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462B1 -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62B1
KR101024462B1 KR1020100078121A KR20100078121A KR101024462B1 KR 101024462 B1 KR101024462 B1 KR 101024462B1 KR 1020100078121 A KR1020100078121 A KR 1020100078121A KR 20100078121 A KR20100078121 A KR 20100078121A KR 101024462 B1 KR101024462 B1 KR 10102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power supply
unit
electromot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준
김인수
이범주
Original Assignee
김인수
오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오영준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0007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62B1/ko
Priority to PCT/KR2011/005075 priority patent/WO201202092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 일 단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1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제1전원 생성부; 상기 제1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생성부;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이 상기 제2전원 생성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원 생성을 위해 공급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을 또 다른 전원 생성을 위한 회로로 우회시켜 추가적인 전원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역기전력으로 인한 발열, 전자파, 노이즈 등의 스트레스 요소들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SWITCHING MODE POWER TRANSFER USING COUNTER ELECTROMOTIVE FORCE}
본 발명은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생성을 위해 공급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을 또 다른 전원 생성을 위한 회로로 우회시켜 추가적인 전원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역기전력으로 인한 발열, 전자파, 노이즈 등의 스트레스 요소들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력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직류 안정화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전원 효율이 우수하고 기존 고출력 SMPS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던 스위칭주파수(기존 1kw급에서 60khz이하)가 수백 킬로 이상의 스위칭 주파수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경박 단소화된 설계가 가능하여, 전기, 전자, 통신 기기의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직류전원 공급부(VCC)와, 직류전원 공급부(VCC)로부터 인입되는 입력전원(Vin)을 단속하는 스위치부(10)와, 입력전원(Vin)을 공급받아 출력전원(Vout)을 생성하는 변압기(transformer)(20)와, 입력전원(Vin)의 유입으로 발생되는 역기전력(-Vin)으로부터 스위치부(10)를 보호하는 댐퍼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스위치부(10)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스위칭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on off 제어를 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PWM)에 따라 온/오프 교번 동작하여, 입력전원(Vin)의 인입을 단속한다.
변압기(20)는 입력전원(Vin)이 도통되는 제1권선과, 제1권선에 유입된 전류로부터 출력전원(Vout)을 유도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한다.
댐퍼 다이오드(D1)는 스위치부(10)와 병렬 연결되어 스위치부(10)로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Vin)를 감쇄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치부(10)가 기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교번 동작하여 변압기(20)의 제1권선 측에 소정 주파수의 입력전원(Vin)을 유입시키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2차 권선에 출력전원(Vout)이 여기되어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한편, 제1권선 측에 입력전원(Vin)이 유입되면 입력전원(Vin)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역기전력(-Vin)이 발생한다. 입력전원(Vin)과 반대방향으로 도통되어 스위치부(10) 측으로 유입되는 역기전력(-Vin)은 댐퍼 다이오드(15) 측으로 그 일부가 분기되어 스위치부(10)에 가중되는 부하를 감하가 감쇄된다.
그런데, 댐퍼 다이오드(15)를 이용한 감쇄회로는 역기전력(-Vin_b)과 직류전원 공급부(VCC)의 충동을 회피할 수 없음으로, 직류전원 공급부(VCC)에 부하로 인한 과열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스위치부(10)로 유입되는 역기전력(-Vin_a)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함으로, 스위치부(10)의 손상 위험이 있다.
한편, 출력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파수 혹은 전류를 증가시켜야 하며, 이러한 경우, 역기전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용량 전원공급장치일수록 소자파괴의 위험이 증가되고, 역기전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기재들이 증가하여 전원공급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으로는 역기전력을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스트레스로 인한 발열 및 소자 파괴의 위험이 존재하며, 대용량 전원공급장치를 설계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 생성을 위해 공급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을 또 다른 전원 생성을 위한 회로로 우회시켜 추가적인 전원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역기전력으로 인한 발열, 전자파, 노이즈 등의 스트레스 요소들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 일 단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1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제1전원 생성부; 상기 제1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생성부;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이 상기 제2전원 생성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전원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2전원 생성부는, 일 단이 상기 제1전원 생성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역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3차 권선과; 상기 3차 권선에 유입된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는 4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분리부는, 상기 제1전원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전원 생성부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는, 전원 생성을 위해 공급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을 또 다른 전원 생성을 위한 회로로 우회시켜 추가적인 전원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역기전력으로 인한 발열, 전자파, 노이즈 등의 스트레스 요소들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거한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점에서 감지되는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의 발생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와,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제1전원 생성부(120)와,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생성부(130)와,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에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고 제2전원 생성부(130)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분기부(110)와,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전원합성부(140)를 포함한다.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직류전원을 제1전원 생성부(120)로 공급한다.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입력전원을 소정 펄스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로 단속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진 방식에 따라, 풀 브릿지, 하프 브릿지, 푸시 풀 등이 다양한 회로 구성 방식을 적용하여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전원 생성부(120)는 스위칭 전원공급부(100)가 출력한 순방향의 스위칭 전원이 도통되는 1차 권선(122)과, 1차 권선(122)에 유입된 전류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하는 2차 권선(124)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전원 생성부(130)는 제1전원 생성부(120)와 병렬로 연결되어, 순방향의 스위칭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기전력으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한다. 역기전력은 전류에 대한 자극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 원래의 전류 변화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으로써, 렌츠의 법칙(Lenz's law) 등으로 증명된 전자기법칙이다. 이에, 제2전원 생성부(130)는 순방향 전류와 반대 방향인 역방향 전류가 도통되는 3차 권선(132)과, 3차 권선(132)에 유입된 전류로부터 출력전원을 유도하는 4차 권선(134)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분기부(110)는 제1전원 생성부(120)와 제2전원 생성부(130) 및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의 접점에 개재되어,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제2전원 생성부(13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를 차단하고, 제2전원 생성부(130)로부터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로 유입되는 역기전력을 차단한다.
전원합성부(140)는 제1전원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인 제1전원과 제2전원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인 제2전원의 극성을 매칭시켜 제1전원 및 제2전원의 합성 전원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에서 순방향 전류를 공급하면, 제1전원 생성부(120)에 순방향 전류가 공급되고, 제2전원 생성부(13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는 차단된다. 여기서, 제2전원 생성부(130)와 분기부(110)의 접점은 제1전원 생성부(120)로 유입되는 순방향 전류로 인해 발생한 역기전력으로 인해 기준 전압보다 전압이 강하된다. 이에, 제2전원 생성부(130)에는 순방향 전류와는 방향이 반대인 역기전력이 여기되고, 분기부(110)는 제2전원 생성부(130)로부터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로 유입되는 역기전력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1전원 생성부(120)에서는 순방향 전류로 유도된 제1전원이 생성되고, 제2전원 생성부(130)에서는 역방향 전류로 유도된 제2전원이 생성되어, 전원합성부(140)를 통해 하나의 출력전원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역기전력 자체를 또 하나의 전원 생성 소스로 이용함으로써, 역기전력을 제거하거나 감쇄시키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전원 이외에 추가적으로 역기전력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출력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도 2의 각 제어블럭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요소들을 예시하고 있다. 이에, 도 2의 제어블럭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와,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제1전원 생성부(120)와,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생성부(130)와,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에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고 제2전원 생성부(130)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분기부(110)와,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전원합성부(140)를 포함한다.
스위칭 전원공급부(100)는 직류전원 공급부(VCC)와, 직류전원 공급부(VCC)로부터 인입되는 입력전원(Vin)을 단속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PWM)에 따라 온/오프 교번 동작하여, 입력전원(Vin)의 인입을 단속한다. 여기서, 제2전원의 크기는 역기전력의 크기에 비례함으로. 입력전원(Vin)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전원 생성부(120)는 일 단이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GND)와 연결되어 순방향의 입력전원(Vin)을 통전시키는 1차 권선(122)과, 1차 권선(122)에 유입된 입력전원(Vin)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2차 권선(124)을 포함한다.
제2전원 생성부(130)는 일 단이 1차 권선(122)과 병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GND)에 연결된 3차 권선(132)과, 3차 권선(132)에 유입되는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4차 권선(134)을 포함한다. 3차 권선(132)에는 1차 권선(122)으로 유입되는 입력전원(Vin)에 의해 발생한 역방향 전원(-Vin)이 통전된다. 입력전원(Vin)으로 인해 역방향 전원(-Vin)이 발생하면 1차 권선(122)과 연결된 3차 권선(132)의 일단은 전위가 -Vin으로 강하되고 3차 권선(124)의 타단은 GND로 상대적으로 고 전위 상태가 된다. 이에, 3차 권선(132)의 GND 연결 지점으로부터 타단으로 역방향 전류가 유도되어, 4차 권선(134)이 제2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분기부(110)는 1차 권선(122)과 3차 권선(132) 사이에 개재되어 1차 권선(122)으로부터 3차 권선(132)으로 순방향 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3차 권선(132)으로부터 1차 권선(122)으로 역방향 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D1)(112)와,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스위칭 전원공급부(100)에 유입되는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D2)(114)를 포함한다. 즉, 제1다이오드(D1)(112) 및 제2다이오드(D2)(114)는 양 측의 전원 생성부(120, 130)에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이 각각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의 통전 특성에 따라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1다이오드(D1)(112) 및 제2다이오드(D2)(114)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의 동작속도에 응답할 수 있을 정도의 고속 다이오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쇼트키 다이오드, 혹은, 스위칭용 다이오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전원합성부(140)는 2차 권선(124)과 4차 권선(134)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원라인(142)을 포함하여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한다. 전원합성부(140)는 2차 권선(124)의 일단과 4차 권선(134)의 타단을 통해 합성된 직류전원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력변환장치에서, 제1전원 생성부(120)의 1차 권선(122)과 제2전원 생성부(130)의 3차 권선(132)의 접점(A)에서의 전원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도 3의 A점에서 감지되는 순방향 전원과 역방향 전원의 발생 상태도이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가 턴온(on) 동작하는 경우, 직류전원 공급부(VCC)로부터 순방향 전원인 입력전원(Vin)이 유입되고, 그와 거의 동시에 역방향 전원인 역기전력(-Vin)이 생성된다.
역기전력(-Vin)이 발생하면 A지점의 전압은 -Vin 으로 강하되어 GND보다 상대적으로 저전위 상태가 된다. 이에, A지점과 GND 간에 개재된 3차 권선(132)에는 GND로부터 A지점으로 역방향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가 오프(off) 동작하는 경우, 직류전원 공급부(VCC)의 입력전원(Vin)이 차단됨으로 역기전력 또한 발생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가 턴온(on) 동작하면, 직류전원 공급부(VCC)로부터 순방향 전원인 입력전원(Vin)이 유입된다(S100).
순방향 전원인 입력전원(Vin)은 그라운드(GND)에 대해 고전위(+) 전원으로 제2다이오드(D2)(114)를 통과하여 A점으로 인가된다(S110).
A점에 연결된 제1전원 생성부(120)의 일단은 입력전원(Vin)에 의해 고전위(+) 상태이고 타단은 그라운드(GND) 상태임으로 순방향 전류가 도통된다(S112).
A점에 연결된 제1다이오드(D1)(112)는 제2전원 생성부(130)로 입력되는 입력전원(Vin)을 차단한다(S114). 따라서, 순방향 전류는 제1전원 생성부(120)로만 유입된다.
제1전원 생성부(120)는 순방향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생성한다(S116).
한편, 제1전원 생성부(120) 측으로 입력전원(Vin)이 유입되면 역기전력(-Vin)이 발생한다(S120). 이에, A점의 전위가 그라운드(GND)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전위(-) 상태로 변환된다.
A점에 연결된 제2전원 생성부(130)의 일단은 역기전력(-Vin)에 의해 저전위(-) 상태이고 타단은 그라운드(GND) 상태임으로 역방향 전류가 도통 된다(S122).
A점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D2)(114)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105)로 입력되는 역기전력(-Vin)을 차단한다(S124).
이에, 제2전원 생성부(130)는 역방향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생성한다(S126). 여기서, 생성되는 제2전원은 역기전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입력전원(Vin)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제2전원의 크기는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S116 단계에서 생성된 제1전원과 S126 단계에서 생성된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한다(S13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력변환장치는 역기전력 자체를 또 하나의 전원 생성 소스로 이용함으로써, 역기전력을 제거하거나 감쇄시키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전원 이외에 추가적으로 역기전력에 의해 생성된 전원을 출력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는, 전기, 전자, 통신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스위칭 전원공급부 105 : 스위칭 트랜지스터
110 : 분기부 112 : 제1다이오드
114 : 제2다이오드 120 : 제1전원 생성부
122 : 1차 권선 124 : 2차 권선
130 : 제2전원 생성부 132 : 3차 권선
134 : 4차 권선 140 : 전원합성부
142 : 전원라인

Claims (9)

  1.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
    일 단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1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에 유입된 상기 순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1전원을 출력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제1전원 생성부;
    상기 제1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순방향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방향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 생성부;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순방향 전원이 상기 제2전원 생성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및 제2전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전원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 생성부는,
    일 단이 상기 제1전원 생성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역방향 전원을 통전시키는 3차 권선과;
    상기 3차 권선에 유입된 상기 역방향 전원에 의해 유도된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는 4차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리부는,
    상기 제1전원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전원 생성부에 유입되는 순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라인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부에 유입되는 상기 역방향 전원을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78121A 2010-08-13 2010-08-13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KR10102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21A KR101024462B1 (ko) 2010-08-13 2010-08-13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PCT/KR2011/005075 WO2012020921A2 (ko) 2010-08-13 2011-07-11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21A KR101024462B1 (ko) 2010-08-13 2010-08-13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462B1 true KR101024462B1 (ko) 2011-03-23

Family

ID=4393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21A KR101024462B1 (ko) 2010-08-13 2010-08-13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4462B1 (ko)
WO (1) WO2012020921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283A (ja) 1999-06-07 2000-12-15 Suezo Kudo 逆起電力干渉防止回路
US20060176715A1 (en) 2004-02-03 2006-08-10 Tatsuya Hosotani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432A (en) * 1980-02-25 1987-04-07 Woodruff Harold F Cable dispensing method
CH687225A5 (de) * 1988-08-17 1996-10-15 Lanz Oensingen Ag Kabelkanalanordnung.
ATE455311T1 (de) * 2006-07-24 2010-01-15 Plumettaz Sa Einrichtung zum installieren eines kabels in einem roh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283A (ja) 1999-06-07 2000-12-15 Suezo Kudo 逆起電力干渉防止回路
US20060176715A1 (en) 2004-02-03 2006-08-10 Tatsuya Hosotani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논문(제목: Single-Stage Single-Switch Isolated PFC Regulator with Unity Power Factor, Fast Transient Response, and Low-Voltage Stress) 발표일 2000.01*
전력전자학회논문(제목: 직렬 연결된 두 개의 트랜스포머를 갖는 새로운 위상 천이 풀 브릿지 컨버터) 발표일 2002.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0921A3 (ko) 2012-05-24
WO2012020921A2 (ko)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2866B1 (en) Motor drive with silicon carbide mosfet switches
Chennu et al. New resonant gate driver circuit for high-frequency application of silicon carbide MOSFETs
US9130541B2 (en) Active EMC filter
WO2014097485A1 (ja) 駆動保護回路、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自動車
TWI531141B (zh) 雜訊抑制方法及電壓轉換器
Doucet et al. DC/AC pure sine wave inverter
JP7011087B2 (ja) 電動機エミュレータ
JP2018520592A (ja) 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からのコモンモードノイズ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ための電子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09177935A (ja) 直流電源装置
CN109792242B (zh) 开关元件驱动电路
DE60142733D1 (de) Motor mit phasenwinkelvorlauf
US20180226208A1 (en) Direct-Current Switching Device
EP2874298B1 (en) Pre-charging circuit for an inverter
US10320306B1 (en) Matrix converter system with current control mode operation
KR101024462B1 (ko) 역기전력을 이용한 스위칭 전력변환장치
JP6153595B2 (ja) 交流電源装置
WO2010104008A1 (ja) 電流形インバータ装置
JP2009077104A (ja) コイル駆動回路
US20190043680A1 (en) Direct current switching device and use thereof
JPWO2018078807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高調波抑制装置
Broecker et al. Conducted EMC Emission of a PWM Full Bridge Inverter Using Silicon Carbide MOSFETs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JP2017204970A (ja) Led電源装置
JP2017142163A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CN105978535B (zh) 一种低频信号发生电路及隔离式开关电源
CN105262387B (zh) 一种用于脉宽调制电路中电流环/速度环的切换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