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185B1 - 해수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185B1
KR101023185B1 KR1020100079143A KR20100079143A KR101023185B1 KR 101023185 B1 KR101023185 B1 KR 101023185B1 KR 1020100079143 A KR1020100079143 A KR 1020100079143A KR 20100079143 A KR20100079143 A KR 20100079143A KR 101023185 B1 KR101023185 B1 KR 10102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seawater
intake
seab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규
Original Assignee
김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규 filed Critical 김삼규
Priority to KR102010007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닷가 횟집에서 어패류를 산채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족관에 해수를 취수하여 공급하기 위한 해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지로부터 해저 20∼30m에 걸쳐 설치되고 끝 단부가 200∼700mm 위로 솟은 해수취수용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위로 솟은 단부에 고정 설치된 후드 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수 취수장치{Seawater Collecting Hood}
본 발명은 해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가 횟집에서 어패류를 산채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족관에 해수를 취수하여 공급하기 위한 해수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닷가 횟집에서는 각종 어류와 전복, 해삼 등 해산물을 수족관에 넣고 끊임없이 신선한 바닷물을 공급하여 가능한 한 오래 보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과거에는 사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후드를 바다 밑 20∼30m 지점에 설치하고 강관을 연결한 후 펌프를 가동하여 해수를 취수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후드는 해저에 바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취수과정에 모래가 휩쓸려 들어와 후드 내부 바닥에 쌓이게 되지만 구조상 후드 내부를 청소할 수 없으므로 모래가 쌓이는 과정을 되풀이하는 중에 내부 바닥에 쌓인 모래로 인하여 해수를 보내는 송출구가 막히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 사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드 외부에 각종 해초류와 어패류가 부착되어 끝내 취수구가 막혀 해수를 취수할 수 없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19395호는 몸체 외주로 돌출되는 돌출봉(3)과, 몸체 외면에 형성되는 취수구(7)를 갖는 취수체(2)로 이루어진 해수취수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취수체는 해초류의 유입에 의해 취수구 막힘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모래 등 이물질이 취수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음은 물론 취수체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후드 내부에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시로 후드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혹시라도 후드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해수 취수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후드를 상부 후드와 하부 후드로 구성한 후 상부 후드와 하부 후드를 결합하여 후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수시로 상부 후드를 들어 열고 후드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부 후드 전부와 하부 후드의 미트로부터 1/2∼2/3 지역에는 직경 10∼20mm의 취수구를 형성하였고 그 이외의 지역은 취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막힘영역으로 하였다. 또 끝 단부가 200∼700mm 위로 솟은 취수 파이프를 해저 20∼50m에 설치하고 후드를 상기 200∼700mm 위로 솟은 단부위에 위치하게 하여 모래와 흙과 같은 이물질이 후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후드 하부의 막힘 영역에는 비교적 큰 구경의 구멍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혹시라도 후드 내부에 유입된 모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바로 밑에 플렌지를 형성하여 해초류와 어패류가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의 후드는 해저로부터 200∼700mm 위에 위치하므로 모래와 흙과 같은 이물질이 후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후드를 상부 후드와 하부 후드로 구성한 후 상부 후드와 하부 후드를 결합하여 후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므로 수시로 상부 후드를 들어 열고 후드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바로 밑에 플렌지를 형성하였으므로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해초류와 어패류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1 : 본 발명 해수 취수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해수 취수장치의 후드의 사시도
사진 1 : 기존의 해수취수용 후드
사진 2 : 기존의 해수취수용 후드에 이물질이 붙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본 발명은 바닷가 횟집에서 어패류를 산채로 보관하기 위하여 수족관에 공급하는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해수 취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해수 취수장치의 후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해수취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지로부터 해저 20∼30m에 걸쳐 설치되고 끝 단부(110)가 200∼700mm 위로 솟은 취수 파이프(100)와 상기 취수 파이프(100)의 위로 솟은 단부(110)에 고정 설치된 후드(200)로 구성되어 있다.
취수 파이프(100)는 통상의 강관 파이프로서 그 단부(110)는 높이 200∼700mm 위로 솟아 있다. 상기 취수 파이프(100)는 염분이 많은 해수에 녹이 슬지 않도록 동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하거나 니켈 또는 아연도금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 파이프(100)는 높이 200∼700mm 위로 솟아 있는 단부(110)가 전도되지 않고 후드(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해저에 접하는 부분은 "T"자형(130)으로 되어 있고 상기 "T"자형(130)의 해저에 접하는 부위는 해저위에 바로 또는 해저위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300) 위에 U볼트(140)로 고정되어 있다.
후드(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구형의 상부 후드(210)와 하부 후드(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높이 200∼700mm로 솟아있는 취수파이프(100)의 단부(110)위에 연결구(120,250)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후드(210)에는 직경 10∼20mm의 취수구(211)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후드(210)와 하부 후드(220)의 접촉면 한 쪽은 경첩(214)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잠금수단(2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절개면(213)계로 합쳐져 구형(球形)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부 후드(210)와 하부 후드(220)가 접하는 절개면(213)의 상하에는 10∼30mm 폭으로 취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막힘 영역(212)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개면(213)의 상하에 막힘 영역(212)을 형성한 이유는 상부 후드(210)를 열고 닫을 때에 힘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후드(220)에는 밑으로부터 1/2∼2/3 높이의 지점까지는 상부 후드(210)와 마찬가지로 직경 10∼20mm의 취수구(211)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취수구(211)를 통해 바닷물뿐만 아니라 바닷물에 섞여 있는 프랑크톤 등도 바닷물과 함께 후드(200) 내로 유입되어 수족관에 공급되므로 수족관에 갇혀 있는 어패류들이 자연 상태와 거의 같은 환경에서 지낼 수 있다.
그러나 하부 후드(220) 높이의 1/2∼2/3 지점에는 플렌지(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221) 바로 밑 부분에는 취수구(211)가 생성되지 않은 막힘 영역(222)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후드(220)에 플렌지(221)를 형성한 이유는 해저로부터 모래와 흙과 같은 이물질이 부상하여 취수구(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해초류와 어패류가 취수구(211)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취하여도 완전하게 막을 수는 없다. 따라서 취수과정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하부 후드(220) 밑으로 가라앉는 과정에 후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부 후드(220)의 막힘 영역(222)에 직경 20∼50mm의 이물질 배출구(223)를 6∼10개 형성하였다.
100 : 취수 파이프 110 : 단부
120 : 연결구 130 : "T"자형
140 : U볼트
200 : 후드
210 : 상부 후드 211 : 취수구
212 : 막힘영역 213 : 절개면
214 : 경첩 215 : 잠금수단
220 : 하부 후드 221 : 플렌지
222 : 막힘영역 223 : 이물질배출구
250 : 연결구
300 : 지지대

Claims (6)

  1. 육지로부터 해저 20∼30m에 걸쳐 설치되고 끝 단부가 200∼700mm 위로 솟은 해수취수용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위로 솟은 단부에 고정 설치된 후드로 구성된 해수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해수취수용 파이프의 해저에 접하는 부분은 "T"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T"자형의 해저에 접하는 부위는 해저위에 바로 또는 해저위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 위에 U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취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직경 10∼20mm의 취수구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상부 후드;
    밑으로부터 1/2∼2/3 높이의 지점까지는 직경 10∼20mm의 취수구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로는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막힘영역으로 되어 있는 하부 후드;
    상기 상부 후드와 하부 후드의 접촉면에 형성되고 한 쪽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잠금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절개면;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취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의 상하에는 10∼30mm 폭으로 취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막힘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취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드의 막힘영역에는 직경 20∼50mm의 이물질 배출구가 6∼10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취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드의 밑으로부터 높이 1/2∼2/3 지점에는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취수장치
KR1020100079143A 2010-08-17 2010-08-17 해수 취수장치 KR10102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43A KR101023185B1 (ko) 2010-08-17 2010-08-17 해수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43A KR101023185B1 (ko) 2010-08-17 2010-08-17 해수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185B1 true KR101023185B1 (ko) 2011-03-18

Family

ID=4393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43A KR101023185B1 (ko) 2010-08-17 2010-08-17 해수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42B1 (ko) 2012-08-28 2013-05-09 김창수 해수 흡입용 후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69A (ko) * 2003-03-28 2004-10-06 주식회사 삼협 해수 취수 장치
KR100588075B1 (ko) 2004-01-28 2006-06-08 한국해양연구원 해저 용출수 취수 장치
KR100780322B1 (ko) 2006-12-26 2007-12-03 하이피이산업 (주) 해저 심층수의 취수장치
KR100782359B1 (ko) 2007-01-12 2007-12-07 주식회사동인건설 해수 집수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69A (ko) * 2003-03-28 2004-10-06 주식회사 삼협 해수 취수 장치
KR100588075B1 (ko) 2004-01-28 2006-06-08 한국해양연구원 해저 용출수 취수 장치
KR100780322B1 (ko) 2006-12-26 2007-12-03 하이피이산업 (주) 해저 심층수의 취수장치
KR100782359B1 (ko) 2007-01-12 2007-12-07 주식회사동인건설 해수 집수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42B1 (ko) 2012-08-28 2013-05-09 김창수 해수 흡입용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5067B2 (e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intake and pretreatment system
CN101869080B (zh) 一种网箱污物收集装置
JP6817338B2 (ja) 死骸トラップを有する水産養殖用魚囲い
CN203851626U (zh) 一种用于养殖池塘的集污排污装置
RU2298319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ла
CA3052566C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collection of fouling from a dived structure and a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CA1060289A (en) Fish culture tank
CN106942121A (zh) 一种养殖池
CN109068616A (zh) 鲍鱼养殖设备和方法
US4113616A (en) Fish manure removal method
CN101404877A (zh) 瞬间翻转冲洗的养鱼池和鱼塘过滤器
KR101023185B1 (ko) 해수 취수장치
KR20120119501A (ko) 가두리 양식장 수질오염방지 이물질 분리수거 장치 및 방법
US20160184748A1 (en) Floating Filtration Apparatus Transfers Seawater without Harm to Marine Life,
JP2015216910A (ja) 採取方法及び採取装置
CN207235754U (zh) 猪圈排粪装置
KR101893392B1 (ko) 수초 컷터형 회전부러쉬를 갖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KR100468487B1 (ko) 해저 갯벌 개선을 겸한 패류 채취장치
CN208001878U (zh) 一种替代传统网箱的可移动养殖装置
JP2013141444A (ja) 湾岸魚礁
Boys et al. The practical guide to modern fish-protection screening in Australia
CN206090505U (zh) 一种垃圾藻类收集装置
CN205196864U (zh) 水产品加工的柔性清洗设备
CN219352986U (zh) 一种竹荪蛋清洗装置
KR200324475Y1 (ko)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