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715B1 -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715B1
KR101022715B1 KR1020080127174A KR20080127174A KR101022715B1 KR 101022715 B1 KR101022715 B1 KR 101022715B1 KR 1020080127174 A KR1020080127174 A KR 1020080127174A KR 20080127174 A KR20080127174 A KR 20080127174A KR 101022715 B1 KR101022715 B1 KR 101022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blast furnace
construction
area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8719A (en
Inventor
송석렬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켐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켐텍
Priority to KR102008012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715B1/en
Publication of KR2010006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관 제철소에서 원광석을 용해하기 위한 건설되는 용광로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building a refractory in an interior of a smelting furnace that is constructed for melting ore in an integrated steel mi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은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출선구를 통해 자재를 반입하고,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 영역까지 축조하는 1차 축조 단계와;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벨리(노복)부 영역에 자재 반입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벨리부에 형성된 자재 반입부를 통해 내화물을 반입시켜, 상기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영역부터 보쉬(조안)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는 2차 축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it port; A primary construction step of bringing in materials through the outlet, and constructing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Mov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to an upper region of the belly (slave); Forming a material loading portion in the belly portion area; Secondary construction which carries in a refractory material through the material carrying-in part formed in the said valley part, and builds a refractory material from a lower exit port to a bosch area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area of the said valley (sack).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보다 정밀한 축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고로의 바닥부와 측면 영역에 대한 축조작업이 동시에 복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력의 조기 확보가 가능하다.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air required to build the refractory to build the blast furnace as much as possible, more precise construction can be made in the correct position, the bottom and side area of the blast furnac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roductivity early by allowing the building work to be done in multiple areas at the same time.

고로, 내화물, 축조, 가적, 가축조, 리프팅 장치 Blast furnace, Refractory, Building, Freight, Livestock tank, Lifting device

Description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blast furnace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일관 제철소에서 원광석을 용해하기 위한 건설되는 용광로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building refractory in an interior of a smelting furnace that is constructed for melting ore in an integrated steel mill.

일반적으로, 고로는 원광석(철광석)을 고온을 가열하여 용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로는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원광석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높은 온도의 분위기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고온을 유지하여야만 하는 내부에는 내화물이 축조되고 있다. In general, the blast furnace is configured to dissolve ore (iron ore) by heating it at a high temperature. The blast furnace must mainta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to dissolve the ore until its end of life. Therefore, refractory is built inside the inside which should maintain high temperature.

이와 같이, 고로에 축조되는 내화물은 고로 본체를 설치한 후, 고로의 내부에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고, 고로의 내부로 내화물을 반입시켜 축조하고 있다. 이 경우, 출선구를 통해 자재를 반입시켜 내화물을 축조하고 있는데, 출선구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해서, 출선구 영역에 대한 가적(假積)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blast furnace body is installed, the refractory to be built in the blast furnac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lifting device in the blast furnace, and carrying the refractory into the blast furnace to build it. In this case, the refractory is made by carrying in the material through a tap opening, but in order to build a refractory to a tap opening area, the addition process to a tap opening area is essential.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선구(16)을 통해 반입된 내화물은 출선구(16)의 하부 영역과 출선구(16)의 상부 위치를 제외한 보쉬(bos)의 일부 영역에 내화물(1)을 축조하고, 출선구(16)에 형틀(16a)을 구비하여 출선구(16)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적물(1b)을 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적물(1b)의 축조를 통해 자재를 반입할 수 있는 출선구(16)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재를 반입시켜 풍구 영역까지 축조를 수행한 후, 출선구(16) 영역에 배치된 가적물(1b)을 제거하고, 가적물(1b)이 제거된 영역에 내화물(1)을 다시 축조한다. 그리고, 풍구의 상부영역에 축조되는 내화물은 풍구를 통해 반입시켜 축조를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refractory material brought in through the outlet 16 may be refractory 1 in a partial region of the bos except for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16 and the upper position of the outlet 16. ), And the temporary object 1b is constru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ap opening 16 is hold | maintained and the tap opening 16 is hold | maintained. In the state where the exit opening 16 which can carry in materials is maintain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object 1b, the materials are brought in and constructed in the wind opening area, and then placed in the exit opening 16 region. Then, the refractory material 1b is removed, and the refractory material 1 is reconstructed in the area from which the thing 1b was removed. The refractory to be built in the upper region of the tuyere is carried in through the tuyere to be constructed.

이 경우, 동일한 영역에 대하여 가적물의 축조와 해체 및 내화물의 재축조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더 요구되어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process of building and dismantling the cargo and rebuilding of the refractory material is required for the same area,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time is longer and the air is longer.

한편, 가적물을 축조하고 다시 해체한 후 내화물을 재축조하는 과정에서 최종 축조되는 내화물이 축조되어야 하는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내화물의 축조 상태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작업시간과 숙련된 기술자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충분한 시간 동안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축조작업이 이루어진 다고 하더라도, 축조상태가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the refractory after the building and dismantling the temporary o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al refractories are not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be built. In other words, more work time and skilled technicians are requir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refractory build-up is accurate. And even if the construction work is made by skilled technicians for a sufficient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state is difficult to be made precisely.

다른 한편, 고로의 바닥에 배치되는 내화물은 벽면을 이루게 되는 내화물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더 크고 더 무거운 중량의 내화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한 리프팅 장치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actory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is relatively larger in size and heavier than the refractory which forms the wall, so when working with a simple lifting device, it takes a lot of time to work. There is a drawback to lengthening.

또한, 고로의 하부 둘레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리프팅 장치로는 내화물이 배치되어야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리프 팅 장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중량이 무거운 내화물의 위치 선정을 위해서 작업자가 개입되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blast furnace is larger in diameter than other areas, it is difficult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refractory should be placed with a general lifting device. Therefore, even when moving to the lifting device, the operator must be involved for the positioning of the heavy refractory, in which case, the operator is exposed to a safety accident.

더욱이, 고로의 하부 측벽을 이루는 내화물을 축조하는 경우, 일반적인 리프팅 장치로는 축조되어야만 하는 위치의 선정이 더욱 어렵고, 따라서, 신속한 작업의 수행이 불가능하다. Moreover, when constructing the refractory forming the lower sidewall of the blast furnace, it is more difficult to select the position which should be constructed with a general lifting apparatus, an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quick operation.

한편,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동시에 복수의 위치에서 축조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복수의 리프팅 장치가 요구된다. 이 경우, 리프팅 장치 간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는 데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만일,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리프팅 장치 간에 간섭으로 인한 자재의 손상 또는 안전사고의 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horten the air, a plurality of lifting devices are required because the construction work must be per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sin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ifting devices occurs, there is a limitation in installing a plurality of lifting devices. Even if a plurality of lifting devices are installed, problems such as material damage or safety accident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lifting devices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광로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refractory in the conventional furna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air required to build the refractory to build a blast furnac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의 축조시 가적물을 이용한 가적 축조과정이 최소화 되거나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eed for the additiv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temporary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로의 바닥부와 측면 영역에 대한 축조작업이 동시에 복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construction work on the bottom and side regions of the blast furnace to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region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로의 하부 둘레의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가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faster and more precise construction of refractory to the area around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이 축조되어야하는 위치에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축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efractory to be transported and constructed as accurately and quickly as possible to the position where it is to be constru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의 축조시 작업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or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op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Refractory building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can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화물의 축조시 내화물이 축조되어야 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축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being made so that when building a refractory, the refractory can be continuously constructed at a position to be buil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은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와; 출선구를 통해 자재를 반입하고,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 영역까지 축조하는 1차 축조 단계와;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벨리(노복)부 영역에 자재 반입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벨리부에 형성된 자재 반입부를 통해 내화물을 반입시켜,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영역부터 보쉬(조안)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는 2차 축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the device for refractory construction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it port; A primary construction step of bringing in materials through the outlet and constructing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Mov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to the upper region of the belly (slave); Forming a material loading portion in the belly portion area; A second construction step of carrying in the refractory material through the material carrying-in part formed in the belly part, and building the refractory material from the lower exit port to the Bosch area by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disposed in the upper area of the belly; It may be made, including.

이 경우, 출선구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는 가적물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내화물에 의한 1차 축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to the exit area may be made by primary construction by the refractory directly without using the stowage.

한편, 1차 축조 단계는 리프팅 장치를 갖는 복수의 선회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데크가 결합부에 의해 출선구 상부 영역에 장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와 내화물 축조용 장치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고로의 하부 둘레의 바닥과 측면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onstruction step is one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and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in which a deck in which a plurality of turning beams having a lifting device is rotatably coupled is mounted to the outlet area by the engaging portion. The above-mentioned lifting device can be used to build refractory materials on the bottom and side region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이 경우,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리프팅 장치를 갖는 복수의 선회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데크가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구비된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되어 벨리(노복) 상부 영역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될 수 있고, 벨리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된 선회빔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벨리(노복) 영역에 형성된 자재 반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도 있 다. In this case,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includes a deck in which a plurality of swing beams having a lifting devi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ll (slave) area,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exit port.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er the refractory material brought into the position to be constructed through the material inlet formed in the valley area by means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turning beam, which can be mounted on the joint and moved to the upper area of the valley.

한편, 1차 축조 단계에서 고로의 바닥부와 출선구 하부의 측면 영역이 동시에 축조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construction step, the bottom portion of the blast furnace and the side area under the exit port may be simultaneously constructed.

다른 한편, 1차 축조 단계에서 출선구 상부의 측면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는 복수의 선회바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construction step,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to the lateral area above the outlet opening may be made in a plurality of areas at the same time by using a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urning bar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required to build the refractory to build the blast furnace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의 축조시 가적물을 이용한 가적 축조과정이 최소화 되거나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보다 정밀한 축조가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by minimizing or not requiring the additive building process using the temporary material when building the refractory, it is possible to make a more precise construction in the correct position.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의 바닥부와 측면 영역에 대한 축조작업이 동시에 복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work for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region of the blast furnace can be made in a plurality of areas at the same tim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의 하부 둘레의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가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to the area around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precisel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이 축조되어야하는 위치에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축조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력의 조기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품질향상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ractory can be conveyed and constructed as accurately and quickly as possible at the position where it is to be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secure early productivity of the productive force and to improve durability by quality improvemen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의 축조시 작업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내화물의 축조시 자재의 손상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erence of the oper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is not generated or minimiz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amages and safety accidents during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내화물의 축조시 내화물이 축조되어야 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축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being made so that when the refractory is constructed, the refractory can be continuously constructed at a position to be built.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에 이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a state equipped with a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100 used in the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로(10)는 본체(11)가 금속재질의 쉘(shell) 타입으로 지지부(12)에 의해 지지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내 화물 축조용 장치(1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고로 본체(11)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blast furnace 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ain body 1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2 in a metal shell type. In addition, the refractory body construction apparatus 100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so that the refractory body can be constructed. In this case,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by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예를 들어, 상기 고로 본체(11) 내부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고로의 바닥부와 바닥부에 인접한 내부 측면의 하부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한 후, 연이어 고로 본체(11) 내부 측면의 다른 일정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fter mounting the refractory material in the bottom part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and the lower region of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bottom part in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the other schedule of the inner side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is successively followed.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build a refractory in the region.

이와 같이,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내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리프팅 장치 등)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데크(Deck : 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크(120)는 결합부(111,112)에 의해서 고로 본체(11)의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내부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100 mounted in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to construct the refractory includes a deck (Deck: 120) for disposing a means (for example, a lift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refractory. ) May be provided. The deck 12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to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internal positions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by the coupling parts 111 and 112.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111,112)는 고로 본체(11) 내측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11,112)는 환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 둘레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각 결합부(111,112)는 복수의 브라켓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고로 본체(11)의 내부 둘레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coupling parts 111 and 112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be disposed at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s 111 and 11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having an annular structure. On the contrary, each of the coupling parts 111 and 11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plurality of brackets.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111,112)가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단일의 상기 데크(120)가 상기 어느 일 결합부(111)에서 다른 일 결합부(112)로 이동시켜 배치하면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 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로 본체(11)의 내부 영역에 내화물의 축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111, 112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at least two positions, and the single deck 120 is moved from one coupling portion 111 to another coupling portion 112. While moving and arranging,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refractory to the position to be built, so that the building of the refractory can be made sequentially in the inner reg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한편, 상기 고로 본체(11)는 출선구(16)를 통해 외부로부터 자재를 반입시키기 위하여 자재 반입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선구(16)의 외부와 내부 영역에는 내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데크(141a,141b)가 배치되도록 하여 고로 본체(11)의 외부로부터 자재를 반입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ast furnace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loading unit 140 to bring in the materi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6. In this case, decks 141a and 141b for conveying the refractory may be disposed in the outer and inner regions of the outlet 16 so that materials may be brought in from the out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그리고, 상기 고로 본체(11)의 벨리(노복) 영역에는 다른 하나의 자재 반입부(15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재 반입부(150)에는 고로 본체(11)의 영역에 자재 반입구(17)를 형성하고, 상기 자재 반입구(17)의 외부와 내부 영역에 내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데크(151a,151b)가 배치되도록 하여 고로 본체(11)의 외부로부터 자재를 반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material loading part 15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valley area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n this case, the material loading portion 150 to form a material loading opening 17 in the area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the deck (151a) for transferring the refractory to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area of the material loading opening (17). , 151b can be arranged so that the material can be brought in from the out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한편, 고로(10)는 본체(11)의 내경이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일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서 위치에 따라 장착되는 결합부(111,112)의 폭이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로 본체(11)는 하부 영역의 내경이 상부 영역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부 영역의 바닥과 측면 영역은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인력이 투입되어 왔다. On the other hand, the blast furnace 1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 In this case, in order to use the singl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100, the width of the coupling parts 111 and 112 mou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blast furnace body 11 may have an inner diameter of the lower region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region. In this case, the bottom and side regions of the lower region have been introduced with manpower to build refractory materials.

이와 같이, 내화물의 축조를 위하여 일반 리프팅 장치가 적용되기 어려운 영역을 위하여, 고로 본체(11)의 하부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경우, 인력을 요구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111)에는 리프팅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s such, in the case where the refractory is built in the lower region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for an area where a general lifting device is hard to be applied to build the refractory, a lifting device is further attached to the coupling part 111 so as not to require manpower. It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로 본체(11)의 하부 영역에 장 착되는 결합부(111)에는 상기 본체(1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송레일(13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레일(1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132)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레일(131)을 따라 선회하면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coupling portion 111 is mount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s provided with a transport rail 131 to b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1) May be In this case, at least one lifting device 132 may be mounted on the transfer rail 131 so as to pivot along the transfer rail 131 and transfer the refractory to a position to be built.

한편, 상기 리프팅 장치(132)는 이송대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131)에 매달리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131)은 효율적인 구성을 위하여 모노레일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132)는 호이스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device 13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such as a transport cart can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uspended on the transport rail 131. In addition, the transport rail 131 may be made of a monorail-like structure for efficient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132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hoist.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1)에는 데크(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deck 12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oupling part 111.

데크(120)의 구성에 관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의 프레임(121)에 가로부재(122)와 세로부재(123)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데크(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은 조립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eck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orizontal member 122 and the vertical member 123 are disposed in a lattice form on the annular frame 121. By such a configuration,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ck 120 can be made to be assembled, it can be easily carried in and out.

한편, 상기 데크(120)는 상부의 일정 영역에 발판(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축조 작업을 관리 및 감독, 그리고 다른 부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ck 1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caffold (not show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operator to enable the operator to manage and supervise the construction work, and other auxiliary work.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로 본체(11)의 내측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결합부(111)에 장착되는 상기 데크(120)에는 중앙부 영역에 회전축(125)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2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은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125)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일 단부가 고로 본체(1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을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선회빔(126)이 회전축(125)에 결합되는 경우, 각 선회빔(126)은 회전축(125)의 축방향으로 차례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5A and 5B, the deck 120 mounted to the coupling part 111 disposed in the inner lower reg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25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rotating shaft At least one pivot beam 126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125. In this case, the pivot beam 12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end is pivotable along an area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while one e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turning beams 126 ar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25, each turning beam 126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25 in turn.

상기 선회빔(126)에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12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프팅 장치(129)는 호이스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29)는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리프팅 장치(129)는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가일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대차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리프팅 장치(129)에 구비되는 이동대차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레일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turning beam 126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129 for transferring the refractory to the position to be built. In this case, the lifting device 129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hoist. Meanwhile, the lifting device 129 provided in the turning beam 126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rning beam 126. In this case, the turning beam 126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ail (not shown), and the lifting device 129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car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ard rail provided in the turning beam 126. May be The guide rail provided in the turning beam 126 and the moving cart provided in the lifting device 129 may be configured by using a guide rail and a moving cart generally know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선회빔(126)은 출선구측 자재 반입부(140)를 통해 외부에서 반입되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내화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즉, 고로 본체(11)의 중심과 내부 측면 위치의 이동과 함께 고로 본체(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의 이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로 내화물을 이동시켜 축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된 리프팅 장 치(129)와 함께 상기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결합부(111)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32)에 의해 고로 본체(11)의 내부 바닥과 출선구(16)의 하부 영역까지의 내측면에 내화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turning beam 126 is able to build the refractory material by moving the refractory material carri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side material loading part 140 to the desired position. That is, the refractories may be moved to various positions by moving the center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and the posi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n a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The inner bottom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and the exit hole by the lifting device 132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111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together with the lifting device 129 provided in the turning beam 126. The refractory can be built on the inner side up to the lower region of 16).

한편, 상기 선회빔(126)은 리프팅 장치(132)에 의해 들려지는 내화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선회하게 되는 단부 영역이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상기 데크(120)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데크(120)에는 상기 회전하는 선회빔(126)의 단부 영역과 대면하는 영역에는 이송레일(127)을 더 구비하고, 사기 선회빔(126)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데크(120)에 구비되는 이송레일(127)에 매달리어 이동하게 되는 이송대차(128)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ivoting beam 126 may be provided with the support force by the deck 120 so that the end region which is pivoted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load of the refractory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132 is not hit down. It can also be configur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ck 120 further includes a transfer rail 127 in an area facing the end area of the rotating pivot beam 126, and an end area of the fraudulent swing beam 126. The deck 120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port cart 128 to be suspended on the transport rail 127 provided in the deck (120).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로 본체(11)의 영역에 장착된 결합부(111)에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데크(120)가 장착되어 고로 본체(11)의 바닥과 출선구(16)의 하부 영역까지의 내측면에 내화물을 축조한 후, 출선구(16)의 하부 영역부터 고로 본체(11)의 보쉬(조안) 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상기 데크(12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된 결합부(112)의 위치로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s mounted with a deck 120 rotatably provided with a turning beam 126 in the engaging portion 111 mounted in the region of the relatively low blast furnace body 11. After the refractory is built on the inner side to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opening 16, the deck 120 to build the refractory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opening 16 to the bosch (joan) reg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 May be moved and mounted to a position of the coupling part 112 mount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로 본체(11)의 벨리(노복) 상부 영역에 다른 결합부(112)를 배치하고, 상기 도 5a 및 도 5b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 데크(120)가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크(120)는 리프팅 장치(129)가 구비되는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구 성의 예는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other coupling portion 112 is disposed in the valley upper port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Deck 120 may be moved and mounted. In this case, the deck 120 may be rotatably mounted with the turning beam 126 provided with the lifting device 129,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Let's do it.

한편,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선회빔(126)이 구비되는 데크(120)를 하부 영역에 배치된 결합부(111)에서 상부 영역에 배치된 결합부(112)의 위치로 상기 데크(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곤도라(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리프팅 장치(20)가 함께 구비되어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s the deck 120 is provided with the turning beam 126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12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from the coupling portion 111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The gondola 15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ve the deck 120.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20 which is generally used to build a refractory is provided to build a refractory.

한편, 상기 선회빔(126)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어느 일 이상의 선회빔(126)에 다른 선회빔(126)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126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내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회빔(126)이 회전할 때, 다른 어느 일 선회빔(126)과 간섭을 방지하여 내화물의 충돌로 인한 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pivot beam 126 may further include a space keeping member 126b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ther pivot beam 126 in at least one or more pivot beams 126. It may be. The spacing member 126b may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other turning beam 126 when the turning beam 126 rotates to move the refractory, thereby preventing material damage due to the collision of the refractory material. Alternatively,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s fall accident can be prevented.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페이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다른 일 선회빔(126)과 접하게 되는 단부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pacing member 126b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such as a spacer generally known. In this case, the spacing holding member 126b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at an end in contact with the other turning beam 126 to cushion the impact force.

다른 한편, 상기 선회빔(126)에는 작업대(12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126a)는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에는 작업대(126a)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26a)는 이송대차가 구비되어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송대차와 가이드 레일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레일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urning beam 126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orking table (126a). On the other hand, the work table 126a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rning beam 126. In this case, the turning beam 126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ail (not shown) for the movement of the work table 126a, the work table 126a is provided with a feed c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rning beam 126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movable. Even in this case, the transfer cart and the guide rail may be configured using a guide rail and a moving cart which are generally known.

상기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작어대(126a)에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내화물이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되도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o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at which the refractory is to be built in the small band 126a, and perform the operation such that the refractory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to be built.

상기 설명된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우선,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를 배치시킨다. 초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111)에 상기 설명된 데크(120)가 장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fractory in the blast furnace body 11 described above, first,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100 is placed inside the blast furnace body 11. The initial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10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deck 120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111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it port.

이 상태에서 상기 출선구(16)를 통해 내화물과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다른 자재들을 반입시키면서, 고로 본체(11)의 바닥과 출선구(16)의 하부영역의 측면에 내화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 경우, 고로 본체(11)의 바닥 영역은 데크(120)에 구비되는 선회빔(126)의 리프팅 장치(129)를 이용하여 축조할 수도 있고, 고로 본체(11)의 측면과 인접한 바닥의 영역과 고로 본체(11)의 하부 측면 영역은 상기 결합부(111)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32)를 이용하여 축조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refractories are built on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and on the side of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16 while carrying in the refractory and other materials required to build the refractory through the outlet 16. . In this case, the bottom area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may be constructed using the lifting device 129 of the swing beam 126 provided in the deck 120, or the area of the bottom adjacent to the side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And the lower side area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may be constructed using the lifting device 132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111.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29)와 결합부(111)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32)를 동시에 이용하여 고로 본체(11)의 바닥영역 및 출선구(16) 하부 측면영역에 내화물을 동시에 순차적으로 축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선회빔(126)의 리프팅 장치(129)들과 결합부(111)의 리프팅 장치(132)는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축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바닥과 측면에 대한 축조작업은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ttom region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it port 16 are simultaneously used by using the lifting device 129 provided in the turning beam 126 and the lifting device 132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111 at the same time. The refractory can also be built sequentially in the side region. In this case, the lifting device 129 of each turning beam 126 and the lifting device 132 of the coupling portion 111 can perform the construction work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and thus the floor Construction work on the side and side can be done sequentially at the same time. That is,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상기 출선구(16)의 하부 영역까지 내화물이 축조된 후에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고로 본체(11)의 벨리(노복) 상부영역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영역에 배치된 결합부(111)는 고로 본체(11)로부터 해체될 수도 있다. As such, after the refractory is built up to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opening 16,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100 may be moved to and disposed in the valley upper port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111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may be disassembled from the blast furnace body 11.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가 고로 본체(11)의 벨리 상부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벨리부 영역에 형성된 자재 반입부(150)를 통해 내화물과 요구되는 자재들을 반입시켜 출선구(16)의 하부 영역부터 보쉬(조안) 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출선구(16)를 통해서 내화물과 자재를 반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출선구(16) 영역에는 별도의 형틀을 배치시켜 가적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In the state where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100 is disposed in the upper valley area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the refractory material and the required materials are carried in through the material loading part 150 formed in the valley area to lower the exit port 16. Refractories are built from the area to the Bosch area.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refractory work by placing a separate mold in the area of the outlet port 16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refractory material and materials through the outlet port 16.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선구(16)의 하부 영역부터 고로 본체(11)의 보쉬영역까지 축조되어야 하는 내화물(1)을 바로 연이어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형틀이 배치되어 가적물이 축조되던 영역(A)은 가적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내화물(1)이 축조될 수 있게 되어 축조작업의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즉, 가적작업으로 인해 가적물을 해체하고 다시 내화물을 재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업 불량이 원천적으로 발생하기 않을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refractory material 1, which should be constructed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opening 16 to the bosch region of the blast furnace body 11, can be immediately constructed successively. In other words. In the region A in which the mold is arranged to build the stow, the refractory work is not performed, and the refractory 1 can be built immediately, so that the air of the work can be shortened. In other words, the defective work caused by dismantling the cargo and rebuilding the refractories may not be caused by the operation.

이 경우, 상기 데크(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선회빔(126)은 내화물이 축조되어야 하는 고로 본체(11)의 내측면에 대하여 복수의 영역에서 축조 작업이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축조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urning beams 126 provided on the deck 120 are arranged to be sequentially constructed in a plurality of areas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ast furnace main body 11 to which the refractory is to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Work can be done more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optionally combined.

도 1은 종래의 고로 건설 과정에서 출선구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building a refractory in the exit area in the conventional blast furnace construction proces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에 이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가 구비된 고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last furnace equipped with a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used in the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영역의 결합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oupling part of a lower region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에 데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ck is mounted to the coupling unit illustrated in FIG. 3.

도 5a 및 도 5b는 출선구 하부 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내화물 축조용 장치가 배치된 상태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5A and 5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is arranged to build a refractory up to the outlet opening area.

도 6a 및 도 6b는 출선구 하부 영역부터 보쉬 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내화물 축조용 장치가 배치된 상태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6A and 6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is arranged to construct refractory materials from the lower part of the exit port to the Bosch reg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에 이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구성하는 선회빔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urning beam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refractory body used i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fractory body in a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에 의해 축조된 내화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the refractory built by the refractory building method of the blast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고로 11 ... 고로 본체10 ... blast furnace 11 ... blast furnace body

12 ... 지지부 15 ... 곤도라12 ... Supports 15 ... Gondola

16 ... 출선구 17 ... 자재 반입구16 ... outlet 17 ... material entry

100 ... 내화물 축조용 장치 111,112 ... 결합부100 ...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s 111 112 ...

120 ... 데크 125 ... 회전축120 ... deck 125 ... axis of rotation

126 ... 선회빔 126a ... 작업대126 ... swing beam 126a ... worktable

126b ... 간격유지부재 127,131 ... 이송레일126b ... Spacing member 127,131 ... Feed rail

128 ... 이송대차 129,132 ... 리프팅 장치128 ... feed cart 129,132 ... lifting device

140 ... 출선구측 자재 반입부 150 ... 벨리 영역측 자재 반입부140 ... Material entry on exit side 150 ... Material entry on valley area

Claims (6)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와; Disposing a refractory building device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it port; 상기 출선구를 통해 자재를 반입하고,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 영역까지 축조하는 1차 축조 단계와; A primary construction step of bringing in materials through the outlet, and constructing the lower region of the outlet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Mov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device to an upper region of the belly (slave); 벨리(노복)부 영역에 자재 반입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Forming a material loading portion in the belly portion area; 상기 벨리부에 형성된 자재 반입부를 통해 내화물을 반입시켜, 상기 벨리(노복)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 하부영역부터 보쉬(조안)영역까지 내화물을 축조하는 2차 축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Secondary construction which carries in a refractory material through the material carrying-in part formed in the said valley part, and builds a refractory material from a lower exit port to a bosch area using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area of the said valley (sack). Refractory building method of the blast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는 가적물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내화물에 의한 1차 축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ractory construction of the exit area is made of primary refractory by direct refractory without using a depos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축조 단계는 리프팅 장치를 갖는 복수의 선회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데크가 결합부에 의해 출선구 상부 영역에 장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와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고로의 하부 둘레의 바닥과 측면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refractory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mary construction step comprises a deck in which a plurality of swing beams having a lifting devi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opening by the coupling portion.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ory is built on the bottom and side area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using at least one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리프팅 장치를 갖는 복수의 선회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데크가 출선구의 상부 영역에 구비된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이송되고, 벨리(노복) 상부 영역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되어 벨리(노복) 영역에 형성된 자재 반입구를 통해 반입되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3. The device for refractory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deck having a plurality of pivoting beams rotatably coupled with a lif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it port, and is conveyed to the upper portion, and belly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ast furn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ory is carried to the position to be built through the material inlet formed in the valley (cover) area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축조 단계는 고로의 바닥부와 출선구 하부의 측면 영역이 동시에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of building the blast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blast furnace and the side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opening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축조 단계는 상기 출선구 상부의 측면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가 복수의 선회바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The blast furnac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construction step is such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refractory to the lateral area above the exit port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plurality of areas using a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pivot bars. Refractory construction method.
KR1020080127174A 2008-12-15 2008-12-15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KR101022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74A KR101022715B1 (en) 2008-12-15 2008-12-15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74A KR101022715B1 (en) 2008-12-15 2008-12-15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19A KR20100068719A (en) 2010-06-24
KR101022715B1 true KR101022715B1 (en) 2011-03-22

Family

ID=4236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174A KR101022715B1 (en) 2008-12-15 2008-12-15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71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712A (en) * 1982-03-18 1983-09-26 Kawasaki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lining of wall of blast furnace
JPS61130410A (en) * 1984-11-30 1986-06-18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repairing blast furnace interior
JPS61190010A (en) * 1985-02-19 1986-08-23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installing blast furnace
JPH10212511A (en) * 1997-01-29 1998-08-11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for laying brick on furnace bottom of blast furn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712A (en) * 1982-03-18 1983-09-26 Kawasaki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lining of wall of blast furnace
JPS61130410A (en) * 1984-11-30 1986-06-18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repairing blast furnace interior
JPS61190010A (en) * 1985-02-19 1986-08-23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installing blast furnace
JPH10212511A (en) * 1997-01-29 1998-08-11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for laying brick on furnace bottom of blast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19A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482B2 (en) Work carrier apparatus in assembly line
JP5540568B2 (en) Blast furnace furnace body construction and repair method
KR10102271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KR101050201B1 (en) Equipment for building refractory units of blast furnace
JP2018065168A (en) Pouring system
KR19990088409A (en) Low-pressure chill casting apparatus
US81875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change converter unit of an oxygen steel-making plant
KR100794561B1 (en) Apparatus for carrying shroud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process
KR20120076064A (en) Assembling apparatus of chock in rolling mill and method therefor
JP2010172914A (en) Partition cold material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11865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ars
JP6187269B2 (en) Gas needle board type gas dri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
KR101932647B1 (en) filter feeding device
JP2007301608A (en) Conveying equipment for casting mold and molding equipment for casting mold using the same
JP2987407B2 (en) Long nozzle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100958304B1 (en) Relining method of blast furnace
KR101797479B1 (en) Turn over apparatus with double turning ring for turning over propeller of ship
JP3975187B2 (en) Molten steel processing line
CN112944922B (en) Method for replacing receiving chute of ring type cooling machine
KR101746768B1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of scrap
RU2349417C2 (en) Method and facility for rotating of metallurgical ladle
JP7163167B2 (en) Furnace body dismantling method
JP2007167958A (en) Mechanism for changing guide of shape rolling mill
KR101201773B1 (en) Method for installing converter equipment
JP2009068091A (en) Cart for heating metallic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