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716B1 -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716B1
KR101022716B1 KR1020100075387A KR20100075387A KR101022716B1 KR 101022716 B1 KR101022716 B1 KR 101022716B1 KR 1020100075387 A KR1020100075387 A KR 1020100075387A KR 20100075387 A KR20100075387 A KR 20100075387A KR 101022716 B1 KR101022716 B1 KR 10102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unit
document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7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4Tree transformation for tree-structured or markup documents, e.g. XSLT, XSL-FO or style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4Mapping; Conversion
    • G06F16/86Mapping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은,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에 의하여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 시스템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데이터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SYSTEM FOR GENERATING AUTOMATICALLY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에서 많은 양식의 문서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문서를 전자 문서화하려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문서화를 위한 환경은 많은 부분이 웹 환경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자 문서화를 하는 양식들은 다양하고 많은 형식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다양하고 많은 형식의 문서에 대하여 전자 문서화를 수행하는 전자문서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현재 이러한 전자 문서화 시스템은 각 업무에 맞은 양식을 구현할 때마다 새로운 형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각 업무 분야에 따라 사용하는 형식의 양식은 각기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양식을 시스템에 적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형식은 달라야 한다.
또한, 현재 많은 업무에서 각기 다른 형식의 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문서들이 발생하고, 이러한 문서의 수정과 발생에 따른 시스템 수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러나, 문서 수정과 새로운 문서의 발생은 각각 예측을 하여 최대한 대비할 수는 있으나, 모든 부분을 예상하고 대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쪽은 이러한 경우가 발생할 때마다 시스템을 수정하기 위한 인력을 투입해야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개발 수정기간과 예상치 못한 개발 기간이 발생하게 되어 기존 개발기간에 많은 차질을 감수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웹 환경에서 전자 문서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문서가 변경이 되거나 새로운 문서가 발생될 때마다 시스템을 다시 수정하여 개발해야 된다면, 이 수정 및 개발은 시스템의 소스 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업무의 다양화와 업무의 변경에 따른 전자문서양식의 변화에 대해 전자문서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은,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에 의하여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 시스템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데이터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하는 데이터 구분부; 상기 데이터 구분부에 의하여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하는 데이터 구성부; 상기 데이터 구성부에 의하여 컬럼 타입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하여 포맷하는 문자 포맷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는 SQL 생성부; 및 상기 SQL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상기 문자 포맷부에 의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변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형식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형식타입, 상기 데이터의 표시형식, 상기 데이터의 조합, 상기 데이터 앞에 덧붙여질 내용, 지정된 순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각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할 데이터,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크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기 영역에 채워질 문자의 설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맷상태로 저장할 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문서양식은 특정한 컬럼을 기준으로 타 전자문서양식과 그룹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은, a)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 d) 상기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e) 상기 변환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시스템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자동생성방법은, f) 상기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및 페이지 별로 구분하는 단계; c-2) 상기 양식별 및 페이지 별로 구분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별로 구성하는 단계; c-3) 상기 컬럼 타입 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단계; c-4)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별로 구성하여 포맷하는 단계; c-5)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는 단계; 및 c-6) 상기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이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진 데이터일 경우, 상기 이진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문자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자동생성방법은, g) 상기 타 전자문서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양식에 대한 전자문서의 생성시간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자문서의 개발 및 적용기간의 단축으로 전자문서의 개발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문서를 자동화하여 생성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전자문서 생성시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생성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데이터 업데이트부의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업데이트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데이터 변환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및 6b는 도 1의 데이터 동기화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1의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도 8의 S300 단계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생성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데이터 업데이트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업데이트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1의 데이터 변환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a 및 6b는 도 1의 데이터 동기화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1의 데이터 표시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100)은, 데이터 생성부(110), 데이터 업데이트부(120), 데이터 변환부(130), 데이터 동기화부(140), 데이터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100)은 웹(web) 또는 미들웨어(middle ware)를 통하여 타 전자문서시스템(300)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생성부(110)는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200~300 DPI, PNG 포맷) 파일과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을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 200)에 생성한다. 즉, 데이터 생성부(110)는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로 데이터베이스(200), 웹 유저 인터페이스(Web UI),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 등의 환경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데이터 형식정보는, 데이터의 형식타입, 데이터의 표시형식, 데이터의 조합, 데이터 앞에 덧붙여질 내용, 지정된 순으로 데이터베이스(200) 각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할 데이터,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의 컬럼 크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영역의 크기와 데이터베이스(200)의 각 영역에 채워질 문자의 설정, 데이터베이스(200)의 컬럼 타입, 데이터베이스(200)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및 데이터베이스(200)에 포맷상태로 저장할 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데이터 생성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식데이터 테이블생성부(Form Data Table Generation Module)(111), 형식데이터 설계부(Form Data Configuration Module)(112), 웹사이트 메뉴정보제어부(Web Site Menu Information Control Module)(113)를 포함하고, 이를 통하여 전자문서양식 리소스(Form Resource)로 데이터베이스(200), 웹 유저 인터페이스(Web UI), 이미지 파일 등의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형식이 정의되어 있는 XML파일에서의 데이터 형식을 구성하는 정보들은 [표 1]과 같고,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작성된 데이터 형식들은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다.
속성 설명
Type 데이터의 형식 타입
token:token으로 분리된 형식(기본 형식)
radio:지정된 그룹에서 택일하는 형식
check:지정된 그룹에서 N개를 선택하는 형식
image:이미지
outputtype 데이터의 표시 형식
Token 데이터 조합 정보
Prefix 입력 데이터 앞에 덧붙여질 내용
Replace 지정된 order 순으로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할 데이터
Size 데이터베이스 컬럼 크기
Input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때의 각 영역 별 크기와 채울 문자를 설정 정보
- 형식: (0-9) [ + ":" + "채울 문자" ]
Dbtype 데이터베이스 컬럼 타입 (char, varchar, nvarchar, int)
formattedsav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방법 정보, 포맷 상태로 저장할 지 여부
타입 ID 설명 데이터형태(DB)
날짜 DT 날짜(기본 형식, YYYYMMDD) 201010201010
19DT 년도가 19로 시작하는 날짜(YYMMDD) 201010201010
20DT 년도가 20으로 시작하는 날짜 (YYMMDD) 201010201010
200DT 년도가 200으로 시작하는 날짜 (YMMDD) 201010201010
201DT 년도가 201로 시작하는 날짜 (YMMDD) 201010201010
2010DT 년도가 2010으로 시작하는 날짜 (MMDD 201010201010
CYMD 현재 년도의 월일 (MMDD) 201010201010
이메일 EM 이메일 wansibi@nate.com
전화번호 MB 모바일(000-0000-0000) 010-1234-1234
PH 전화번호(000-0000-0000) 052-1234-1234
PHI 국제 전화번호(000-000-0000-0000) 052-1234-1234
주민등록번호 PN 주민등록번호(0000000-00000000) 780201-10101010
사업자 등록번호 CN 사업자등록번호(000-00-00000) 123-12-12345
라디오체크 NY 유무 형식(N, Y) Y 또는 N
YN 유무 형식(Y, N) Y 또는 N
RADIO 라디오 형식(인덱스), 체크한 위치 정보가 입력됨 1
체크 형태 CHK 체크 형식, 체크 시 'Y'로 값이 들어감. Y
CHKX 체크 형식(인덱스), 체크한 위치 정보가 입력됨. 1,3,4
한편,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웹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문서양식을 등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문서양식을 갖는 파일을 등록하고, 등록된 파일에 정의된 양식의 이미지를 등록한다. 이러한 양식의 이미지를 등록한 후, 전자문서양식을 갖는 파일에 정의된 컬럼정보를 확인하고, 컬럼의 한글명 및 데이터베이스(200)의 타입, 데이터의 길이 등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전자문서양식의 한글명, 문서번호, 등급, 목록 사용 여부 등을 설정하여 새로운 전자문서목록을 설정한 후 전자문서목록의 컬럼정보와 필터정보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기존 전자문서목록을 연결하여 기존 전자문서목록에 연결할 컬럼을 설정하고, 새로운 전자문서목록인 경우 전자문서목록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필터정보를 설정하면 등록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전자문서양식은 특정한 컬럼을 기준으로 타 전자문서양식과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문서양식을 갖는 파일은 양식구분, 페이지 구분과 이미지, 페이지 레이아웃, 입력영역 정의 및 데이터 형식 지정의 정보로 구성된다.
데이터 업데이트부(120)는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200)에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한다. 즉, 데이터 업데이트부(120)는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미리 구성된 데이터베이스(200) 및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에 적재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업데이트부(120)의 상세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데이터 업데이트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펜 등의 입력장치(Input Device)로부터 입력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즉, XML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페이지별로 구분하는 데이터구분부(도 4의 Data Translate)(121); 데이터구분부(121)에 의하여 구분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칼럼타입 별로 구성하는 데이터구성부(도 4의 Data Rendering)(122); 데이터구성부(122)에 의하여 칼럼타입 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부(도 4의 Text Recognize)(123); 문자인식부(123)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를 데이터베이스의 칼럼타입 별로 구성하여 포맷하는 문자포맷부(도 4의 Formatting)(124);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SQL Template)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는 SQL 생성부(도 4의 Resource Reader)(125); SQL 생성부(125)에 의하여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문자포맷부(124)에 의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변경부(도 3의 Data Access)(126)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데이터 업데이트부(120)에 의하여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Data Mapping XML Resource)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데이터 변환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판독모듈(Resource Read Module)(131), 양식데이터포맷모듈(Form Data Formatting Module)(132), 변환인터페이스(Export Interface's)(133)를 포함하여,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특정한 포맷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로부터 획득한 이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진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형식정보를 기반으로 이진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고,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형식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데이터가 문자인식수단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된다.
데이터 동기화부(140)는 데이터 변환부(130)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고,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으로부터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도록 한다. 즉, 데이터 동기화부(140)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전자문서시스템(300)과의 데이터 통합처리를 통하여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엑셀 등의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은 3nd Party Solutions(310)이나 설정(Customized) 모듈(320) 등의 외적 요소에 해당된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부(140)는 데이터가 편집 또는 등록되면, 동기화 큐(Synchronize Queue)모듈(141)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동기화 큐(Synchronize Queue)모듈(141)은 타 전자문서시스템(300)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모듈(Gateway)(142)을 실행하며, 이 모듈에 의하여 약속된 방식으로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에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전자문서자동생성시스템은, 데이터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전자문서양식 리소스, 양식의 데이터의 목록,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또는 명령을 웹 유저 인터페이스로 관리하게 된다.
데이터 표시부(150)는 데이터 변환부(130)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GUI)을 이용하여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을 통하여 제공한다. 즉, 데이터 표시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모듈(Form UI Generate Module)(151), 양식데이터 포맷모듈(Form Data Formatting Module)(152),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모듈(UI Process Module)(153)을 포함하여,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구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검색 및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은 웹(Web),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제공된다.
인터페이스 수단은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과 목록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성된다.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은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제공하며,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를 배경으로 그 위에 전자문서양식을 갖는 파일에 정의된 입력영역좌표에 입력 컨트롤을 위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자문서양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일관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목록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은 필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는 데이터 맴핑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변환되어 표시된다. 데이터 맵핑정보는 한글 표기, 형식화된 데이터의 표시방법(날짜 표시방법, 라디오(radio) 선택상자로 입력된 데이터의 표기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문서양식을 갖는 파일의 데이터 형식 지정 정보와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입력된 내용으로 구성된다.
한편, 데이터 표시부(150)는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를 이용하여 달력, 앨범 등등의 다양한 형태의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은 업무변경에 따른 전자문서양식의 변화에 대해 전자문서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본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은 (1)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로 데이터베이스, 웹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 등의 환경 구성작업, (2)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미리 구성된 제1 데이터베이스(210) 및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에 적재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관리작업, (3)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특정한 포맷형태로 변환하는 작업, (4) 타 전자문서시스템(300)과의 데이터 통합처리작업, (5)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구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검색 및 표시하는 작업 등의 개발이 주를 이루는데, 데이터 생성부(110), 데이터 업데이트부(120), 데이터 변환부(130), 데이터 동기화부(140), 데이터 표시부(150)로 구성되어 자동화하거나 개발작업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S300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은 도 1을 참조로 하고, 도 9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은, 먼저, 데이터 생성부(110)가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한다(S100).
S100 단계 이후, 데이터 생성부(110)가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제1 데이터베이스(210)에 생성한다(S200). 여기서, S100 및 S200 단계는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로 제1 데이터베이스(210), 웹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 등의 환경을 구성하는 단계에 해당된다.
S200 단계 이후, 데이터 업데이트부(120)가 제1 데이터베이스(210)에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한다(S300). 즉, S300 단계는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미리 구성된 제1 데이터베이스(210) 및 이미지 파일과 XML 파일에 적재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관리단계에 해당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S300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 구분부(121)가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하고(S310), 데이터 구성부(122)가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210)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한다(S320). 그런 다음, 문자 인식부(123)가 컬럼 타입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고(S330), 문자 포맷부(124)가 인식된 문자를 제1 데이터베이스(210)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하여 포맷한다(S340). 그런 다음, SQL 생성부(125)가 제1 데이터베이스(21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고(S350), 데이터 변경부(126)가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한다(S360).
S300 단계 이후, 데이터 변환부(130)가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S400). 즉, S400 단계는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특정한 포맷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에 해당된다.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이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진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형식정보를 기반으로 이진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고,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형식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데이터가 문자인식수단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된다.
S400 단계 이후, 데이터 동기화부(140)가 변환된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한다(S500). 즉, S500 단계는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구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검색 및 표시하는 단계에 해당된다. 여기서, 데이터 동기화부(140)는 타 전자문서시스템(300)으로부터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은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제공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S400 단계 이후, 화면 제공부(150)는 데이터 변환부(130)가 변환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을 통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전자문서양식 리소스를 기반으로 구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 및 표시하는 단계에 해당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은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에서의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을 살펴보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110 : 데이터 생성부
120 : 데이터 업데이트부 121 : 데이터 구분부
122 : 데이터 구성부 123 : 문자 인식부
124 : 문자 포맷부 125 : SQL 생성부
126 : 데이터 변경부 130 : 데이터 변환부
140 : 데이터 동기화부 150 : 데이터 표시부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타 전자문서시스템

Claims (13)

  1.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에 의하여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 시스템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데이터 동기화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부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하는 데이터 구분부;
    상기 데이터 구분부에 의하여 양식별 및 페이지별로 구분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하는 데이터 구성부;
    상기 데이터 구성부에 의하여 컬럼 타입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별로 구성하여 포맷하는 문자 포맷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는 SQL 생성부; 및
    상기 SQL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상기 문자 포맷부에 의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이터 변경부;
    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형식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형식타입, 상기 데이터의 표시형식, 상기 데이터의 조합, 상기 데이터 앞에 덧붙여질 내용, 지정된 순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각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할 데이터,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크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기 영역에 채워질 문자의 설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맷상태로 저장할 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양식은 특정한 컬럼을 기준으로 타 전자문서양식과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동기화부는 상기 타 전자문서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7. a) 전자문서양식의 이미지 파일과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 형식정보를 갖는 XML 파일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분석된 이미지 파일과 상기 XML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 및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갖는 목록용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
    d) 상기 등록, 수정 또는 삭제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데이터 맵핑 XML 리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변환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타 전자문서시스템에 전송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목록화면 및 데이터 편집이 가능한 편집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를 양식파일을 기준으로 양식별 및 페이지 별로 구분하는 단계;
    c-2) 상기 양식별 및 페이지 별로 구분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별로 구성하는 단계;
    c-3) 상기 컬럼 타입 별로 구성된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단계;
    c-4)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타입 별로 구성하여 포맷하는 단계;
    c-5)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별로 구분된 SQL 템플릿을 이용하여 SQL을 생성하는 단계; 및
    c-6) 상기 생성된 SQL을 이용하여 포맷된 양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이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진 데이터일 경우, 상기 이진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록된 전자문서양식의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문자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g) 상기 타 전자문서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데이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문서 자동생성방법.
KR1020100075387A 2010-08-04 2010-08-04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KR10102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87A KR101022716B1 (ko) 2010-08-04 2010-08-04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87A KR101022716B1 (ko) 2010-08-04 2010-08-04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716B1 true KR101022716B1 (ko) 2011-03-22

Family

ID=4393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387A KR101022716B1 (ko) 2010-08-04 2010-08-04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7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76A1 (en) * 2016-12-19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KR101876124B1 (ko) * 2017-03-30 2018-07-09 케이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내항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WO2021033835A1 (ko) * 2019-08-22 2021-02-25 주식회사 심플랩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및 그 방법
KR20220120891A (ko)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포스토피아 전자문서 생성, 발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853A (ko) * 2001-12-28 2002-04-04 이계철 에이전트를 이용한 전자문서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172113A1 (en) * 2002-03-05 2003-09-11 Cameron Brian A. Synchronization of documents between a server and small devices
KR100689059B1 (ko) 2002-08-26 2007-03-09 (주)잉카엔트웍스 인터넷 컨텐츠를 tts 변환하여 개인정보처리기로제공하는 네트워크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04457A (ja) * 2007-02-19 2008-09-04 Toshiba Corp ドキュメント管理装置及びドキュメント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853A (ko) * 2001-12-28 2002-04-04 이계철 에이전트를 이용한 전자문서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172113A1 (en) * 2002-03-05 2003-09-11 Cameron Brian A. Synchronization of documents between a server and small devices
KR100689059B1 (ko) 2002-08-26 2007-03-09 (주)잉카엔트웍스 인터넷 컨텐츠를 tts 변환하여 개인정보처리기로제공하는 네트워크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04457A (ja) * 2007-02-19 2008-09-04 Toshiba Corp ドキュメント管理装置及びドキュメント管理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76A1 (en) * 2016-12-19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KR101876124B1 (ko) * 2017-03-30 2018-07-09 케이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내항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WO2021033835A1 (ko) * 2019-08-22 2021-02-25 주식회사 심플랩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및 그 방법
KR20220120891A (ko)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포스토피아 전자문서 생성, 발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0456B2 (en) Method relating to preparation of a report
US6993708B1 (en) System for automated generation and assembly of specifications documents in CADD environments
CN107807954B (zh) 可视化建模多维分析系统及其方法
CN108762743B (zh) 一种数据表操作代码生成方法及装置
US200902930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design generator for data management applications
CN103136317A (zh) 工程管理系统工程合同在线审批信息化实现方法
CN102722616B (zh) 一种基于Excel绘制勘探点平面图的方法
KR101275871B1 (ko)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90049064A1 (en) Data and application model for configurable tracking and reporting system
CN102982439A (zh) 生成电子公文的方法及电子公文生成系统
KR101022716B1 (ko) 전자문서 자동생성시스템 및 자동생성방법
US20130080338A1 (en) Ideas promoted to projects and synchronization of status information
JP2022041865A (ja) テンプレートに基づくエクセル文書のオンライン作業システム
US20100169333A1 (en) Document processor
US20080040677A1 (en) HMI Development Support Apparatus, HMI Development Support Method and HMI Development Support Program
KR20080081525A (ko) 공간연계db를 이용한 cad뷰어 검색방법.
KR100567390B1 (ko) 군수지원분석 자료를 이용한 전자식 기술교범 및 종이교범 통합 저작 방법
JP49595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83185A (ko) 엑셀 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보고서 작성 시스템
CN115713309A (zh) 内审系统
JP5388881B2 (ja) 帳票入出力装置
US11663199B1 (en) Application development based on stored data
JP2007164503A (ja) システム生産方法、システム生産システム、システム生産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生産に用いられる定義体情報のデータ構造
KR102282159B1 (ko) Xml 기반 다국어 매뉴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N114281797A (zh) 基于敏捷低代码平台快速创建基层数据汇聚仓库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