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413B1 - 실내 야구장 - Google Patents

실내 야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13B1
KR101024413B1 KR1020080059590A KR20080059590A KR101024413B1 KR 101024413 B1 KR101024413 B1 KR 101024413B1 KR 1020080059590 A KR1020080059590 A KR 1020080059590A KR 20080059590 A KR20080059590 A KR 20080059590A KR 101024413 B1 KR101024413 B1 KR 10102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ball
game
indoo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188A (ko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08005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야구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야구장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야구 게임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국내에는 야구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실외 야구장의 개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실외 야구는 외야를 포함하는 넓은 경기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외야수를 포함한 규정 인원이 확보되어야 만이 제대로 된 야구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인원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야구 경기를 진행하기가 어렵게 되는 바,
홈 베이스, 1루 베이스, 2루 베이스, 3루 베이스, 투수판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이 마련되는 중간펜스와; 1루측 파울라인과 3루측 파울라인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 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을 포함하여 실내야구장을 구성하는 것과,
상기 실내 야구장을 사용하고, 외야수를 제외한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의 총 6명으로 수비를 하며, 홈런라인을 제외한 중간펜스 및 천정망을 맞고 떨어지는 볼을 인플레이 상태에서 수비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야구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되고, 적은 수의 인원으로 수비 및 공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인원부 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없게 되며, 아웃필드가 없고 볼처리를 위한 동선이 짧게 되므로 경기 진행속도가 빠르고 각 수비수에게 더 많은 볼 터치의 기회 및 상황이 주어지게 되어 더욱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야구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실내 야구장, 내야, 중간펜스, 천정망, 파울망, 홈런라인, 파울라인

Description

실내 야구장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야구 게임방법 { a indoor baseball stadium and the game method using the indoor baseball stadium }
본 발명은 실내에서 야구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야구장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야구 게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실외 야구장 보다 작은 크기의 실내 야구장에서 적은 수의 인원으로 재미있는 야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는 9명으로 편을 이룬 두 팀이 9회에 걸쳐 서로 공격과 수비를 9회까지 번갈아 하여 거기서 얻은 득점으로 승패를 겨루는 구기 스포츠로, 공격측은 타순에 따라 상대 투수의 공을 치고 1·2·3루 베이스를 거쳐 홈 베이스로 돌아오면 1점을 얻게 된다.
야구는 1루·2루·3루·홈 베이스의 4개 베이스(Base)를 사용하므로 베이스 볼(Baseball)이라고 하며, 미국·일본에서 가장 성행하였고, 한국에서도 인기 구기 종목 가운데 하나이다.
야구 경기가 진행되는 야구장은 크게 나누면 내·외야·파울그라운드 등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야구장 규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야구장의 내야에는 홈·1루·2루·3루의 4개 베이스가 있고, 각 거리는 약 27.4m(90피트)의 정사각형이고, 각 베이스는 동일 수평선상이어야 한다.
투수판은 홈과 2루를 잇는 직선상에 홈으로부터 약 18.4m(60피트 6인치)의 자리에 위치한다.
홈과 1·3루를 잇는 직선과 그 외야에 뻗은 연장선을 파울라인이라 하며, 그 바깥쪽을 파울지역, 안쪽을 페어지역으로 규정한다.
홈플레이트 및 파울라인으로부터 적어도 18.3m(60피트)는 플레이할 수 있는 파울그라운드를 두어야 하며, 대개 이 바깥쪽이 스탠드가 된다.
홈으로부터 외야스탠드까지의 거리는 약 76.2m(250피트) 이상이지만 91∼120m가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야구장에 대한 규격은 내야 경우에만 정확히 규정이 되어 있고 외야간격의 규정은 홈으로부터 250피트 이상이라고만 정해져 있어 정확히 정해져 있지는 않으며, 그에 따라 메이저리그 경우는 팀에 좋은 타자가 많은지 좋은 투수가 많은지에 따라 구장을 팀 사정에 맞게 규격을 조정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투수에게 유리한 다저스 홈구장은 파울그라운드가 넓고 외야 간격이 넓어 투수에게 유리하고, 양키즈 구장 경우는 예전부터 베이브 루스 같이 좋은 좌타자들이 많아 좌측 외야간격이 짧아 좌타자에게 유리하다.
한편 실외 야구장은 그 면적이 크기 때문에 야구장을 새로 건설하려면 부지 선정, 건설 비용, 허가 등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는 야구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실외 야구장의 개수가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그 밖의 실외 야구장을 대체할 만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실외 야구는 외야를 포함하는 넓은 경기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외야수를 포함한 규정 인원이 확보되어야 만이 제대로 된 야구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인원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야구 경기를 진행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작은 크기의 실내에서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야구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야구장 및 그를 이용한 실내 야구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내 야구장은 정규 규격과 동일한 내야와 실외 야구장의 외야펜스를 대신하는 중간펜스를 구비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내 야구장은 홈 베이스, 1루 베이스, 2루 베이스, 3루 베이스, 투수판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이 마련되는 중간펜스와; 1루측 파울라인과 3루측 파울라인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 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펜스에는 타격 볼의 낙하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천정망에는 1루측 파울라인 및 3루측 파울라인과 대응되는 1루측 천정 파울라인과 3루측 천정 파울라인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은 3명의 외야수를 제외한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의 총 6명으로 수비 및 공격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은 홈 베이스, 1루 베이스, 2루 베이스, 3루 베이스, 투수판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이 마련되는 중간펜스와; 1루측 파울라인과 3루측 파울라인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 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 을 포함하는 실내 야구장을 사용하고, 외야수를 제외한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의 총 6명으로 수비를 진행하며, 파울라인으로 안쪽으로 타격된 볼 중에서 홈런라인을 제외한 중간펜스 및 천정망을 맞고 떨어지는 볼을 인플레이 상태에서 수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용효율이 떨어지는 실내체육관 등을 개조하여 간편하게 실내 야구장을 건설할 수 있게 되므로 작은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야구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야수를 제외한 6명의 인원으로 수비를 하게 되므로 인원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없게 되며, 아웃필드가 짧고 볼 처리를 위한 동선도 짧게 되므로 경기 진행속도가 빠르고 각 수비수에게 더 많은 볼 터치의 기회 및 상황이 주어지게 되어 더욱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야구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내 야구장은 홈 베이스(10), 1루 베이스(11), 2루 베이스(12), 3루 베이스(13), 투수판(14)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100)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홈 베이스와 1루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100)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201)이 마련되는 중간펜스(200)와; 1루측 파울라인(101)과 3루측 파울라인(103)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300)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 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펜스(200)는 공격측의 타격 볼이 부딪혔을 때에 충격을 흡수하여 볼이 심하게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펜스(200)에는 타격 볼의 낙하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02)(203)를 마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중간펜스(200)의 하단부과 중간부에 삼각형 요입부(202)와 포물선형 요입부(203)를 마련한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실내체육관은 가로 40m, 세로 60m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기존의 실내체육관을 본 발명의 실내 야구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내야로부터 중간펜스(200)까지의 거리 및 중간펜스(200)의 전체 형태는 도시된 것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정망(400)에는 1루측 파울라인(101) 및 3루측 파울라인(103)과 대응되는 1루측 천정 파울라인(401)과 3루측 천정 파울라인(403)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은 홈 베이스(10), 1루 베이스(11), 2루 베이스(12), 3루 베이스(13), 투수판(14)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100)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홈 베이스와 1루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100)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201)이 마련되는 중간펜스(200)와; 1루측 파울라인(101)과 3루측 파울라인(103)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300)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400);을 포함하는 실내 야구장을 사용하고, 외야수를 제외한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의 총 6명으로 수비를 하며, 파울 라인으로 안쪽으로 타격된 볼 중에서 홈런라인(201)을 제외한 중간펜스(200) 및 천정망(400)을 맞고 떨어지는 볼을 인플레이 상태에서 수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에 있어서 공격 선수가 타격한 볼이 중간펜스(200)의 홈런라인(201) 윗부분을 맞추게 되면 홈런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에 있어서 공격 및 수비 회수는 반드시 9회일 필요는 없으며, 그 밖의 게임 규정은 실외 야구의 게임 규정을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소 게임이닝은 5회로 규정하며, 콜드게임은 5회 12점차일 때로 규정할 수 있고, 7회 연장없이 게임을 종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내 야구 게임방법에 있어서 수비수는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의 총 6명이어야 하지만 공격 인원는 반드시 6명일 필요가 없으며, 투수 대신에 지명타자를 둘 수도 있고, 수비수와 공격수는 예비 인원에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전 오더지 교환시 선수명단은 규정인원 기본 수비수 6명 외에 공격시에 지명타자를 3명을 추가할 수 있으며, 선수 교체시기와 방식은 기존 야구의 룰과 같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울라인 안쪽으로 타격되어 수비수에게 직접 캐치되지 않은 볼은 중간펜스(200)나 천정망(400)을 맞추게 되고, 중간펜스(200)나 천정망(400)을 맞고 나온 볼도 수비수가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수비수의 움직임이 필요하게 되어 수비수의 운동량이 많게 되며, 내야 수비와 펜스플레이에 비중이 많게 되므로 수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격측에서는 더 빠르고 공격적인 베이스 런닝을 해야만 득점의 기회가 주어짐으로써 박진감 넘치는 주루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되고, 주자 및 수비 위치에 따라 번트를 시도하는 등 각종 공격, 수비 상황 판단 훈련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내야
101, 103 : 파울라인
200 : 중간펜스
201 : 홈런라인
300 : 파울망
400 : 천정망
401, 403 : 파울라인

Claims (3)

  1. 삭제
  2. 홈 베이스, 1루 베이스, 2루 베이스, 3루 베이스, 투수판을 포함하는 규정 규격의 내야와;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내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고, 최상단부에 홈런라인이 마련되는 중간펜스와; 1루측 파울라인과 3루측 파울라인에서 외측 이격되어 그들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파울망과; 천정쪽으로 솟아오르는 플라이 공의 상승을 제지하는 천정망;을 구비하는 실내 야구장에 있어서,
    상기 중간펜스에 타격 볼의 낙하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야구장.
  3. 삭제
KR1020080059590A 2008-06-24 2008-06-24 실내 야구장 KR10102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90A KR101024413B1 (ko) 2008-06-24 2008-06-24 실내 야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90A KR101024413B1 (ko) 2008-06-24 2008-06-24 실내 야구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88A KR20100000188A (ko) 2010-01-06
KR101024413B1 true KR101024413B1 (ko) 2011-03-23

Family

ID=4181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590A KR101024413B1 (ko) 2008-06-24 2008-06-24 실내 야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4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002A (en) * 1986-05-19 1988-07-19 Murphy Patrick M Indoor baseball
US4781385A (en) 1985-11-11 1988-11-01 Pro Cricket Pty, Ltd. Ball game
US4973061A (en) 1986-11-18 1990-11-27 Catherall Raymond H Indoor baseball gam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385A (en) 1985-11-11 1988-11-01 Pro Cricket Pty, Ltd. Ball game
US4758002A (en) * 1986-05-19 1988-07-19 Murphy Patrick M Indoor baseball
US4973061A (en) 1986-11-18 1990-11-27 Catherall Raymond H Indoor baseball gam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88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907B1 (en) Tri-surface table tennis game
US20080224409A1 (en) Disc-Throwing Target Game
US20070259741A1 (en) Method for a court ball game
US4798389A (en) Apparatus for playing indoor baseball indoor soft ball or indoor tee-ball
US8282511B2 (en) Ball and elevated court sport
KR101024413B1 (ko) 실내 야구장
US524622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laying buntball
US5211394A (en) Baseball hitting game
US20180250583A1 (en) Corner Kick Game
RU107701U1 (ru) Подвижная спортивная игра мячом
US20100052254A1 (en) Table baseball set
WO2013070092A1 (en) A game
CN215136766U (zh) 一种十五柱球运动场
RU247256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гры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KR102633274B1 (ko) 게임판 기능을 갖는 테이블
US20040007818A1 (en) Rebound-action sports board game
JP4219038B2 (ja) 疑似ベースボール施設
US20230047311A1 (en) Yard game
WO2012022117A1 (zh) 一种同时含大小球门的球门结构
KR20230029716A (ko) 배구 식스 맨 게임
KR101614084B1 (ko) 카드와 주사위를 이용한 야구경기 장치 및 야구 경기방법
CN106075875A (zh) 新型足球场
Mamadiyorovich TECHNICAL AND TACTICAL TRAINING IN BADMINTON
CN115531854A (zh) 单、双人制足球比赛系统和利用其进行比赛的方法
US20170368434A1 (en) Modified baseball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