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695B1 - 휴대용 병고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병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695B1
KR101023695B1 KR1020080131930A KR20080131930A KR101023695B1 KR 101023695 B1 KR101023695 B1 KR 101023695B1 KR 1020080131930 A KR1020080131930 A KR 1020080131930A KR 20080131930 A KR20080131930 A KR 20080131930A KR 101023695 B1 KR101023695 B1 KR 10102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lding member
bottle
hold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298A (ko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102008013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6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3Susp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2005/1006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mbracing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83Beverage vessels, e.g.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반원모양의 한쌍의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가 병목을 체결 및 분리하도록 상기 홀딩부재의 일단들 각각에 형성되는 경첩을 구비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재의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대상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병의 체결 및 분리가 원터치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지고, 키걸이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용 병고리, 홀딩부, 착탈부, 경첩

Description

휴대용 병고리{Portable bottle hanger}
본 발명은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체적으로는, 의복, 가방 등에 장착할 수 있는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이다. 병들 중 특히, 피이티(PET)병은, 다른 유리병이나 캔과 같은 용기보다 가볍고 사용이 용이해 음용수의 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등산, 낚시, 하이킹 또는 산보 등을 할 때는 손쉽게 물이나 음료수를 섭취하기 위하여 물이나 음료수가 담긴 병을 마개로 밀폐하여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병은 손에 파지하고 다닐 수 있지만, 한 손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므로, 보통은 가방 등의 휴대수단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경우, 음료의 섭취를 위해 가방 등의 휴대수단으로부터 음용수가 담긴 병을 꺼냈다 집어넣다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병목의 크기는 어느정도 규격화 되어 있으나, 다양한 음료수의 시판에 따라 병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이러한 다양한 병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휴대용 병고리가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의 체결 및 분리가 원터치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키걸이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의복, 가방 등에 장착하여 휴대하는 것이 용이한 휴대용 병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병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병고리는 반원모양의 한쌍의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가 병목을 체결 및 분리하도록 상기 홀딩부재의 일단들 각각에 형성되는 경첩을 구비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재의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대상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의 경첩은 상기 홀딩부재들의 타단들이 사전에 정해진 일정간격보다 좁혀지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첩은, 상기 홀딩부재들의 일단들의 단면모양이 서로 사선으로 대칭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홀딩부재의 각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경첩의 회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양 쪽으로 기울어져 각각 형성된 걸이부재들과, 상기 걸이부재들 중 하나가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걸이부재들 중 나머지 하나가 착탈되는 착탈홈이 형성된 착탈패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걸이부재들이 상기 홀딩부재의 각 타단들로부 터 절곡되어 연장되기 전에, 상기 각 타단들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일정길이 만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걸이부재들이 상기 경첩의 회동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걸이부재들의 바깥쪽에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의 손잡이는 상기 걸이부재들 각각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사전에 정해진 각도로 회절시키는 것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착탈패드의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걸이와, 상기 연결걸이를 상기 착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대상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는, 경첩에 의해 개방이 용이하여 사용자에 의한 병의 홀딩이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의 병을 홀딩할 수 있다.
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는, 경첩의 단면의 모양이 사선으로 되어 있어 홀딩부의 개방 및 폐쇄한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홀딩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는, 병의 체결 및 분리가 착탈부 손잡이를 단순히 원터치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는, 착탈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병의 홀딩이 가능하고, 병 체결시 병목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병고리(1)는 크게 홀딩부(10), 착탈부(20), 연결부(30)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홀딩부(10)는 병의 병목을 압착하여 병을 잡아주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홀딩부(10)는 병목을 따라 압착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러한 홀딩부(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모양의 한쌍의 홀딩부재(12), 홀딩부재(12)가 병목을 체결 및 분리하도록 홀딩부재(12)의 일단들 각각에 형성되는 경첩(14)을 구비한다. 도1은 병목을 홀딩부재(12)에 체결하기 위하여 경첩(14)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0)는 시판되는 병목의 지름에 대응하도록 라운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딩부재(12)의 라운딩 형상은 탄성에 의해 크기에 관계없이 병목을 감쌀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0)는, 병목의 규격화된 지름 규격에 비해 작거나 큰 경우에도 병목의 둘레를 따라 병목을 압착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조되며, 경첩(14)의 모양 및 구조도 고려되어 설계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재(12)의 체결한도는 경첩(14)의 구조에 의해 좌우된다.
도3의 (a)는 경첩에 의해 홀딩부재(12)가 최대한 닫힌상태에서의 경첩(14)의 확대도이고, 도3의 (b)는 경첩(14)에 의해 홀딩부재(12)가 열린상태에서의 경첩(14)의 확대도이다.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재(12)의 각 일단의 단면들(142)은 서로 대칭하여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홀딩부(10)의 닫힘한계는 사선으로 형성된 일단의 단면들(142)이 'A'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축(144)에 의한 홀딩부(10)의 닫힘한계는 사선으로 형성된 일단이 'B'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홀딩부(10)가 수용할 있는 병목 지름의 최대 수용한계는, 홀딩부재(12)의 각 일단의 단면들(142)에 형성된 사선의 기울기와 경첩축(144)과의 이격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홀딩부재(12)를 구성하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홀딩부재(12)의 개폐방식은 홀딩부(10)가 병목의 원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되도록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다음, 착탈부(20)는, 병을 홀딩부(10)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할 것이지, 홀딩부(10)로부터 분리할 것이지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1은 착탈부(20)가 병을 홀딩부(1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표시한 것이고, 도2는 착탈부(20)가 병을 홀딩부(10)에 체결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착탈부(20)는 걸이부재들(22)과 착탈패드(24)를 구비한다. 걸이부재들(22)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재(12)의 각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경첩(14)의 회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양 쪽으로 기울어져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착탈패드(24)는 걸이부재들(22) 중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편(242)과, 걸이부재들(22) 중 나머지 하나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착탈홈(244)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1은 걸이부재들(22) 중 하나가 착탈홈(244)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에 의해 병은 홀딩부(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놓여 있다. 도2는 걸이부재들(22) 중 나머지 하나가 착탈홈(244)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에 의해 병이 홀딩부(10)에 체결된 채 유지된다. 걸이부재들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는 사전에 정해진 각도로 접혀진 걸이(226)가 형성되어 있어, 착탈홈(244)에 걸린 걸이부재들(24) 중 나머지 하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242)은 걸이부재들(22) 중 하나가 고정편(242)으로부터 중력방향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편(242)에 의해 고정되는 걸이부재들(22) 중 하나의 해당부분을 바깥쪽으로 기울이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부(20)는 걸이부재들(22)이 홀딩부재(12)의 각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기 전에,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타단들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일정길이 만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영역(2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직선영역(222)은, 병에 마개가 체결된 경우, 마개와 병목간의 깊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12)가 마개의 아래부분 또는 병목의 마개 밑에 형성된 돌기부의 아래부분에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착탈부(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들(22)이 경첩(14)의 회동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걸이부재들(22)의 측면에 손잡이(224)가 형 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224)는 걸이부재들(22) 각각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사전에 정해진 각도로 굴절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1및 도2에서는 360°로 양 측면 방향으로 동그랗게 굴절되어 돌출된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가 용이하고 걸이부재들(22)에 대한 탄성을 강화시켜 걸이부재들(22)에 의한 착탈부(20)의 개폐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도1에 표시된 기울기(θ)가 커지면, 홀딩부재(12)가 병의 병목을 압착하는 압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 연결부(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1)를 착용할 수 있는 의복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물건 등의 일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는 연결걸이(32)와 연결부재(35)를 구비한다. 연결걸이(32)는 착탈패드(24)의 상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5)에 의해 의복 등에 연결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5)가 키걸이로 마련되어 연결부(30)가 이러한 키걸이를 걸기에 적합한 연결걸이(32)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연결걸이(32) 및 연결부재(35)는, 휴대용 병고리(1)가 장착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가령 혁대와 같은 의복에 장착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연결부재(35)와 같은 키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착탈패드(24)의 상부면을 연장시켜 굴절시킴으로써 혁대에 바로 걸수도 있으며, 연결걸이(32)를 혁대에 걸수 있도록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결부(30)는 의복, 가방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물건들에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형태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1)로 피이티병을 홀딩한 것이다. 피이티병은 음용수를 휴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연결부재(35)로는 키걸이(35)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1)는, 병의 체결 및 분리가 착탈부(20)에 형성된 손잡이(224)를 단순히 원터치 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부(30)를 통해 의복, 가방 등에 연결하여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휴대용 병고리(1)의 홀더부(10) 및 착탈부(20)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당업계의 공지 및 관용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는,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등산, 하이킹 등의 레저용품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에 관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의 경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병고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더부 12 : 홀더부재
14 : 경첩 20 : 착탈부
22 : 걸이부재 224 : 손잡이
24 : 착탈패드 244 : 착탈홈
30 : 연결부 35 : 키걸이

Claims (8)

  1. 병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병고리에 있어서,
    반원모양의 한쌍의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가 병목을 체결 및 분리하도록 상기 홀딩부재의 일단들 각각에 형성되는 경첩을 구비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재의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경첩의 회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양 쪽으로 기울어져 각각 형성된 걸이부재들과, 상기 걸이부재들 중 하나가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걸이부재들 중 나머지 하나가 착탈되는 착탈홈이 형성된 착탈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병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대상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의 경첩은 상기 홀딩부재들의 타단들이 사전에 정해진 일정간격보다 좁혀지지 않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홀딩부재들의 일단들의 단면모양이 서로 사선으로 대칭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걸이부재들이 상기 홀딩부재의 각 타단들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기 전에, 상기 각 타단들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일정길이 만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직선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걸이부재들이 상기 경첩의 회동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걸이부재들의 바깥쪽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걸이부재들 각각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사전에 정해진 각도로 회절시키는 것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착탈패드의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걸이와, 상기 연결걸이를 상기 착용 또는 휴대할 수 있는 대상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병고리.
KR1020080131930A 2008-12-23 2008-12-23 휴대용 병고리 KR10102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30A KR101023695B1 (ko) 2008-12-23 2008-12-23 휴대용 병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30A KR101023695B1 (ko) 2008-12-23 2008-12-23 휴대용 병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298A KR20100073298A (ko) 2010-07-01
KR101023695B1 true KR101023695B1 (ko) 2011-03-25

Family

ID=4263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930A KR101023695B1 (ko) 2008-12-23 2008-12-23 휴대용 병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8856A (zh) * 2018-09-27 2019-01-15 浙江欧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佩挂式便携免洗手凝胶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948U (ko) * 1989-10-31 1991-06-28
US20030079314A1 (en) * 2001-10-12 2003-05-01 Yu-Tsun Yeh Simple suspension carrier component for bottle port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948U (ko) * 1989-10-31 1991-06-28
US20030079314A1 (en) * 2001-10-12 2003-05-01 Yu-Tsun Yeh Simple suspension carrier component for bottle por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298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353B2 (en) Portable shopping cart beverage carrier
US9771189B2 (en) Water bottle cap
US8695830B2 (en) Container lid having independently pivoting flip top and handle
US9493283B2 (en) Bottle cap attachment mechanism
US20100282703A1 (en) Water stop structure of water jar lid
US5409151A (en) Bottle assembly for carrying liquids
US7744053B2 (en) Bottle holder
US8833586B2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WO1999042378A1 (en) Packaging bottle with carrying handle
KR102061312B1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CA2706756A1 (en) Closure and bottle
US6360912B1 (en) Straw having valve function
WO2016163924A1 (en) A drinking container with a holding arrangement
KR101023695B1 (ko) 휴대용 병고리
EP3043673B1 (fr) Porte bidon
US20060180567A1 (en) Bottle tote
US20070029337A1 (en) Container with unique handle configuration
KR20090025731A (ko) 휴대의 편리성을 갖는 음료용기용 걸이
KR102516739B1 (ko) 음료용기 홀더
RU96559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одвески пластиковой бутылки
JP7344753B2 (ja) カップホルダー
GB2576726A (en) A clip for use with a tea bag
KR200478427Y1 (ko) 음료 용기 거치대
CN210503859U (zh) 带有挂钩的瓶盖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