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21B1 -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 Google Patents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21B1
KR101024321B1 KR1020080108031A KR20080108031A KR101024321B1 KR 101024321 B1 KR101024321 B1 KR 101024321B1 KR 1020080108031 A KR1020080108031 A KR 1020080108031A KR 20080108031 A KR20080108031 A KR 20080108031A KR 101024321 B1 KR101024321 B1 KR 101024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rler
injection port
gas turbine
injection hole
turbine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746A (ko
Inventor
이민철
서석빈
주용진
김시문
안달홍
정재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10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1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flame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influence the air or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파일럿노즐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파일럿노즐의 앞쪽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는 상기 파일럿노즐을 감싸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1군의 분사구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로 형성된 원추형 제1스월러부와, 상기 제1스월러부 앞쪽에 분사방향의 수직되게 배열되고 중앙에 파일럿 연료분사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럿 연료분사구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복수열의 분사구와 대응되게 복수의 스월그루브가 형성된 제2스월러부로 이루어져 있다. 1군의 분사구와 복수의 스월그루브를 통하여 연소기에서 화염의 역화를 방지하면서 석탄가스를 안정되게 연소시킬 수 있다.
가스터빈 연소기, 하우징, 파일럿노즐, 스월러

Description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Gas turbine combustor using coal gas fule}
본 발명은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에 사용되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탄을 가스화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여 이를 연소시키도록 한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에너지 가격의 급등과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한 CO2 감축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이용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매우 크게 대두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지난 2008년 9월 11일에 발표한 그린에너지 발전전략을 통해 2011년까지 국내 1차에너지의 5%, 2030년까지 1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 중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자연에너지원을 활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은 대규모 전력망과 연결할 때 전력수요와 공급이 원하는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위험부담으로 전력수급을 위해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이하 IGCC라 한다)에 대한 기술은 기존의 화력발전소와 같이 필요한 시간에 부하조정(Load following)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이오매스나 폐기물 같은 다양한 연료의 활용이 가능하며 IGCC와 석탄액화(CTL ; Coal To Liquid)에 연결된 플랜트의 경우 전력과 액화연료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유가와 전기부하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로 2030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그런데, 현재 IGCC의 가동율(Availability)은 80% 이하의 수준이고, 신뢰도(Reliability) 또한 기존의 미분탄(Pulverized Coal)을 이용하는 화력발전소 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제고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IGCC 플랜트에서 고장정지의 원인이 50% 이상 복합발전부에서 발생되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IGCC 플랜트의 가스터빈에 적합한 연료노즐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IGCC 플랜트에서 발생되는 고장원인을 줄이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석탄가스에 대하여 연소최적화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한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파일럿노즐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파일럿노즐의 앞쪽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는 상기 파일럿노즐을 감싸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1군의 분사구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로 형성된 원추형 제1스월러부와, 상기 제1스월러부 앞쪽에 분사방향의 수직되게 배열되고 중앙에 파일럿 연료분사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럿 연료분사구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복수열의 분사구와 대응되게 복수의 스월그루브가 형성된 제2스월러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열의 분사구는 상기 제2스월러부와 거리가 가까운 상부 분사구과, 상기 제2스월러부와 거리가 먼 하부 분사구 및 상기 상부 분사구와 하부 분사구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분사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분사구에서 하부 분사구로 갈수록 분사구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유로를 갖고, 상기 중간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수축확대되는 유로를 갖고, 상기 하부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유로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스월러부는 상기 파일럿노즐의 연료분사 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월그루브는 상기 1군의 분사구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에 의하면, 석탄가스의 연소물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안정적이고, 최적상태로 석탄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IGCC 플랜트의 가동율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석탄원료를 줄여서 발전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발전연료의 다변화 및 발전원가 절감, 발전플랜트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부 스월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연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파일럿노즐(20) 및,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면서 상기 파일럿노즐(20)의 앞쪽에 구비된 스월러(swirler, 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파일럿노즐(20)을 내장하면서 상기 스월러(30)와 결합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기재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0)의 뒷쪽에 설치되는 라이너(liner)와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태빌라지저(stabilizer) 등을 포함하여 가스터빈 연소기를 완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파일럿노즐(20)을 감싸는 원추형 제1스월러부(40)와 이 제1스월부(40)와 일정간격을 두고 앞쪽에 배치된 제2 스월러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스월러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가스가 분사되도록 원추형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1군의 분사구(42)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군의 분사구(42)는 상기 제2스월러부(50)와 거리가 가까운 상부 분사구(44)과, 상기 제2스월러부(50)와 거리가 먼 하부 분사구(45) 및 상기 상부 분사구(42)와 하부 분사구(45)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분사구(4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분사구(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유로를 갖는다. 상기 중간 분사구(45)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수축확대되는 유로를 갖는다. 상기 하부 분사구(46)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유로를 갖는다.
상기 1군의 분사구(42)는 석탄가스의 빠른 연소속도로 인한 역화(Flash Back)를 방지하고, 다량의 석탄가스를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존과 달리, 석탄가스의 안정적 연소시키고, NOx 배출을 저감시키며, 노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스월러부(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월러부(40) 앞쪽에 배치되고 중앙에 파일럿 연료분사구(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일럿 연료분사구(52)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의 스월그루브(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월그루브(54)는 공기가 스월유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월그루브(54)로 유입되는 공기(실선화살표)가 유입되어 상기 1군의 분사구(42)로 분사되는 석탄가스(점선화살표)와 균일하게 혼합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헤드(H)에 복수의 연료노즐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가스터빈 연소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를 연소최적화를 위한 설계방법은 아래와 같다.
[설계1단계]
연소기에 대한 입열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웨버지수(Wobbe Index)를 천연가스와 석탄가스에 관해 계산한다.
우선 웨버지수(WI)는 식1과 같이 발열량과 비중의 함수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1
..........................(식 1)
여기서, WI = 웨버지수(Wobbe Index)
Q : 저위발열량(kcal/Nm3)
d : 0°C, 1atm 에서의 가스 비중
[설계2단계]
설계1단계에서 구한 웨버지수를 이용하여 입열량을 같게 하는 조건에서 연료 분사구 최소단면적의 합을 계산한다.
이때, 연료가스 주입압력(P)은 동일한 조건으로 한다. 그 이유는 연료가스 주입압력이 높아지면 연료가 공기중으로 침투되는 거리가 바뀌어 불완전 연소 및 확산연소로 인한 질소산화물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2
................(식 2)
여기서, I : 입열량(kcal/hr)
D : 노즐 구멍의 지름(mm)
K : 유량 계수(약 0.8)
P : 연료가스 주입압력(mmH2O)
WI : 웨버지수
천연가스(Natural Gas, 하첨자는 N.G.로 표현)와 석탄가스(Coal Gas, 하첨자는 C.G.로 표현)에 대해 입열량을 계산하면 아래의 식 3 및 식 4와 같다.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3
.........(식 3)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4
..........(식 4)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5
...............(식 5)
상기 식 3과 식 4를 식 5에 대입한 후, 아래의 표1의 천연가스와 석탄가스의 물성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식 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75969761-pat00006
........(식 6)
상기 식 6에서 1.634 이라는 연료분사구 직경의 확대 비율은 천연가스 및 석탄가스의 발열량 측정으로부터 계산되어야 하며, 그 확대율은 천연가스 및 석탄가스의 물성변화에 따라 150~200%까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표 1] 천연가스와 DME의 물성비교표
천연가스 석탄가스
Heating Value [kcal/Nm3] 10,500 4,127
Specific Gravity (vs. air) 0.625 0.688
Weber Index 13,281 4,976
[설계3단계]
입열량을 동일하게 하는 조건에서 NOx저감, 연소효율향상, 화염역화방지 등의 연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료분사구를 아래의 ①, ②, ③, ④의 조건에 맞게 설계한다.
2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분사구 직경의 크기만을 바꾸어 적용시 입열량은 동일하게 할 수 있었지만, NOx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연소효율이 떨어지고, 노즐이 다소 과열된다는 결과를 연소시험을 통해 얻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연소분사구의 갯수를 늘리고, 연료 분사구의 위치를 상류 및 하류에 고루 분배함으로써, 화염의 역화를 막고, 충분한 연료-공기 혼합도 증가로 인한 연소효율의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① 개조설계시 스월유동과 함께 고른 연료분배를 위해 연료 분사구를 연료분사구 하나당 상류측, 중간측, 하류측 세 개로 나누어 설계하되, 전체 분사구들의 최소단면적의 합은 2단계에서 결정되어 나온 식 6과 같이 일치하게 한다.
② 상부 분사구(44)는 연소실과 가까이 있으므로 연료의 고른 분배와 연소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유동의 이탈(Separation)이 일어나지 않도록 매끄러운 면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연료의 출구측으로 확대되는 유로로 설계해야 한다.
③ 하부 분사구(46)는 분사구가 상부 DME 연료분사구보다 연소실에서 멀리 있으므로 연료의 공기측으로 침투거리가 길고, 고른 분출(jet)형상을 이룰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료의 출구측으로 축소되는 유로를 설계해야 한다.
④ 중간 분사구(45)는 상기 ②, ③방법을 동시에 고려하여 축소되다가 다시 확대되는 구조로 유로를 설계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연소기에 의하면, 파일럿노즐(20)을 감싸는 1제스월러부(40)에 둘레를 따라 1군의 분사구(42)가 상부에서 하부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2스월러부(50)에 형성된 복수의 스월그루브(54)를 통해 공기가 스월유동됨으로써 1군의 분사구(42)로 분사되는 석탄가스와 잘 섞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화염의 역화를 방지하면서 석탄가스를 안정되게 연소시킬 수 있고, NOx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 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부 단면도,
도 2는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부 스월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부 스월러 부분 절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도 5는 가스터빈 연소기 연료노즐부를 다수 장착한 연소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파일럿노즐
30 : 스월러 40 : 제1스월러부
42 : 1군의 분사구 44 : 상부 분사구
45 : 중간 분사구 46 : 하부 분사구
50 : 제2스월러부 52 : 파일럿 연료분사구
54 : 스월그루브 H : 연소기헤드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파일럿노즐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파일럿노즐의 앞쪽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하는 가스터빈의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는 상기 파일럿노즐을 감싸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1군의 분사구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로 형성된 원추형 제1스월러부와, 상기 제1스월러부 앞쪽에 배치되고 중앙에 파일럿 연료분사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럿 연료분사구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의 스월그루브가 형성된 제2스월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1군의 분사구는 상부 분사구, 중간 분사구 및 하부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분사구는 상기 상부 분사구, 중간 분사구 및 하부 분사구 중 상기 제2스월러부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상기 하부 분사구는 상기 상부 분사구, 중간 분사구 및 하부 분사구 중 상기 제2스월러부와 거리가 가장 멀며, 상기 중간 분사구는 상기 상부 분사구와 하부 분사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분사구에서 하부 분사구로 갈수록 분사구가 작아지며, 상기 중간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수축확대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월러부는 상기 파일럿노즐의 연료분사 방향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월그루브는 상기 1군의 분사구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KR1020080108031A 2008-10-31 2008-10-31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KR10102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31A KR101024321B1 (ko) 2008-10-31 2008-10-31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31A KR101024321B1 (ko) 2008-10-31 2008-10-31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46A KR20100048746A (ko) 2010-05-11
KR101024321B1 true KR101024321B1 (ko) 2011-03-23

Family

ID=4227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31A KR101024321B1 (ko) 2008-10-31 2008-10-31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60B1 (ko) * 2010-07-27 2013-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연료 분류층 가스화 고압 평판화염 반응기용 버너
US9003806B2 (en) * 2012-03-05 2015-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operating a combustor from a liquid fuel to a gas fuel operation
KR102126883B1 (ko) * 2018-10-04 2020-06-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노즐 어셈블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498B1 (ko) 1997-12-29 2000-07-01 이중구 가스터빈엔진의연소기
JP3960222B2 (ja) * 2002-12-27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燃料噴射ノズルと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噴射方法
JP2008089296A (ja) 2006-09-29 2008-04-17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器音響作用の低減を促進する装置
KR100872841B1 (ko) * 2007-09-28 2008-12-09 한국전력공사 디엠이 연료용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과 이의 설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498B1 (ko) 1997-12-29 2000-07-01 이중구 가스터빈엔진의연소기
JP3960222B2 (ja) * 2002-12-27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燃料噴射ノズルと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噴射方法
JP2008089296A (ja) 2006-09-29 2008-04-17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器音響作用の低減を促進する装置
KR100872841B1 (ko) * 2007-09-28 2008-12-09 한국전력공사 디엠이 연료용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과 이의 설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46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1310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fuel combustion system
US10041680B2 (en) Gas turbine combustor
KR100334744B1 (ko) 석탄가스화복합발전설비및그운전방법
KR101049359B1 (ko) 삼중 스월형 가스터빈 연소기
US20070234735A1 (en) Fuel-flexible combustion sy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5921630B2 (ja) 混焼システムを運転する方法
CN103629661A (zh) 用于在燃气涡轮的连续燃烧系统中混合稀释空气的方法
CN101858597A (zh) 低排放且抗回火的燃烧管及装置
CN100504175C (zh) 燃气轮机低热值燃烧室喷嘴结构与燃烧方法
JP6474951B2 (ja) 燃焼器
JP2012031730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低NOx燃焼方法
JP201111228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1024321B1 (ko)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
JP2012037104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0872841B1 (ko) 디엠이 연료용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료노즐과 이의 설계방법
JP2015014400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焼室へ燃料と燃焼用空気を供給する方法
CN110645569A (zh) 一种提高w火焰锅炉煤种灵活性的燃烧系统及燃烧方法
JP597212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20120312889A1 (en) Injector tip assembly and method of fuel injection
JP6004920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方法
Asai et al. A dry low-NOx gas-turbine combustor with multiple-injection burners for hydrogen-rich syngas fuel: testing and evaluation of its performance in an IGCC pilot plant
JP565067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運転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のバーナ
Asai et al. Performance of Multiple-Injection Dry Low-NOx Combustor on Hydrogen-Rich Syngas Fuel in an IGCC Pilot Plant
JP201510226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EP3702670A1 (en) Sequential combustor for a gas turbine, method for operating this sequential combustor and method for refurbishment a sequential combustor of a gas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