는 장치 조작자와 환자의 입이 접촉될 우려가 없게 되어 장치 조작자와 환자 중 보균자가 있는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병원균이 옮겨질 우려가 없게 되므로, 인공호흡을 보다 위생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용자는 몸통(10)을 환자의 얼굴에서 떼어낸 후 압박부재(30)가 몸통(10)의 개구(11) 외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바(20)를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잠금장치(60)를 조작하여 슬라이딩바(20)의 슬라이딩동작이 정지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손잡이(25)를 잡은 상태에서 압박부재(30)를 환자의 심장부위에 대고 심장 쪽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심장압박 동작은 30회 정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이때 타원형으로 마련되는 압박부재(30)는 갈비뼈 안쪽을 통해 정확한 심장부위를 압박하기 용이하므로, 이때는 이용자가 적은 힘만을 주더라도 환자의 심장을 쉽게 자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는 성인은 물론 어린이나 노약자 등의 이용자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환자의 심장을 쉽고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휴대용 심폐소생장치를 이용하여 심장을 압박할 때는 심장을 자극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갈비뼈 등이 손상될 우려도 없게 된다.
전술한 인공호흡과 심장자극 동작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10: 몸통 11: 개구
20: 슬라이딩바 30: 압박부재
40: 제1압박부재 50: 제2압박부재
60: 슬라이딩잠금장치 70: 막부재
80: 연통유로 90: 밸브장치
100: 실링부재 101: 제1실링부재
102: 제2실링부재 110: 형태유지부재

Claims (11)

  1. 일단에 사람의 코와 입 둘레를 막을 수 있도록 일단에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을 이루는 몸통과; 일단이 상기 개구 쪽을 향한 상태로 상기 몸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 안쪽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에 마련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와 함께 상기 몸통 내부 공간을 상기 개구 반대 쪽 제1공간과 상기 개구 쪽 제2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외주가 상기 개구와 개구 반대 쪽 사이의 상기 몸통 내주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주가 상기 압박부재 외주와 일체로 연결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의 막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공간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가변시키도록 마련된 막부재와; 상기 제1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몸통 외부와 상기 제2공간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통유로와; 상기 슬라이딩바가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 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통유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바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유로를 개방하도록 마련된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압박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몸통연결부와, 상기 몸통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반대 쪽 상기 몸통에는 상기 슬라이딩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슬라이딩홀이 마련되고,
    상기 막부재는 압박부재를 상기 슬라이딩홀 쪽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몸통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딩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부재는 상기 압박부재를 상기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1공간 쪽으로 볼록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쪽 상기 중공부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상호 인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연통유로는 상기 몸통 외부 공기를 상기 제1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공간 쪽 상기 몸통에 마련된 흡입구멍과, 상기 제1공간과 중공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박부재 쪽 슬라이딩바에 형성된 연결통로와,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상기 제2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압박부재에 마련된 토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압박부재에서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방향 쪽 상기 중공부 양측이 상호 인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공부 쪽 연결통로의 단부를 막고 상기 중공부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통로의 단부를 개방하도록 연결통로의 단부 맞은편 상기 중공부 쪽에 마련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밸브장치는 상기 중공부 쪽 상기 연결통로의 단부 둘레에는 상기 개폐부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1실링부와, 상기 개폐부 둘레에 상기 제1실링부 둘레를 접촉된 상태로 감싸도록 마련된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개구 둘레에 마련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개구에 직접 고정된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 안쪽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압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에 직접 연결된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1압박부재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압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압박부재는 상기 제2실링부재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부재는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제1실링부재 안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바에 직접 연결된 제1압박부재와, 상기 제1압박부재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제1압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재 내부에는 상기 압박부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유지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KR1020100125800A 2010-12-09 2010-12-09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KR10102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00A KR101024617B1 (ko) 2010-12-09 2010-12-09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PCT/KR2011/009498 WO2012078003A2 (ko) 2010-12-09 2011-12-09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00A KR101024617B1 (ko) 2010-12-09 2010-12-09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617B1 true KR101024617B1 (ko) 2011-03-29

Family

ID=4393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00A KR101024617B1 (ko) 2010-12-09 2010-12-09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4617B1 (ko)
WO (1) WO201207800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69B1 (ko) 2012-06-25 2012-12-12 이미향 수동 심폐소생기
KR101659376B1 (ko) 2015-04-29 2016-09-2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흉부 압박과 기도확보를 연동하는 전자동 심폐소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01A (ja) * 1993-05-04 1994-12-20 Univ California 制御された外部胸部圧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727565U (ja) * 1993-10-21 1995-05-23 株式会社杉山悟郎商店 心臓マッサージ装置
JP2002532149A (ja) 1998-12-12 2002-10-02 シユテフアン セスレル, 心臓停止による患者を蘇生する装置
KR20030078186A (ko) * 2002-03-28 2003-10-08 성 오 황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1151B2 (en) * 2005-10-13 2008-04-22 Wood Harrill D Device and kit for assist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01A (ja) * 1993-05-04 1994-12-20 Univ California 制御された外部胸部圧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727565U (ja) * 1993-10-21 1995-05-23 株式会社杉山悟郎商店 心臓マッサージ装置
JP2002532149A (ja) 1998-12-12 2002-10-02 シユテフアン セスレル, 心臓停止による患者を蘇生する装置
KR20030078186A (ko) * 2002-03-28 2003-10-08 성 오 황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69B1 (ko) 2012-06-25 2012-12-12 이미향 수동 심폐소생기
KR101659376B1 (ko) 2015-04-29 2016-09-2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흉부 압박과 기도확보를 연동하는 전자동 심폐소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8003A3 (ko) 2012-09-27
WO2012078003A2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819B2 (en) First-aid mask and inflatable structure thereof
KR20070110963A (ko) 원통형 고농도 산소캡슐
US20110218467A1 (en) Port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or for implemen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20050267386A1 (en) Breast tissue expanding device
KR101024617B1 (ko) 휴대용 심폐소생장치
KR20080043272A (ko) 피부 미용기
CN210903566U (zh) 一种手臂康复护理装置
CN209108352U (zh) 一种重症医学临床用新型呼吸器
US201600746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respiration in emergencies
CN2808130Y (zh) 窒息抢救机
CN201658515U (zh) 一种可携带式cpr心肺复苏器
CN204275218U (zh) 一种人工简易呼吸器
WO2014194817A1 (zh) 空气过滤组件及鼻用空气过滤装置
CN210205551U (zh) 一种麻醉科用的多功能呼吸面罩
JP2003325629A (ja) 救急蘇生用手動呼吸装置
CN211188197U (zh) 一种心内科双重呼吸装置
CN210078511U (zh) 一种户外急救用便携式简易呼吸器
CN216725453U (zh) 一种用于急诊护理的心肺复苏抢救用呼吸装置
CN111265790A (zh) 带护目镜以及新型能对抗冠状病毒全封闭供氧消毒口罩
CN209378229U (zh) 一种充气式人工呼吸装置
CN111165937A (zh) 一种适应不同面部凹槽的局部挤压的消毒式口罩
CN206063527U (zh) 一种无创呼吸机面罩
CN215653183U (zh) 一种多功能急诊呼吸器
CN109718447A (zh) 一种心脏内科急救呼吸面罩
CN217311513U (zh) 一种能预防压力性损伤的无创呼吸机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