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81B1 -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81B1
KR101022381B1 KR1020090013944A KR20090013944A KR101022381B1 KR 101022381 B1 KR101022381 B1 KR 101022381B1 KR 1020090013944 A KR1020090013944 A KR 1020090013944A KR 20090013944 A KR20090013944 A KR 20090013944A KR 101022381 B1 KR101022381 B1 KR 10102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module
solution
device authentica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791A (ko
Inventor
민용기
이광욱
국 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1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제조사로부터 요청된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하는 경우 통신 모듈에 대해 인증 마크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인증 마크가 부여된 통신 모듈을 공급받아 솔루션을 개발한 솔루션 벤더로부터 요청된 솔루션 인증시 통신 모듈에 대해 인증 마크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해당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솔루션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인증만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모듈의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특히 개방형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 과정을 간소화하여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최종 사용자측에서의 비용 부담 또한 감소된다. 이로 인해, 개방형 통신 모듈의 보급이 확대될 수 있다.
Figure R1020090013944
통신 모듈, 인증, 장치 인증, 솔루션 인증, 인증 마크, 솔루션 벤더, 제조사

Description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ERTIFICATING COMMUNICATION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모듈의 인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모듈에 대해 장치 인증이 수행되고 그 후에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의 인증이 수행될 때 적용되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모듈, 특히 무선 방식의 통신 모듈은 국제 표준 규격 상에 링크되어 있는 국제 표준 기본 프로토콜 및 서비스 규격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은 해당 모듈이 사용될 통신망에서 공인된 인증 단체의 인증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분야와 같은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대표적으로 2세대 또는 3세대 이동 단말의 상호 연동을 보장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사업자와 이동 단말 개발업체간의 파트너십으로서 강제성 시험항목 이외의 제품에 대한 실제 성능을 시험하며 제품의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 GCF(Global Certification Forum), ISO 17025 품질시스템에 입각한 제품의 신뢰성으로 확보하 고, 강제성 시험항목 이외의 제품에 대한 실제 성능을 시험함으로써 시장 유통 제품의 신뢰성으로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 PTCRB(PCS Type Certification Review Board) 등과 같은 단체에서의 인증 시험을 통과해야 상용망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통신 모듈은 다른 목적을 위한 다양한 인증 단체를 통한 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한편, 통신 모듈, 특히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노트북, 카메라 등의 각종 기기에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각종 기기에서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망에 대한 접속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의 예로 M2M(Machine to Machine) 모듈이 있다. M2M은 일반적인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일련의 유저 트래픽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M2M 모듈과 M2M 디바이스가 연동하여 기계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원격 관리 및 제어 솔루션이다. 예를 들면,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PDA, 컴퓨터, 노트북, MP3 플레이어, 카메라, 텔레메틱스기, 게임기, 헬스기와 같은 M2M 디바이스(10)는 이동통신망(30)에 접속 가능한 M2M 모듈(20)을 통해 서비스 서버(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도 상기한 바와 같은 인증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통신 모듈의 경우에는 통신 모듈을 제조하는 통신 모듈 제조사에서 해당 통신 모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해 통신 모듈의 네트워크 적합성 등을 검증받는 인증 시험을 통과한 후 해당 통신 모듈 을 솔루션 벤더 등에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솔루션 벤더에서는 통신 모듈 제조사로부터 공급된 통신 모듈을 각종의 디바이스에 장착하여 각종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해 솔루션 인증을 받을 때에도 또 한 번의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의 경우 통신 모듈 제조사와 솔루션 벤더에서 각각 인증을 받아야 최종 사용자측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두 번의 인증을 받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통신 모듈을 표준화함으로써 개발이 용이해지고 서비스 시장도 확대시킬 수 있는 개방형 통신 모듈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인증 방법을 통해 통신 모듈의 인증이 수행됨으로써 특히 개방형 통신 모듈에 대한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의 새로운 인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 절차를 개선하여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 방법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이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모듈 제조사로부터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장치 인증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디바이스에 장착한 솔루션 벤더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 인증―상기 솔루션 인증에는 상기 솔루션 벤더로부터 요청된 제2 장치 인증과 애플리케이션 인증이 포함됨―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 장치는,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의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 모듈 제조사로부터 요청되는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통신 모듈 인증부;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 인증―상기 솔루션 인증에는 상기 솔루션 벤더로부터 요청된 제2 장치 인증과 애플리케이션 인증이 포함됨―을 수행하되, 상기 솔루션 인증 수행시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가 성공인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솔루션 인증 중에서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솔루션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모듈의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특히 개방형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 과정을 간소화하여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최종 사용자측에서의 비용 부담 또한 감소된다.
이로 인해, 개방형 통신 모듈의 보급이 확대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 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인증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모듈 중 무선 통신 모듈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이 유선 통신 모듈의 인증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이하 "이동통신 사업자"라고 함)(100)은 사용자들간에 이동통신 단말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무선 통신 모듈이 필요로 하는 국제 규격의 장치 인증 서비스와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한 솔루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모듈 제조사(2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장치 인증 서비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국제 규격의 인증을 받는다.
통신 모듈 제조사(200)는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이동통신 사업자(100)를 통한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는 경우,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을 솔루션 벤더(30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솔루션 벤더(300)는 통신 모듈 제조사(200)로부터 장치 인증이 완료된 무선 통신 모듈을 공급받아서 각종의 디바이스에 장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솔루션 인증 서비스를 통해 솔루션 인증을 받는다. 여기서, 솔루션 인증은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과 애플리케이션 인증의 두 가지가 수행된다.
솔루션 벤더(3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솔루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는 경우, 해당 솔루션을 최종 사용자(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400)는 솔루션 벤더(300)로부터 솔루션 인증이 완료된 솔루션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100)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회선과 이동통신 사업자의 솔루션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사업자(100)는 통신 모듈 인증부(110), 인증 마크 저장부(120) 및 솔루션 인증부(13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 인증부(110)는 통신 모듈 제조사(200)로부터 요청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면,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 예를 들어,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의 제조사명,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일자 등에 수행된 장치 인증에 대한 인증 마크를 제공하여 인증 마크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인증 마크 저장부(120)는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와 해당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수행된 장치 인증의 종류, 그리고 수행된 장치 인증의 결과인 인증 마크를 각각 연결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인증 마크는 장치 인증의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 인증 마크일 수 있고, 또는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부호 또는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솔루션 인증부(130)는 솔루션 벤더(300)로부터 요청되는 솔루션 인증을 수행한다. 솔루션 인증부(130)는 솔루션 벤더(300)로부터 솔루션 인증이 요청되면, 솔루션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인증 마크 저장부(120)에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인증 마크 저장부(120)에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어 해당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이 이미 성공으로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솔루션 인증시 해당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은 수행하지 않고 솔루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만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통신 모듈 제조사(200)가 이동통신 사업자(100)를 통해 한 번의 장치 인증을 받으면 그 인증 결과를 솔루션 벤더(300)에서의 솔루션 인증시에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한 번만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개방형 무선 통신 모듈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인증 마크 저장부(120)가 무선 통신 모듈의 제조사명과 모델명만을 식별자로 저장함으로써, 통신 모듈 제조사(200)에서의 장치 인증과 솔루션 벤더(300)에서의 솔루션 인증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이 동일한 것이 아니더라도 솔루션 인증시 무선 통신 모듈의 제조사명과 모델명이 동일한 것이 사용되면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이 장치 인증을 성공으로 완료한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솔루션 인증시 장치 인증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통신 모듈 제조사(200)는 솔루션 벤더(300)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개발하고(S100), 개발된 무선 통신 모듈을 상용 모듈로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로 인정받기 위한 장치 인증을 이동통신 사업자(100)에게 요청한다(S110).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통신 모듈 인증부(110)는 통신 모듈 제조사(200)로부터의 장치 인증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요구되는 국제 규격의 인증,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은 M2M 모듈(20)의 경우 3GPP TS 34.123-1 및 TS 34.121 기준의 국제 공인 Test-House에서의 GCF 인증을 수행한다(S120).
통신 모듈 인증부(110)는 상기 단계(S120)에서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면(S130), 통신 모듈 제조사(200)에게 요청한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이 성공이라는 사실을 통지한다(S140).
그 후, 통신 모듈 인증부(110)는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의 식별자를 추출한 후(S150),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인증 마크를 인증 마크 저장부(120)에 저장한다(S160).
한편, 통신 모듈 제조사(200)는 이동통신 사업자(100)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이 성공하였다는 통지를 받은 후, 해당 무선 통신 모듈을 솔루션 벤더(300)에게 공급한다(S170).
솔루션 벤더(300)는 통신 모듈 제조사(200)로부터 이미 장치 인증이 완료된 무선 통신 모듈을 공급받아서 각종의 디바이스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장착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S180), 개발된 솔루션을 최종 사용자(400)에게 제공하기 위해 솔루션 인증을 이동통신 사업자(100)에게 요청한다(S190).
계속해서,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솔루션 인증부(130)는 솔루션 벤더(300)로부터의 솔루션 인증 요청에 따라 솔루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한다(S200).
그 후, 솔루션 인증부(130)는 인증 마크 저장부(120) 내에 상기 단계(S200)에서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160)에서 이미 통신 모듈 제조사(200)의 요청에 의해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어 인증 마크 저장부(120)에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계(S210)에서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을 다시 수행하지 않고 바 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220).
그러나, 상기 단계(S210)에서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장치 인증을 수행한 후(S230), 장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해당 솔루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수행한다(S220).
그 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면(S240), 솔루션 인증부(130)는 솔루션 벤더(300)에게 요청한 솔루션에 대한 인증이 성공이라는 사실을 통지한다(S250).
따라서, 솔루션 벤더(300)는 이동통신 사업자(100)로부터 솔루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 해당 솔루션을 최종 사용자(400)에게 제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400)가 이동통신 사업자(100)의 이동통신망의 회선을 통해 해당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통신 모듈 인증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M2M 모듈(20)에 적용하면, M2M 모듈 제조사(200)는 다양한 모델의 개방형 M2M 모듈(20)을 개발한 후 이동통신 사업자(100)를 통해 각각 장치 인증을 받은 후, 해당하는 개방형 M2M 모듈(20)들을 솔루션 벤더(300)에게 공급한다. 이 때, 이동통신 사업자(100)는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끝난 각각의 개방형 M2M 모듈(20)들에 대해 인증 마크를 저장하고 있다.
솔루션 벤더(300)는 공급된 개방형 M2M 모듈(20)들을 M2M 디바이스(10)에 장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솔루션을 개발한 후, 이동통신 사업 자(100)를 통해 솔루션 인증을 요청하면, 이동통신 사업자(100)는 솔루션에 사용되는 개방형 M2M 모듈(20)에 대해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치 인증을 생략하고, 바로 솔루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만을 수행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면, 솔루션 벤더(300)는 해당 솔루션을 최종 사용자(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M2M 모듈의 사용 예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이동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이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모듈 제조사로부터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장치 인증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디바이스에 장착한 솔루션 벤더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 인증―상기 솔루션 인증에는 상기 솔루션 벤더로부터 요청된 제2 장치 인증과 애플리케이션 인증이 포함됨―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가,
    상기 제1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성공으로 완료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성공 사실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공 사실은 상기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인증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마크는 상기 통신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식별자는 상기 통신 모듈의 제조사명 및 모델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가 성공 사실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가 성공 사실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솔루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모듈 인증 방법.
  7.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의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 모듈 제조사로부터 요청되는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통신 모듈 인증부;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적용한 솔루션 인증―상기 솔루션 인증에는 상기 솔루션 벤더로부터 요청된 제2 장치 인증과 애플리케이션 인증이 포함됨―을 수행하되, 상기 솔루션 인증 수행시에 상기 저장부에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상기 제1 장치 인증의 결과가 성공인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솔루션 인증 중에서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솔루션 인증부
    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인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인증부는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1 장치 인증이 성공으로 완료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인증 마크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인증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이 성공인 것으로 대체하여 상기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인증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인증 마크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한 제2 장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인증부는 상기 솔루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듈 인증 장치.
KR1020090013944A 2009-02-19 2009-02-19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02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44A KR101022381B1 (ko) 2009-02-19 2009-02-19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44A KR101022381B1 (ko) 2009-02-19 2009-02-19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91A KR20100094791A (ko) 2010-08-27
KR101022381B1 true KR101022381B1 (ko) 2011-03-22

Family

ID=4275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944A KR101022381B1 (ko) 2009-02-19 2009-02-19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391B1 (en) 1998-04-15 2001-01-23 Rockwell Collins, Inc. Method for partitioning an integrated ground air traffic management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50181A (ko) * 2000-12-20 2002-06-2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보안 환경에서의 이동 통신 장치 소프트웨어의 디버깅 및테스팅 허가 방법
KR20030070450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마크애니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12488A (ko) * 2007-07-30 2009-02-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인벤토리 아이템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391B1 (en) 1998-04-15 2001-01-23 Rockwell Collins, Inc. Method for partitioning an integrated ground air traffic management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50181A (ko) * 2000-12-20 2002-06-2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보안 환경에서의 이동 통신 장치 소프트웨어의 디버깅 및테스팅 허가 방법
KR20030070450A (ko) * 2002-02-25 2003-08-30 주식회사 마크애니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12488A (ko) * 2007-07-30 2009-02-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인벤토리 아이템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91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7738B (zh) 基于浏览器的登陆处理方法及系统
TWI623893B (zh) 提供行動裝置之線上服務的方法及系統、伺服器、行動裝置以及電腦程式產品
US20180041893A1 (en) Method and system of multi-terminal mapping to a virtual sim card
CN110784450A (zh) 一种基于浏览器的单点登录方法和装置
KR20160083930A (ko)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는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3123829A1 (zh) 安装软件的方法、设备及系统
CN109462601B (zh) 基于eSIM的多平台访问方法及装置
CN104902028A (zh) 一种一键登录认证方法、装置及系统
US10181024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pda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11316693B2 (en) Trusted platform module-based prepaid access token for commercial IoT online services
CN111311251A (zh) 绑定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1538517B (zh) 一种服务器固件升级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3163489A1 (en) Token-based control of software installation and operation
CN109862605A (zh) 一种用于终端设备的连网方法及设备
CN105101205A (zh) 一种一键登录认证方法、装置及系统
CN105897723B (zh) 页面显示处理方法、系统及服务器
CN114861158A (zh) 安全认证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829495A (zh) 多数据库修改事务的验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22381B1 (ko) 통신 모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N109858235B (zh) 一种便携式设备及其暗码获取方法和装置
US10997539B2 (en) Supplier analysis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3852596B (zh) 基于Kubernetes的应用认证代理方法及系统
CN111212083B (zh) 一种代理测试和授权管理系统和方法
CN108199918B (zh) 一种测试洗衣机的方法及系统
TWI587109B (zh) 用於安裝多個待測裝置之作業系統的系統架構及佈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